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의 후방 감압술에서 후방 인대의 보존 여부와 술 후 척추 불안정성과의 연관성: 포트홀(Port-Hole) 감압술과 후궁 아전절제술 간 비교 연구

        정유훈(Yu-Hun Jung),나화엽(Hwa-Yeop Na),최세헌(Saehun Choe),김진(Jin Kim),이준하(Joon-Ha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1

        목적: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에서의 후방 감압술 시 극간인대 및 극상인대의 보존이 술 후 척추 불안정성의 예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밝히고자 했다. 대상 및 방법: 2014년 3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에서 후방 감압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관찰한 83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대상자들을 수술의 종류에 따라 포트홀 감압술을 시행한 56명의 환자는 그룹 A로, 후궁 아전절제술을 시행한 27명의 환자는 그룹 B로 분류하였다.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요통과 방사통에 대한 시각통증점수(visual analogue scale, VAS), 신경성 간헐적 파행(neurogenic intermittent claudication, NIC) 전 보행거리가 수술 전후로 측정되었다. 영상의학적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술 전 및 수술 후 매 6개월마다 직립상태에서 측면 및 굴곡-신전 단순 방사선 사진을 촬영해 전위 정도(slip percentage), 역동적 전위 정도(dynamic slip percentage), 각변위(angular displacement), 역동적 각변위(dynamic angular displacement)를 측정하였다. 결과: ODI (그룹 A에서 28.1에서 12.8로 호전; 그룹 B에서 27.3에서 12.3으로 호전), 요통에 대한 VAS (그룹 A에서 7.0에서 2.6로 호전; 그룹 B에서 7.7에서 3.2로 호전), 방사통에 대한 VAS (그룹 A에서 8.5에서 2.8로 호전; 그룹 B에서 8.7에서 2.9로 호전), 그리고 NIC 전 보행 거리(그룹 A에서 118.4 m에서 1,496.2 m로 증가; 그룹 B에서 127.6 m에서 1,481.6 m로 증가)는 두 그룹 모두에서 호전되었다. 다른 영상의학적 결과들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역동적 각변위는 술 후 두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그룹 A에서 6.2°에서 6.7°로 증가; 그룹 B에서 6.5°에서 8.4°로 증가; p-value=0.019). 결론: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에서의 후방 감압술시 극간인대 및 극상인대를 포함한 후방 인대의 제거는 술 후 역동적 각변위의 증가를 초래하며 후방 인대를 보존하는 포트홀(port-hole) 감압술을 통해 이를 예방할 수 있다. Purpose: To determine if sparing the interspinous and supraspinous ligaments during posterior decompression for lumbar spinal stenosis is significant in preventing postoperative spinal inst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83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decompression for lumbar spinal stenosis between March 2014 and March 2017 with a minimum one-year follow-up period,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type of surgery. Fifty-six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decompression by the port-hole technique were grouped as A, while 27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decompression by a subtotal laminectomy grouped as B.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visual analogue scale (VAS) for both back pain (VAS-B) and radiating pain (VAS-R), and the walking distance of neurogenic intermittent claudication (NIC) were checked pre- and postoperatively, while simple radiographs of the lateral and flexion-extension view in the standing position were taken preoperatively and then every six months after to measure anteroposterior slippage (slip percentage), the difference in anteroposterior slippage between flexion and extension (dynamic slip percentage), angular displacement, and the difference in angular displacement between flexion and extension (dynamic angular displacement) to evaluate the radiological results. Results: The ODI (from 28.1 to 12.8 in group A, from 27.3 to 12.3 in group B), VAS-B (from 7.0 to 2.6 in group A, from 7.7 to 3.2 in group B), VAS-R (from 8.5 to 2.8 in group A, from 8.7 to 2.9 in group B), and walking distance of NIC (from 118.4 m to 1,496.2 m in group A, from 127.6 m to 1,481.6 m in group B) were improved in both groups. On the other hand, while the other radiologic results showed no differences, the dynamic angular displacement between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ostoperatively (group A from 6.2º to 6.7º, group B from 6.5º to 8.4º, p-value=0.019). Conclusion: Removal of the posterior ligaments, including the interspinous and supraspinous ligaments, during posterior decompression of lumbar spinal stenosis can cause a postoperative increase in dynamic angular displacement, which can be prevented by the port-hole technique, which spares these posterior ligaments.

      • KCI등재

        전완 피부 신경을 침범한 신경림프종증

        정유훈(Yu-Hun Jung),송우석(Woo-Suk Song),박섭리(Sub-Ri Park),백소야(So-Ya Pai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4

        신경 림프종증(neurolymphomatosis)은 림프종세포가 말초 신경계를 침범하는 것을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림프종은 여러 연구에서 보고된 것처럼 말초 신경계를 침범하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경 림프종증은 그 증상이 비특이적이고, 진단하는 데 있어서도 명확하게 정립된 바가 없어 치료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많다. 특별한 증상 없이 전완 피부신경에 발생한 종괴에 대해 적출술을 시행하고 미만성 큰 B세포 림프종 진단 후 추가 치료하면서 경과관찰하였으나 동측 전완부 척골 신경에 재발한 림프종 1예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The term neurolymphomatosis has included infiltration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by lymphoma. In generally, direct invasion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is rare. The difficulty in treatment of neurolymphomatosis is due to unclassified characteristic symptoms and diagnosis. We performed excision of mass on the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with no specific symptoms. After diagnosis of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further treatment and observation were followed. However, recurrence of the lymphoma was found in the ipsilateral forearm ulnar nerve, therefore we described a case of neurolymphomatosis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다운증후군 청소년의 중증 고관절 골관절염에서 고관절 유합술

        정유훈(Yu-Hun Jung),신근영(Keun-Young Shin),이주영(Joo-Young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2

        다운증후군은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염색체 이상 질환으로 일생 동안 약 28%에서 고관절의 골관절염을 동반하게 된다. 다운증후군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게 될 경우에 의학적 관점에 더불어 환자의 정신적, 경제적인 요건 및 사회적 환경까지 고려하는 포괄적 접근이 필요하다. 청소년기 다운증후군에서 발생한 중증 고관절 골관절염에 대해 고관절 유합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보여 보고하는 바이다. Down syndrome is the most common chromosomal disorder and is accompanied by hip osteoarthritis in approximately 28% of patients. This paper reports a case of hip arthrodesis as a treatment for severe hip osteoarthritis in adolescent Down syndrome patients. When performing surgical treatment of patients with Down syndrome, it is necessary to take a comprehensive approach that considers not only the medical point of view, but also the psychological and economic requirements of the patient and their social environment.

      • 제 1 중족골에 발생한 기괴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 증례 보고

        김우성,정유훈,오상훈,한은미,Kim, Woo-Sung,Jung, Yu-Hun,Oh, Sang-Hun,Han, Eun-Mee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20 No.2

        기괴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Nora씨 병변)은 드문 발생률을 가진 양성 종양으로 주로 수부 및 족부의 단관골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중족골에서 발생한 증례가 국내에서 보고된 경우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중족골에 발생한 기괴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Bizar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Nora's lesion) is a rare benign tumor and known to be primarily occur in the small tubular bone of the hands and feet. However, it is very unusual to be reported that it occurs in metatarsal bone in Korea. Thus, we report this tumor of metatarsal bone including the literature review because we have experienced this example.

      • KCI등재

        중족근 관절의 탈구 및 골절: 증례 보고

        최준철,정유훈,박상준,Choi, Jun Cheol,Jung, Yu-Hun,Park, Sang Ju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7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21 No.3

        The midtarsal joint is composed of the talonavicular and calcaneocuboid joints. It is also known as the Chopart joint. Midtarsal joint fracture and dislocation are relatively rare and frequently missed or misdiagnosed. A proper understanding about the anatomy of the midtarsal joint is an essential part in comprehending the mechanism of injury and rationale for treatment. Anatomical reduction of midtarsal joint with correction of the column in length and shape are important; however, it is technically challenging and may require open procedure. Herein, we described a case of initial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for midtarsal joint fracture and dislocation with a brief literature review.

      • 반월판 연골 손상이 동반된 환자에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

        이광원,박재국,정유훈,김병성,김하용,최원식,Lee Kwang Won,Park Jae Guk,Jung Yu Hun,Kim Byung Sung,Kim Ha Yong,Choy Won Sik 대한관절경학회 2003 대한관절경학회지 Vol.7 No.2

        서론 : 반월판 연골 손상이 동반된 슬관절의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반월판 연골 상태에 따른 술 후 전방 불안정성과 기능 등의 임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10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과 반월판 연골 절제술을 실시한 증례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78예를 대조군인 반월판 연골 정상군과 내측 반월판 연골 절제군, 외측 반월판 연골 절제군, 내외측 반월판 연골 절제군의 4군으로 분류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32개월(12개월$\~$72개월)이었으며 성별은 남자 64예, 여자 14예였고, 나이는 평균 32세(18세$\~$57세)였다. 임상적으로 전방 전위 검사, Lachman 검사, 관절 운동 범위, 대퇴 사두 고근의 위축정도 그리고 KT-2000관절 계측기를 이용하여 건측과의 전방 전위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IKDC와 OAK그리고 Lysholm knee score를 이용한 기능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15lb와 20lb 외력에서 건측과의 평균 전방 전위 차이는 반월판 연골 정상군, 외측 반월판 연골 절제군, 내측 반월판 연골 절제군, 내외측 반월판 연골 절제군에서 군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반월판 연골 절제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30lb에서는 2.47 mm, 2.96 mm, 2.96 mm 그리고 3.57 mm로 반월판 연골 절제군에서 전방 전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전방 전위 차이가 15lb 외력에서 각 군 21예$(91.3\%)$, 15예$(100\%)$, 24예$(92.3\%)$, 12예$(85.7\%)$ 전체 72예 $94\%$에서 그리고 20lb에서는 20예$(87\%)$, 15예$(100\%)$, 24예$(92.3\%)$, 11예$(78.6\%)$ 전체 70예 $91\%$에서 3 mm 이하로 술 후 슬관절 안정성이 향상되는 경향이었다(p>0.05). OAK score는 각 군별 평균은 각각 94.5점, 93.2점, 92.2점, 그리고 90.4점이고 전체 71예, $91\%$가 양호 이상이었고, 내외측 반월판 연골 절제군에서 4예$(28\%)$의 보통이 관찰되었다. Lysholm knee score는 각각 97.4점, 96.5점, 94.9점 그리고 93점이었고 전체 65예, $83\%$에서 양호 이상이었고 IKDC 등급은 고령의 내측 반월판 연골 절제군 2예, 내외측 반월판 연골 절제군 2예에서 비정상이었고 74예$(95\%)$에서 거의 정상 이상이었다. 결론 : 반월판 연골 손상이 동반된 전방 십자인대 재건 슬관절의 장기 추시 관찰에서 반월판 연골의 상태가 전방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고 이의 객관적 평가로는 KT-2000 관절 계측기가 유효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analyze the anterior stability and functional results after the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and meniscectomy based on meniscus status at the time of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 From October 1997 to October 2002, 78 patients (male 64 female 14) were treated by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and meniscectomy and followed more than 12 months (range, $12\~72$ months, average: 32 months). Average age was 32 years old (range, $18\~57$ years old).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4 groups; Both menisci was intact (BMI, control group), lateral meniscus removed (LMR), medial meniscus removed (MMR) and both menisci removed (BMR). Anterior passive displacement (objective stability) was estimated using KT-2000 arthrometer under the loading of 15lb,20lb and 30lb and evaluated anterior drawer test, Lachman test, range of motion, thigh circumference. Functional evaluation system of IKDC, OAK and Lysholm knee score was used. Results : Average anterior displacement under the loading of 30lb were 2.47 mm, 2.96 mm, 2.96 mm and 3.57 mm in each group(BMI, LMR, MMR, BMR)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anterior displacement under the loading of 15lb and 20lb in each group but it has showed decreasing tendency in meniscal removed groups. The mean anterior displacement was within 3 mm in 21 cases, 15 cases, 24 cases and 12 cases (total 72 cases, $94\%$) under the loading of 15lb and 20 cases, 15 cases, 24 cases and 11 cases (total 70 cases, $91\%$) under the loading 20lb of in each group and postoperative knee joint stability has showed increasing tendency (p>0.05). The mean score was 94.5, 93.2, 92.2 and 90.4 points in each group and 71 cases $(91\%)$ were more than excellent or good with a OAK score and fair results were noted 4 cases in both meniscal removed group. There were 65 cases $(83\%)$ with a Lysholm knee score more than excellent or good, and IKDC grading were more than normal or nearly normal in 74 cases $(95\%)$ except 4 cases (2 cases in MMR group and 2 cases in BMR group). Conclusion : Long-term anterior stability and functional results of a successful ACL reconstruction affected by tile status of the menisci at the time of surgery and KT-2000 arthrometer was good for estimation of objective follow up.

      • 족관절 골절에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진단과 골편 고정술을 위한 전산화 단층 촬영의 유용성

        나화엽,조국희,정유훈,Na, Hwa-Yeop,Cho, Kook-Hee,Jung, Yu-Hu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2

        목적: 족관절 골절에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진단 및 골편 고정술을 위한 전산화 단층 촬영의 유용성을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7월부터 2010년 7월까지 본원에서 단순 방사선 검사 및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여 수술한 족관절 골절 환자 108명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동반된 환자 19명과 대조군 89명으로 나누어, Lauge-Hansen 분류, 수상 시 힘의 양,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의 방사선학적 지표를 비교하였다. 두 군의 평균 추시 기간은 각각 25개월 및 23개월이었다. 전체 환자 중 수술 시 부하 검사에 족관절 불안정성으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골편을 고정한 환자 8명과 횡나사 경비 고정술을 한 환자 11명의 최종 추시 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동반된 환자 19명 중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만 발견된 환자가 14명이었다.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있는 환자가 없는 환자에 비해 회내-외회전에 의한 손상, 고 에너지 손상,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에 대한 방사선학적 지표에 해당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골편을 고정한 환자와 횡나사 경비 고정술을 한 환자 모두 최종 추시 상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고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회내-외회전, 고 에너지 손상, 방사선학적 지표 상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에 해당하는 족관절 골절 환자에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유무를 알기 위해 전산화 단층 촬영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있는 경우 골편을 직접 고정하는 것이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의 치료에 유용한 방법 중 하나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computerized tomography (CT) for the diagnosis and the fragment fixation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avulsion fracture in ankle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108 patients with an ankle fracture who had been checked with plain radiographs and CT from July 2006 to July 2010.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atients with (19 patients) and without (89 patients) an avulsion fracture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The two groups were evaluated with Lauge-Hansen classification, the energy of trauma, and the radiologic indices for syndesmotic injury, and were compared each other. Average follow up periods of two groups were 25 and 23 months each. Those who were unstable at stress test during surgery were divided into fragment fixation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avulsion fracture group (8 patients) and transfixation one (11 patients) according to treatment method.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t last follow up were also compared. Results: Fourteen avulsion fractures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were diagnosed by CT only. Incidences of pronation-external rotation injury, high energy trauma, positive radiologic indices for syndesmotic injur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an avulsion fracture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than those without it.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were satisfactory in both groups at last follow up, a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m. Conclusion: In patients who have an ankle fracture by pronation-external rotation injury, high energy trauma, or with positive radiologic indices for syndesmotic injury, CT is useful for diagnosis of an avulsion fracture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Fragment fixation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avulsion fracture is a useful treatment option for syndesmotic injury.

      • KCI등재

        요추부 화농성 척추염의 수술적 치료: 이환된 추체에 척추경 나사 고정이 타당한가?

        나화엽(Hwa-Yeop Na),정유훈(Yu-Hun Jung),이주영(Joo-Young Lee),김형도(Hyung-D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5

        목적: 화농성 요추부 추체 감염의 수술적 치료 시 이환된 추체에 척추경 나사를 삽입하는 수술법은 균막의 형성 및 감염 치료 실패의 위험성으로 기피되었다. 저자들은 이환된 추체에 척추경 나사를 삽입하여 고정 분절수를 최소화하면서도 감염 치료에 성공하였는바, 이를 분석하여 해당 술식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8년 6월까지 본원 척추센터에서 제1저자에 의해 수술적으로 치료한 화농성 요추부 척추 감염환자 중, 이환된 추체에 직접 척추경 나사를 삽입하여 유합술을 시행한 환자군을 그룹 A, 이환된 추체 척추경의 골파괴 소견으로 인접 정상 추체에 척추경 나사를 삽입하여 유합술을 시행한 환자군을 그룹B로 분류하여 임상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후방 접근법으로 수술하였으며, 이환된 추간판을 제거하고 부골화된 추체의 소파술 및 추체 간 자가 지주골 이식술후 척추경 나사 고정술을 시행한 48예(그룹A 28예, 그룹B 20예)를 대상으로 두 그룹 간의 입원 기간, 수술 시간, 출혈량 및 수술 후 1개월째 EQ-5D 지수, 주사 항생제 투여 기간, 혈액학적 결과, 임상적 결과, 방사선학적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A에서 고정 분절 수, 수술 시간, 출혈량 및 술 후 1개월째 EQ-5D 지수에서 그룹 B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며, 항생제 사용 기간, 입원 기간, 방사선학적 골유합의 시기, 시상각의 교정률 및 재발률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후방 도달법을 통한 이환된 추체에 직접 척추경 나사를 삽입하는 최소 분절 고정술은 수술 시간 및 출혈량이 줄어들고, 고정분절을 최소화하여 요추부의 운동성을 보전하면서도, 감염의 확산이나 재발 없이 빠른 회복을 보였기에, 요추부 화농성 척추염 환자의 수술적 치료 시 권장할 만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Purpose: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pyogenic lumbar spondylodiscitis, screw insertion at the affected vertebra has been avoided because of biofilm formation, and the risk of infection recurrence. The authors analyzed the success rate of infection treatment while minimizing the number of instrumented segments by inserting pedicle screws into the affected vertebra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usefulness of this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0 to June 2018, among patients with pyogenic lumbar spondylodiscitis treated surgically, group A consisted of patients with pedicle screws inserted directly at the affected vertebrae (28 cases), and group B underwent fusion by inserting screws at the adjacent normal vertebrae due to bone destruction of the affected vertebral pedicle (20 cases). The classified clinical result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All patients were treated via the posterior-only approach, so the affected disc and sequestrum were removed. Posterior interbody fusion was performed with an autogenous strut bone graft, and the segments were then stabilized with pedicle screw systems. The hospitalization period, operation time, amount of blood loss, EQ-5D index, duration of intravenous antibiotics, an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were analyzed. Results: In group A, the number of instrumented segments, operation time, blood loss, and EQ-5D index at one month postoperativel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group B.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uration of antibiotic use, hospitalization, radiological bone union time, sagittal angle correction rate, and recurrence rate. Conclusion: Minimal segmental fixation, in which pedicle screws were inserted directly into the affected vertebrae through the posterior approach, reduced the surgery time and blood loss, preserved the lumbar motion by minimizing fixed segments and showed rapid recovery without spreading or recurrence of infection. Therefore, this procedure recommended for the surgical treatment of lumbar pyogenic spondyodiscitis.

      • 저전력 스마트 기기를 위한 정적 및 동적 손동작 인식 연구

        도우형(Wuhyeong Doh),이동진(Dongjin Lee),윤성로(Sungroh Yoon)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2

        딥러닝 분야가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인공지능 기술을 스마트 기기에 적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저전력 스마트 기기에 적용 가능한 hand gesture recognition system 을 제안하였다. 제시된 시스템은 spiking neural networks 를 사용한 에너지 효율적인 wake-up gesture discriminator 를 도입했으며 static frame-based 와 dynamic event-based 두가지 버전의 hand gesture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시상면 불균형 환자에서 척추경을 통한 쐐기형 절골술[PSO]을 시행한 후 교정각 소실에 대한 원인 분석

        김환(Whoan Jeang Kim),강종원(Jong Won Kang),김규현(Kyou Hyeun Kim),박건영(Kun Young Park),정유훈(Yu Hun Jung),학재(Hack Jae Jeong),최원식(Won Sik Choy)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6

        목적: 시상면 불균형 환자에서 척추경을 통한 쐐기형 절골술을 시행한 후 교정각 소실의 원인을 방사선학적 측면에서 후 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척추경을 통한 쐐기형 절골술을 시행한 4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하요추부 가동 분절의 유무와 전방 지지 유무에 따른 교정각 소설의 원인을 방사선학적 측면에서 각각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전만곡도의 교정각 소설은 하요추부 가동 분절이 있는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25), 절골 추체의 교정각 소실은 가동 분절의 유무에 관계없이 거의 없었다. 절골술 상부 고정 범위의 교정각 소실은 가동 분절의 유무에 따른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p=0.138), 하부 고정 범위에서는 하요추부 가통 분절이 있는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4). 가동 분절이 있는 경우 상부 고정 범위에 비해 하부 고정 범위에서 교정각 소실이 더 많이 발생하였으며, 전방 지지를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서 하부 고정 범위의 교정각 소실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2). 결론: 교정각 소설은 가동 분절이 있는 추간판에서 일어나고 특히, 절골술 상부 고정 범위에서보다 하부 고정 범위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므로 절골술 하부 고정 범위 모두를 전방지지 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validate the surgical principles by analyzing the cause of a correction loss after pedicle subtraction osteotomy in patients with a sagittal imbalance in the radiological aspects, retrospectively. Materials and Methods: Forty cases were analyzed radiographycally according to the presence (Group A) or absence (Group B) of the lower mobile segment and anterior column support performed (Group A2) or not (Group A1), respectively. Results: The overall correction loss of the total fused part appeared to increase in group A (p=0.025) and the degree of lordosis of the osteotomy site showed an almost zero correction loss in group A and B. No statistic difference of the correction loss of the upper segment of the osteotomy site between the two groups was found (p=0.138). The correction loss of the lower segment of osteotomy site increased statistically more in goup A (p=0.014). The correction loss in group A occurred more in the lower segment than in the upper segment and the correction loss of the lower segment in group A1 appeared to have a better correlation than group A2 (p=0.012). Conclusion: Correction loss occurs at the intervertebral disc of the mobile segment. It is considered desirable to have anterior column support to all lower segment of the osteotomy site, because the correction loss increases more in the lower segment than in the upper seg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