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SCM 관점에서 접근한 구입자-공급자 전략제휴에 관한 연구
金炯郁,尹善姬 홍익대학교 경영연구소 1999 경영연구 Vol.24 No.-
생산에서 구매자 - 공급자 관계의 특징은 지난 몇 년간 극적인 변화를 이루어 왔다. 주요산업체 기업들의 구매자 - 공급자 관계가 수직적 계열화, 단순구매의 형태에서 벗어나 기업경쟁력의 강화를 위한 전략적 제휴 및 단기적 협력의 강화 등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SCM철학은 공급자에게 궁극적인 고객에게로의 제품재고의 총 흐름들을 관리한 여러 회사들의 파트너쉽의 개념들을 확장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정립되는 생산에서 구매자 - 공급자의 관계에 대한 전략을 SCM관점에서 전략적제휴관계로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혁신적 기업일수록 고객 및 공급업체와의 관계를 긴밀히 구축함으로써 이들이 갖고 있는 경쟁력을 활용하여 자사의 경쟁력을 제고시키고 있다. 창의적 경영자는 종래 적대적 관계였던 구매자-납품업자 관계를 협조적, 공동체적 관계로 변화시키고 있다. 또한 경쟁력이 뛰어난 물류서비스 공급업체들을 활용하여 대고객 서비스를 향상시킴으로써 단일기업이 제공할 수 없는 높은 수준의 제품공급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들은 효율적 공급연쇄관리를 통해서 부품공급업체, 서비스 제공업체 및 소비자와 공동으로 독특한 경쟁력을 구축하고 그 결과로 얻게 되는 이익을 참여 기업들과 공유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카르텔 자진신고 감면제도에 관한 연구 - 형사적 제재의 합리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김형욱 대검찰청 2009 형사법의 신동향 Vol.21 No.-
사업자들이 공동으로 상품 또는 용역의 가격, 거래조건 등을 정하는 공동행위가 경쟁을 제한하는 경우에는 그 폐해가 심각하고 광범위하여 각국은 이를 당연위법으로 규정짓고 각종 제재를 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부당한 공동행위에 대 하여 공정거래위원회의 시정조치명령, 과징금과 같은 행정상 규제, 공정거래위원회의 고발권 행사 및 검찰의 징역형, 벌금형 기소와 같은 형사적 규제와 손해배상책임과 같은 민사적 규제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일반 형법범에 비추어 부당한 공동행위는 경쟁 사업자들간에 무모한 출혈을 방지하고 상호간의 이익을 극대화하자는 명목 아래 광범위하고도 은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공정거래위원회나 검찰이 이를 적발하기가 쉽지 않고 법위반 사실을 일부 확인하는 경우에도 그 혐의를 입증하기 위한 증거자료의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부당한 공동행위를 적발하기 위한 증거자료 확보를 위하여 공정거래법은 공정거래위원회로 하여금 자진신고 감면제도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 시정조치명령과 과징금을 면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형사고발에 대한 전속권한도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부당한 공동행위의 적발과 규제수단에 관하여 학계 및 실무에서는 부당한 공동행위의 억지, 적발을 위한 여러 수단과 이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제도 운용에 대하여 감면제도의 효율적 활용이라는 정책적 필요에 따라 감면고시에 근거하여 시정조치명령이나 과징금부과와 같은 행정상 규제의 면제에서 더 나아가 형사고발까지 면제하는 것이 적법한지의 문제, 부당한 공동행위를 주도하고도 감면요건을 갖춘 경우에는 일정한 요건을 갖춘 경우 모든 제재를 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타당한 것인지의 문제, 공정거래위원회가 사업자를 고발하면서도 행위에 직접 가담한 임직원 개인에 대하여는 형사처벌을 면제하는 것이 타당한지의 문제 등 여러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먼저 부당한 공동행위의 규제목적과 규제유형 등 부당한 공동행위 규제의 일반론을 살펴본 다음 현행 규제의 문제점에 대하여 논하고, 증거확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입한 규제 수단의 핵심인 자진신고 감면제도의 주요내용과 그 적용사례, 제도의 문제점을 논한 다음 각종 제도와 제도의 운용방식 개선을 형사법적 개선방안과 제도운영상 개선방안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부당한 공동행위의 근절방안을 모색하였다.
김형욱,Kim, Hyeong-Uk 한국방위산업진흥회 1998 國防과 技術 Vol.- No.232
방위산업의 경영합리화를 위해서는 기술집약형 군사력 건설을 지원하고 정부와 업체가 함께 참여하는 방산체제 구축과 함께 기존 생산분야는 수요지향적으로, 신규분야는 기술 및 지식집약형으로 방산구조를 조정해야 한다
기업가 지향성과 수출성과 간의 관계에서 마케팅 역량과 시장 변동성의 매개・조절역할 연구
김형욱,박민재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8 창조와 혁신 Vol.11 No.1
Export SMEs nee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 order to generate performance in the face of uncertainty in foreign marke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ree sub-dimension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O) on export performance with mediating role of marketing capability and moderating role of market turbulence. Empirical analysis with a sample of 400 small and medium exporting companies shows the result as follows : First, innovativeness, risk-taking, and proactiveness, which are sub-dimension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export performance, respectively. Second, innovativeness and proactiveneess, excluding risk-tak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marketing capability. Third, SMEs' export marketing capabi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export performance.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marketing cap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export SMEs and export performance is different for each sub-dimension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t is found that there is a full mediating effect of marketing capability in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ness and export performance, while there is a full positive mediating effect of marketing cap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ness and export performance. However, there is no mediating effect of marketing cap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taking and export performance. Fifth,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no moderating effect of market turbul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ness, risk-taking, proactiveness and export performance, which are three sub-dimension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owev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taking and export performance, market turbulence has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MEs should build their marketing capability with efforts to strength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 order to expand exports. In addition, since market turbulence plays a negative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taking and export performance, it suggests that SMEs should try to reduce risk-taking in export markets with high market turbulence. 수출중소기업은 불확실성이 높은 해외시장에서 사업기회를 추구해야 하는 상황에서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기업가 지향성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 지향성의 3개 하위 요소가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마케팅 역량의 매개역할과 시장 변동성의 조절역할에 대해 수출중소기업 400개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첫째, 기업가 지향성의 하위 요소인 혁신성, 위험 감수성, 진취성은 각각 수출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수출중소기업의 기업가 지향성 중 위험 감수성을 제외한 혁신성, 진취성은 마케팅 역량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소기업의 수출 마케팅 역량이 커질수록 수출성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출중소기업의 기업가 지향성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관계에 있어 마케팅 역량의 매개효과는 기업가 지향성의 하위 요소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기업가 지향성 중 진취성과 수출성과 간 정(+)의 관계에서 마케팅 역량의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반면, 혁신성과 수출성과 간 부(-)의 관계에서 마케팅 역량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위험 감수성과 수출성과 간의 관계에서 마케팅 역량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기업가 지향성의 3개 하위 변수인 혁신성, 위험 감수성, 진취성과 수출성과 간 정(+)의 관계에서 시장 변동성은 통계적으로 조절역할을 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기업가 지향성 중 위험 감수성과 수출성과 간의 관계에서 시장 변동성이 부(-)의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중소기업은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기업가 지향성을 강화하는 노력과 함께 마케팅 역량을 구축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아울러 시장 변동성이 위험 감수성과 수출성과 간의 관계에서 시장 변동성은 부(-)의 조절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중소기업은 시장 변동성이 큰 수출시장에서는 위험 감수성을 줄이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金炯郁,尹善姬 홍익대학교 경영연구소 2002 경영연구 Vol.27 No.-
많은 산업중에서 유통업만큼이나 빠른 변화를 보이는 산업도 없을 것이다. 국내 유통업은 유통시장이 전면 개방된 지난 96년 이전까지는 대형 백화점을 제외한 다른 유통업체는 규모가 영세해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처지가 아니었다. 그러나 유통시장 개방이후에는 외국의 다국적 업체들과 국내업체들이 할인점 시장에서 치열한 유통전쟁을 벌이고 있다. 이러한 유통전쟁이라고까지 불리우는 상황에서 국내의 각 회사들은 개별 기업 혼자만의 힘으로는 살아남을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이에 따라 비효율적인 경영에서 벗어나고 핵심역량을 강화해 남보다 뛰어 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대외적으로 상품공급 채널상의 파트너와 제조-판매(유통)간 제휴가 확산되고 있다. 제조업체들도 최근 들어 상당히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SCM전담 부서를 조직화하거나 선진 외국의 성공적인 사례를 접하기 위해 직접 벤치마킹을 하고 거래파트너와의 사업에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SCM도입에 적합한 도입방안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산업유형(제조업, 유통업)별로 SCM성공사례를 분석하였다. 제조업의 성공사례로 오뚜기, 유한킴벌리, 동서식품, 풀무원등과 유통업 성공사례로 한화유통, 롯데마그넷, 까르푸, 신세계이마트 등을 분석하였다. 공통적으로 기업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가치사슬상의 다른 기업들과의 협업의 필요성의 공감함으로 SCM의 도입과 추진이 가능하였다. 또한 시스템상으로는 추가비용의 부담에도 불구하고 표준물류바코드를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위의 성공사례는 각 기업이 SCM을 도입하고자 할 때 벤치마킹의 자료로 유용할 것이다. 또한 문헌연구를 통해 SCM 도입성공요인으로는 조직특성요인, 정보기술요인, 정보관리요인, 전략적제휴요인, 생산능력요인, 고객서비스요인 등 6가지 요인을 도출하였다. 성공요인은 갈수록 치열해지는 경쟁환경에서 기업이 경쟁우위를 달성하고 새로운 수익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전략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SCM 도입에 대한 실증연구의 기초자료로 유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