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비디오 유머중재가 혈액투석 중인 환자의 우울과 스트레스반응에 미치는 효과

        신봉자 ( Shin Bong Ja ),김혜순 ( Kim Hye Soon ),이명희 ( Lee Myung Hee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0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만성 신부전증으로 혈액투석 중인 환자에게 비디오를 이용한 유머중재가 우울과 스트레스 반응인 상태불안과 코티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비디오 유머중재 선행 연구(Kim & Suh, 1996; Suh & Kim, 1994)에 의하면 입원환자들은 유머의 내용으로 TV 코미디 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였고, 유머 중재시간은 아침보다는 점심 때를 더 선호하였고, 유머 중재시간은 10-20분, 20-30분의 순이었고, 개인보다는 집단으로 유머를 즐기는 것을 좋아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자인 혈액투석 환자는 외래환 자로서 혈액투석이 주 3일, 4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특성상 개별적으로 침상TV를 이용하여 혈액투석 중간인 오전에 30분간 비디오 유머중재를 실시하였다.비디오 유머중재가 혈액투석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Beck의 도구로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19,34점에서 12,73점으로 6.60점 감소하였고, 대조군은 21.42점에서 19.04점으로 2.38점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비디오 유머중재 가 혈액투석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웃음요법중재가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의 우울을 감소시켰다는 Lee 등(2006)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또한 혈액투석환자의 우울 정도는 Lee 등(2006)의 연구에서 21.9점, Yun, Yang과 Hahn(1999)의 연구에서 22.9점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Lee 등(1995)이 우울 점수 9점 이하는 정상(normal), 10-15점은 경한(mild) 우울상태, 16-23 점은 보통 (moderate) 우울상태, 24-63점은 심한(severe)우울상태로 구분한 것에 의하면 혈액투석 환자는 보통의 우울상 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Zung의 도구로 검증한 Kim 과 Suh(1996)의 연구에서 비디오 유머중재가 기동성장애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지 않았다는 결과와 Suh와 Kim(1994)의 유머중재가 항암요법 치료를 받는 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지 않았다는 연구와는 상반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같이 선행연구와 상반된 연구결과가 나타난 것은 우울과 관련되는 복합적인 변인들이 다르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즉 Suh와 Kim(1994)의 연구대상인 암환자의 경우중개기간이 항암제 치료기 간으로 항암제 부작용을 경험하는 시기라는 점을 고려할 때 유머중재에 관심을 적게 갖지 않았나 하는 점도 고려할 수 있다. Kim과 Suh (1996)의 연구대상인 석고붕대나 견인장치로 기동 성장애를 경험하는 환자들은 기동성의 변화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Suh와 Kim (1994)의 암환자의 우울점수 39,9점보 다 많은 42점으로 나타나 대상자 특성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uh와 Kim (1994)은 우울은 상황적인 요소라기보다는 특성적인-요소로 여겨지며 단기간의 간호중재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머중재 연구에 대한 반복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 중간에 비디오 유머중재를 실시한 후 혈액투석이 끝나는 1 시간 30분 후에 사후검사를 측정하였으나 Kim과 Suh (1996) 의 연구에서는 비디오 유머중재를 실시한 후 10분 후에 사후검사를 측정하여 유머중재 전에 우울도구와 우울점수에 따른 유머중재의 횟수와 시간, 내용을 다르게 적용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디오 유머중재 이후 대상자들은 혈액투석시간 이외에도 대상자들 간에 서로 바라보며 웃기도 하고 큰소리로 이야기도 나누는 모습들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혈액투석치료를 평생 받으며 살아야 한다는 심리 · 정서적 압박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혈액투석환자들만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투석을 받는 시간만이라도 의료인들이 대상자의 심리 · 정서적 지지방법으로 비디오 유머중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해도 좋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투석시간외 일상생활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유머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디오 유머중재 전 · 후 상태불안, 혈청 코티졸을 검증 한 결과, 상태불안은 차이가 있었으나 혈청 코티졸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태불안은 실험군은 43.86점에서 35.08 점으로 감소되었으나 대조군은 47.85점에서 49.71점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유머중재가 항암치료를 받는 환자의 불안을 감소 시켰다는 Suh와 Kim (1994)의 연구결과와는 일치하였으나 비디오 유머중재가 기동성장애환자들의 불안 감소에는 효과적이지 않았다는 Kim과 Suh (1996)의 연구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 혈액투석환자의 상태불안 점수 43점은 기동성 장애 환자들의 상태불안 점수 43점(Kim & Suh, 1996), 척추손상 환자들의 상태불안 점수 44점(Song, 2003), 암환자들의 상태불안 점수 44점(Kam, 2003)과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기동성장애 환자의 경우 생명에 위급함을 느끼기 않는 만성적인 질환인 반해 일상생활에서 생명의 위급함을 느끼고 있는 혈액투석 환자의 경우에는 비디오 유머중재를 통하여 불안이 더욱 더 감소되는 결과가 나타났다고 사료된다. 불안은 주관적 근심과 걱정에서 오는 막연한 것으로 두려움, 근심, 죽음이나 재앙이 당장 일어날 것만 같은 느낌을 갖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Jo & Sung, 2000). 혈액투석환자의 불안은‘투석기계에 생명을 의존하고 살아가는 것’,‘ 가족에 대해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것’,‘ 투석 치료로 인한 경제적 부담’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Lee, 2007). 혈액투석은 만성신부전을 치료하기 보다는 주기적으로 체내 노폐물과 수분을 걸러내어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에 불과하므로 대부분의 환자들은 병의 예후에 대한 불안감과 함께 치료계획에 따라 기계에 의존해 치료를 받아야만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혈액투석환자들의 상태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유머중재에 대한 반복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혈청 코티졸 검정결과에서 실험군은 8.64㎍/dL에서 13.12mg/dL으로 4.47㎍/dL 증가, 대조군은 8.85㎍/dL에서 16.29㎍/dL으로 7.43㎍/dL으로 모두 증가하였다. 대조군이 실험군에 비해 혈청 코티졸 수치가 2.96㎍/dL 더 높게 상승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웃음요법을 혈액투석환자에게 실시한 Heo (2007)의 연구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또한 오전에 검사한 혈청 코티졸의 정상범위가 6-28 ㎍/dL임을 감안할 때 정상범위이기는 하나 전반적으로 높게 유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혈액투석환자의 혈중 코티졸 농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유지한다고 보고한 Daugirdas, Peter와 Todd (2001)의 연구와도 일치하였다. 그러나 Heo (2007)의 연구에서 실험군은 0.30 ㎍/dL, 대조군은 1.57㎍/dL 증가하여 본 연구에서 코티졸 상승범위가 더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는 투석중에 개인별로 유머비디오를 적용하였으나 Heo (2007)의 연구에서는 투석이외의 시간에 집단별로 웃음요법을 시행한 결과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CRH-ACTH계의 활성증가를 통해 CNS에 의해 매개되는 코티졸 분비의 현저한 증가는 모든 종류의 스트레스적인 상황에서 발생한다(Galla & Luke, 1996). 혈장 코티졸 농도의 증가폭은 일반적으로 스트레스 자극 세기에 비례하며, 스트레스는 질병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질병 과정에 깊은 영향을 주고 있으며, 질병과 치유과정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혈액투석환자들은 Glucocorticoid의 활동으로 조직의 저항에 의하여 혈중 코티졸 수치가 올라가고 반감기가 증가된다(Daugirdas et al., 2001). 또한 코티졸 수치는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혈액투석과정에서 혈청 코티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또한혈액투석환자들의 투석 전, 중, 후에 따른 비디오 유머의 효과에 대한 반복연구와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비디오 유머중재가 혈액투석환자의 우울과 상태불안을 감소시키는 간호중재로 가정과 임상에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humorous video on the depression and stress responses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Methods: The quasi-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Research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 treatment group (n=23) and a control group (n=21). Treatment was watching humorous video tapes 30 min each time, three times a week. The depression level and state anxiety level were assessed using a questionnaire. Cortisol was measured by a blood tes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V-test, and t-test. Results: Depression and anxiety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treatment group. Conclusions: Humorous video tape could be a usefull tool at home and clinical setting as a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the patients on hemodialysis.

      • 우리나라의 환경친화적 기술개발 정책 수립 및 추진현황과 과제

        김명자,김영주 숙명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8 자연과학논문집 Vol.- No.9

        이 글에서는 환경친화적 산업기술의 시대적 필요성과 의미, 그리고 정책추진의 기조와 방향을 모색하고, 우리나라의 환경산업기술 관련 연구개발의 현황과 추이를 분석하고, 향후 환경기술 개발에 관해 전망한다. 또한 환경친화적 과학기술 및 산업에 대한 정책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G7 연구개발사업과 대형 국책사업을 대상으로 사례를 살피고, 선진국의 동향 및 특성과 비교한다. 이들 결과에 바탕하여, 우리나라 환경친화적 기술개발 정책사업의 한계와 극복방안을 도출한다. This paper deals firstly with the issues of the rise of environment-friendly science and technology the philosophy behind them, and the over-all policy-making efforts enforced in the 1990's. Then, the specific themes with regard to Korea's R & D status and trends in environmental technology/industry in recent years have been discussed to analyze a few cases such as the so called G-7 projects in environmental technology/engineering and also the national large-scale project represented by 'Siwhaho' case, in an effort to pursue a comparative study as to those of advanced econom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rategies for enhancing environment-friendly science and technolgy have been suggested to overcome the problems therein and to promote the environmental technology and industry in Korea.

      • 소일정 계획 수립을 위한 부하조정과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김정자,공명달,김상천 한국경영과학회 1997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2

        소일정 부하조정 방법에는 대상기간을 결정하여 대사이간에 속하는 공정들에 국한시켜 부하조정을 하는 방법과 현재 기준일을 설정후 현재기준일 이후에 속하는 전체 공정에 대하여 부하조정을 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의 경우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특히 소일정 부하조정 루틴, 주요 처리 모듈 및 전제 조건 등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례를 들어 분석, 고찰하였다.

      • 신생아 황달질환에서의 RDW의 진단적 의의

        김행미,신채옥,현명철,이건수,이상범,구자훈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5 慶北醫大誌 Vol.36 No.3

        목적 : 신생아 적혈구는 그 모양이 불규칙하여 여러 측정치가 성인 및 소아와 다르다, 저자들은 국내에서 보고된 바 없는 신생아의 Red cell distribution width(RDW)를 조사하여 신생아 정상 측정치를 제시하는 동시에 신생아 시기의 적혈구에 손상을 미치는 질환의 RDW를 분석하여 진단상 의의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만삭아중 감염소견이 없었던 78명과 ABO부적합증 및 패혈증 환아에서 hemoglobin, hematocrit, MV, RDW 및 망상적혈구를 측정하였다. 결과 : 생후 1일부터 7일까지의 만삭신생아의 RDW 17.4±1.5로 소아 정상치 13.4±1.2%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으나 출생후 7일까지 hemoglobin, hematocrit는 의의있게 감소한 반면 RDW는 변동이 없었다. 같은 연령의 ABO 부적합증 및 패혈증 환아군은 대조군에 비해 의의있게 hemoglobin과 hematocrit가 낮았으나 RDW는 대조군과 질병군 및 각 질병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RDW와 망상적혈구는 ABP 부적합증에서만 상관계수 0.91 (p<0.001)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출생후 7일까지 계측한 정상 신생아의 RDW는 소아에 비해 증가되어 있으나 출생후 변화는 없었다. ABO 부적합증 및 패혈증 환아군의 RDW는 대조군과 질병군 및 각 질병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아 이들 질환의 진단적 의의가 없었다. ABO 부적합증에서 RDW가 망상적혈구 수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므로서 자동 분석기로 측정된 RDW로서 망상적혈구 수를 추정할 수 있었다. The RBC distribution width(RDW) has been reported to be of value in the early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several RBC disorders, with no sufficient studies on the newborn population. Seventy-eight normal fullterm newborns were studied to establish normal values for RDW of 1st week of life. The RDW of 43 patients with ABO incompatibility or sepsis was then evaluated for the usefulness of the RDW in diagnosis of Jaundice. The RDW was 17.7 ± 1.2 and 17.5 ± 0.8 at 1st and 4-7th days of life, revealing no differences de pending on the postnatal age. The RDW of newborns with ABO incompatibility, sepsis with and without jaundice were 18.4 ± 2.2, 18.2 ± 1.1 and 17.3 ± 0.9 respectively. The RDW was found to be consistently elevated in all these newborn infants-the normal newborns and the newborns with ABO incompatibility or sepsis-when compared with normal older children at our hospital. That reveals a physiologic state of anisocytosis in the newborn,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infants. Our results suggest that RDW alone cannot be used as an indicator to distingish between jaundice induced by hemolysis and by other causes. In this study all parameters examined except the reticulocyte counts of ABO incompatibility, which showed, by regression analysis, no correlation with the RDW. High RDW in ABO incompatibility is consistent with high reticulocyte count. One clinical value of the RDW therefore may lie in its capacity for reflecting active erythropioesis in ABO incompatibility. Thus the study has confirmed that red blood cell anisocytosis, as determined by RDW, has no value to differentiate the etiology of jaundice in the newborn period but it seems that RDW plays a role in determining the reticulocyte count in newborns with ABO incompatibility.

      • 南北韓 統一條約에 관한 硏究 : 統一條約締結能力과 締結節次를 中心으로 Unification Treaty-making Capacity and Treaty-making Procedure

        金永基,金明基,金淑子,劉夏榮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8 대학원논문집 Vol.2 No.-

        Whether Korean peninsular's dividing cause from the dividing of 38 degree line according to the "General order No 1" in 1945 or from the "Armistice Agreement" in 1953, that was not our will but outside's power. We can not say that reunification of our country would depend on foreign power because its dividing caused by outside power. Enter-Korea have been hostilize each other regarding as irregular group under dividing seatus. It is certain that our facing problem and ultimate objective is reunification not the naturalization of dividing. Accordingly, we have to consider sincerely reunification of our country considering enough inner or outer conditions given to us. Not only South Korea but North have a ability to take a reunification treaty with domestic law and international. The problem of future is when and how we will have to pursuit discussion first procedure. Our country require earnestly our wisidom and wit than ever for reunification. The responsible offiser of reunification policy have to decide sincerely reunification policy according to the high opinion of the export and many people working every parts.

      • 시대변화에 따른 창작판소리의 특징 연구 : 대표작을 중심으로

        김명자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0 지식과 교양 Vol.- No.6

        이 논문은 시대에 따라 창작판소리의 변화하는 양상과 대표작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창작판소리의 역할 중 가장 중요한 것 중에 하나는 시대를 반영한 작품을 만들어서 당대 청중과 함께 호흡하는 것이다. 그것이 제대로 되었을 때만이 창작판소리의 미덕이 발휘된다. 창작판소리의 성공 요인은 이야기를 만드는 사설의 창작과 시대를 반영한 연행 양식에서 표출된다고 보았다. 사설과 연행 양식적인 면을 감안하여 큰 족적을 남긴 작품을 세대별로 꼽아보니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제1세대는 해방전후의 박동실 <열사가>, 제2세대는 1960년대의 박동진 <예수전>, 제3세대는 1980년대의 임진택 <똥바다>, 제4세대는 2000년대의 김명자 <슈퍼댁 씨름대회 출전기>, 제5세대는 글로벌 세대의 이자람 <사천가>이다. 이 작품들의 공통점을 보면 첫째 작가의 역량이 바탕이 된 완성도 높은 텍스트, 둘째 시대를 반영한 연생방식 셋째, 시대적 공감을 통한 청중의 높은 호응, 넷째 현재까지도 공연이 되는 긴 생명력을 들 수 있다. 창작판소리는 소수의 애호가로부터 시작해서 지식인층을 거쳐 근래 다수의 일반 대중으로 관객층이 이동되었다. 2000년대부터는 일상적인 이야기를 끄집어내어 보다 친근하고 단순한 판소리의 양식을 부각시켰고 이후 극장으로 들어가 작품의 수준을 높이고 있다. 대표작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제1세대 박동실의 <열사가>는 전통 판소리의 음악을 그대로 수용하면서도 사설은 비분강개(悲憤慷慨)한 감정을 특화시켜서 비장미 위주의 특징을 보인다. 제2세대 박동진의 <예수전>으로서 주태익이라는 최고의 작가적 역량과 박동진 광대적 기량의 합작, 라디오드라마라는 매체를 이용한 것, 파격적인 서양 종교적 내용을 한국적으로 소화한 것에 있다고 보았다. 제3세대 임진택의 <똥바다>는 당대의 현실비판과 풍자 그리고 빛나는 골계미적 언롱(言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제4세대 김명자의 <슈퍼댁 씨름대회 출전기>는 직선적이고 단편적인 서사 전개와 트랜드의 추가, 유희성의 극대화, 단순하고 경쾌한 음악어법의 부각, 현장 관객과의 밀착 호흡으로 보았다. 제5세대 이자람의 <사천가>는 전문가들의 협업 시스템, 연극성의 강화, 저본의 세계화로 본다. 이런 흐 름은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 청소년 자녀와 어머니의 갈등과 해결방식에 관한 연구

        김명자,이정우,계선자,박미석,박수선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2002 生活科學硏究誌 Vol.17 No.-

        This examines the overall traditional cultural aspect of the parent-child conflict, reciprocal action involved and copying of the conflict to understand how the parent and child each perceives these actions in an analytical perspectiv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eight pairs of first or second yea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At least three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each student and mother pair using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t types of conflicts between mothers and their adolescent children can be classified as conflicts in academic achievement, territory of personal life, discrimination based on gender, and relationships with friends. Second, most adolescent children used avoidance to cope with conflict situations with their mothers. Others made deals to get what they wanted, or resolved conflicts through dialog, letters, and e-mail. Third, when faced dith a conflict with their adolescent children, most mothers used persuasion as or made the children to give up something in return for letting them have something they want. In other cases the father intervened. Though few in numbers, some mothers used letters or e-mail to resolve conflicts.

      • 김치가 노화촉진쥐 간의 유리기 생성 및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김종현,권명자,이소영,류재두,문갑순,최홍식,송영옥 부산대학교 김치연구소 2002 김치의 과학과 기술 Vol.8 No.-

        본 연구는 김치가 노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AIN-76마우스 식이에 배추, 갓김치, 갓배추김치를 각 동결건조 김치를 5%씩 첨가하여 만든 후 김치식이를 노화촉진쥐인 SAMP8에게 1년간 섭취시키면서 간의 노화관련 특성인 유리기 농도와 항산화효소계의 효소활성 변화를 살펴 보았다. 노화촉진쥐 간의 총유리기, OH radical, H_2O_2 그리고 TBARS모두 가령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간에서 생성된 유리기 농도와 TBARS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김치섭취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p<0.05). 그러나 생성된 유리기를 제거하기 위한 SOD활성은 오히려 김치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p<0.05), catalase와 GSH-px, GSH/GSSG의 비율도 김치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따라서 김치섭취는 노화에 따라 발생되는 간의 유리기 및 TBARS 생성은 억제시키면서, 이를 제거하는 항산화계 효소는 활성화시켜 노화를 억제한 것으로 생각된다. 김치종류 중에서는 배추김치보다 배추갓김치와 갓김치가 유리기 생성 억제 및 항산화 효소 활성을 더욱 증진시킨 것으로 관찰되어 이는 첨가된 갓의 항산화물질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imchi intake on antiaging characteristics in the brain of senescence-accelerated mouse (SAM) in terms of free radical production and anti-oxidative enzymes. Two hundreds twenty SAM (20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fed kimchi diet for 12 months. Experimental groups were kimchi free AIN-76 diet (control) group, Korean cabbage kimchi diet (KCK)group, 30% mustard leaf added Korean cabbage kimchi diet (MKCK) group, and mustard leaf kimchi diet (MLK) group. Concentrations of total free radical, OH radical and H_2O_2 of control group increased up to 123%, 262% and 174% of initial value (p<0.05) after one year. Increase in free radical production in kimchi groups due to aging was decreased by kimchi feeding. Among kimchi groups. MKCK and MLK groups showed greater inhibiting effect against free radical production than KCK. The concentration of TBARS in the bruin of control group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up to 362% of initial value as aged (p<0.05) and production of TBARS in kimchi groups were decreased. When the activities of Cu, Zn-SOD, Mn-SOD, GSH-px and catalase of kimchi groups were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at the same experimental perio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of kimchi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p<0.05). But GSH/GSSG in kimchi groups were higher compared to control. In conclusion, decrease in free radical production and increase i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were observed from kimchi groups suggesting that kimchi might have important role on retarding aging. Among kimchi variety tested in this experiment, MKCK and MLK seem to have greater effect on inhibiting free radical production and increasing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than KCK. Further study is needed to find out the mechanism of kimchi on retarding ag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