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민 인식의 녹색 전환을 위한 환경 리터러시 진단 및 강화 방안

        염정윤,김남수,행운, 한국환경연구원 2021 기본연구보고서 Vol.2021 No.-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환경 정책이 성공적으로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책 이해와 필요성에 대한 범국민적 공감대가 필수 □ 한국환경연구원에서 발간한 ‘2020 국민환경의식조사’에 따르면, 환경문제가 중요하기는 하지만 자신이 직접적 피해를 받는 주체라고 체감하지 못함 ㅇ 주로 실천하는 친환경 행동 중 자발적인 실천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ㅇ 친환경 행동 실천을 위해서는 환경에 대한 고려가 내재화되고 습관화되어야 함 □ 사람들의 인식에 영향을 주기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은 교육 ㅇ 우리나라 환경교육은 환경교육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을 중심으로 구성됨 ㅇ 지금 당장 환경문제에 영향을 미치고 실질적으로 환경적 실천을 해야 하는 성인의 대다수는 성인이 된 이후에 충분한 교육 기회를 접하지 못한 환경교육의 소외계층 □ 환경교육 목표로서의 환경 리터러시 ㅇ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교육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지표가 부재함 ㅇ 환경교육의 목표를 환경 리터러시의 증대로 설정하고 이를 측정할 지표 개발이 필요 2. 연구의 범위 □ 환경 리터러시 개념 정리 및 성인 대상의 측정 도구 개발 □ 일반 시민의 환경 리터러시 수준 측정 □ 환경 리터러시의 예측 요인과 결과 요인 확인 □ 군집 분석을 통한 시민 유형 파악 Ⅱ. 성인 환경교육과 환경 리터러시 1. 성인교육 □ OECD 2005년 프로젝트 보고서인 ‘The Role of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s in Promoting Lifelong Learning’에서는 교육 형식을 형식(formal), 비형식(non-formal), 무형식(informal) 교육으로 구분 ㅇ 형식 교육은 교육기관이나 훈련기관, 직장 내의 교육 등으로 학위나 자격증 등의 형태로 사회적인 인증을 받을 수 있는 학습 ㅇ 비형식 교육은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이지만 공식적 평가나 인증이 없는 학습으로 주로 평생교육원이나 사설 교육기관, 문화센터 등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ㅇ 무형식 교육은 가사활동, 여가활동, 직업활동 등 일상적인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학습 □ 2020년 기준 국내에서는 42.1%에 달하는 성인 평생학습 참여율 중 비형식 교육에 참여한 경우가 41.3%로, 전체 교육 참여의 약 98%가 비형식 교육으로 이루어짐 2. 환경 리터러시 □ 북미환경교육협회(NAAEE)는 환경 소양을 설명하고 측정하기 위한 틀(framework for assessing environmental literacy)을 제안 ㅇ 환경 쟁점에 대한 개념적 이해, 문제 해결과 비판적 사고 기능, 환경과 자연에 대한 견해, 개인적/사회적 영역에서 친환경 행동으로 구성 ㅇ 핵심은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이며, 역량과 영향을 주고받는 요소로 지식과 태도가 연결됨 □ 김찬국 외(2019)는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중요한 목적이 환경 소양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라고 전제하고, 환경 소양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고자 시도함 ㅇ NAAEE의 틀을 재구성하여, 크게 환경 지식, 환경 정서, 환경 실천으로 요소들을 범주화하고, 각 영역을 개인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을 나누어 강조 Ⅲ. 성인을 위한 환경 리터러시 1. 인식 조사 □ 환경교육의 수요자인 일반 시민의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을 확인해 보기 위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ㅇ 조사기관 엠브레인퍼블릭을 통해 2021년 5월 31일부터 6월 5일까지 6일간 실시 ㅇ 환경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교육 수요를 확인하는 일반 설문조사와 연령대별 환경교육 주제와 필요한 환경 리터러시의 중요도를 확인하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조사 진행 □ 일반 성인들은 교육 주제 차원에서는 생활환경, 환경 리터러시 차원에서는 환경 실천의 중요성을 높게 판단 □ 상호작용 실천은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중요성을 가장 낮게 평가 ㅇ 현실적으로 형식보다는 비형식이나 무형식 교육 방식을 활용해야 하는 성인들에게는 상호작용 실천이 중요한 교육 전략으로 활용되어야 함 2. 성인을 위한 환경 리터러시 측정 도구 개발 □ 국내외 학술 데이터베이스, 구글 스콜라 등에서 ‘환경 리터러시’, ‘환경 소양’, ‘environment literacy’ 등의 검색 키워드를 활용하여 검색한 결과 환경 리터러시 측정 도구를 포함한 연구 및 설문조사 22건을 추출 ㅇ 측정 문항이 보고되지 않거나 동료 검증을 거치지 않은 학위 논문, 주관기관이 불분명한 설문조사 등을 제외한 13건의 연구를 기초 자료로 활용 □ 13건의 연구에 제시된 환경 리터러시 측정 문항 459개 내용 분석 ㅇ 인지 수준을 확인하는 문항(41.2%)이 가장 많고, 실천(33.7%), 정서(25.1%) 순 ㅇ 연구의 개념에 맞게 문항들을 분류하고 연구진 회의를 거쳐 초안 구성 □ 외부 자문위원 검토와 100명 규모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초안 수정 ㅇ 환경 지식 영역의 경우 정답률이 95%를 초과하거나 30%에 미달하는 경우 해당 문항 삭제 ㅇ 환경 정서와 환경 실천 영역의 경우 문항 간 신뢰도 분석을 진행하여 크론바흐 알파값이 0.7 이하인 문항 삭제 ㅇ 환경 지식 33문항, 환경 정서 22문항, 환경 실천 32문항으로 최종 설문지 확정 Ⅳ. 환경 리터러시 진단 및 강화 방안 1. 조사 개요 □ 전문 조사기관 엠브레인퍼블릭을 통해 2021년 9월 10일(금)~9월 16일(목)까지 전국 20~60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진행 ㅇ 표본 추출은 성별, 연령별, 지역별 할당 표본 추출 방식 사용 2. 설문의 구성 □ 성인용 환경 리터러시 측정 도구는 지식, 정서, 실천 영역을 포함하며, 현재 우리나라 성인의 전반적인 환경 능력을 진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설문은 ① 개인 특성 ② 환경 리터러시 ③ 환경 정책 의견 등 세 부분으로 구성 ㅇ 개인 특성에는 성별, 연령, 학력, 소득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정보 습득 경로, 문화적 세계관, 환경 행동 동기, 주관적 지식 등 행동·심리적 특성을 포함 3. 연구 결과 □ 환경 리터러시 수준을 기준으로 군집 분석을 시행 ㅇ 본 연구에서는 K-평균 군집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다섯 개 군집으로 설정 □ 군집은 행동 중심 군집(action-oriented cluster), 잠재 군집(latent cluster), 회의주의 군집(skeptical cluster), 무관심 군집(bystander cluster), 녹색 시민 군집(green citizen cluster)으로 구분 ㅇ 행동 중심 군집은 지식 리터러시는 낮지만, 정서와 실천 리터러시는 높은 유형(전체 응답자 중 8.8%) - 정서 리터러시 중에서도 환경 효능감이 높게 나타나는데, 자신의 노력으로 환경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는 믿음이 실천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해 볼 수 있음 - 지식 리터러시는 낮지만, 자신의 환경 지식수준에 대한 평가인 주관적 지식은 높게 나타나 본인들의 능력에 대해 자신감과 신념을 지니고 있음 - 평균 연령이 51.3세로 높고 저학력 비중이 가장 높음(고졸 이하 31.8%) ㅇ 잠재 군집은 모든 리터러시 영역이 중간 수준인 유형(전체 응답자 중 23.3%) - 친환경적 또는 반환경적 가치관이 확립되지 않은 부동층(浮動層) - 일정 수준 이상의 환경 리터러시를 가지고 있지만 지속적인 실천은 나타나지 않음 - 실천 리터러시가 중간 이상이어서 상황이나 분야에 따라 타 군집(예를 들어, 회의주의 군집이나 무관심 군집)에 비해 친환경적 행동이 높게 나타날 수 있음 - 여성의 비율(60.5%)이 남성의 비율(39.5%)보다 높고, 평균 연령은 47.10세 - 주부와 단순 노무직 종사자의 비중이 타 군집에 비해 높음 ㅇ 회의주의 군집은 지식 리터러시는 높지만, 정서 리터러시는 중간, 실천 리터러시는 낮은 유형(전체 응답자 중 26.9%) - 지식 리터러시 수준은 높지만, 정서 리터러시의 영역 중 환경 효능감이 낮게 나타남 ㆍ환경 효능감은 환경문제의 해결책을 파악하여 실천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믿음과 이러한 실천이 실제 환경문제 개선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믿음 - 고학력층 비중이 가장 높고(대졸 이상 75.8%) 고소득층 비중도 높은 편(가구소득 500만 원 이상 45.7%) - 직업적 특성으로는 학생이나 전문기술직의 비중이 높음 - 토의나 토론, 강의 형식의 환경교육 방법을 선호하며 미디어(보도/비보도 모두 포함)를 통한 환경 정보 이용 비중이 다른 군집에 비해 높게 나타남 ㅇ 무관심 군집은 모든 리터러시 영역이 낮은 유형(전체 응답자 중 14.4%) - 환경 인식이 낮을 뿐 아니라 때로는 환경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내는 집단 - 자연을 예측 불가능한 대상으로 보고, 행위 결과는 우연이라고 보는 운명주의가 강함 ㆍ따라서 개인이나 집단의 노력으로 위험을 막을 수 없다고 생각 - 남성의 비율(68.8%)이 여성의 비율(31.3%)보다 높고 평균 연령이 가장 낮음 - 다른 군집에 비해 저소득 비중(가구소득 200만 원 이하 32.6%)이 높고, 미혼(50.0%) 또는 자녀가 없는 응답자(51.4%)의 비중이 높음 ㅇ 녹색 시민 군집은 모든 리터러시 영역이 높은 유형(전체 응답자 중 26.6%) - 지식과 정서, 실천이 모두 갖추어진 환경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집단 - 상대적으로 고학력자 비중이 높고, 경영/관리직이나 전문직 종사자 비중이 높음 - 환경 행동의 동기 중 환경의 유지와 보존 그 자체가 환경 행동의 동기가 되는 생태 동기가 가장 높은 군집 - 정보 능력이 가장 높고 모든 출처의 정보를 골고루 이용 4. 군집별 환경 리터러시 강화 방안 □ 행동 중심 군집 ㅇ 다소 부정확한 지식을 갖고 있지만 스스로는 환경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평가하므로 잘못 알고 있는 지식을 바로잡아 정확한 실천이 이루어지도록 유도 ㅇ 평균 연령과 저학력 비중이 높아 직관적이고 이해가 쉬운 형태로 정보 가공 필요 ㅇ 환경 캠페인, 환경 활동 참여를 선호하며 지역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를 얻는 비중이 높아 주민센터나 복지관과 같은 지역 기반 거점에서 환경 캠페인 참여 유도 추천 □ 잠재 군집 ㅇ 일정 수준의 지식과 정서를 갖추고 있어서 적절한 개입(intervention)을 통해 정서 리터러시를 증대하면 실천 역시 증가할 것이라 기대할 수 있음 ㅇ Grunig는 이러한 집단을 활동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주요 요인으로 관여도 제시 - 관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상과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고, 환경문제 실재감(tangibility)을 높여 주어야 함 ㆍ예를 들어, 여성과 주부의 비중이 높아 환경문제가 당신 자녀들이 직면하게 될 문제라는 등의 메시지를 전달하면 관여도가 증가 ㅇ 기본적으로 미디어를 통한 환경 정보 이용이 높으므로 정서 수준을 증대할 수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개발 추천 - 현재로서는 환경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낮아 PPL이나 교육적 오락물 등의 콘텐츠를 통해 환경 주제에 간접적인 노출 필요 ㅇ 주부 비중이 높아 자녀와 함께하는 체험, 견학을 제공하면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 □ 회의주의 군집 ㅇ 사회구조적 한계 인식으로 지식 리터러시는 높으나 실천으로 이어지지 않는 집단 ㅇ 사회 환경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도록 자신감을 주는 메시지 전달이 중요 - 개인이나 집단의 노력을 통해 환경문제를 개선한 사례나 환경 행동의 효과를 수치화하여 제시하면 효과적일 수 있음 ㅇ 교육 수준과 소득이 높고 학생과 전문기술직의 비중이 높아 의견 선도자로서 활약할 확률이 크므로 환경 분야의 전도사(evangelist)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음 - 직장 단위의 환경 주제 워크숍이나 세미나 등을 추진하는 것을 제안 □ 무관심 군집 ㅇ 정서 리터러시를 시작으로 전반적인 환경 리터러시 수준 개선을 유도해야 함 ㅇ 정형적인 환경교육에는 참여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부산물로서 환경학습의 효과를 낼 수 있는 접근 방법 구상 필요 ㅇ 연령이 낮고 미혼 비율이 높은 집단으로 체험이나 견학 활동을 선호하기 때문에 문화나 레저 등을 동반한 프로그램이 유효할 것으로 기대함 - 플로깅(plogging), SNS 챌린지 등 문화 트렌드를 만들어 환경이 아닌 문화 활동으로의 참여 유도 □ 녹색 시민 군집 ㅇ 추가적인 교육보다는 환경 관련 준전문가로서의 활용을 고민해야 하는 집단 ㅇ 지역 내 환경문제에 직접 관여하는 관찰·조사를 선호하기 때문에 민간 환경 전문가나 시민 과학자로의 양성을 고려해 볼 수 있음 Ⅴ. 결론 및 함의 1. 연구 결과의 종합 □ 일반 시민의 환경 리터러시 수준을 확인 ㅇ 지식 리터러시 평균은 5.20, 정서 평균은 5.13, 실천 평균은 4.34(각 영역 7점 만점)로 우리나라 시민의 전반적인 환경 리터러시 수준은 높은 편 ㅇ 성인 집단 내에서도 환경 수준에 따라 다양한 군집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 - 사회적으로 유사한 집단(예를 들어, 나이, 직업 등) 내에서도 환경 수준 격차 존재 - 시민 군집별 환경 인식 및 환경 정책에 대한 의견 차이가 있음을 확인 ㆍ환경 리터러시 수준의 차이는 개인 간의 환경 능력의 차이일 뿐 아니라 환경을 바라보는 시각이나 환경 정책에 대한 의견에 영향을 미침 2. 연구의 의의 □ 성인 대상 환경교육의 방향성과 환경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 - 성인의 환경 실천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정서 리터러시의 강화가 중요 - 성인 세대의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형식 교육의 강화가 필요 - 집단의 세분화를 통해 각 군집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교육 접근 전략 추진 필요 3.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 환경적으로 특징적인 모든 집단을 구분해 내지는 못함 ㅇ 성인을 대상으로 한 초기 연구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으므로 측정에 포함되지 못한 주제나 실천 영역이 존재할 수 있음 □ 모든 시민의 온라인 접근성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온라인 설문은 노년층이나 저소득층 표집이 왜곡될 우려가 있고 특정 집단이 과소 또는 과대 대표될 수 있으므로 유의하여 해석해야 함 □ 시민 군집에 따른 환경교육 접근 방법은 실제 효과가 검증된 것은 아님 ㅇ 각 군집에 대한 심층 면접이나 포커스 그룹 인터뷰 등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접근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다양하고 실효성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함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1. Research purpose □ A nationwide consensus on the understanding on and necessity of the environmental policy is needed in order to successfully achieve the policy objectives. □ According to the “Public Attitudes towards the Environment: 2020 Survey” issued by th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the citizens consider environmental issues important but do not feel that they themselves are a direct victim of such issues. ㅇ The level of autonomous environmental practice w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main environment-friendly actions. ㅇ People should make a habit of taking the environment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take environment-friendly actions. □ One way that can be considered to influence people’s awareness is education. ㅇ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 is centered around school-age children and youth. ㅇ The majority of adults currently affecting the environmental issues and practically practicing environmental protection are excluded from environmental education, thus not receiving enough learning opportunities. □ Environmental literacy as an objective of environmental education ㅇ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being highlighted but in reality, there is a lack of objectives and specific indicators to verify its effect. ㅇ The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the expansion of environmental literacy and indicators to measure this should be developed. 2. Research scope □ Summarize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literacy and develop the scales for adults Measure the level of environmental literacy of citizens □ Confirm the predictors and consequences of environmental literacy □ Understand citizen types via cluster analysis Ⅱ. Environmental Education for Adults and Environmental Literacy 1. Adult education □ Education types are divided into formal, non-formal, and informal in the Role of National Qualifications Systems in Promoting Lifelong Learning (2005), a report on the project conducted by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ㅇ Formal education: As education is conducted in educational or training institutes or workplaces, it allows learners to obtain social certifications in the form of a degree or certificate. ㅇ Non-formal education: Although learning takes place through a certain program, it is mainly conducted in lifelong or private learning institutes or culture centers without an official evaluation or certificate. ㅇ Informal education: Learning takes place through daily activities including house chores or leisure or vocational activities. □ As of 2020, the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rate of Korean adults was 42.1%. 41.3% of them were engaged in non-formal education. About 98% of the entire programs were conducted in the form of non-formal education. 2. Environmental literacy □ The North Americ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NAAEE) proposed a framework for assessing environmental literacy. ㅇ The framework is comprised of conceptual understanding on environmental issues, problem-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opinions on the environment and nature, and environment-friendly behaviors in personal and social areas. ㅇ The key is competency in solving practical issues. Knowledge and attitude are connected as a factor interacting with competency. □ Kim, C. G. et al. (2019) attempted to comprehensively measure environmental literacy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significant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nurturing environmental literacy. ㅇ Kim, C. G. et al. (2019) emphasized personal and social aspects by re-organizing the NAAEE’s framework to categorize factors into environmental cognition, affect, and behavior. Ⅲ. Environmental Literacy for Adults 1. Survey on environmental awareness □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general citizens who are the major target of environmental education to examine their awareness on the education. ㅇ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six days from May 31, 2021 to June 5, 2021 by a market research firm, EMBRAIN Public. ㅇ The survey consists of ① a general survey investigating the overall recognition and demand 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②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survey examining education topics and the importance of the required environmental literacy for each age group. □ For ordinary adults, liv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practice were considered important in terms of the lesson topic and environmental literacy, respectively. □ Both ordinary people and experts evaluated practicing interaction as least important. ㅇ In reality, for adults who need non-formal or information education instead of formal education, practice of interaction shall be used as an important strategy. 2.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literacy measurement for adults □ The authors searched through the major academic database and internet search engine Google Scholar using the following search terms: “environmental literacy,” “environmental knowledge,” and others. As a result, 22 studies and survey cases on environmental literacy measurements were identified. ㅇ Of the 22 search results, 13 studies were finally included. Those whose study questions were not reported, theses not peer-reviewed, or surveys whose organization in charge is unclear were excluded. □ Details of 459 questions measuring environmental literacy suggested in the 13 cases were analyzed. ㅇ The number of questions asking the cognition level was the highest (41.2%), followed by behavior (33.7%) and affect questions (25.1%). ㅇ The draft was created after categorizing the questions fit to the study concept and having meetings with the research team. □ The draft was revised through the review of outside consultants and an online survey conducted among 100 participants. ㅇ For the environmental knowledge section, questions which over 95% or less than 30% of respondents answered correctly were deleted. ㅇ For the section of environmental affect and environmental behavior, reliability of questions was analyzed. Those whos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value is less than 0.7 were deleted. ㅇ The final questionnaire was made up of a total of 87 questions: environmental cognition (33), environmental affect (22), and environmental behavior (32). Ⅳ. Results 1. Overview □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000 adults aged from 20 and 60 nationwide from September 10, 2021 (Fri.) to September 16, 2021 (Thur.) by EMBRAIN Public. ㅇ Gender, age, and region-based sampling was used. 2. Questionnaire □ The environmental literacy measurements for adults include the cognition, affect, and behavior sections, aiming at examining the current environmental competences of Korean adults. □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parts: ① personal characteristics, ② environmental literacy, and ③ opinion on environmental policy. ㅇ Personal characteristics includ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academic background, and income) and behavioral/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how they obtain information, cultural worldview, motivation of environmental behavior, and subjective knowledge). 3. Study results □ A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level of environmental literacy. ㅇ This study set five clusters by adopting the K-average clustering analysis method. □ The five clusters are classified into action-oriented, latent, skeptical, bystander, and green citizen clusters. ㅇ The action-oriented cluster showed a high level of emotion and practice literacy despite the low level of knowledge literacy (8.8% of the entire respondents). - Self-efficacy was stronger than other emotion literacy area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belief that environmental issues can be solved with one’s effort leads to practice. - Despite the low knowledge literacy, the level of subjective knowledge in terms of environmental knowledge was high. It means the respondents have self-confidence and belief in their competencies. - The average age was 51.3 and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having poor academic backgrounds (the percentage of those with a high school diploma or lower was 31.8%) was high. ㅇ The latent cluster showed a mid level in all literacy areas (23.3% of the entire respondents). - They were swing voters whose viewpoint in terms of the environment-friendliness is not established. - They showed a certain level of environmental literacy but continuous practice was not found. - Since practice literacy was at a high level, more environment-friendly behaviors could be found than others (i.e., skeptical or bystander cluster) depending on the situation or field. - The female percentage (60.5%) was higher than that of males (39.5%), and the average age was 47.1. - The percentage of housewives and those in simple labor positions is higher than other clusters. ㅇ The bystander cluster showed a high level of knowledge literacy but emotion and practice literacy were at a mid and low level, respectively (26.9% of the entire respondents). - Despite the high knowledge literacy, environmental efficacy was weak in all emotion literacy areas. ㆍEnvironmental efficacy means the belief in one’s competencies in understanding and taking actions to solve environmental issues and such practice is helpful in addressing actual environmental issues. - The percentage of the highly educated was the highest (those having a university degree or higher is 75.8%) and the percentage of high income earners was relatively high (45.7% earns over five million KRW). - In terms of vocation, the percentage of students or those working in professional fields was high. - They preferred discussion or lecture in terms of environmental education methods. The percentage of people consum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via media (including both news reports and others) appeared higher than that of other clusters. ㅇ The bystander cluster showed low levels of literacy in all areas (14.4% of the entire respondents). - They had not only low environmental awareness, but also negative views sometimes. - They tended to show a strong belief in fatalism, seeing the nature unpredictable and thinking that all behavioral results occur by chance. ㆍThus, they considered danger is not preventable with individual or collective efforts. - The male percentage (68.8%)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s (31.3%), and the average age was the lowest. - The percentage of low-income households (32.6% earns less than two million KRW) was higher than other clusters. The percentage of the unmarried (50.0%) or those with no kids (51.4%) was high among the respondents. ㅇ The green citizen cluster displayed high levels of literacy in all areas (26.6% of the entire respondents). - It is the most idealistic group supported by knowledge, emotion, and practice in terms of environmental education. - The highly educated percentage was relatively high and that of those in management or professional fields was high. - For them, the maintenance and conservation of the environment became the highest ecological motivation among others for environmental behavior. - They had the highest level of information competency and consumed information from all sources evenly. 3. Strategies to enhance environmental literacy for each cluster □ Action-oriented cluster ㅇ It is necessary to guide them to practice environmental activity correctly by revising their incorrect environmental knowledge, since they evaluate themselves as being knowledgeable about the environment without a precise understanding. ㅇ It is necessary to process information to make it intuitive and easily understandable, since the average age and percentage of those with poor academic backgrounds are high in this cluster. ㅇ It is needed to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in environmental campaigns on a regional base including a community or welfare center, since they like engaging in environmental campaigns and activities. A high percentage of them obtains information from the regional community. □ Latent cluster ㅇ Since this group have certain levels of knowledge and emotion, it can be expected that increased emotion literacy through proper intervention will lead to the rise in practice. ㅇ Grunig suggested involvement as a major factor to turn this type of cluster to active public. - It is necessary to reduce psychological distance while growing tangibility on environmental issues to enhance involvement. ㆍFor instance, since the percentage of females and housewives was high, their involvement could be enhanced if a message is sent to them, saying “Your children will soon face environmental issues”. ㅇ Basically, they consumed environmental information a lot through media, so developing media content to raise their emotional level is recommended. - Currently, there is a low possibility that they would actively consume environmental content. It is necessary to indirectly expose them to environment-related themes through embedded marketing or entertaining educational content. ㅇ It is expected that experience with children or a field trip opportunity will be effective due to the high percentage of housewives in the cluster. □ Skeptical cluster ㅇ People in this cluster show high knowledge literacy because of their awareness on social structural limits, but their cognition is not turned into behavior. ㅇ It is significant to deliver a message that gives self-confidence empowering them to overcome socio-environmental limitations. - If a case where environmental issues were solved through individual or collective efforts or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ractice is presented in a quantified way, it may be effective. ㅇ Since the level of their academic backgrounds and income was high along with a high percentage of students and professionals, people in this cluster have a possibility of becoming an evangelist in the environmental field as a leading opinion leader. - Hosting an environment-related workshop or seminar by workplace unit is recommended. □ Bystander cluster ㅇ It is needed to guide the improvement in the overall environmental literacy starting with emotion literacy. ㅇ People in this cluster have a high possibility of not participating in formal education settings, so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approach to create an environmental learning effect as a byproduct. ㅇ Experience or field trip programs along with a cultural or leisure activity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since they prefer such activities as members of a group whose average age is low and where the percentage of the unmarried is high. -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ir participation in an environmental activity as a cultural activity by creating a trend including plogging and the SNS challenge. □ Green citizen cluster ㅇ Instead of providing addition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use this cluster as semi-professionals in the environment field. ㅇ Training them as civic environmental specialists or scientists can be considered as they prefer observation and investigation by directly engaging in the environmental issues within their region. Ⅴ. Conclusion and Implications 1. Conclusion □ Check the level of environmental literacy of ordinary citizens ㅇ The overall levels of Korean citizens were high on average: knowledge literacy 5.20 out of 7.0, emotion literacy 5.13, and practice literacy 4.34. ㅇ Depending on environmental literacy levels, the existence of various clusters was confirmed within the adult group. - There was a gap in the environmental literacy level even within a socially similar group (e.g. age, vocation, etc.). - It is confirmed that there were gaps in environmental recognition and opinions on environmental policy among citizen clusters. ㆍThe difference in environmental literacy is not just a gap in individuals’ environmental competence, but also a meaningful factor affecting the environmental view or opinion on the environmental policy. 2. Implications □ This study provided fundamental data to determine the direc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for adults and establishing environmental policy. - Enhancing emotion literacy is important to boost the environmental practice of adults. - Strengthening information education is required to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 on the adult generation. -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approaches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through cluster segmentation. 3. Limitations and follow-up research □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all unique clusters in terms of the environment. ㅇ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scales that can be universally used as initial research based on adults. Clearly, there could be themes or practice areas not included in the measurement. ㅇ Future research may classify and present clusters from a more diverse perspective. □ Since an online survey cannot be equally accessible by all citizens, the sampling of the elderly or low-income households may be distorted or a certain group can be under- or over-represented. □ The actual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al approaches on each citizen cluster is not verified. ㅇ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approaches suggested in this study by conducting an in-depth or focus group interview in each cluster and explore more various, effective measurements.

      • KCI등재

        拱辰丹 方義에 대한 고찰 : 『東醫寶鑑』의 내용을 중심으로

        임석(Lim Seok-hyeon)(林錫賢),(Jeong Chang-hyun)(丁彰炫),장우창(Jang Woo-chang)(張祐彰),추면(Zou Mian)(鄒冕),백유상(Baik Yousang)(白裕相)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2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3 No.4

        Objectives : 본 연구는 임상에 유용하게 활용되기 위해 『東醫寶鑑』의 拱辰丹 내용을 고찰하여 拱辰丹의 方義와 적용 대상과 작용 기전을 밝혀내는 것이 목표이다. Methods : 먼저 한의학 원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拱辰丹 관련 자료들을 검토하였다. 또한 『是齋百一選方』과 『東醫寶鑑』의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拱辰丹의 구성 약재들에 대한 효능을 『東醫寶鑑』과 『중약대사전』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Results & conclusion : 『東醫寶鑑』에서 拱辰丹을 적응증을 연령대와 장부별로 검토한 결과, 연령대별 拱辰丹의 적용 대상은 先天 稟賦가 부족한 소아와 壯年에게는 사용할 수는 있으나 노인에게는 가장 적합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장부별로는 『東醫寶鑑』 「虛勞門」의 의하면 拱辰丹은 水升火降의 기전에서 水에서 火로 상승시키는 작용이 있어, 肝虛로 인하여 精血이 耗損을 補하면서 기운을 끌어올려 불안하며 두려워하는 精神 증상을 치료할 수 있었다. 따라서 拱辰丹은 젊은 나이에 체력이 약하면서 겁먹고 의욕이 없는 상태에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Objectives : This paper aims to lay out the meaning of Gongjindan, its indications and mechanisms based on relevant contents in the 『Donguibogam』, for better clinical application. Methods : First, Gongjindan related contents were searched in the medical classics database. Next, contents from the 『Shizhaibaiyixuanfang』 and the 『Donguibogam』 were analyzed. Finally, the properties of the Gongjindan ingredients were examined based on the 『Donguibogam』 and the 『Zhongyaodacidian』. Results & Conclusions : Examination of its indications according to the 『Donguibogam』 in terms of applicable age and viscera/bowels, Gongjindan could be applied to children with constitutional insufficiency and elder generations, but it could not be said to be most appropriate for older generations. In regards to viscera/bowels, Gongjindan sends water upwards into fire in the water-rising-fire-descending mechanism, which makes it applicable to symptoms of anxiety and fear by tonifying the consumed Jing and Blood caused by Liver deficiency. To summarize, those who would most benefit from Gongjindan are young adults in weak, fearful and lethargic conditions

      • Dual Source CT에서 관상동맥 검사 시 환자의 피폭선량 감소에 대한 연구

        서재(Jae Hyeon Seo),김영덕(Yeong Deok Kim),창기(Chang Gi Jeong),이종호(Jong Ho Lee),유명송(Myeong Song Yu)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2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4 No.1

        목적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는 BMI 25kg/m² 이상은 120kVp, BMI 25 kg/m² 이하는 100kVp로 낮춰 피폭선량을 검사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추가로 mAs를 270mAs에서 240mAs 낮추어서 검사하였을 때 적절한 영상을 획득하면서 환자의 피폭선량을 줄일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1년 1월부터 3울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CT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한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A군(100 kVp, 240 mAS, N=20), B군(120 kVp, 240 mAs, N=20), C군(100 kVp, 270 mAs, N=20), D군(120 kVp, 270 mAs, N=20)로 분류하였다. CT장비는 Siemens사의 Dual Source SOMATOM Definition Flash를 사용하였다. 모든 환자는 검사 시행하기 1시간 전에 베타 차단제를 복용하고 심박동수가 60회 이하인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심전도 동기화 방식(Flash Mode)를 사용하여 검사하였다. 각 환자군의 영상의 질 평가는 영상의학과 전문의에 의해 Very good(4), Good(3), Fair(2), Poor(l)로 평가하였다. 피폭선량 평가는 장비 콘솔에서 제공하는 총 Dose Length Product(이하 DLP, 단위 mGyㆍcm)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A군 평균 나이 54.7세, BMI 21.74kg/m², DLP 45.05mGyㆍcm, B군 평균 나이 54.1세, BMI 27.33 kg/m², DLP 72.9mGyㆍcm로 나타났다. C군 평균 나이 56.15세 BMI 20.86 kg/m², DLP 50.7mGyㆍcm, D군 평균 나이 56.05세, BMI 28.55 kg/m², DLP 83.9 mGyㆍcm로 측정되었다. A군에 비해 C군의 DLP가 약 5.6mGyㆍcm 정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A군과 C군은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p<0.05). B군에 비해 D군의 DLP는 약 11mGyㆍcm 정도 더 높게 나타났고,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p<0.05). 영상의 질 평가에서는 A군과 C군, B군과 D군은 각각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나타났다(p>0.05). 결론 관상동맥 CT검사에서 환자의 피폭선량을 줄이기 위해 BMI에 따른 각각 다른 kVp 적용과 기존에 사용하던 270mAs에서 240mAs로 선량을 낮춘 결과 100kVp에서는 평균 5.6mGyㆍcm, 120kVp에서는 평균 11mGyㆍcm 정도 낮은 선량으로 검사가 가능하였다. 서로 영상의 질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여기에 반복 재구성기법을 이용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면 더 낮은 선량으로 검사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I. Purpose This study, the existing studies spectator pressure BMI 25 kg/m² or more of the 120 kvp, BMI 25kg/m² or less 100 kvp down to radiation dose to examine how to apply, in addition, mAs and 270 mAs in the 240 mAs by lowering the scan when the appropriate image acquisition and patient if you can reduce the dose of radiation to investigate II. MATERIALS and METHODS January-March 2011 and admitted to hospital patients who underwent CT coronary angiography in 80 patients were studied. Group A (100 kVp, 240 mA5, N = 20), B group (120kVp, 240mAs, N = 20), C group (100kVp, 270mAs, N = 20), D group (120 kVp, 270 mAs, N = 20) were classified as. Siemens CT equipment’s Dual Source SOMATOM Definition Flash was used. All patients performed the tests 1 hour before taking beta-blockers and heart rate in patients with less than 60 times the prospective ECG synchronized (Flash Mode) were examined using. Each of the patients of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by a specialist, Department of Radiology, Very good (4), Good (3), Fair (2), Poor (1) were evaluated. Radiation dose evaluation in the instrument console, which provides total Dose Length Product (hereinafter DLP, the unit mGyㆍcm) were evaluated using. III. Result A group mean age 54.7, BMI 21.74kg/m², DLP 45.00mGyㆍcm, B group mean age 54.1, BMI 27.33kg/m², DLP 72.9mGyㆍcm, C group mean age 56.15, BMI 20.86kg/m², DLP 50.7mGyㆍcm, D group mean age 56.05, BMI 28.55kg/m², DLP 83.9mGyㆍcm was measured. Group A than in Group C is about DLP 5.6mGyㆍcm was much higher also in group A and group C show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each other. (P<0.05) Group B than in Group D of about DLP 11 mGyㆍcm appeared much higher,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each other. (P <0.05) In assessing the quality of images A and C group, B group military and 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P>0.05) IV. conclusion Radiation from CT scans of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to reduce the dose according to BMI, respectively, and were used to apply a different kVp 270 mAs lowered the dose to 240mAs results in an average of 100kVp 5.6mGyㆍcm, 120kVp 11 mGyㆍcm the average was much lower dose can be examin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each image.

      • TAS-20의 한국판 3종간의 신뢰도 및 타당도 비교

        운선,임효덕,이양,김상헌,Chung, Un-Sun,Rim, Hyo-Deog,Lee, Yang-Hyun,Kim, Sang-Heo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3 정신신체의학 Vol.11 No.1

        연구목적: 1985년 Taylor 등이 발표한 TAS는 감정표현불능증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1992년 TAS-20으로 개정되어 여러 나라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혼재되어 쓰이고 있는 세 가지 TAS 한국판 감정표현불능증 척도를 비교하여 가장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척도를 통일하여 사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첫 번째 척도는 1996년 이양현 등이 개발한 것{이후 TAS-20K(1996)}이다. 두 번째 척도는 위 연구에서 "어떤 문제를 묘사하기보다는 분석하는 편이다"라고 직역한 5번 항목의 결과가 예측치와 상반되어 '분석하다'라는 단어에 대한 우리나라와 서양의 문화적 견해 차이를 고려하여 5번 문항을 수정 제안한 것{이후 TAS-20K(2003)}으로서, 타당도와 신뢰도의 호전을 검증하지 않은 것이다. 세 번째 척도는 1997년 신현균과 원호택이 TAS-20을 번역한 것(이후 S-TAS)으로 20항목의 원래 항목 수를 23개로 수정 번역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방 법: 의학과 학생 408명을 대상으로 세 가지 척도의 서로 다른 항목, 즉 TAS-20K(1996)의 20항목, TAS-20K(2003)의 수정 제안된 1항목, S-TAS의 23항목을 무작위로 배열하여 구성된 하나의 척도를 사용하여 검사를 시행하였다. 세 가지 척도의 신뢰도를 비교하기 위해 내적 일치도(Cronbach $\alpha$ coefficients)를 구하였고 타당도를 비교하기 위해 확증적 요인 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 과: TAS-20K(2003)은 TAS-20K(1996)보다 내적 일치도가 호전되었다. TAS-20K(2003)과 S-TAS는 모두 원척도의 세 요인 구조를 재현하였고, 우수한 내적 일치도와 받아들일 만한 타당도를 보여 주었다. 그러나 S-TAS는 19번 항목이 요인 2와 상관성이 낮게 나타났고, 이전 연구에서와 같이 2번 항목과 요인 1간의 상관성이 재현되지 않아 본래 요인 2에 속한 19번 항목을 요인 1에도 포함시키는 것이 타당하지 않았다. 결 론: TAS-20K(2003)과 S-TAS는 모두 원본 TAS-20의 번역판으로서 우수한 타당도와 받아들일만한 신뢰도를 보였다. 그러나 TAS-20K(2003)은 원본과 동일한 항목 수와 구조, 동일한 점수 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TAS-20은 이미 15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있는 도구이나, S-TAS는 항목 수 및 점수 체계, 요인 구조를 원본 TAS-20과 다르게 변형시켜 국제적인 비교 연구를 위해서는 제한점이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향후 감정표현불능증의 국내 연구에서 TAS-20K(2003), 즉 TAS-20K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으로 제안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ree Korean versions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and to confirm the most reliable and validated Korean translation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for both clinical and research purpose in Korea. The first one was a Korean version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developed by Lee YH et al in 1996 which was designated as TAS-20K(1996) in this study. This scale had a problem with one item due to the cultural difference regarding the word 'analyzing' between western culture and Korean culture. The second one was the revised version of TAS-20K(1996) on that point by Lee YH et al in 1996 without validation which was designated as TAS-20K(2003) in this study. The third one was a 23-item Korean version developed by Sin HG and Won HT in 1997, which wa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TAS-20) in the number of total item, the content of some items and the scoring method. This scale was designated as S-TAS here. Methods: 408 medical students were tested with one scale composed of all the different items randomly arranged from the three versions. We evaluated goodness-of-fit and Cronbach $\alpha$ coefficients of three scales for reliability. We us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compare validity. Results: TAS-20K(2003) showed that it had better internal consistency than TAS-20K(1996), which implied that the cultural differenc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Korean translation. Both TAS-20K(2003) and S-TAS replicated three-factor structures and had adequacy of fit,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acceptable validity. However, S-TAS had one item with poor item-factor correlation and didn't show high correlation between item 2 and factor 1 as before in 1997. Conclusion: Although S-TAS had added 3 items and changed the content of two items, it didn't show better reliability and validity than TAS-20K(2003). Therefore it is proposed to use TAS-20K (2003) as the Korean version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TAS-20K)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of results of Alexithymia research. It has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validity and maintains original items, the same construct and scoring method as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 KCI등재

        학급 중심 언어문화 개선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언어폭력성과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玄?靜),황매향(黃梅香)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아시아교육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학급에서의 언어문화 개선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한 언어사용 습관 형성 및 언어 환경 변화가 아동의 언어폭력성과 자기존중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언어폭력성과 자기존중감면에서 동질적인 서울지역의 6학년 아동 6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중 30명의 실험집단에게는 주2~3회, 40분씩 13회기의 언어문화 개선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나머지 30명의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15명씩 학기초와 학기말로 나누어 1차 집단과 2차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학급중심 언어문화 개선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에 속한 아동들의 언어폭력성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고, 자기존중감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학급단위 언어문화 개선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학생들의 언어사용 습관을 형성하고 언어 사용 환경을 변화시킴으로써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언어폭력성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자기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경험적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연구가 교육현장에 주는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language culture improvement programs on verbal aggression and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forming of good language habits and changing of language environment.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s of 60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one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ir homogeneity was obtained through a language violence and self-esteem preliminary test, and they divided into 30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and 30 students of control group. Eac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plit into two groups of 15 students to manage the programs twice, at the beginning and end of semester, to consider the different reactions due to the closeness with teacher and phase of the procedure.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language culture improvement program was opened two to three times per week, 40 minutes of each session and continued for six weeks and 13 sessions in students"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lass and no action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After the program, post test was given about language violence and self esteem to each group. The results of this are as follow. First, after the class-centered language culture improvement program, the language viol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decreased significantly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after the class centered language culture improvement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gained high level of self-esteem than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lass-centered language culture improvement program provides influences to higher grade of elementary students in their language violence and self-esteem. This implies that language culture improvement activities allow students to be less exposed to a violent language using environment and affect habits of their language usages, violence levels and self-esteems.

      • 제주 낙과감귤에 발생하는 밑빠진벌레과 종 다양성 및 연간발생 동태

        장용석,김수빈,강성혁,승용,김용근,김종,대천,김동순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05

        밑빠진벌레과(Nitidulidae)는 딱정벌레목(Coleoptera)에 속하는 곤충으로 감귤 수확기에 낙과하여 부패하는 과실에 발생하여 부패 과를 섭식하며 살아간다. 본 연구는 감귤과원에 발생하는 밑빠진벌레과의 종 다양성과 연중 발생 시기와 정도 를 구명하고자 2009년 6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제주도 감귤원에서 밑빠진벌레과 발생 및 연간동태를 조사하였다. 낙과하여 부패하는 과실에서 채집한 밑빠진벌레 과 성충을 분리 및 동정한 결과 8종으로 분류․동정 되었으며 이중 2종은 국내 미기 록 종으로 동정되었다. 밑빠진벌레과 8종의 연간 발생에서 애넓적밑빠진벌레 종 만 겨울에 다량 발생하였으며 나머지 7종은 초여름부터 초겨울까지 발생하였다. 밑빠진벌레과 8종에 대한 시기별 종 다양도 관련 지수의 변동에서 종수는 겨울철 에 낮게 나타났으며, 종풍부도는 4월에 가장 높았고 1월 및 2월에 낮았다. Shannon지수는 12월과 1월 ¡‘0’값을 보였고 봄부터 가을까지 생육기에는 1.0에 근접하였다. Hill 지수는 겨울철 12월부터 2월까지 낮았고 생육기에는 2.5 부근에 서 변동하였다. 종균등도는 겨울철인 12월과 1월에 ¡‘0’값을 나타냈고 생육기에는 0.8 정도 값을 보였다. 8종의 발생시기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군락분석을 실시한 결 과 유사도 거리 0.5 수준에서 4개 집단으로 분리되었으며,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애넒적밑빠진벌레는 단일 독립집단으로 구분되었다.

      • KCI등재

        피난안내도의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디자인 개선방안

        이 지 선,김 지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3 한국디자인포럼 Vol.28 No.1

        Background As publicly used establishments such as department stores and outlets with a large transient population expand, the problems of safety and fire-related casualties are increasing. Therefore, the importance of evacuation maps,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emergency evacuation, has escalated. However, finding or identifying evacuation guidance at first glance is still challenging. This study aims at the current status of department stores' evacuation guide map and suggests the design direction of the evacuation guide map for effective information delivery. Methods Based on the current case studies, the status of evacuation guide map design in department stores and consumer interviews, this study focuses on considering evacuation guidance by evaluating the evacuation map's effectiveness with visibility, memory, and clarity. Result As a result of case studies,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mix of evacuation map designs and the expression of information for intuitive recognition of customers. According to the interviews, the most significant part of the evacuation guide map was the ‘current location.’ To this point, it is significant to specifying colors and pictogram expressions that could be intuitively recognized. Nevertheless, the complexity of the information indicated in the evacuation guide map was difficult to comprehend. Thus, this study found that the design of the evacuation guide map needs to be improved. Conclusion An evacuation guide map is required to increase visibility for intuitive recognition and have a the complex information should be selectively recognizable and understandable.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size and form of the pictogram of the current location so that consumers could instantly recognize the pictograms. And it is important to deliver accurate information to consumers in a systematic and consistent expression at each department store branch. 연구배경 유동인구가 많은 백화점, 아울렛 등의 다중이용업소가 확장되고 안전 및 화재와 관련된 인명피해 문제가 증가함에 따라 비상 대피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피난안내도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었지만 피난안내도를 쉽게 찾아보거나 식별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연구는 백화점 피난안내도의 현황을 살펴보고 소방청 표준매뉴얼을 참고하여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피난안내도의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는 현황 조사와 실험을 바탕으로 시각의 법칙에 따른 가시성・기억성・정확성 등 피난안내도의 유효성 평가를 통해 피난안내도 디자인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피난안내도의 현황 조사 결과 소방청에서 제시하는 표준메뉴얼이 있으나 상세하지 않아 백화점마다 상이한 표현방법이 혼재되어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직관적 인식을 위한 정보 표현에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피난안내도에서 사용자가 가장 중요시하는 것은 현 위치의 파악이었으며, 이를 위하여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색채와 픽토그램 표현의 명시성이 중요하였다. 그러나 피난안내도에 적시된 정보의 복잡성으로 인해 정보의 이해가 어려웠으며, 특히 현 위치와 픽토그램 표현 중 발신기 픽토그램의 인지가 어려운 것으로 조사되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피난안내도 디자인에 있어 직관적 인식을 위해 가시성을 높이는 디자인이 요구되며, 복잡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명확히 인식하고 이해 가능하도록 정확성을 높여야 한다. 또한, 현 위치, 발신기 등 픽토그램을 한눈에 인지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의 개선이 필요하다. 그리고 백화점 지점마다 체계적이며 일관된 표현으로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동기우군의 정의에 따른 유량, 유성분, 체세포 점수간 상관분석

        운영,조광,최태,최재관,최호성,조주,최연호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6 No.1

        A total of 150,624 records of Holstein milk production collected from 2005 to 2009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wo different contemporary group definitions, parity and somatic cell score (SCS). The first definition (H․BY․S) of contemporary group was milking cows and heifers born in the same year and season. And the second thing (H․CY․S) was milking cow and heifers that delivered calves in the same year and season. Effects of contemporary group, parity and regression effect on SCS from two models were highly significant sources of variation. Coverage of variation (R2) was somewhat higher in models with H․BY․S as contemporary group. From multivariate models with H․BY․S, ph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of milk components were estimated high and positive. However, the ph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ilk yield and SCS was -0.09, which was low enough to evidence no correlation between them. Phenotypic correlation between SCS and butter fat or between SCS and protein were also negligible but negative. From multivariate models with H․CY․S as contemporary group, phenotypic correlation among milk traits and SCS were similar to the estimates from models with H․BY․S. However, SCS in these models were lowly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milk yield, milk protein, butter fat or SNF, and the ph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of which were -0.10, -0.08, -0.08, -0.11, respectively. 본 연구는 2005년에서 2009년까지 수집된 150,624개의 국내 젖소 산유능력 검정자료를 사용하여 두 가지 동기우 그룹 정의에 따른 산차, 체세포 점수가 305일로 보정된 유량, 유지방량, 유단백량, 무지고형분량에 미치는 효과와, 유량 및 유성분 간 상관관계에 변화가 나타나는가를 보고자 실시하였다. 첫 번째 동기우 그룹은 동일농장과 출생년도, 계절로 정의하였고, 두 번째는 농장과 분만년도, 계절을 동기우 그룹으로 정의하였다. 동기우 그룹을 출생년도로 구성하였을 때 동기우 그룹과 산차 및 체세포 점수가 유량과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고, 유단백질량, 무지고형분량, 유지방량에 대해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동기우 그룹을 분만년도로 하였을 때에도 유량에 대한 체세포점수 및 산차 효과가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고, 유단백질량, 유지방과 무지고형분량에 대해서도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다. 출생년도를 사용한 모델에서 생산형질간 표현형상관을 본 결과 유량과 유단백량, 유지방, 무지고형분량은 고도의 정의 상관이 나타났으나, 유량과 체세포 점수 간에는 -0.09의 상관을 나타냈다. 분만년도를 동기우 그룹으로 사용한 모델에서의 표현형상관을 보면 유량과 유단백질 및 유지방간에 출생년도를 사용한 모델과 거의 비슷한 정의 상관을 보였고, 유량과 체세포간에는 -0.10, 유단백질, 유지방, 무지고형분량 과 체세포간에는 각각 -0.08, -0.08, -0.11의 상관을 보였다.

      • KCI등재후보

        서울의 도시 지역 변화 탐지를 위한 식생지수의 활용

        재준,이수 한국지도학회 2010 한국지도학회지 Vol.10 No.2

        현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도시 지역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영상 분류이다. 영상 분류는 도시 지역을 추출하는 자동화된 방법으로 단시간에 도시 지역을 추출할 수 있지만 그 정확도는 상황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일 뿐만 아니라 시계열적인 변화를 추출하기에는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 절차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생지수 결합에 의한 도시 지역 추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규식생지수와 정규시화지화지수를 결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도시 지역을 추출하였다. 1988년과 2000년 서울지역 위성영상에 영상 분류 방법과 지수결합방법을 사용한 결과, 식생지수결합법에 의해 도시로 추출된 지역이 감독분류기법에 의해서도 도시 지역으로 추출된 확률이 각각 98.1%(1988년), 99.3%(2000년)인 것으로 나타나, 식생지수 결합법을 사용해 도시 지역을 추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방법을 사용한 각 시기의 도시 지역영상과 환경부 토지피복대분류(1999년) 결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1988년의 분류 결과 도시 과대추정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분류를 통한 도시 지역 추출 방법에 비해 식생지수결합법을 이용한 도시 지역 추출이 절차상 수월한 점으로 미루어볼 때, 도시 지역 추출에 있어서 식생지수결합법의 효율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Urban growth management is essential for sustainable urban growth. To manage urban growth, monitoring physical urban built-up area is a task of great significance. Although image classifications using satellite imagery are among the conventional methods for detecting urbanized area, they requires very tedious and hard work, especially if time-series remote sensing data have to be processe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ective urbanized area detecting method based on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nd normalized difference built-up index (NDBI).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 we extract urbanized area using two methods; one is conventional 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 and the other is proposed method. Experiments shows that two methods are consistent with 98.1% in 1998, 99.3% in 2000, namely the consistency of two methods is very high. Because the proposed method requires no more process without band operations, it can reduce time and effort. Compared with the 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 the proposed combination method of vegetation indices can serve as quick and efficient alternatives for mapping urbanized area.

      • VoiceID: 딥러닝 기반 음성인식을 통한 모바일 보안 솔루션

        진(Jin Hyun),류동헌(Dongheon Ryu),강민(Kangmin Jeong),이영주(Youngjoo Lee) 대한전자공학회 2021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6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mobile security solution named VoiceID, which utilizes lightweight deep neural networks (DNNs) for speech signal processing. The proposed VoiceID uses a new frame-level speaker embedding from the existing DNN model, which can be trained with the softmax cross entropy. The fine-tuning training is newly added with the triplet loss function, enhancing the quality of user-level identification. The word-level identification is also realized to provide the access right for each user, empowered by using the Cosine distance between bedded voice vectors.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our VoiceID system successfully restricts 99.93% of unregistered users with simple yet efficient DNN-based processing steps, which can be used for the lightweight security sol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