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thanol 및 Polylysine 첨가가 김치의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

        정진웅,박기재,정승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 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 2003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0 No.3

        김치 제조시 위생적 품질 개선을 위하여 ethanol과 천연항균물질인 polylysine의 복합 첨가를 검토하였다. Ethanol 농도를 0.3, 0.6 및 0.9%로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10℃에 저장하면서 3일 간격으로 총균수, 대장균군, 젖산균, 곰팡이 및 효모 등을 비교 측정한 결과, ethanol의 첨가는 대장균군과 젖산균의 생육 억제에 있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ethanol 농도 0.6% 첨가시부터 미생물 생육 억제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ethanol 0.6%를 첨가하여 담근 김치는 저장중 pH 저하 및 산도 상승에 대한 지연효과를 보여주었고, 저장중 관능특성의 변화에서도 신냄새, 이취, 신맛, 이미, 조직감 및 종합적 기호도의 모든 항목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Polylysine은 단일 사용시 보다는 0.6% ethanol과 복합 첨가했을 경우 미생물 생육 억제에 상승효과를 보였으나 관능 평가에서 이미 이취를 느낀 것으로 평가되어 0.6% ethanol 단일 첨가가 미생물 증식 억제 및 발효 지연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ddition of ethanol and/or polylysine to kimchi ws investigated to improve its microbial hygienic quality and to extend shelf-life. Ethanol was added to kimchi with several concentrations(0.3%, 0.6%, 0.9%) and stored at 10℃. Addition of 0.6% and 0.9% ethanol showed apparent inhibitory effect on growth of microorganism, but any distinct difference was not found between those concentrations. Addition of ethanol was more effective on growth inhibition of coliform and lactic acid bacteria than other. Addition of 0.6% and 0.9% ethanol retarded apparently pH decrease and acidity increase. Although addition of 0.6% ethanol in combination with 0.12% polylysine showed good retardation of pH decrease and acidity increase, overall organoleptic quality was not good because of off-flavor and taste. Also, addition of 0.6% ethanol showed good overall organoleptic quality.

      • 충주시 여중생의 흡연 실태 조사

        정진웅,이학수 충북대학교 연초연구소 2009 煙草硏究 Vol.22 No.-

        본 연구는 충주지역 여중생의 흡연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한 것이다. 설문 대상자 420명중 24.3%(102 명)가 흡연을 하고 있었고, 그 분포는 1학년보다 2, 3학년에서 많았다. 이들 흡연자의 31%는 초등학교 시절에, 37%는 중학교 2학년에 담배를 배운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의 동기는 '호기심'이고, 주로 인적이 드문 공터나 놀이터에서 피운다고 답했다. 흡연량은 하루에 10 개피 이하였지만, 1갑 이상을 피우는 학생도 13.7%나 되었다. 그리고 결손가정의 자녀, 성적이 나쁜 학생, 흡연을 하는 친구를 둔 학생들이 흡연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moking actual state of girls' middle school was investigated with 420 girls' students in Chungju city in korea by the questionnaire. The 102 girls of 420 girls middle school(24.3%) were inveterate smoker and the higher year students were smoked more than first year student. A 31% of 102 girl smokers replied that they smoked from the primary school. And then they began to smoke because of the curiosity to the smoking act of others, and they enjoyed a cigarette at a dark open place or a tranquil playing space mainly. They are smoking less than 10 cigarettes a day but 13.7% of 102 girls are enjoying more than cigarettes 20 everyday. And the students of imperfect household, the poor girl students, and students smoker friends are smoking more.

      • 결함 허용성과 부하 균등화를 위한 프로세스 스케쥴러 연구

        임종규,박영진,최길성,김한웅 안성산업대학교 1993 論文集 Vol.25 No.-

        A Process Scheduler is designed for load balancing under normal state and for load redistribution under failure in a fail-soft distributed system. The proposed load redistribution algorithm is that if any soft-fault occurs in the local nodes, all the processes in the queue of the failed processor and all incoming processes the failed processor are automatically rescheduled by a certain policy in which we determine to buffer them in the current node or to transfer them to another underloaded node considering criticality and service time of the fault. The proposed load balancing algorthm enhances Soh's model(ESM). Our algorithm eliminates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algorithm which has load tables in each processor. This model provided us with several advantages such as reliability, availability and fault-tolerance.

      • 후복막강내 발생한 Castleman병 1례

        남성진,이동욱,박찬규,정시욱,김추성,조성래,구본천,양사규,이일웅,박정자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醫大誌 Vol.38 No.2

        Castleman' s disease is a rare, reactive lymphoid proliferation of unknown cause and pathogenesis. Depending on histololgic findings, it has been divided into two distinct histologic subtypes that include hyaline-vascular type(90%) and plasmacell type(10%). This disease occurs most commonly in mediastinal lymph nodes and cervical lymph nodes, inguinal lymph nodes respectively. But occurs rarely in retroperitoneum. We report a case of hyaline-vascular type asymptomatic Castleman' s disease of the retroperitoneum in a 47-year-old man.

      • E-M을 이용한 개선된 혼합영상의 분리

        오범진,김성수,유정웅 충북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 연구소 2002 컴퓨터정보통신연구 Vol.10 No.2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독립성분해석기법 이노베이션을 이용한 혼합영상분리의 기법을 EM알고리즘을 첨가하여 새롭게 향상된 혼합영상분리 방법을 제안한다. 독립성분해석기법은 통계적으로 독립된 랜덤변수들의 선형조합으로 측정대상 랜덤신호를 표기하는 여러 통계신호처리 기법 중의 하나로, 정보의 분리, 특징 추출 등의 응용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기술적으로는, 독립성분기법은 주성분 분리기법의 확장이라 볼 수 있고, 근래에 혼합정보의 분리에 관련하여 많이 연구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로는 혼합영상의 분리에 있어 독립성분해석기법만으로는 혼합영상분리의 해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독립성분해석기법의 약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최근에 이노베이션 프로세서를 전처리로 하는 독립성분해석기법을 혼합한 시스템을 이용한 혼합영상 분리가 시도되었다. 이노베이션 프로세서를 전처리로 첨가한 혼합영상분리의 과정도 독립성분해석기법만을 사용한 경우 보다는 향상된 혼합영상분리를 하지만, 분류된 영상들이 원래의 혼합 전의 영상과 많이 다른 결과를 내고 있다. 기존의 방법들인 독립성분해석기법이나 이노베이션이 전처리로 적용된 경우에도 혼합이전의 영상간의 상관관계가 클 경우, 혼합영상의 분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EM이론을 기존의 시스템에 전처리로 첨가하여 혼합 영상의 분리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에서는 최근에 연구된 이노베이션의 방법보다 EM을 적용시킨 경우가 향상된 혼합영상의 분리의 결과를 보여 주고 있다. In this paper, a new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mixed image separation scheme is presented adding the expectation-maximization algorithm to the scheme consists of the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and the innovation process. In general, the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ICA) is one of the widely used statistical signal processing schemes, which represents the information from observations as a set of random variables in the form of linear combinations of another statistically independent component variables. In various useful applications, ICA provides a more meaningful representation of the data than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 data to be quasi-orthogonal to each other, which can be utilized in linear projection. However, it has been known that ICA does not establish good performance in source separation by itself. Thus,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ere have been many techniques that are designed to reinforce the good properties of ICA. The innovation process is one of the methods that were employed in image separation using ICA, which improves the mixed image separation. Unfortunately, the innovation process still needs to be studied since it yields inconsistent result due to the randomness of images mixing weights.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conventional method, the expectation and maximization process is added to the system.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paper show that the proposed improves the image separation as presented in experiments.

      • KCI등재
      • KCI등재

        단체급식소에서 이용되는 식재료의 전처리시 소독방법에 따른 품질 연구(Ⅰ)

        김혜영,고성희,정진웅,김지영,임양이 한국조리과학회 2004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microbial quality of some raw vegetables, and suggest a safer method for their sanitization and pre-preparation in foodservice operations. Baechu-geotjeori was monitored from the ingredient to the final product, during different holding temperature. Three sanitization methods were performed during the pre-preparation (tap water, chlorine water and electrolyzed water). The largest reduction in the microbial counts was shown with the electrolyzed water pre-preparation (after treatment; the total plate counts decreased to 3.34-4.06 Log CFU/g, coliform counts decreased to 1.40-1.45 CFU/g). Prior to immersion in the chlorine water, washing was first performed to see if the was a larger effective reduction in the microbial counts.

      • KCI등재후보

        재래종 콩 유전자원의 주요 형태적 특성과 변이

        윤문섭,백형진,이정란,김행훈,조양희,안종웅,김창영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3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5 No.4

        본 실험은 한국, 중국 및 일본 재래종 콩 유전자 자원의 주요형질 변이를 조사하고 이들 자원간의 지리적 유연관계를 비교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장은 한국(66㎝)이나 일본자원(54.9㎝)보다 중국자원(71㎝)에서 더 컸으며, 또한 변이도 중국자원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개화일수 및 생육일수는 한국자원(65.5일, 151.4일)이 가장 길었으며 중국(57일, 120일)과 일본자원(59.9일, 122.4일)은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한국과 중국자원은 지역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으나 일본자원에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3. 백립중은 한국(18.8g), 일본(17.2g) 및 중국(14.7g) 순으로 무거웠다. 특히 한국자원은 9~11g과 23~25g에서 정점을 나타냈고, 변이폭도 가장 컸다. 반면 일본과 중국자원은 13~17g사이에서 정점을 나타냈다. 4. 협수는 중국(46.9개)이나 일본자원(36.5개)보다 한국자원(75.5개)에서 가장 많았으며, 변이폭도 한국자원에서 가장 컸다. 내도복성은 일본자원에서 가장 강하였다. 5. 정준판별분석결과 can 1을 경계로 하여 오른쪽 상하에 한국재래종이 주로 분포하였고 왼쪽에는 중국과 일본 재래종이 주로 분포하여 각 나라별로 고유한 영역을 가지고 분리되었다. 전체적 경향이 중국과 일본자원이 한국자원보다 가까운 경향을 나타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characters of 944 Korean soybean landraces, 716 Chinese, and 170 Japanese soybean landraces introduced from USDA soybean germplasm collection. Cannonical discriminant and cluster analyses were conducted by their origins. The population from China was taller in plant height than those from Korea and Japan, also its variation was largest in Chinese population. The population from Korea was langer than those from China and Japan in terms of days to flowering and maturity. Also, Korean and Chinese accessions appeared the difference of those traits according to latitude. One hundred seeds weight was in the order of Korean(18.8g), Japanese(17.2g) and Chinese populations(14.7g), especially Korean population was distinguished into two groups; the group including accessions between 10 and 15g, and the other group including accessions between 20 and 25g. However, others showed the peak in range of 13~17g. The number of pod per plant was more in Korean accession(75.5) with the largest variation than Chinese(46.9) and Japanese accession(36.5). The distribution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accessions reflected the origin of accessions analyzed by can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geographical origins showed the population of China and Japan are losely related.

      • KCI등재후보

        치료 저항성 환청을 나타내는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측두두정부 반복 경두개자기자극의 효과

        정경희,최충식,박진수,이규항,함웅,이승환,채정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4 신경정신의학 Vol.43 No.5

        Objectives : It has been reported that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 which stimulate the focal region of brain may relieve auditory hallucination in patient with schizophrenia.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rTMS on left and right temporopahetal cortex in schizophrenic patients with treatment-resistant auditory hallucination. Methods : Twenty-six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with treatment -resistant auditory hallucination were randomly a1-located to rTMS group on left and right temporoparietal head regions. The rTMS was applied to TP3/4 region by EEG 10-20 international system at 1 Hz for 20 minutes per day for 101reatment days. A Figure of eight TMS coil with a solid core was used for rTMS at 100% of individual motor threshold. Efficacy was evaluated with Auditory Hallucination Rating Scale (HRS),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Scale (PANSS), Clinical Global Impression (CGI) Scale on 5 and 10 days of treatment. Results : Ten days administration of l-Hz rTMS to temporopahetal cortex significant improved frequency (p<0.001) and attentional salience (p=0.038) of auditory hallucination, Positive (p<0.001) and negative symptom (p=0.02), and CGI-impro-vement (p<0.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ight and left side stimulation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ow frequency rTMS on temporopahetal cortex may be useful in treating Schizo-phrenic patients with treatment-resistant auditory hallucination and it could be a useful novel treatment option.

      • KCI등재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시술 환자의 천자부위 지혈을 위한 Angioseal^(�) 사용과 고식적 용수 압박법의 비교 : 전향적 연구

        김용훈,권현철,김필호,안석진,유철웅,최진호,이상철,김준수,김덕경,전은석,이상훈,홍경표,박정의,서정돈 대한내과학회 2004 대한내과학회지 Vol.66 No.5

        목적 :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은 최근 양적 및 질적으로 급격한 발전을 보였지만 시술 시 천자부위의 혈관 합병증은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다. 저자들은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을 환자에게 천자부위 지혈을 위한 혈관폐쇄기구인 안지오실의 안전성과 유용성을 고식적인 용수 압박법과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2년 4월부터 2003년 5월 사이에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에서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한 200명의 환자(안지오실 사용군: A군, 100명, 고식적 용수압박법 사용군 B군, 100명)를 대상으로 시술 후 주요 합병증 및 경한 합병증, 지혈 후 환자가 자리에 앉기까지의 시간, 보행개시 가능시간, 총 재원 기간과 시술 1주 후의 합병증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결론 : 두 군에서 연령, 성별, 기저질환,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소, 시술의 종류, 시술 중 사용한 헤파린의 양, clopidogrel의 양, ticlopidine의 양, 지혈 시 수축기와 확장기혈압, ACT (activated clotting time)는 차이가 없었다. A군이 B군에 비해 시술 후 자리에 앉기까지의 시간 (A군: 4.3±0.3시간, B군: 13.7±0.8시간, p=0.004) 및 보행개시까지의 시간(A군: 6.8±0.5시간, B군: 18.8±2.1시간, p=0.013)이 유의하게 짧았다. 시술 후 주요 합병증은 두군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경한 합병증의 전체발생은 A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A군: 28명, B군: 19명, p=0.003). 반상출혈의 경우는 A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지만(A군: 3명, B군: 12명, p=0.01), 혈종, 출혈의 발생은 두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총 재원기간에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p=0.239). 시술 1주 후 경과관찰에서 주요합병증은 역시 두 군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경한 합병증의 전체발생은 두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A군: 15명, B군: 13명 p=0.418), 반상출혈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지만 혈종의 발생은 A군에서 더 낮았다(A군: 2명, B군:6명, p=0.004). 두 군 모두에서 출혈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안지오실의 사용은 고식적 용수 압박법에 비해 환자의 침상 안정시간을 줄여 조기 활동개시가 가능하게 하였으며 국소합병증의 위험도를 일부 낮추어, 시술에 따른 환자의 불편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 Although the number and the quality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have been recently increased dramatically, the vascular complication at puncture site is still the major cause of patients' morbidity. We evaluated the safety and efficacy of newly of newly-developed collagen-based arterial closure device, Angioseal after transfemoral percuatenous coronary intervention. Methods :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prospective single center non-randomized comparative study. A total 200 patients undergoing transfemoral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were enrolled between April 2002 and May 2003.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gioseal group (group A, n=100) and manual compression group (group B, n=100). The baseline clinical and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The time to sit up, the time to ambulation, the duration of hospital stay, major and minor vascular puncture site complications were monitored. The patients were followed-up for 1 week after procedure by telephone. Results : The baseline clinical characteriwtics, clinical diagnosis, cardiocascular risk factors, typesof procedure, doses and numbers of anticoagulants were similar between two groups. The blood pressure and activated clotting time were also similar. The time to sit up (group A: 4.3±0.3 hours, group B: 13.7±0.8 hours, p=0.004) and the time to ambulation (group A: 6.8±0.5 hours, group B: 18.8±2.1 hours, p=0.013) were shorter in group A. No major vascular complications were noted. The incidence of hematoma and bleedin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he incidence of ecchymosis, however,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A (group A:12%, group B: 3%, p=0.001) The duration of gospital stay was similar between groups. During 7 days of follow-up period incidence of hematoma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A (p=0.004). Although the incidence of ecchymosi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 The angioseal may be associated with earlier ambulation and less patients' morbidity with low incidence of local complication rate compared to manual compression after transfemoral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