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협동미술프로그램이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또래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A Study on the Effect of a Cooperative Art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er Problem-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867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using a cooperative art program has any significant effect on enhancing the peer problem-solving abilities, prosocial behaviors, and emotional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s. The program was carried out during 17 sessions involving 97 children in four 2ndgrade classes in N elementary School in S City. The tools utilized were the WALLY Problem Solving Test(1997), the Prosocial Behavior Questionnaire(PBQ, 1981), Moon(1996b)’s emotional intelligence rating scale for elementary lower grades. and Kim(1998)’s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rating scale for teachers” rating scale. The effect of the cooperative art program was analyzed by the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ildren demonstrated enhanced problem-solving abilities at a level between the mutual thinking reflective of one’s own desires and common-goal oriented thinking. This demonstrates that the program is suitable for approaching hypothetical peer problem situations from a PBL point of view, before an actual peer problem occurs in the elementary school setting. To conclude, the program is useful for enhancing peer problem-solving abilities as it can develop the prosocial behaviors and the emotional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s lower grades.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asis needed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for current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using a cooperative art program has any significant effect on enhancing the peer problem-solving abilities, prosocial behaviors, and emotional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s. The program was car...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using a cooperative art program has any significant effect on enhancing the peer problem-solving abilities, prosocial behaviors, and emotional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s. The program was carried out during 17 sessions involving 97 children in four 2ndgrade classes in N elementary School in S City. The tools utilized were the WALLY Problem Solving Test(1997), the Prosocial Behavior Questionnaire(PBQ, 1981), Moon(1996b)’s emotional intelligence rating scale for elementary lower grades. and Kim(1998)’s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rating scale for teachers” rating scale. The effect of the cooperative art program was analyzed by the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ildren demonstrated enhanced problem-solving abilities at a level between the mutual thinking reflective of one’s own desires and common-goal oriented thinking. This demonstrates that the program is suitable for approaching hypothetical peer problem situations from a PBL point of view, before an actual peer problem occurs in the elementary school setting. To conclude, the program is useful for enhancing peer problem-solving abilities as it can develop the prosocial behaviors and the emotional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s lower grades.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asis needed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for current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지애, "협동학습에 기초한 미술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 송미선, "협동적 문제해결활동이 유아의개인적 지능에 미치는 효과 및 양상"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16

      3 김가연, "협동미술활동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4 박순자,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적응행동 기술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 정수금,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6 이숙현, "협동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대인문제 해결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淑明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7 정광미, "협동 미술활동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 : '함께 학습하기' 모형을 중심으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 유행관, "협동 미술수업활동이 아동의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10 (10): 37-49, 2011

      9 이은혜, "학급단위 사회적 문제해결기술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문제해결기술, 또래관계,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10 김성희, "학급단위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기술, 또래관계,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 임지애, "협동학습에 기초한 미술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 송미선, "협동적 문제해결활동이 유아의개인적 지능에 미치는 효과 및 양상"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16

      3 김가연, "협동미술활동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4 박순자,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적응행동 기술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 정수금,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6 이숙현, "협동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대인문제 해결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淑明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7 정광미, "협동 미술활동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 : '함께 학습하기' 모형을 중심으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 유행관, "협동 미술수업활동이 아동의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10 (10): 37-49, 2011

      9 이은혜, "학급단위 사회적 문제해결기술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문제해결기술, 또래관계,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10 김성희, "학급단위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기술, 또래관계,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1 심혜숙,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사회적 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력과의 관계" 13 (13): 163-175, 2001

      12 박미연, "초등학생의 또래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13 남선아, "초등학교 ‘관심군’ 아동의 정서발달을 위한 미술활동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4 이혜영, "초등 사회과에서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실행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5 김도희,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0 (10): 213-239, 2014

      16 Flavell, J. H., "인지발달" 시그마프레스 2003

      17 김선주, "유아의 정서기능과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8 이윤옥, "유아의 사회적 능력 향상을 위한또래문제해결 프로그램 모형 구안"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6 (6): 3-91, 2002

      19 김보영, "유아의 사회·정서 능력 향상을 위한 협동적 입체미술활동의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20 김세리, "유아의 사건표상이 또래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발달학회 20 (20): 1-22, 2013

      21 엄정원, "유아의 마음 이론 및 대인간 문제해결 전략과 또래 수용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22 신미라, "유아들의 화내는 원인 및 화내는 유형 연구 : 유치원자유놀이 시간을 중심으로"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1994

      23 유민임, "유아 개인변인 및 어머니 양육태도와 대인문제 해결력과의 인과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6

      24 김신희, "애착유형에 따른 또래문제해결력의 차이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5 한유진, "아동의 정서조절 동기 및 정서조절 능력과 행동문제" 대한가정학회 42 (42): 65-77, 2004

      26 권연희, "아동의 정서성과 대인간 문제 해결 전략 및 어머니 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27 권연희,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성, 대인간 문제 해결 전략 및 어머니 행동" 한국아동학회 24 (24): 27-44, 2003

      28 임지현, "아동의 또래관계와 사회적 기술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제주대학교 대학원 2009

      29 박진재, "아동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사회적 기술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30 홍상황,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2 (12): 69-86, 2013

      31 김윤경, "아동과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과 행동 특성발달" 14 (14): 65-82, 2001

      32 안혜숙, "소집단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3 이수민, "산책을 통한 자연친화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34 김은정, "비인기 유아에 대한 모래상자놀이의 적용사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35 김은희, "미술활동 프로그램이초등학교 저학년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영향" 8 : 229-248, 2009

      36 박민아, "미술협동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7 이현경, "미술협동작업이 유아의 역할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38 양새롬, "미술요소 중심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성, 언어능력,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1 (31): 207-235, 2013

      39 김영옥, "미술공동작업에 있어서 유아의협동에 관한 질적연구" 21 (21): 397-426, 2001

      40 羅熙柱, "미술 공동작업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41 조연순,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6

      42 임미혜, "만 5세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정서지능에 따른 또래 간 인기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3 임은주, "만 3세 또래관계 형성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 분석 : 2000년~2009년 :유아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4 박화윤, "만 3, 4, 5세 유아의 연령별 사회적 능력과 정서 조절 전략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351-369, 2006

      45 유희숙, "또래집단 미술치료를 활용한 학급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6 문경여, "또래관계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동화 선정 및 프로그램 효과"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2 (12): 117-136, 2008

      47 장문경, "또래갈등에 관한 스토리텔링이 유아의 또래문제해결력과 언어표현력 및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48 김송이, "또래 지위와 친구 관계에 따른 아동의 또래 갈등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49 정은재, "동화를 활용한 협동미술활동이 사회적 능력 및 대인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50 변미진, "동화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이 포함된 일반학급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도, 정서능력,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1 박시은, "놀이활용 자기표현훈련이 위축된지적장애학생과 통합학급 또래들의 정서적능력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52 김수연, "놀이프로그램의 통합 및 놀이수정 교수 여부가 일반 아동과 장애아동의 정서적 능력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53 김윤자,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또래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54 송순옥,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표현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57-78, 2013

      55 지숙영, "그림책을 통한 협동 미술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6 최미경, "교육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미술과 평가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57 김영옥, "교사의 탐구적 발문이유아의 대인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18 (18): 299-310, 1997

      58 김경회,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59 鄭潤珠, "兒童의 認知樣式과 對人問題解決力 : 5세, 7세 및 9세 아동을 대상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60 Webster-Stratton, C., "Wally Game: A problem-solving test"

      61 Webster-Stratton, C., "Treating children with early-onset conduct problems : A comparison of child and parent training interventions" 65 (65): 93-109, 1997

      62 Selman, R. L., "The growth of interpersonal understanding: Development and clinical analyses" Academic Press 1980

      63 Yeates, K. O.,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negotiation strategies in thought and action : A social-cognitive link to behavioral adjustment and social status" 37 (37): 369-405, 1991

      64 Selman, R. L.,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 The role of understanding in conduct" 1 (1): 401-422, 1981

      65 Fabes, R. A., "Socialization of children’s vicarious emotional responding and prosocial behavior : Relations with mothers’ perceptions of children’s emotional reactivity" 30 (30): 44-55, 1994

      66 Spivack, G., "Social adjustment of young children: A cognitive approach to solving real life problems" Jossey-Bass 1974

      67 Miller, P. A., "Relations of moral reasoning and various emotion to young children’s prososial behavior toward peers and adults" 32 (32): 210-219, 1996

      68 Barrows, H., "Problem-based learning in secondary schools" Problem Based Learning Institute, Lanphier School, and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Medical School 1993

      69 문용린, "Perter Salovey 교수 초청강연; 새로운 지능의 개념, 감성지능" 삼성생명 사회정신건강연구소 59-89, 1996

      70 Mayer, J. D., "Perceiving affective content in ambiguous visual stimuli: A compon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54 (54): 772-781, 1990

      71 강인애, "PBL의 이론과 실제" 문음사 2012

      72 Selman, R. L., "Observing troubled children's interpersonal negotiation strategies : Implications of and for a development model" 55 (55): 288-304, 1984

      73 Hartup, W. W., "Heterogeneity among peerrejected boys : subtypes and stabilities" 63 (63): 893-905, 1992

      74 Ladd, G. W., "Handbook of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Macmillian 54-76, 1993

      75 Koster, J. B., "Growing artist: Teaching the art to young children" Delmar 2009

      76 Weir, K., "Furthe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rosocial behavior questionnaire for use by teachers" 22 (22): 357-374, 1981

      77 Weissberg, R. P., "Evaluation of social-problem-solving training program for suburban and inner-city third-grade children" 49 (49): 251-261, 1981

      78 Johnson, D. W., "Effect of peer mediation train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10 (10): 89-99, 1992

      79 Mayesky, M., "Creativ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Delmar 1998

      80 Johnson, D. W., "Coopera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ASCD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8 1.88 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5 2.02 2.36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