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본 학력으로서 초등학교 저학년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영역과 내용 구성을 위한 고찰

        정현선 ( Jeong Hyeon-seo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21 先淸語文 Vol.49 No.-

        As the speed of digital transformation is accelerating due to COVID-19, there is a social consensus that digital literacy and media literacy are not necessary for people who a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digital devices and media, but are basic academic skills and competencies that everyone living in modern society should have. has grown Therefore, it is now necessary to look at digital literacy and media literacy from the perspective of basic academic background and basic academic background, and to continue concrete discussions. Therefore, in this thesis, starting from a review of basic concepts, school education in Australia and Finland, where digital literacy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has developed relatively solidly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social policy, and is emerging as a model for other countries. The process was reviewed. Based on this, I would like to discuss to what extent digital media literacy should be addressed at the lower elementary level as basic and basic academic skills. In this paper, the elements related to digital media literacy reflected in the core competencies of these two countries, the achievement standards presented in the native language curriculum, and elements related to digital media literacy presented in other related subjects were analyzed and discussed. Based on this, in order to prevent the digital divide from leading to the educational disparity and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disparity, it was suggested to what extent digital media literacy should be dealt with in the lower grades, the initial stage of school education, in terms of basic academic ability. It is hoped that these discussions will help lay the foundation for revitalization of related discussions, such as the goals and contents of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at the higher school-age stage, connection between subjects, and teacher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핵심역량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정현선(Jeong Hyeon seon),김아미(Kim A mie),박유신(Park Yoo shin),전경란(Jeon Gyeong ran),이지선(Lee Ji sun),노자연(Noh Ja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이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을 명료히 규정하고, 국내 교육과정을 근거로교육 내용을 체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핵심 역량 중심의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을 핵심 역량과 관련하여 정의함으로써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교육과정적 근거를 마련하고, 기초 학습 요소·수행 목표 등을 포함한 교육 내용 체계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를 책임 있게 활용하고, 미디어가 생산하는 정보와 문화를 비판적으로 이해·성찰하며, 의미 있는 정보와 문화를 생산·공유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 요소 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국내외 문헌 검토를 통해 관계도 초안을 구안하였다. 그리고 초안에 대해 개별 인터뷰와 초점 그룹 인터뷰를 통해 교육과정·교과교육 전문가·현장교사의 자문을 받고 이를 기반으로 연구진의 숙의를 거쳐 숙의 내용에 대해 전문가와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핵심 역량, 기초 학습 요소 및 수행 목표의 관계도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이론적 체계화를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후속 연구를 촉진하는 한편 교육과정적 근거를 마련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수업 적용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clearly reconceptualize media literacy and classify media literacy content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Vari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UNESCO and OECD define media literacy as an essential 21st century competence to access, analyze, evaluate and create media in a variety of forms. This study justifies the implementation of media literacy in schools by interpreting media literacy in relation to communication and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 which are included in the key competences that are specifi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in the field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eachers, this study contrived media literacy strands and standards including performance objectives and basic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By theoretical systemizing media literac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mote the understandings of media literacy in schools and promote its implementations in the classrooms.

      • KCI등재

        지역 특화상품 패키지의 색채 이미지 연구

        정현선(Hyunsun jeong),윤미(Mi Yoon)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2

        천일염은 우리나라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불과 1%미만이지만 소금은 생명을 유지하는 필수요소로서 한국의 전통발효음식에 빠질 수 없는 장맛의 핵심이기도 하다. 2011년 정부는 식품산업 육성의 일조로 국내 천일염 생산의 85%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전남지역을 천일염 산업특구로 지정하여 천일염 세계 명품화 전략 사업을 실행하였다. 세계 소금시장에서 비교적 국토면적이 적은 우리나라 천일염의 생산량은 0.1% 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생산량을 늘려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것보다 고부가가치 명품화 전략으로 고급소금에 대한 수요가 있는 특정 수출 시장을 공략하는 편이 낫다. 이에 국내산 천일염의 우수한 미네랄 함유량, 기능성 같은 이점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마케팅이 필요함에 따라 정부는 전문 인력양성 사업은 물론 지역 이미지 강화 및 홍보 마케팅 사업, 천일염 상품화 사업을 위해 투자하고 있다. 질적 우수함에 비해 부실한 포장과 낮은 인지도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국산 천일염은 명품화 전략에 걸맞은 상품 이미지 메이킹 전략 또한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시장에 국산/수입 소금 브랜드들의 패키지를 조사하여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포장과 디자인, 색채 등의 시각적인 측면으로 접근하여 특정 식품이 가지고 있는 미각적 특성과 지역상품으로서 특성에 맞춰 이미지 강화와 시각적 차별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했다. 조사결과 세계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천일염 패키지에 bV색상과 white를 배색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그 생산지역 및 특성을 무시한 채 공통적으로 사용된 색채 표현으로 제품의 국적이나 개성을 구분하기 어려웠음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미각의 시각화를 위해 단순 감성이나 미적효과에 기이한 것이 아니라 객관적인 자료를 활용해 색채를 계획하고자 시도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겠다. Although the production of sun-dried salts only make up less than 1% of Korea’s industry, it is an essential substance for the continuation of human life and is also a key component of seasonings and sauces that are excluded from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 products. In 2011, as a part of its plan to develop the Korean food industry, the Korean government designated the Jeonnam area, which comprises of over 85% of the domestic sun-dried salts production, as a specialized industry district for the production of sun-dried salts and commenced its strategic plan to promote Korean sun-dried salts as a global brand name product. Where the land area is relatively smaller, Korea’s production of sun-dried salts only make up about 0.1% of the world’s total production of sun-dried salts, the plant to target a niche export market where there is demand for high quality salt as a high value product marketing strategy is more favorable than increasing its market share by increasing production levels. As a result, in light of the need for aggressive promotion and marketing activities regarding the benefits of Korean sun-dried salts such as its functionality and the high content level of minerals in Korean sun-dried salts, the Korean government invested in various projects such as the training of labor forces specializing in the sun-dried salts industry, building up the image of the local industry and engaging in promotion and marketing activities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locally produced sun-dried salts. This study reveals that most sun-dried salt products throughout the world uses an arrangement of bVcolor and white on their packaging. The study found that such color arrangement is commonly used in most products and disregards the production reg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which makes it difficult to differentiate between products by country of origin or their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not based upon the simple sensitivity or aesthetical effects, but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s to utilize colors for the visualization of taste by utilizing objective data.

      • KCI등재

        디지털 시대 글쓰기에 있어 ‘표현 도구’와 ‘매체특성’ 이해의 필요성

        정현선(Jeong, Hyeon-seon) 한국어문학회 2009 語文學 Vol.0 No.106

        This article deals with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 of using media within the context of literacy education, particularly in relation to the changing notion of ‘writing’ in the digital age. In the contemporary South Korean society, it is reported that more than 65% households own digital cameras and more than 40% of the Internet users own and run their own personal blogs. In this environment, the traditional notion of writing has been increasingly challenged, not only in that writing may involve many different forms of expression beyond a written form but also in that online writing may involve ‘publishing’ the result of writing rather than writing in itself. Considering there changes, this article discusses how literacy education might need to approach to using digital equipments, such as digital cameras, as tools for multimodal expression and to using media, such as a class yearbook, as channels for communication or ‘publishing’ texts. The discussion includes some of the data produced in the research of children’s use of photographs for writing and production of a class yearbook as their own media.

      • KCI등재후보

        노인 만성질환자의 불안, 우울,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정현선 ( Hyun Seon Jeong ),김옥수 ( Ok Soo Kim )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Health & Nursing Vol.25 No.2

        노인 만성질환자의 불안 정도가 대체로 높지 않은 반면 대상자의 34.4%가 경증 이상의 우울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 만성질환자의 건강행위 정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나 Lee 등(2013)의 연구에서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행위 정도가 높게 나타난 것과 같이 질병의 만성화 추이에 따라 노인의 건강행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사료된다. 불안은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질병 이환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신체 기능 저하 또는 심리적 상실이 증가하며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환 기간이 짧은 65세∼74세 대상자에서 불안 정도가 낮았던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약물치료에 비용부담을 느끼는 경우와 일상생활에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경우 불안 정도가 높았는데 이는 노화로 인한 수입원의 상실 및 수입 축소가 노인에게 불안을 발생시키는(Yang & Ju, 2011)것과 같은 의미로 지출 비용의 증가가 불안 정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일상생활에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일상생활 및 운동 능력에 문제가 있는 골관절염 노인의 불안이 높다고 보고한 Yang 과 An (2011)의 연구와 일치한다. 또한 배우자 및 자녀와 함께 사는 대상자가 다른 대상자에 비해 우울 정도가 낮았으며 이는 Lee(2010)의 연구 결과에서와 같이 배우자와 자녀라는 가족 지지체계가 다른 집단에 비해 우울 정도를 낮출 수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월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우울 정도가 낮았는데 이는 경제 수준이 낮을수록 우울 정도가 높다고 보고한 Choi (2003)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일상생활에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경우 우울 점수가 높았고 이는 관절염 환자에게서 신체적 기능장애가 있는 경우에서 우울 정도가 높다고 보고한 Ko (2009)의 연구와도 일치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학력이 낮고 가족지지 체계가 부족한 경우, 그리고 일상생활에 도움을 필요로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우울 정도가 심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노인 만성질환자를 위한 간호 중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건강행위에서는 비정규직 대상자가 건강행위 정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과거 직업에 종사했던 군이 가사일만 했던 군에 비해 건강행위가 높았던 Choi (2003)의 연구결과나 소득 수준에 따라 건강행태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Eum 와 Lee (2013)의 연구 결과와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하부 영역에서는 고등학교를 졸업한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사회영역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월 가구 소득이 낮은 집단에서 영적영역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이는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다고 보고한 Choi 등(2011)의 연구와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밖에 약물치료에 대해 비용 부담을 느끼는 경우, 일상생활에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경우 등에서 건강행위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신체영역에서는 수입원의 상실에 추가적인 의료비 지출 발생이 노인으로 하여금 소극적인 건강 태도를 갖게하고 독립적인 활동의 어려운 경우 적절하게 몸을 움직이고 운동을 하는 등의 활동이 불가능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불안과 우울 정도는 노인 만성질환자의 건강행위에 중요한 관계변인임이 확인되었으며 임상에서 노인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불안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에 대해 사정하고 취약 집단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함으로써 만성질환자의 건강행위를 증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xiety,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Method Method: 198 old adults with chrno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arthritis voluntarily participated the interview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anxiety, depression, health behavior. : Result Result: 37.4% of the participants was mild depression. The level of anxiety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the economic burden of medication, the assistance needed for daily activities,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level of depression had a difference in age, education, existence of spouses, living arrangement, monthly income, the economic burden of medication, the assistance needed for daily activities,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level of health behavior had a difference in occupation, the economic burden of medication, the assistance needed for daily activities,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nxiety.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were significant. : Conclusio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repor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in the level of anxiety,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for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 KCI등재후보

        ‘언어ㆍ문화ㆍ소통 기술’의 관점에서 본 미디어 리터러시의 고찰

        정현선(Jeong Hyeon-se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6 한국학연구 Vol.25 No.-

        본고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새롭게 요청되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해, ‘언어, 문화, 소통 기술’의 측면에서 논의한다. 이 때 언어란 기존의 문자 언어를 넘어선 다양한 기호, 즉 이미지와 소리 등을 포괄하는 ‘복합 양식(multimodal)’ 특성을 지닌 미디어의 언어를 뜻하는 것으로, 본고에서는 언어에 대한 이러한 시각이 기존의 문자 언어 중심 언어관에 변화를 요청함에 주목한다. 또한 본고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가 언어 주체가 수용하고 향유하며 생산하는 다양한 문화에 미디어가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대한 이해 또한 필요로 함을 논의한다. 이와 관련하여 미디어 텍스트의 의미는 텍스트 자체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수용자들이 놓인 구체적인 사회적 맥락과 관계 속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미디어 문화는 도덕적이거나 정치적인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수용해야 할 대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보와 지식, 심미적 의미 차원에서 향유의 대상으로도 이해된다. 또한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미디어 문화의 수용과 향유뿐 아니라 생산 역시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한 문제로 떠올랐음에 주목한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사회적 소통에 있어서는 소통 기술에 대한 인문학적 이해와 성찰이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음을 강조한다. 이는 일반인들이 미디어 텍스트의 생산과 유통에 참여할 수 있게 된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새롭게 주목해야 하는 것으로, 언어 능력 및 문화 능력과 더불어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한 축을 이루는 것으로 강조 된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in terms of the capabilities of operating languages, understanding and creating cultures, and reflecting the impact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Languages' in media literacy are multimodal and include other kinds of signifying modes such as moving images. As such, media literacy challenges the traditional notion of literacy which is print media-based and focused on verbal and written languages. Secondly, the emphases of media literacy lie not only on critical analysis but also on appreciation and enjoyment of media cultures, considering that the cultural meanings of media exist not only in the texts themselves but also in the social contexts of audiences. Creation of media cultures is also emphasized in digital media literacy. Lastly, reflection on the impact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is also considered as an important aspect of digital media literacy, particularly in the age of the Internet which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mass communication and whose users are increasingly able to participate as producers and circulators of messages as well as audiences.

      • KCI등재

        인터넷 언어 문화 교육 내용으로서 디지털 서사의 개념,특성,유형에 관한 연구

        정현선 ( Hyeon Seon Jeong ) 국어교육학회 2007 國語敎育學硏究 Vol.30 No.-

        본고는 인터넷에서 이루어지는 소통 현상 가운데 문학이나 예술 혹은 대중문화의 소통과 관련된 심미적 성격의 텍스트들이 지닌 특성을 매체언어 교육의 내용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인터넷에서 찾아볼 수 있는 심미 텍스트들은 전통적인 문학의 장르 영역과 관련해 볼 때, 서정 영역보다는 주로 서사 영역에서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이를 ``디지털 서사``라는 범주를 설정하여 그 개념, 특성, 유형을 살펴보았다. 인터넷 소설과 팬픽은 인터넷 이용자들 간의 상호 교류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매체의 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게시판을 통해 주된 작가와 독자층인 청소년들 간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웹툰 역시 전문적인 훈련을 받지 않은 일반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일상을 다룬 일기 형식의 이야기를 만화의 시각적 표현과 더불어 독자들과 나누는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에 대한 교육은 이야기를 생산하는 청소년들의 서사에 대한 욕구를 중심에 놓는 등 대중문화 교육의 맥락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하이퍼텍스트 서사는 인터넷이라는 상호작용적 매체의 특성을 살려 독자에게 이야기의 여러 지점에서 의미 있는 선택을 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결말을 체험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문학적 실험이라는 맥락에서 교육될 필요가 있다. 또한 게임 서사는 디지털 서사 가운데 가장 오락적 특성이 강한 유형으로, 현재로서는 문학성을 찾기가 어려우므로 과도한 기대나 평가절하보다는 당대 문화에 대한 감식안을 갖도록 교육하는데 중점을 둘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discusses "aesthetic texts" on the Internet as the content for media language education. Most aesthetics texts found on the Internet are narratives. They are termed as "digital narratives" and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text types are explored in this article. Internet novels and "Fanfics" are identified as a type of "exchange between Internet users" and are mostly romance novels. The writers and readers are teenagers and share their desire for romance and the concerns of young people through these novels. "Webtoons" are also identified as a type of "exchange between Internet users" and are produced by amateur writers. Most webtoons adopt the form of an essay or diary and present the daily lives of young people in their 20s. Internet novels, fanfics, and webtoons belong to popular culture, and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for students to reflect their own taste for popular stories and their desire for reading such texts. "Hypertext narratives" provide readers with various "linkages" that they can choose to follow. The readers should be able to experience meaningful choices that could lead them to various kinds of ends. A hypertext narrative is a narrative experiment and should be taught for students to understand why literature experiments might be done in such a manner. Game narratives belong to the area of entertainment. They need to be taught for students to have their own perspective of contemporary culture.

      • KCI등재

        SNS의 언어 현상과 소통 공간에 관한 국어교육적 고찰

        정현선 ( Hyeon Seon Jeong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3 국어교육 Vol.0 No.142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SNS in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including sociolinguistics, textlinguistics, communication studies, sociology and educational engineering, in order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n the Korean education in terms of how to deal with new media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at are changing constantly· A social networking service is a web-based platform to build social networks or social relations among people who share interests, activities, backgrounds, or real-life connections· A social network service consists of a representation of each user, his/her social links, and a variety of additional services· Finding of the previous research on SNS tends to emphasize that it is a writing space which has features of both speaking and writing as well as ones of private and public communication· While there are many strengths of SNS, the negative aspects of SNS such as privacy invasion and ‘digital fatigue’ seem to raise the concerns with social media literacy in that readers and writers of SNS would ne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NS and to participate in their own use of SNS as reflective and responsible users· Based on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this paper argues that there is a need for a new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writing that focus on the attitudes and skills of writers who can participate in the real world communication such as SNS with considerations on their problems to solve and in interactions with their readers·

      • KCI등재

        국내 대중음악 기획사 색채이미지 연구

        정현선(Hyunsun Jeong),윤현이(Hyunyi Yoon)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2

        우리나라의 대중음악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음반기획사에도 많은 변화가 이루어졌다. 1980년대의 레이블시대에는 가수가 되는 역할이 가수 스스로에게 주어졌다면, 1990년대 이후 기획사 시대로 들어서면서 기획사가 모든 것을 맡아서 관리하는 방법으로 연예제작 방식이 바뀌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가진 음반기획사가 생겨났고, 그 중 3대 대형기획사인 SM, JYP, YG엔터테이먼트는 10년 이상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시스템과 마케팅을 통해 많은 스타들을 배출하고 있다. 그 중 아이돌 그룹의 활약이 단연 돋보이고 있는데, K-POP의 한류열풍이 거세지면서 우리나라의 아이돌 그룹들은 새로운 신 한류를 이끌며 세계에서도 인정받는 스타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3대 대형기획사에서 나타나고 있는 색채이미지를 알아보기 위해 기획사의 색채와 소속 아이돌 가수들의 앨범 컨셉에서 보여 지는 색채이미지를 추출한 후 그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각 기획사마다 특성이 다른 만큼, 보여 지는 색 또한 다르게 나타나고, 소속가수들도 그들의 특성과 개성에 어울리는 색채이미지가 나타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획사가 보여주고 있는 색채이미지와 소속 아이돌 그룹의 색채이미지를 연관시킬 수 있었는데, 특히 SM과 YG엔터테이먼트에서 기획사의 색채이미지와 소속 아이돌 그룹의 색채이미지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기획사와 소속가수의 색채이미지가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음반 기획사들이 자신들의 컬러아이덴티티를 확립하고, 그 특징을 살려 각 기획사만의 차별화된 전략과 스타일을 대중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As our local popular music industry is growing, there has been much change of music production agencies as well. In the times of label era in 1980’s, the role to become a singer was given to the singers themselves, but after 1990’s, methods of music production have changed in entertainment production times and now, everything is managed by production agencies. Accordingly, music production agencies which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were born and 3 big production agencies of SM, JYP and YG Entertainment have been producing lots of stars through their systematic systems and marketings which were based on more than 10 years of know-hows. Among them, idol groups definitely stand out and our idol groups are leading New Korean Wave and they become global stars who are achieving global recognitions, as K-POP Korean Wave is getting stronger in the world. In order to identify the color images of three big production agencies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relationships of colors after extracting the colors of those agencies and color images which are shown in the concepts of idol group albums. As study results showed different colors because all production agencies have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we could find that affiliated singers also have different color images that match their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ies. In addition, we could associate the color images of production agencies with those of idol groups and we found that color images especially of SM and YG Entertainment and those of their affiliated idol groups are almost identical, which means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 color images between production agencies and affiliated singers. Considering the study results, our album production agencies have to find the ways to show their own differentiated strategies and styles to the public by establishing their color identity and developing their uniqueness.

      • KCI등재

        ‘읽고 만들고 공유하다’ ― 어린이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 개발 연구

        정현선 ( Jeong Hyeonseon ) 국어교육학회 2021 國語敎育學硏究 Vol.56 No.4

        이 연구는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교육대학교의 도서관에서 지역 사회 연계 어린이 도서관 사업으로 실행한 ‘읽고 만들고 공유하다’라는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 어린이 독서 활동 프로그램의 연구 개발 및 적용 사례를 논의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설계 기반 연구 방법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책을 추천하고, 책을 읽는 방법을 안내하며, 어린이들이 음성 또는 그림과 단어로 표현한 책에 대한 생각과 느낌, 책 읽기를 권유하는 질문을 나누는 독서 활동을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어린이들 사이의 디지털 격차를 극복하기 위한 ‘디지털 포용(digital inclusion)’의 관점을 바탕으로 디지털 기술 활용의 수준을 달리 적용한 선택 활동으로서 ‘책 읽고 팟캐스트하자!’와 ‘책 읽고 북스타하자!’를 개발해 적용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개발에는 교육대학의 교수, 초등학교의 도서관 사서교사, 예비교사인 학부생들이 함께 참여했고, 총4개의 초등학교의 도서관 3곳과 특수학급 1곳의 초등학생 60명이 참여해 팟캣스트 41편, 북스타그램 57편을 만들어 공유했다. 이 프로그램의 사례는 어린이들의 독서 활동 지원에 있어, 멀티리터러시의 관점을 바탕으로 전통적/비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리터러시가 서로의 자원이 될 수 있도록 연계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 사례는 학습자의 학습, 발달, 사회적 기회를 위해 구체적인 맥락 속에서 사회적 관계와 네트워크를 만들어가는 ‘연결된 학습(Connected Learning)’의 중요성과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동시에 이 프로그램은 어린이의 독서 활동 및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에 있어 학습자와의 일대일 혹은 소규모 상호작용을 통한 섬세한 코칭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This research discusses “Read, Create and Share,” a digital literacy-based children’s reading activity program developed as a community-engaged children’s library program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eveloped by a design-based research method, the program recommends books to children and encourages them to share their opinions and feelings about books by creating podcasts, drawing pictures, and writing simple texts. For this purpose, two programs were developed by a team comprising a professor, a school librarian, and three undergraduate students who are pre-service teachers. Sixty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hree school libraries and a special education class participated and shared 41 podcasts and 57 “Bookstragram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it is important to link traditional/non-digital literacy with digital literacy as multiliteracy to support children’s reading activities. The research also conveyed the importance of “connected learning,” which aids in creating social relationships and networks in specific contexts for learners’ learning, development, and social opportunities. Simultaneously, this program demonstrated the need for detailed coaching through one-on-one or small-scale interactions with learners in children’s reading and digital literacy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