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혈액 투석 환자에서 중심정맥 협착에 대한 스텐트 삽입술 : Wallstent Placement

        임대승,노상필,이유선,정승현,김보영,이정우,강정아,김정희,이민수,정준용,최시완,정진옥,성인환,이강욱,신영태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연구소 2002 충남의대잡지 Vol.29 No.1

        Stenosis of central vein is a common complication arising after percutaneous subclavian vein catheter insertion performed for temporary vascular access in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There are several treatment methods for the condition like percutaneous angioplasty(PTA), stent insertion, and surgery, but recent trend is toward PTA and stents. Among the patients diagnosed with chronic renal failure from March 1993 to May 2002 and undergoing hemodialysis through AV fistula, the 14 Patients in whom central vein stenosis arose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 total of 28 percutaneous interventions(5 PTA and 23 stent placement) were performed, and restenosis rate and the time taken till the restenosis in de novo lesions and instant lesions were compared. All 28 cases were operated successfully. The 14 cases that received both anigioplasty and stent placement initially. (de novo lesion : 14 cases), Among the 10 cases with de novo lesion that followed up more than 1 year, 3 cases are currently undergoing hemodialysis without restenosis, and the remaining 7 cases have recurred stenosis with the mean time to restenosis of 10.9 months. In the 7 cases in whom stenosis recurred, 11 interventions were done(instent lesion: 11 cases). 4 of these were using only ballon angioplasty with 100% restenosis rate and the mean time of 3 months until restenosis. The remaining 7 cases were using both balloon angioplasty and stent placement, also with 100% restenosis rate but with the mean time of 12 months until restenosis, which was later than the group receiving only balloon angioplasty. In treating the patients with central vein stenosis, stent placement seems to be more advantageous over PTA in terms of restenosis rate and the mean duration of patency. In the case of instent lesion, inserting the stent for the second time after stenosis recurred lengthened the duration of patency compared to performing balloon angioplasty alone.

      • 성찰적 문화교육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정현선 국어교육학회 2002 國語敎育學硏究 Vol.14 No.-

        본고는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따른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국어교육의 장에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의 문제를 고찰하고 있다. 인쇄 매체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국어교육이 전통적인 리터러시 교육을 넘어서, 변화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는 새로운 미디어 미터러시 교육이라는 보다 넒은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영역 속에서 그 위상과 사회적 역할을 재고해야 한다는 것이 주요 논지이다. 필자는 이를 능동적이고 성찰적인 ‘독자’를 길러내기 위한 미디어 교육, 미디어 텍스트의 ‘작가’로서의 의미생산자를 길러내기 위한 미디어교육 및 이를 위한 교사의 역할이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논의한다. 이러한 논의는 미디어 텍스트에 대한 (1) 누가 왜 소통하고 있는가 (2)어떤 종류의 텍스트인가 (3) 어떻게 생산된 텍스트인가 (4) 그 텍스트의 의미는 어떻게 알 수 있는가 (5)누가 텍스트의 의미를 받아들이는 가? (6)텍스트는 대상을 어떻게 재현하는 있는가와 같은 여섯 가지 측면을 고려하는 성찰적 문화교육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관점은 전토적인 인쇄 매체를 통해 생산되는 언어 텍스트에도 일관되게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issue of media literac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sidering the changes in the ways of communication in the society. The main argument of the article is that the subject of Korean needs to reconsider its curriculum in order to teach the students how to communicate through diverse media, and therefore to move beyond the traditional, print-based literacy towards media literacy. The aims of media education as 'reflexive cultural education' are then discussed as making students active and reflexive 'readers' and 'writers' of media texts. Following this the article explores the role of the teacher of media education as providing the students with relevant competences of media criticism and production. The article also argues that the perspectives of reflexive cultural education to teach the complex aspects of media texts. I.e.. agencies, categories, technologies, languages audiences and representation - needs to apply to the teaching of the traditional print-based texts including literary texts.

      • KCI등재

        어린이 대상 영상 창작 교육의 국어교육적 함의

        정현선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0 No.-

        본고는 초등학교 어린이들이 공동으로 창작한 영상물에 대한 소규모의 사례 연구를 시도함으로써, 창작 주체로서 어린이들이 영상 언어를 통해 생산하는 의미를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상 창작 교육이 언어교육과 문화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에 지니는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영상 창작 교육의 과정에 있어 교사는 어린이 작가들에게, 그들이 생성한 아이디어에 대해 질문을 하고 그들의 작품을 함께 해석하고 토론함으로써, 그들의 작품에 반영된 복잡하고 풍부한 생각과 관심들에 대해 대화할 수 있게 된다. 본고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어린이와 교사는 서로가 가진 사회적 담론을 경청하고 공유하게 됨으로써 서로에게서 배울 수 있게 되는 것이 대화적 문화를 만들어가는 영상 창작의 미덕이라 보았다. 어린이 대상 영상 창작 교육은 이처럼 매우 귀중한 대화를 촉발하는 복합 문식성 교육의 의미 있는 계기로서 국어교육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pedagogic implications of children's moving image production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based on a case study of making an animation text by primary school-aged children. The fact that children can make multimedia texts more freely than in school would not automatically guarantee that they become truly multiliterate, considering that multiliteracies mean a capacity to communicate through the ‘textual multiplicity,’ in terms of the multiplicity of cultural diversity as well as of modes of communication, ultimately in order to 'redesign the social futures'. This article argues that respecting the 'authorship' of children in media production does not necessarily means that the teacher cannot provide different perspectives which children might like to consider. In order to produce multimedia texts, children need to learn appropriate knowledge and skills such as multimodal communication, technical skills of operating the equipment, artistic conventions and social discourses. Children have the right and need to be provided with diverse discursive resources, which would affect the learners' internal dialogues, which would ultimately enrich their media production. In the process of asking questions and interpreting children's works, adults are bound to be engaged in a dialogue with the rich, complex ideas, concerns and voices of the children which are reflected in the media productions. As such, children and adults could learn from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listening and sharing, that is reciprocal scaffolding. Children's media production can be a significant instigation for such a precious dialogue.

      • 유아교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윤기영,정현숙,류칠선 서원대학교 교육연구소 2001 敎育發展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 teach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in order to reinforce student teacher's educational role for improving their student teaching. In this paper, the sample consisted of 20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who have experienced at least 3 years in students teaching program. The survey was administered using the Delphi method. The study explored the objectives, contents, administration and method, and evalu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We also attempt to outline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n student teach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As a conclusion, the program have to assist the able kindergarten teacher for understanding student teacher correctly, to consist and administrate a practicum program with systematic support.

      • KCI등재

        쐐기형 5급 와동과 근관와동을 복합레진으로 수복한 상악소구치에 대한 응력 분석 :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이선화,김현철,허복,김광훈,손권,박정길 大韓齒科保存學會 2008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3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쐐기형 5급 와동과 근관와동을 복합레진으로 수복한 상악 제2소구치에 대한 응력 분포를 3차원 유한요소법으로 분석하여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발치된 상악 제2소구치를 이용하여 Micro-CT로 스캔한 후 3D-D0C-TOR로 3차원 유한요소 모형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소구치 모형에 근관 와동을 형성하고 쐐기형 5급 와동과 글래스 아이오노머 기저재의 사용 여부를 구분하여 근관 와동을 혼합형 복합레진으로 충전하였다. 협측 교두 또는 설측 교두에 500 N의 하중을 가하고, ANSYS 8.0 프로그램으로 인장 응력의 분포를 분석하여 평가한 결과 베이스 사용유무에 따른 응력 분포의 차이는 없었다. 협측 교두에 하중이 가해질 때, 하중점과 교합면의 중심구, 구개측 백악법랑경계부에 과도한 인장 응력이 집중되었으며, 5급 와동이 없는 경우보다 5급 와동이 있는 경우에 약간 더 높았다. 설측 교두의 협측 경사면에 하중이 가해질 때, 하중점과 교합면의 중심구, 협측 치경부에 과도한 인장 응력이 집중되었으며, 5급 와동이 있는 경우가 5급 와동이 없는 경우보다 약간 더 낮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tensile stress of canal obturated maxillary second premolar with access cavity and notch-shaped class Ⅴ cavity restored with composite resin using a 3D finite element analysis. The tested groups were classified as 8 situations by only access cavity or access cavity with notch-shaped class Ⅴ cavity (S or N), loading condition (L1 or L2), and with or without glass ionomer cement base (R1 or R2). A static load of 500 N was applied at buccal and palatal cusps. Notch-shaped cavity and access cavity were filled microhybrid composite resin (Z100) with or without GIC base (Fuji Ⅱ LC). The tensile stresses presented in the buccal cervical area, palatal cervical area and occlusal surface were analyzed using ANSYS. Tensile stress distributions were similar regardless of base. When the load was applied on the buccal cusp, excessive high tensile stress was concentrated around the loading point and along the central groove of occlusal surface. The tensile stress values of the tooth with class Ⅴ cavity were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tooth without class Ⅴ cavity. When the load was applied the palatal cusp, excessive" high tensile stress was concentrated around the loading point and along the central groove of occlusal surface. The ten-sile stress values of the tooth without class Ⅴ cavity were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tooth with class Ⅴ cavity.

      • KCI등재후보

        매체언어 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애니메이션 서사 수용에 관한 연구

        남유미,정현선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7 교과교육학연구 Vol.11 No.1

        본 논문에서는 영상매체와 인터넷의 발달 등으로 대표되는 변화된 매체 환경이 학생들의 서사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수용 양상과 그 국어교육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오늘날 서사에 대한 경험은 기존의 국어교육이 중시해 왔던 책과 같은 인쇄매체를 통해서 뿐 아니라 영상 매체나 인터넷 매체 등을 통해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 있어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은 어린이들이 쉽고 재미있게 서사를 경험할 수 있는 매체 텍스트이며, 보다 의미 있는 서사 경험을 위해 교육적 안목과 계획이 필요로 되는 텍스트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애니메이션 중 <검정고무신>과 <아따맘마>를 선정하여 어린이들의 서사 수용 양상을 살펴보고 국어교육적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들은 이미 대중적인 미디어 텍스트에 익숙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물의 시각적 형상화 방식이나 서사의 흐름을 비롯한 영상 언어의 표현 방식에 대해서는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보다 정확하고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교사의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영상서사 이해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같은 대중매체 텍스트라 하더라도 어린이들의 발달 단계에 따라 인물에 대한 선호나 이해도에 차이가 있었고, 텍스트의 의미에 대한 이해나 주제에 대한 소화력에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어린이들에게 애니메이션을 통한 서사 교육을 실시하고자 할 때에는 어린이들의 인지적, 정서적 발달 단계 등을 고려하는 교육적 안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ways in which primary school children might understand the narratives of popular television animation programs. Television animations are media texts which are regarded as important resourc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particularly in the recently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Korean. Children can learn about the aspects of multimodality and narratives of the moving images by watching television animations. Drawing on the children's responses after watching popular television animations, <Black Rubber Shoes> and <Atashinchi>, this article finds out that children need to learn more systematically about the ways in which moving images construct narratives. This article also argues that children's abilities to understand the narrratives of animations are dependent on their mental,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which needs to be considered in terms of selecting animation texts for their learning.

      • G-CSF로 체내 증폭된 골수를 이용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이종욱,김정아,민창기,김희제,엄현석,박수정,서정곤,김동욱,홍영선,민우성,김춘추,김동집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8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3 No.2

        연구배경: 이식시 주입되는 골수세포수는 생착 속도 및 생존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나, 임상적으로 환자의 체중이 공여자에 비해 지나치게 많을 때 단위 체중당 환자에게 주입되는 세포의 양이 적어 문제가 될 수 있다. 방법: 저자들은 가톨릭 조혈모세포이식 센터에서 동종 골수이식을 시행한 환자들 중 환자의 체중이 공여자에 비해 10kg이상 많은 경우 골수 채취 전에 공여자에게 3일간 피하로 G-CSF(10ug/kg/day)를 투여하여 골수를 체내(in vivo) 증폭시킨 후 골수이식을 시행한 25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고식적인 방법으로 골수이식을 시행한 위험인자가 일치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이식된 세포수, 혈구의 회복속도 및 이식편대 숙주반응(GVHD)의 발생율, 그리고 생존율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단기간의 G-CSF 투여로 증폭된 골수의 총 유핵세포수, 단핵구수는 대조군에 비해 3-5배, CD34 + 세포수는 6배 증폭되었으며, 두 군간에 세포의 면역표현형(CD4, CD5, CD7, CD8, CD20)의 차이는 없었다. 중성 백혈구 수가 0.5×10^(9)/L 이상 회복되는 시기는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15.5일 vs 16일; p=0.131), 혈소판 수가 30×10^(9)/L 이상으로 회복되는 시기는 G-CSF 투여군에서 의의있게 단축되었다(20일 vs 26일; p=0.013). 두 군간 급성 및 만성 GVHD의 발생률과 정도의 차이는 없었으며, 이식 후 재발 및 생존율의 차이도 없었다. 결론: 이식전 공여자에게 단기간 G-CSF를 주사하여 생체내에서 골수 조혈모세포를 증폭시킨 후 이식하는 방법은 공여자와 환자의 심각한 체중 차이로 인해 단위체중당 이식되는 조혈모세포양이 부족한 환자들에게 안전하고 유용한 방법일 뿐만 아니라 GVHD의 증가 없이 빠른 혈구회복을 기대할 수 있는 이식기법이라고 생각한다. 향후 증폭된 골수 조혈모세포의 특성 연구 및 이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Background: Sufficient stem cell doses are necessary to overcome engraftment failure in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BMT). Cell doses harvested may depend on body weight (BW) difference between donor and recipient. In practice, it is important to achieve large number of stem cells from donor who were lower BW than that of recipient. Methods: We have tried to inject G-CSF(10ug/kg/day) subcutaneously for 3 days to the allogeneic donor with lower BW than recipient before harvest to increase BM inoculum. BM was infused into patients without any manipulation on day 5. A total 25 patients were enrolled; 12 AML, 6 ALL, 5 SAA and 2 CML(expansion group). We compared the expansion group with 25 historical control patients, matched for diagnosi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who underwent unprimed BMT. Results: Recipient BW is not different between the expansion and control group. However, allogeneic donors in the control group weigh heavier than those in the expansion group. The yield of TNC, MNC, and CD34^(+) cells from G-CSFprimed B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rom unprimed BM. There was no difference in immunophenotyping analysis(CD4, CD5, CD7, CD8, CD20) between two groups. The median time reaching to absolute neutrophil count more than 0.5×10^(9)/L was not different(15.5 vs 16 days: p=0.131), but time to platelet recovery more than 30×10^(9)/L was significantly shorter for the patients who received G-CSF-primed BM (20 vs 26 days: p=0.013).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acute and chronic GVHD, relapse rate and overall survival between the two groups with a median follow-up of 13 months.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the short-term administration of G-CSF to an allogeneic donor prior to BM harvest seems to be a feasible method to achieve an adequate number of cell doses for patients who weigh higher than donors. Randomized, prospective study is need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llogeneic BMT using in vivo expansion of BM by G-CSF.

      • SCOPUSKCI등재

        Effect of Drug Loading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tability of Cationic Lipid-based Plasmid DNA Complexes

        Jeong, Ui-Hyeon,Jung, Ji-Hye,Davaa, Enkhzaya,Park, Se-Jin,Myung, Chang-Seon,Park, Jeong-Sook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eutical Sciences and 2009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39 No.5

        Recently, co-delivery of drug and gene has been attempted for higher therapeutic effects of anticancer agents. In this study, cationic liposomes were prepared using 1,2-dioleoyl-3-trimethylammoniopropane (DOTAP) as a cationic lipi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rug loading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tionic liposomes/DNA complexes. The complex formation between cationic liposomes and negatively charged plasmid DNA was confirmed and the protection from DNase was observed. Particle size of complexes was reduced not by drug loading, but by the increased ratio of cationic lipid to plasmid DNA. Meanwhile, zeta potential of complex was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cationic liposomes to complexes and the effect of drug loading on the zeta potential was not much higher than on particle size. Gel retardation of complexes was indicated when the complexation weight ratios of cationic lipid to plasmid DNA were higher than 24:1 for drug free complexes and 20:1 for drug loaded ones, respectively. Agarose gel retardation showed the similar complexation between plasmid DNA and drug free liposomes or drug loaded liposomes. Both complexes protected plasmid DNA from DNase independent of complexation temperature. From the results, drug loading may affect not the complex formation of cationic liposomes and plasmid DNA, but the particle size of complex.

      • KCI등재

        일균일명 체계에 의한 국내 보고 Aspergillus, Penicillium, Talaromyce s 속의 종 목록 정리

        김현정 ( Hyeon-jeong Kim ),김정선 ( Jeong-seon Kim ),천규호 ( Kyu-ho Cheon ),김대호 ( Dae-ho Kim ),석순자 ( Soon-ja Seok ),홍승범 ( Seung-beom Hong ) 한국균학회 2016 韓國菌學會誌 Vol.44 No.4

        Aspergillus, Penicillium, and their teleomorphic genera have a worldwide distribution and large economic impacts on human life. The names of species in the genera that have been reported in Korea are listed in this study. Fourteen species of Aspergillus, 4 of Eurotium, 8 of Neosartorya, 47 of Penicillium, and 5 of Talaromyces were included in the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Ascomycota in 2015. Based on the taxonomic system of single name nomenclature on ICN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 Aspergillus and its teleomorphic genera such as Neosartorya, Eurotium, and Emericella were named as Aspergillus and Penicillium, and its teleomorphic genera such as Eupenicillium and Talaromyces were named as Penicillium (subgenera Aspergilloides, Furcatum, and Penicillium) and Talaromyces (subgenus Biverticillium) in this study. In total, 77 species were added and the revised list contains 55 spp. of Aspergillus, 82 of Penicillium, and 18 of Talaromyces.

      • KCI등재

        미디어를 보는 관점에 따른 유아 교육 분야 미디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정현선(Jeong, Hyeon-Se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최근 10여 년간 이루어진 유아 교육 분야의 미디어 관련 연구들이 미디어와 교육의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어떻게 분류될 수 있으며, 주로 어떤 미디어를 논의 대상으로 삼고 있고, 어떤 결론을 내리고 있는지, 그 시사점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 문헌 연구이다. 총 27편의 분석 대상논문들은 미디어 유형의 측면에서 주로 컴퓨터와 인터넷의 활용, 활동의 측면에서는 영상/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동화 보기와 전자책 만들기, 사진 찍어보기 등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를 유아가 놓인 환경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연구들은 인터넷 중독이나 게임 중독 등 유아 교육의 환경으로서 미디어 이용의 실태와 지도 방안에 대해 주로 연구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미디어를 표현과 소통의 매개체로 바라보는 관점의 연구들은 주로 사진 표현의 교육적 활용과 효과에 주목하거나, 미디어의 이해와 활용을 위한 교육 내용과 방법 개발 및 그 교육 효과 분석에 관심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미디어를 교육 내용 전달의 매개체로 보는 관점의 연구들은 언어 표현, 이야기 이해력, 사고력, 창의성 등에 있어 미디어 활용의 효과를 입증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This paper is aimed to provide an literature review of the research on medi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cusing on how the research papers might be divided in terms of the perspectiv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and education; what kinds of media might be discussed and what might be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In total, 27 research papers are reviewed and they have a tendency of focusing on the uses of computers, the internet and digital cameras, particularly as the sources of viewing visual/multimedia stories or as the tools of making books as well as taking pictures. The research that takes the view of the media as the environment of young children seems to focus on young children"s uses of and the addiction to the internet or computer games. The research that takes the view of the media as the medium for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seems to focus on the educational uses and effects of digital cameras for children"s expression;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 and methods for children"s understanding and using the media; and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educational programs. Lastly, the research that takes the view of the media as the medium for transmitting educational content seems to focus on the effects of using the media on children"s linguistic abilities, understanding stories,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