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사례를 통해 본 해외 한국 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선 방안 : Focus on the Case of Singapore Korean School

        김창원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8 No.-

        이 연구는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국어교육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해외 한국학교 국어교육의 지향과 현황을 알아보고. 해외 한국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를 위하여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자료, 평가 자료를 분석하고, 교장과 교사, 학생 및 학부모를 면담하였으며, 정규 초등학교와 토요학교의 국어 및 다른 교과 수업을 관찰하였다.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대사관과 한인회의 관련자와 면담하였으며, 싱가포르 일본인학교 및 호치민과 상해, 자카르타의 한국(국제)학교 자료도 참고하였다. 기초 조사 결과 싱가포르 한국학교는 국적 교육과 현지 적용 교육, 문서로서의 제7차 교육과정과 현지화 한 학교 교육과정, 한국학교 자체의 완결된 교육 시스템과 현지 학교 및 국제 학교와 연결된 교육시스템 사이의 긴장 관계속에서 국어교육을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긴장은 영어ㆍ중국어 중심의 생활 언어의 압박, 학교의 언어 환경과 학교 밖의 언어 환경의 차이, 중학교를 국내/현지 중 어디로 진학할 것인지에 대한 고려로 인해 더욱 첨예화 되고 있다. 그에 따라 국어교육의 방향이나 교수법에 대해서도 일반적인 국어교육 방법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방법에 이르기까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접급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해외 한국학교의 국어교육이 태생적으로 가지는 문제로서, 일거에 해결하기보다는 기초 여건을 개선하고 학부모의 인식을 제고하면서 조금씩 해결해나가야 하는 문제다. 이 연구에서는 그와 관련하여 해외 한국학교용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한국학교 지원센터 설치를 제안했거니와, 그에 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성과물들을 이끌어낼 때 의도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한국학교를 위하여 정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해설본을 만드는 일을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시한 바, 이러한 작업을 통해 좁게는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넓게는 재외 동포를 위한 국어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찾아갈 수 있을 것이다. I, in this article, intended to research the present condition and efficient method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t overdseas Korean schools through the case of 'Singapore Korean school(SKS)', In order to collect informations about the topic, I analyzed the curriculum, textbooks, and evaluation data of Korean language teaching of SKS and interviewed the principal and teacher, students and parents. I observed the classes of primary school and Saturday Korean school, too. And I tried compare the SKS's case to 'Singapore Japanese School' and Korean International School of Shang Hai, Ho Chimin City, and JaKarta. According to the collected informations, I know that Korean language teaching of SKS has some conflicts between Korean national education and localized education to Singapor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MOE and SKS's Singapore oriented school curriculum, and Singapore's educational system and Korean educational system that SKS based on. Moreover, the problem is getting worse by influences of English and Chinese used in Singapore, difference of language using enviroment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and confusion of the choice to secondary school. To solve these problems, it needs that reform the fundamental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changing of parents' consciousness about Korean language teaching. In this article, I suggested that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rogram for Overseas Korean Schools" and establishing the "Centre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Oversea Korean school". Especially, I emphasized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an "Adapted Korean Language Texbooks for Overseas Korean School."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의 KSL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의 사례 연구

        이준호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current status and necessity of KS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introduce examples of teacher education for those who teach Korean to KSL Korean learn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in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of ‘A University of Educati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the cas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related programs in the non-curricular course, and the cases of the KSL Korean education-related teacher training programs. As for the current status of KSL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concept, type, and operation cases of a ‘Korean class’, and mainly talks about the management method of Korean teachers. This is to inform the need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bility of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ho take charge of Korean classes. This paper introduces the educational cases discussed as part of the intention to contemplate the educational content required for teachers at a time when Korean language classe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KSL 교육의 현황과 필요성을 논하고 KSL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들을 위한 교사 교육의 사례를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A 교육대학교’의 학부와 대학원에서의 한국어교육 교육과정, 한국어교육강좌의 운영 현황 및 비교과과정에서의 한국어교육 관련 프로그램 운영 사례, 그리고KSL 한국어교육 관련 연수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집중적으로 다루도록 하겠다. KSL 한국어교육의 현황의 경우, 본고에서는 ‘한국어 학급’의 개념과 유형, 운영 사례에 대해 이야기하고, 이러한 ‘한국어 학급’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사의 운영방법에 대해 주로 이야기하였는데, 이는 학교에 파견되어 한국어교육을 담당하는 한국어 강사 외에도 현직 초중등고등학교의 교사가 한국어 학급을 맡아 학급을 운영하고한국어를 가르치게 되는 사례가 늘면서, 현직 교사의 한국어교육 능력 개발이 필요해지고 있음을 알리기 위함입니다. 본고는 한국어 학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현직 교사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은 무엇일까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하는 의도의일환으로 본고에 논한 교육 사례를 소개하게 되었다.

      • KCI등재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초등 국어 교육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

        서현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1 No.-

        이 연구는 국어과 교육과정에 ‘초등 국어 교육’의 정체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였다는 문제의식에 터하여 2015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듣기·말하기 영역의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대인 관계적 의사소통의 측면에서 초점을 두고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듣기·말하기 영역의 내용을 다음의 세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듣기·말하기 교육의 지향점은무엇인가? 둘째, 교육과정 상에 대인 관계적 의사소통의 특성을 반영한 듣기·말하기 교육의 기본 원리와 내용은 어떻게 구체화되고 있는가? 셋째, 초등학교 듣기·말하기 교수·학습의 특성을 반영하고 실천을 유도하는 교육과정인가?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의 듣기·말하기 영역 성취기준의 진술은 전통적으로 강조되어 온 화법의 담화 유형별 목적에근거한 ‘지식, 기능, 태도’에 초점을 두고 있어, 초등 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정서와 가치적 측면을 충분히 드러내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대인 관계적 의사소통과관련된 성취기준과 이를 구현한 교과서의 내용을 관련지어 살펴본 결과, ‘의사소통역량,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을 함양한다는 교육과정상의 원래 의도와는 달리발표 형식의 공식적 상황에서의 말하기 수행 활동으로 구성될 가능성이 높았다. 셋째, 초등학교 듣기·말하기 교육은 초등 학습자의 실제적인 대인 관계적 의사소통 경험에 기반하고, 이를 적극 활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어과 교육과정에 서 학습자의 ‘가정’ 혹은 ‘학교 밖’ 국어사용 경험에 대한 반영은 미약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the ‘speaking·listening’ domain of 2015 Korean language department curriculum focusing on the side of the identity of the Primary Korean Education. In term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e following are three of the perspective analysis of the ‘speaking·listening’ domain of 2015 Korean language department curriculum. First of all, what is the final purpose of teaching speaking and listening·elementary school? Secondly, How are the basic principles and contents, reflects Characteristic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n ‘speaking·listening’ domain of 2015 Korean language department curriculum, materialized? Third, is this the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leads student to perform.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does not present the primary language education’s fairs and value aspects. Secondly, contrary to the intent of the curriculum, knowing discourse type as a language norms is likely to be more than a learning experience to understand and choose the point of view, which reflects interpersonal communication’s properties. Third, there is no mention about the importance of language experience from Learner’s ‘home’ or ‘out of school’ on the ‘speaking·listening’ domain of 2015 Korean language department curriculum.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과 초등 문학교육에서의 ‘맥락

        염은열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7 No.-

        This study is intended to reflect of ‘context’ and ‘research on the context’in the Korean education. Activities in Korean language class are activities to understand texts in a variety of contexts or to produce appropriate texts for a variety of contexts,so context has been regarded as a pivot of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By the way, lately ‘context-centered approach’ has rosed up newly in the Korean education. We have explored the reasons by searching the context of rising of context. So We found out context-centered approach was a slogan which intended to change problematic circumstances(not taking into account the context) and improve students’ language ability. However, that couldn’t be a alternative approach, because of focusing on containing or not the contents related contexts in Korean national curriculum. We have suggested more theoretical researches are needed, for capturing aspects of language context that are involved in language activities. As a trial depending on this point of view, we suggested a concept called ‘repertory’ of literature will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and deep in children literature teaching and research for children. 이 연구는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뤄져온 맥락 및 맥락 논의에대한 성찰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초등 문학교육에 국한하여 ‘맥락’ 논의의 한 방향을 제안하려고 한다. 다양한 맥락 속에 놓여 있는 텍스트를 이해하고 다양한 맥락에 적절한 텍스트를생산하는 일이 곧 국어활동이고, 국어활동이 곧 국어교육의 내용이 된다. 따라서 맥락에대한 고려를 바탕으로 국어교육이 실시되어 왔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국어교육의 장에서 맥락이 중요한 개념으로 새삼 다시 떠올랐다. 이에 필자는 맥락이 새롭게부상한 맥락을 살피는 것으로 논의를 시작하였다. 그 결과 국어활동의 비실제성과분절성 등에 대한 비판이자 대안의 개념으로 ‘맥락’이 부각되었지만, 맥락 중심의 접근이그 대안이 되지 못했음을 밝혔다. ‘맥락’ 논의가 국어과 교육과정에 가르칠 내용으로맥락을 명시하는 문제에 집중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학습량의 증가만을 초래했다고 보았다. 또한 그간의 맥락 관련 논의가 문학 영역이 아닌 국어 활동 영역에 집중되어전개되었으며, 특히 초등 문학교육의 특수성을 고려한 논의가 매우 미흡했음을 보였다. 이에 필자는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출발하고 국어과 교육과정으로 수렴되는 맥락에 대한 논의에서 벗어나, 국어활동에 관여하는 맥락의 양상을 포착하기 위한 원론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그러한 결론에 따라 초등 문학교육에 국한하여 ‘자원’이라는 개념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함으로써 구체적인 연구의한 과제 혹은 한 방향을 보이고자 하였다. 당위적 주장이나 교육과정에의 도입을 주장하는 수준을 넘어서 이러한 이론적 연구가 활성화되고 그 성과가 축적됨으로써,교육과정 설계자나 실행자들이 맥락을 현실화하려 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안목과앎이 확충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21세기 사회와 초등국어교육의 방향

        황정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9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9 No.-

        본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사회에 맞는 초등국어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21세기는 지식의 유통기간이 인간의 수명보다 짧아지고, 지식의 범주가 정보처리 방식에 따라 새롭게 분류됨에 따라 지식간의 통섭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21세기는 어느 시대보다 창의적 사고를 요하게 된다. 이러한 21세기 환경의 변화에 따라 언어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져야한다. 언어는 일차적으로 인식 대상의 기호 체계로서 의사소통의 도구이기도 하지만 관념의 정보를 처리하는 사고 그 자체이기도 하다. 언어를 사고 그 자체로 본다면, 관념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모든 매체는 언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언어는 신체언어부터 문자언어에 이르기까지 폭 넓은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언어교육의 방향은 언어는 관념의 정보를 처리하는 사고라는 점과 그에 따른 다양한 언어의 스펙트럼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언어교육의 방향이 설정되어야 한다. 위와 같은 관점에서 설정한 초등국어교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1. 실제 중심의 국어교육 2. 통합 중심의 국어교육 3. 활동 중심의 국어교육 4. 창의적 사고 중심의 국어교육 이상과 같은 초등국어교육의 방향은 실제로 학습자들의 사고 활동을 자극하여 사고의 확장이나 창조적 언어 사용 능력에 기여하리라고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seek the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in 21st century. In 21st century, the period of circulation of knowledge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life. As more and more the category of knowledge is divid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newly, consilience of knowledge is constituted. Subsequently, 21st century need creative thought more than any century, According to this radical change of 21st century, the recognition of language must be converted. Language is not only a sign system of recognizable object but also thought which processes information of IDEA. Assuming that language is thought in itself, all media which expresses and understands IDEA are language. this point of view, Languages have wide spectrum that is from a kinesics to a written language. therefore the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will be targeted by this point of view. 1. Korean education in the centre of reality 2. Korean education in the centre of integration 3. Korean education in the centre of activity 4. Korean education in the centre of creative thought For this reason, the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will give impulse to work up learner's thought activity and to do much to creative language capability.

      • KCI등재

        국민학생의 독서 실태 연구

        최현섭,김선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99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8 No.-

        요약敎育大學 敎授學習의 改善硏究는 83년에 서울교육대학 주관으로 시작되었다. 84년부터 각 교육대학이 한 敎科씩 맡아 보다 전문적인 연구활동을 시작하였는데, 국어교육과는 서울교대 주관하에 「敎育大學 敎授學習方法의 改善硏究-國語敎育-」이란 題號로 4집(86년)까지 간행되었다. 5·6·7집은 「國語科敎育硏究」란 제호로 春川敎育大學에서 간행되었다.그러나 90년부터 연구비 지원이 敎育部에서 學術振興財團으로 이관되면서 연구비 지원이 끊기자 중단되는 위기를 맞게 되었다. 敎育大學 存立과 미래의 位相이 初等敎科敎育硏究에 있음을 뼈저리게 재인식하여 이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에 이르렀다. 이처럼 중대한 시기에 우리 大學이 간사대학으로서 국어교육연구 활동을 적극 추진하게 되었다.국어교육과 전교수님들이 1년에 한 차례 연구발표회와 협의회를 가지고 연구비 지원 없어도 스스로 연구지를 발간하기로 뜻을 모아 주시고 회비 전액을 납부하여 주시니 함이 솟지 않을 수 없었다. 92년 7월 8일 우리 大學에서 31명의 국어과교수님들이 참여하여 연구발표 및 협의회를 갖고, 한국초등국어교육을 선도해 나갈 수 있는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를 결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로써 초등국어교육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잇는 기틀이 확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敎大附國을 비롯하여 전국 국민학교에서 현장연구에 열정을 쏟고 있는 교사들이 참여하여 전국 각 支會를 결성함으로써 大學과 현장연구를 보다 긴밀하게 결합할 수 있는 길도 열리게 되었다.게재원고난으로 2년간의 진통 끝에 「한국초등국어교육」 8집을 내놓게 되니 기쁨 이루 말할 수 없다. 앞으로는 초등교사들의 알차고 우수한 현장연구로 학회지가 채워질 것을 생각하면 가슴이 벅차오른다.초등교과 교육의 중요성을 절실히 느끼시고 만날 때마다 격려와 지원을 쏟아 주신 본 대학 康文柱학장님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회비를 전액 납부해 주시고 서툰 저에게 격려와 협조를 해주신 국어교육과 모든 교수님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특히 더위에 편찮으시면서도 玉稿를 보내주신 최현섭교수님께 고마움을 드리지 않을 수 없다.

      • KCI등재

        인성교육을 위한 초등국어교육의 방향

        서현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3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hat’s the direc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ith the character education for children and youth. The everyday use of language of He or she is Expression of personality and, their character. As a result of the research on youth usage of languages, I proposed that is needed to study more systematic and detailed on learners use of language in the school and home lives of everyday and claimed that Elementary Language Arts itself must be meaningful to the learner and should be an important communication events. In the conclusion, I emphasis that Elementary Korean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is the thing make the learner realize that it’s a incessant negotiations the process of the interaction activities, an expression of his personality, a happiness from sharing their thoughts and opinions by considering the opponent and a helping Voluntarily immersed in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청소년의 인성함양에 기여하는 초등국어교육이 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현재의 초등국어교육 연구와 수업현상의 문제점을 고찰하고그 개선 방법을 논의하는 것이다. 우리의 일상적 국어사용은 인격의 적나라한 발로이며, 언어를 통하여 받아들여진세계는 곧 우리의 인성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초등국어교육은 아동·청소년의 인성교육을 위해 매우 중요한 교과임이 분명하며, 학교와 가정생활 속에서행하는 학습자들의 일상적 국어사용에 대하여 좀 더 관심을 가지고 체계적인 연구에 근거하여 실행되어야 한다. 또한, 초등국어수업은 그 자체로서 학습자에게 의미있고 중요한 의사소통 사건이 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학습자를 둘러싼 실제적인 국어사용의 장인 학교·가정·지역사회가 연계하여 협력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인성교육을 위한 초등국어교육의 의미와 중요성을 밝혔으며, 학습자의 인성함양과 관련지어 초등국어수업과 학습자의 국어사용 환경을 고찰하고, 가정과 사회가 협력하는 언어교육 프로그램의 해외 사례를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방안을모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국어수업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김병수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7 No.-

        국어교육은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다른 어느 분야보다 양적, 질적으로 학문적 성장을 가져왔다. 초등국어교육도 국어교육의 하위 분야로써 학문의 위상 확립을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아직 그 독자성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고 있고 대상 학생의 수준을 일컫는 정도의 상식적인 판단의 선에서 인식되어 있다.이는 연구자에게 초등국어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를 하게끔 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국어수업의 본질 탐색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국어수업을 통해 나타나는 여러 현상중 목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현상학적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의 한 전략으로써 실체와 본질을 파악하는데 쓰이는 연구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주된 자료는 2006~2008년에 걸쳐 연구자가 수집한 24시간의 수업 자료로 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국어수업에 나타난 초등국어교육의 목적을 크게 세 가지로 범주화 할 수 있었다. 첫째, 일상성이다. 초등국어수업은 일상 생활에서 국어적인 것, 즉 국어적인 삶의 의미가 가르쳐지고 있었다. 둘째, 기초성이다. 아이들은 초등국어수업을 통해서 의사소통의 기초를 배우고 기본적인 언어적 개념을 습득한다. 셋째, 개인성이다. 학습자중심교육을 바탕으로 아이들 개인의 특성과 자아실현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im of the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It has regard a point of view that it applies to an elementary student. This study is caused that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involved in an inherent range. The phenomenology explore the essence of an object. I made a collection of instruction 24 hours during 2006~2008. It based on the elementary Korean language instruction. The result with after words is same about the aim of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first is ‘Everyday life'. It was taught the meaning of life in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econd is 'the foundation'. Children acquired the foundation of communication andfoundational notions of language in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The third is 'individuality'. It was emphasized a charachteristic of a children and self.realization in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초등국어과 기초학력 교육 방향 탐색

        김도남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0 No.-

        초등학교 국어과 기초학력은 제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가 실시되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국어과 기초학력은 기본학력이나 심화학력 못지않게 중요함에도 교육에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성적부진학생 지도나 학습문제학생 교정 지도의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는 기초학력 개념의 부재와 가치에 대한 인식의 소홀에서 비롯된 문제이다. 이 글에서는 기초학력의 개념을 탐구하고 교육적 접근 방향을 탐구하였다. 먼저 기초학력의 개념을 ‘국어’와 ‘기초학력’의 의미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국어심성을 바탕으로 국어생활을 할 수 있는 국어문식력’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국어과 기초학력의 교육 목표를 ‘국어생활인’ 교육으로 제시하였다.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한 교육 내용과 방법을 생각하여 보았다. 국어과 기초학력 교육 향상 방향은 본질 규정, 내용 구조, 교육 원리로 구분하여 보았다. 첫째 국어과 기초학력의 본질은 국어심성과 국어정체성 및 국어문식력을 갖춘 국어생활인 교육이다. 둘째, 기초학력 교육 내용은 국어심성개발, 국어정체성확립, 국어문식력향상의 범주로 구분하였다. 셋째, 국어과 기초학력 교육 원리로는 미분성과 종합성, 구체성과 상황성, 직접성과 경험성을 제시하였다. 국어과 기초학력 교육은 바른 개념정의에 기반을 두고, 체계적인 계획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목표와 내용도 없이 비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큰 의미가 없다. The basic learning is very important to the korean-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t is a foundation of another learning. It is emphasized in the seven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national basic learning achievement test. But there is upon to question what is the basis learning. Because of there is no an agreement among the korean-language educator for the basic learning in the elementary korean-language education In this paper, I discuss the concept and the direction of the basic learning in the elementary korean-language education. I define the concept of basic learning as 'korean-language literacy for the life of korean based on korean-language humanity'. And I take the educational goal of the basic learning at that is to educate the person who have korean-language life. The direction of the basic learning in korean-language education are divided three fields. The first is to find the characteristic of the person who have korean-language life. The second is to select the contents of instruction; those are the mentality, the identity and the literacy. The third is to choose the principles of teaching: those are the unity-integration, the concrete-situation, and the direct-experience.

      • KCI등재

        국어 수업 설계의 원리와 방향

        양태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7 No.-

        이 글은 국어 수업 환경의 최근 변화 상황, 국어 수업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국어 수업 설계의 원리와 방향에 관해 모색해 본 것이다. 국어 수업 환경 가운데 국어 교육에서의 최근의 변화관은 쓰기 혹은 쓰기와 읽기의 관계에 대한 특별한 강조, 학교 교재 이외의 다른 시판 국어 학습서의 증대, 국어수업에서의 학생 선택권에 대한 남다른 인식, 국어과에서의 범교과적 통합에 대한 높은 관심, 국어과 평가에서의 발달적 평가관의 대두 등이다. 국어 수업 환경 가운데 국어 교육에서의 과제의 변화는, 문식 능력에 대한 견해, 학생 및 교사 수행에 대한 기대치, 이해 및 표현 활동에 관한 학생 성취에 대한 책무성, 학교 교실에서의 학생들의 구성 분포의 변화, 효과적인 언어 기능 교육 과정을 위한 노력 등이다. 국어 수업에 대한 기본적 이해 가운데 국어 수업의 핵심 가치는 다음 네 가지다:국어 교육의 궁극적 지향점; 국어 수업이 제공해야 할 경험의 성격; 국어 수업 시간에반드시 밟아야 할 과정; 국어 수업이 다른 교과와 달리 특히 강조해야 할 책무성.국어 수업에 대한 기본적 이해 가운데 국어 수업 과정에 대한 관점은 사회적 구성주의적 관점이 큰 흐름인데,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는, 과정으로서의 언어 기능 학습을 능동적이고 적극적 과정; 사회적이고 상호 작용적 과정; 인지적 과정; 정서적과정 등으로 설명하고 있다. 국어 수업 설계의 원리 가운데 국어과 교수−학습의 기본 원리로는 다음 일곱 가지를 들 수 있다:학습자 중심성의 원리; 통합성의 원리; 개별성의 원리; 실제성의원리; 과제 기반성의 원리; 활동 지향성의 원리; 상호 작용성의 원리. 국어 수업 설계의 원리 가운데 좋은 국어 수업 설계를 위한 기본 방향은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살필 수 있다. 첫째, 초등 국어 교육이란 관점에서의 국어 수업 설계의 방향; 둘째,초등학교 과정에서의 국어 학습의 과제란 관점에서의 방향; 셋째, 초등학교 단계에서의 국어 수업 과정에서의 절차라는 관점에서의 방향. This paper aims to research on the principles and directions of designing for effective Korean language classrooms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Principal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Recently, there are several changing views conce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greater emphasis on writing and its relationship to reading;greater use of trade books combined with the use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s; increased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student choice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s; increased attention the integration of the language arts with each other and across the curriculum;appearance of perspective on developmental assessment. (2) The task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in global, informational society have many changed comparing with 10 ~ 20 years ago:change of thinking about literacy in our society; expectation for performance of student and teacher have increased; responsibility about student performance in terms of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change of students' popul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trouble for effective language arts curriculum. (3) Core values of Korean language classrooms are as follows:ultimat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efficient promotion of Korean language abilities); nature of experiences that Korean language classrooms will serve(experiences related with acception and production of multiple media−text materials); obligatory courses of Korean language classrooms(process of constructing meaning similar with authentic language use out of classrooms);especially emphasized responsibilities of Korean language classrooms different from other learning subjects(learners' own responsibilities concerned with all communications). (4) The processes of Korean language classrooms according to building approach of certain perspective expose very different appearances. Having social constructivist perspective, learning language arts is as follows:learning language arts can be explained an active, a positive process; a social, interactive process; a cognitive process; an affective process. (5) Basic principl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as follows:learner−centred; integration; individuality; authenticity; task−based; activity−directed; interactivity. (6) Basic directions of designing effective Korean language classrooms can be discussed as follows:perspective about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perspective about basic task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perspective about special emphasis about processes of Korean language classrooms in elementary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