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위전절제술 후 추적 내시경의 유용성 Follow-up endoscopy after total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황남철 ( Hwang Nam Cheol ),박형석 ( Park Hyeong Seog ),이준행 ( Lee Jun Haeng ),이풍렬 ( Lee Pung Lyeol ),김재준 ( Kim Jae Jun ),이종철 ( Lee Jong Cheol ),손태성 ( Son Tae Seong ),김성 ( Kim Seong ) 대한소화기학회 2003 대한소화기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03 No.-

        <배경/목적> 위암의 근치적 위전절제술 후 재발은 국소 재발보다 복막 또는 원격 전이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전절제술 후에도 잔위가 있는 위아전절제술 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추적검사로써 내시경을 시행되는 경우가 많으나 그 임상적 유용성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아 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1년 5월까지 본원에서 위전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는 1,349명이었으며 고식적 위전절제술을 받은 환자 165명,

      • KCI등재후보

        정상범위의 간기능검사치를 갖는 만성 B 형간염 보유자에서 간조직검사와 혈청 4 형 콜라겐치의 비교

        송명준(Myung Jun Song),김경곤(Kyoung Gon Kim),신요식(Yo Sig Shin),황남철(Nam Cheol Hwang),박상준(Sang Joon Park),김윤권(Yun Kwon Kim),김소연(So Yon Kim),김영중(Young Jung Kim),조민구(Min Koo Cho),이권전(Gwon Jun Lee)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3 No.1

        목적 : 정상범위의 간기능검사치를 갖는 만성 B형간염 보유자에서 조직학적인 판단을 할 때 경피적인 간생검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간생검은 침습적이며 검체 채취상의 오차 및 환자의 거부감에 따른 반복시행의 어려움이 있다. 최근 간 섬유화의 정도와 혈청 Ⅳ형 콜라겐치의 연관성이 있음이 알려짐에 따라 저자들은 간생검의 결과와 혈청 Ⅳ형 콜라겐치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조직소견을 예측하고 감별함에 있어 임상적으로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임상적인 증상이 없는 정상범위의 간기능검사치를 갖는 만성 B형간염 보유자 31명의 전투경찰을 대상으로 간생검을 시행하여 병리조직학적 소견에 따라 3개의 군으로 분류하였고 각각은 병리학회에서 제안한 기준에 의거하였다. 간생검 당일 아침에 혈액을 채취한 후 Ⅳ형 콜라겐치 (정상치:5 ng/mL 이하)를 측정하여 조직소견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31예의 대상환자 중 조직소견이 정상인 A군 13명 (41.9%), 섬유화는 없으면서 조직학적 이상이 있는 B군 11명 (35.5%), 섬유화가 있는 C군 7명 (22.6%)이었다. 혈청 Ⅳ형 콜라겐치는 A군에서 3.53±0.57 ng/mL, B군에서 3.56±1.17 ng/mL, C군에서 3.99±0.88 ng/mL이었고, 각 군간에 수치의 상승이 있었으나 유의하게 높지는 않았다 (p>0.05). 조직학적 이상이 보인 경우는 18명 (Group B and C)으로 평균 collagen수치는 3.73±1.06 ng/mL이었고, 섬유화가 없는 경우는 24명 (Group A and B)으로 평균 collagen수치는 3.55±0.88 ng/mL이었고, 각각 A군과 C군과 비교하여 유의성이 없었다 (p>0.05). 결론: 정상범위의 간기능검사치를 갖는 만성 B형간염 보유자의 경우 조직학적 변화를 알고자 할 때 조직학적인 변화에 따라 Ⅳ형 콜라겐치의 상승은 있으나 유의성이 없어 조직소견을 대변할 수는 없으며 간생검이 가장 유용한 검사라고 생각된다. Background: We compared the results of liver biopsy and the levels of serum type Ⅳ collagen of the hepatitis B carriers with normal liver function test (LFT)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serum type Ⅳ collagen in predicting the progression of histopathological findings. Methods: Thirty one chronic hepatitis B carriers with normal LFT and no significant clinical symptoms, who were Korean combat police,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histologic results of the liver biopsies. The classification followed the standard proposed by Korean Society of Pathology. Blood samplings for serum type Ⅳcollagen (reference : less than 5 ng/mL) were done in the morning of the same day of the liver biopsy. Results: Of thirty one patients, thirteen patients showed normal histologic findings (41.9%, Group A), eleven patients revealed histologic abnormalities without fibrosis (35.5%, Group B) and seven patients were with fibrosis on liver biopsy (22.6%, Group C). Serum type Ⅳ collagen levels of Group A, B and C were 3.53±0.57 ng/mL, 3.56±1.17 ng/mL and 3.97±0.88 ng/mL, respectively. The average of serum type Ⅳ collagen levels of Group C was higher than of Group B and the average of Group B higher than that of Group A without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The averages of serum type Ⅳ collagen of eighteen patients with histologic abnormalities (Group B and C) and twenty four patients without fibrosis (Group A and B) were 3.73±1.06 ng/mL and 3.55±0.88 ng/mL respectively. Upon comparison of these averages with the those of Group A and C,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established (p>0.05). Conclusion: In chronic hepatitis B carriers with normal LFT findings, levels of serum type Ⅳ collagen were elevated along with histologic severities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fore can not represent the changing degree of the histologic findings. Liver biopsy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accurate tool to assess the histologic status of the liver.(Korean J Med 63:29-35, 2002)

      • KCI등재후보

        수술로 절제된 간의 국소 결절성 증식의 임상적 특징

        황남철,최문석,이준혁,고광철,백승운,유병철,이종철,이광웅,조재원,박철근 대한간학회 2004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0 No.2

        목적: 간의 국소 결정성 과형성은 일반적으로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는 양성 종양이다. 그러나 드물지만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와 진단이 불확실한 경우에는 수술을 시행하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간절제술을 시행한 국소 결절성 과형성의 임상적, 영상학적 특징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5년부터 2003년까지 수술을 시행하여 조직을 확인한 국소 결절성 과형성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연령, 성별, 실험실 검사 및 영상 소견과 조직 소견을 분석하였다. 결과: 연령의 중앙값은 37.5세, 남녀 비는 1.5:1이었다. 5예에서는 간세포선종이나 간세포암종을 감별할 수 없어서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우연히 진단된 예는 4예이었다. 간세포암종의 위험 인자를 가지고 있었던 예는 4예(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 3예, 간경변 2예)이었다. CT검사가 시행되었던 6예 중 5예는 동맥기에서 조영 증강을 보였고 문맥기 및 지연기로 감에 따라 주변과 동일(4예)한 또는 감소(2예)되는 양상을 보여 간세포암종과의 감별이 어려웠다. 크기는 3.2±2.2㎝이었으며 위치는 간우엽의 후하구역(S6)에 가장 많았다(30.0%). 4예에서 수술 전 침생검을 시행하였으나 고분화 간세포암종이나 간세포선종과의 감별이 어려웠다. 결론: 임상상, 영상검사 및 간침생검으로도 간세포암종이나 간세포선종과의 감별이 어려운 경우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전에는 발견하지 못하였지만 다른 질환으로 인한 수술시 우연히 발견된 경우도 있어 국소 결절성 과형성의 수술 전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적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Aims: Focal nodular hyperplasia (FNH) is a benign hepatic tumor with few serious complications and no malignant transformation. However,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FNH and other liver tumors, especially hepatocellular carcinoma, is often difficult. Methods: Clinical features of surgically resected FNH were reviewed. From January, 1995 to February, 2003, 10 patients with surgically resected FNH were enrolled. Their age, sex, results of laboratory examination, imaging studies and pathologic findings were evaluated. Results: Median age was 37.5 years and sex ratio (male:female) was 1.5:1. In 5 cases, resection to exclude hepatic adenoma or HCC was performed. Four cases were diagnosed incidentally after surgery. Four patients had risk factors for HCC, such as hepatitis B virus infection, liver cirrhosis or both. The size of FNH was 3.2 2.2 cm. The most common site of the tumor was segment 6 (30.0%). Differential diagnosis with HCC was difficult in 5 of six cases in whom CT was performed. Although needle biopsies were performed preoperatively in 4 cases,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FNH from hepatic adenoma or HCC. Conclusions: FNH was resected due to uncertainty of diagnosis, or incidentally during hepatectomy in patients with other liver disease. In the former, differential diagnosis with hepatic adenoma or HCC was a major problem despite extensive work-up including dynamic CT or biopsy. (Korean J Hepatol 2004;10:135-141)

      • KCI등재후보

        부동액 섭취 후 급성 신부전 및 후기 신경병증이 발생한 1 예

        장원규,김영중,송명준,윤수진,박병익,김윤권,조민구,김소연,이권전,황남철,백운희,임수진 대한내과학회 2001 대한내과학회지 Vol.61 No.1

        Antifreeze contains ethylene glycol up to ninty five percent. Ethylene glycol is colorless, odorless, sweet-tasting and water-soluble compound and has been widely used as a chemical solvent. Ethylene glycol has been reported as a common cause of incidental poisoning all over the world because of its easy access. However, in Korea, it is not easy to find statistical references on incidences of ethylene glycol intoxication, except two reported cases. Ethylene glycol itself is not toxic substance. But, many other daughter metabolites are very toxic and lethal. Acid metabolites among them can cause metabolic acidosis. Oxalate, end-product of ethylene glycol, is quickly transformed to calrium oxalate crystals, which precipitate in body tissues such as brain, kidney, heart, liver, and pancreas. We report a case of acute renal failure and neuropathy due to ethylene glycol intoxication along with a review of toxic effects of ethylene glycol. (Korean J Med 61:64-70, 20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