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추 추간판 탈출증에 시행한 절제술의 소견 및 예후에 관한 연구 : A Histologic, Radiologic and Clinical Correlations based on over 95 Discectomies

        나화엽,김영태,안형선,김기용 대한척추외과학회 1994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 No.1

        Although a few reports have described the histopathologic findings of the removed disc material after lumbar discectomy,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histologic, radio- logic and clinical findings is rarely recognized.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histopathologic, radiographic and clinical review of the results for patients who had a discectomy for the treatment of herniated lumbar intervertebral disc to find out any prognostic factors. We analysed ninety five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by partial laminectomy and discectomy for intervertebral disc herniation from Jun. 1989 to Apr. 1992 at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Asan Medical Center. The mean follow up duration was 18 months(range, 12-36 month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69 histopathological studies, all cases included the component of annulus fibro- sus, but none of them contained the component of nucleus pulopsus alone. An avul- sion type of the herniated disc materials composed of cartilage end plate and annu- lus fibrosus was 62% (43/69) of the cases, and we could not find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ge and the incidences of avulsion type, but we could fi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ypes on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the incidences of avulsion type(p<0.05). That is to say, avul- sion type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non-contained type than contained type. 2.The space-occupying ratio of herniated disc mass to spinal canal averaged 34. 3%, and it was correlated with the weight of removed disc material(p<0.05), but not with the postoperative clinical results. 3.The reduction of the heights of operated disc levels at the latest follow-up radiograph in comparison with preoperative radiograph averaged 5.1%, and this post- operative disc height change did not hav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ither weight of removed disc material or clinical results. 4.The weight of removed disc material averaged 1.6 grams per level, and it didn'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ostoperative clinical results. That is to say, the more increased weight of removed disc material didn' guarantee the better clinical results.

      • 족관절 골절에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진단과 골편 고정술을 위한 전산화 단층 촬영의 유용성

        나화엽,조국희,정유훈,Na, Hwa-Yeop,Cho, Kook-Hee,Jung, Yu-Hu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2

        목적: 족관절 골절에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진단 및 골편 고정술을 위한 전산화 단층 촬영의 유용성을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7월부터 2010년 7월까지 본원에서 단순 방사선 검사 및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여 수술한 족관절 골절 환자 108명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동반된 환자 19명과 대조군 89명으로 나누어, Lauge-Hansen 분류, 수상 시 힘의 양,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의 방사선학적 지표를 비교하였다. 두 군의 평균 추시 기간은 각각 25개월 및 23개월이었다. 전체 환자 중 수술 시 부하 검사에 족관절 불안정성으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골편을 고정한 환자 8명과 횡나사 경비 고정술을 한 환자 11명의 최종 추시 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동반된 환자 19명 중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만 발견된 환자가 14명이었다.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있는 환자가 없는 환자에 비해 회내-외회전에 의한 손상, 고 에너지 손상,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에 대한 방사선학적 지표에 해당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골편을 고정한 환자와 횡나사 경비 고정술을 한 환자 모두 최종 추시 상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고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회내-외회전, 고 에너지 손상, 방사선학적 지표 상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에 해당하는 족관절 골절 환자에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유무를 알기 위해 전산화 단층 촬영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있는 경우 골편을 직접 고정하는 것이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의 치료에 유용한 방법 중 하나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computerized tomography (CT) for the diagnosis and the fragment fixation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avulsion fracture in ankle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108 patients with an ankle fracture who had been checked with plain radiographs and CT from July 2006 to July 2010.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atients with (19 patients) and without (89 patients) an avulsion fracture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The two groups were evaluated with Lauge-Hansen classification, the energy of trauma, and the radiologic indices for syndesmotic injury, and were compared each other. Average follow up periods of two groups were 25 and 23 months each. Those who were unstable at stress test during surgery were divided into fragment fixation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avulsion fracture group (8 patients) and transfixation one (11 patients) according to treatment method.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t last follow up were also compared. Results: Fourteen avulsion fractures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were diagnosed by CT only. Incidences of pronation-external rotation injury, high energy trauma, positive radiologic indices for syndesmotic injur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an avulsion fracture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than those without it.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were satisfactory in both groups at last follow up, a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m. Conclusion: In patients who have an ankle fracture by pronation-external rotation injury, high energy trauma, or with positive radiologic indices for syndesmotic injury, CT is useful for diagnosis of an avulsion fracture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Fragment fixation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avulsion fracture is a useful treatment option for syndesmotic injury.

      • KCI등재

        급성 동통성 골다공증 추체 압박 골절에서 경피적 추체 성형술과 보존적 치료의 결과 비교

        나화엽,이영상,박태훈,김태환,서강원 대한척추외과학회 2014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1 No.2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comparative study. Objectives: To compare the outcome of percutaneous vertebroplasty (VP) and conservative treatment for the treatment of acute painful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VCF).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Vertebroplasty is a common procedure for the treatment of acute painful osteoporotic VCF. However,controversy still exists regarding clinical outcomes of the procedure compared with more conservative treatment. Material and Methods: A consecutive group of patients, undergoing VP and conservative treatment at our hospital, between July 2005and October 2008,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ll patients were reviewed with at least 1 year of follow up. A total of 58 patientsunderwent 59 VP procedures under local anesthesia at post injury 2 weeks; a total of 31 underwent conservative treatment. These twogroups were compared by the kyphotic angle and loss of vertebral body height at immediate post-injury, post-injury 6weeks and 1y ear,radiologically. And they were compared by the visual analog scale(VAS) score and ambulatory status at the same time, clinically. Results: At the time of immediate post-injury, six weeks after post-injury, one year after injury, height loss was 29.73%, 19.81%, 22.59%in the VP group, respectively, and 31.20%, 36.80%, 40.60% in the conservative treatment group, respectively. The Kyphotic angles were13.44°, 9.10°, 11.31° in VP group, respectively, and 10.29°, 15.83°, 19.00° in the conservative treatment group, respective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of height loss and kyphotic angle in VP group at post-injury of 6 weeks and 1 year(p<0.05). At the same time, VAS scores were 9.41, 4.32, 2.47 in the VP group, respectively, and 9.50, 6.25, 2.71 in conservative treatment group,respectively. Ambulation status was 3.61, 1.46, 1.22 in the VP group, respectively, and 3.65, 2.45, 1.32 in the conservative treatmentgroup, respective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of VAS score and improved ambulation status in VP group at post-6weeks, but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t post 1 yea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ew fractures of adjacent vertebraebetween the two groups (p>0.05). Conclusions: VP prevents further collapse and kyphosis relieves pain quickly and allows early ambulation, but in post-injury 1 yearfollow 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outcomes. Proper treatment should be done with respect to patient’s age, generalcondition, economic status and complication. Key Words: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Osteoporosis, Vertebroplasty, Conservative treatment 연구계획: 후향적 비교 연구목적: 골다공증성 추체 압박 골절에 대한 경피적 추체 성형술과 보존적 치료의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선행 문헌의 요약: 수술 직후 경피적 추체성형술은 보존적 치료에 비해 통증 완화와 신체 기능 개선에 있어 우수한 결과를 보인다. 그러나, 장기 추시 결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7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골다공증성 추체 압박 골절로 본원에서 경피적 추체 성형술과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58명의 환자에서 경피적 추체 성형술을 시행하였고, 31명의 환자에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후만의 증가와 추체 높이의 소실,Visual analog scale (VAS) score, 보행단계를 수상 직후, 수상 후 6주와 1년에 비교하였다. 결과: 추체 높이의 소실은 추체 성형술 군에서 수상 직후, 수상 후 6주, 수상 후 1년에 29.73%, 19.81%, 22.59%이었고, 보존적 치료군에서 각각31.20%, 36.80%, 40.60%이었다. 후만각은 추체 성형술군에서 13.44도, 9.10도, 11.31도이었고, 보존적 치료군에서 각각 10.29도, 15.83도, 19.00도이었다. 추체 성형술 군에서 수상 후 6주와 1년에 추체높이 소실의 감소 및 후만각 증가가 유의하게 적었다(p<0.05). VAS score는 추체 성형술 군에서9.41점, 4.32점, 2.47점이었고, 보존적 치료 군에서 각각 9.50점, 6.25점, 2.71점이었다. 보행단계는 추체 성형술군에서 3.61점, 1.46점, 1.22점이었고,보존적 치료군에서 3.65점, 2.45점, 1.32점이었다. 추체 성형술군에서 수상 후 6주에 유의한 통증의 감소 및 보행단계의 호전을 보였으나, 수상 후 1년에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추시 기간 중 인접추체의 골절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추체 성형술은 보존적 치료에 비하여 추체의 붕괴 및 후만곡의 증가를 막아주며, 조기에 통증을 완화시키고 보행을 가능하게 하나 수상 후 1년째임상적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골다공증성 압박 골절 환자의 치료시 환자의 통증이나 경제적 사정 및 합병증을 고려하여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를 선택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추체 압박 골절, 골다공증, 추체 성형술, 보존적 치료약칭제목: 추체 성형술과 보존적 치료의 비교

      • KCI등재
      • KCI등재

        양측 족관절에 발생한 만성 재발성 비골건 탈구의 수술적 치료: 증례 보고

        나화엽,송우석,이주영,Na, Hwa-Yeop,Song, Woo-Suk,Lee, Joo-Young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20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24 No.4

        A peroneal dislocation is a rare disease that is often misdiagnosed as a simple sprain and can be treated inadequately in the acute phase. 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o have an appropriate diagnosis in the early stages because it can progress to chronic and recurrent conditions. Surgical treatment is considered mainly when progressing to chronic recurrent dislocation. Recently, patients with an acute peroneal dislocation tend to prefer surgical treatment, so accurate ini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are very important. This paper reports a case of chronic recurrent peroneal tendon dislocation in both ankle joints, which was treated by a superior peroneal retinaculum reconstruction and a groove deepening procedure.

      • KCI등재

        저에너지 외상에 의한 비전위 치골지 골절에서 발생한 대량출혈

        나화엽,신근영,최세헌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6

        Most low-energy pelvic ring fractures in elderly patients are treated conservatively so that an initial evaluation for complications such as vascular injury is usually overlooked. An 81-year-old female, who was taking regular aspirin, visited the emergency room and was diagnosed with a simple non-displaced pubic ramus fracture from a low-energy fall from standing, which was complicated by massive hemorrhage from the overlooked injury of the corona mortis. Elderly patients with pelvic ring fractures can have a delayed presentation of vascular injuries, regardless of the degree of displacement of the fractures, which highlights the need for a careful physical examination and close monitoring. 대부분의 저에너지 외상에 의한 골반환 골절은 합병증 없이 보존적 치료만으로 호전이 되어 혈관손상 등의 합병증에 대한 초기평가를 간과하기 쉽다. 본 증례보고에서는 평소 aspirin을 복용하던 81세 여자환자가 낙상으로 비전위성 치골지 골절이 발생하면서 corona mortis가 손상되어 나타난 대량출혈을 보고하는 바이다. 고령의 골반환 골절 환자에서는 골절의 전위 여부와 관계없이 혈관손상이 지연되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면밀한 이학적 검사 및 감시가 필요하다

      • KCI등재

        화농성 요추부 척추 감염의 수술적 치료: 동시에 시행한 후방 소파술과 추체간 유합 및 기기 고정술

        나화엽,이영상,최준철,김우성,송우석,노현민,김세준,김완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7 No.1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outcomes of surgical treatment for pyogenic lumbar spondylodiscitis. Objectives: To report the clinical outcomes of the surgical treatment of pyogenic lumbar spondylodiscitis using a one stage posterior approach.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are few reports on the treatment of pyogenic lumbar spondylodiscitis through a one stage posterior approach.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une 1999 and June 2005,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y of 12 patients with pyogenic lumbar spondylodiscitis treated by simultaneous posterior debridement, autogenous iliac bone graft and pedicle screw fixation. The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in terms of the pain level, neurological status, hematological parameters and radiology findings. Results: The clinical symptoms improved in all cases after surgery. There was no case of the infection recurring. The mean time for postoperative antibiotics and hospitalization was 6 weeks and 41.6 days, respectively. Radiological bony fusion was observed at 5.5 months on average. The mean preoperative, immediate postoperative and final follow-up sagittal angles were 4.6, 8.6 and 6.9º . Conclusion: One stage posterior interbody fusion and instrumentation for the treatment of pyogenic lumbar spondylodiscitis can provide radical debridement, bone graft and immediate stability without prohibiting the control of infection. Therefore, it can be used in selected cases. 연구계획: 수술적으로 치료한 화농성 요추부 척추 감염 환자 중 후방 도달법으로 동시에 후방 소파술, 추체간 유합술 및 기기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의 임상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목적: 지금까지 화농성 척추 감염의 수술적 치료는 철저한 병소 제거가 용이한 전방 도달법을 선호하고 금속 기기의 사용을 꺼려하였다. 그러나, 저자들은 후방 도달법 만으로 병소를 제거하고 골 이식술과 금속 기기 고정술을 동시에 시행함으로서, 수술에 따르는 위험도를 줄이고 요추부전만을 회복하며, 조기 보행을 가능하게 하였는 바, 이러한 술식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6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요추부 화농성 척추 감염에 대하여 후방 도달법으로 병소 제거 및 자가골 이식술과 후방 기기 고정술을 동시에 시행한 12례(남자5례, 여자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4.5세(47세-74세) 이었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2.1년(1년-5년)이었다. 수술 전후 임상적 결과와 방사선학적인 골 유합과 시상각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전례에서 임상 증상이 호전되었으며, 감염이 재발한 경우는 없었다. 수술 후 항생제 사용기간은 평균 6.5주 이었으며, 수술 후 입원 기간은 평균 41.6일 이었다. 방사선상 골 유합이 관찰된 시기는 평균 5.5개월 이었다. 이환부의 시상각 교정은 술 전 평균4.6도 전만각에서 술 후 평균 8.6도, 최종 추시에서 평균 6.9도 전만각을 보였다. 결론: 요추부의 화농성 감염의 수술적 치료시 후방 도달법만으로 척추체 전방 농양, 추체 및 추간판의 병소를 제거할 수 있고, 동시에 추체간 골 이식 및 기기 고정술을 시행하여 수술의 위험성을 줄이면서 조기 보행이 가능하고, 감염의 재발 없이 양호한 골 유합과 임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바, 이는 요추부 화농성 척추 감염환자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흉요추부 불안정성 방출성 골절의 단분절 및 장분절 후방 고정술의 비교 - 부하분담 분류 7점 이상 -

        나화엽,최준철,김우성,송우석,정유훈,박태훈,김태환,서강원,이영상 대한척추외과학회 2013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0 No.2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hort-segment and long-segment posterior fixation in thoracolumbar burst fractures that are 7 points or above in load-sharing score was performe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appropriate level of fixation by comparing the results of short-segment and long-segment posterior fixat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is general consensus that short-segment fixation should be done in thoracolumbar burst fractures that are 6 points or less in load-sharing classification. There is some controversy regarding whether short-segment or long-segment fixation should be done in thoracolumbar burst fractures that are 7 points or above in load-sharing classifica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1998 through 2008, 32 patients with thoracolumbar burst fractures above 7 points in load-sharing classification had been operated with short-segment (1 segment above and 1 segment below: 23 patients) or long-segment (2 segments above and 1 segment below: 9 patients) transpedicular screw fixation at the author’s institution. They were divided by two groups (group I: short-segment fixation, group II: long-segment fixation).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49.2 years old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4 years (1-7 years). I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simple radiographs, the bony unions, breakages or loosening of implants were assessed, and the losses of correction angle and anterior vertebral body height were measured. Results: In all cases, non-union or loosening of implants were not observed. There was 1 screw breakage in short-segment fixation group during the follow up period, but bony union was obtained at final follow-up. The mean score of load sharing classification was 7.3 in Group I and 7.1 in Group II,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0.05) The mean anterior vertebral body height loss was 5.3% in Group I and 3.6% in Group II and the mean loss of correction angle were 4.72 in Group I and 3.38 in Group I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or both. (p>0.05)Conclus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adiologic parameters between two groups. Short-segment fixation could be used successfully in selected cases of thoracolumbar burst fractures that are 7 points or above in load-sharing classification. 연구 계획: 부하 분담 분류 7점 이상의 흉요추부 방출성 골절에서 단분절 및 장분절 후방 고정술의 결과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목적: 단분절 및 장분절 후방 고정술의 결과를 비교하여 적절한 유합 범위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부하 분담 분류 6점 이하에서는 후방 단분절 고정술을 통한 유합에 대부분이 동의하는 바이며, 7점 이상에서는 전방 지지의 필요성및 후방 장분절 및 단분절 고정술이 논란이 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08년까지 흉요추부 골절에 대하여 부하 분담 분류 7점이상의 환자에서 단분절 및 장분절 후방 고정술을 시행한 32명(단분절-1군: 골절된 추체 상 하위 1개의 추체 고정 :23명 ,장분절-2군: 골절된 추체 상위2개, 하위1개의 추체를 고정: 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49.2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2.4년(1~7년)이었다. 수술 전후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골유합 및 기기의 파단과 이완 여부를 평가하였고, 전방 추체 높이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국소 후만각을 Cobb씨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전례에서 불유합 및 기기의 이완은 관찰되지 않았다. 단분절 고정술을 시행한 군 1례에서 나사못의 파손이 관찰되었으나 최종 추시상 양호한 골유합 소견을 보였다. 부하 분담 분류에 의한 점수의 평균은 1군 7.3, 2군 7.1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p>0.05), 술후 전방 추체 높이의 감소는 1군5.3%, 2군 3.6%이었고, 교정각의 소실은 1군 4.72, 2군 3.38로 술후 전방 추체 높이의 감소 및 교정각의 소실 모두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결론: 단분절 고정술은 장분절 고정술과 비교하여 방사선학적 지표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단분절 고정술은 잘 선별된 부하 분담 분류 7점 이상의 흉요추부 방출성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성공적인 술식으로 시행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인간 연골세포에서 Heat Shock Protein 27의 발현이 세포사멸(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나화엽,김영태,장재석,박종훈,김정화,윤경동,정유영,김우석 대한정형외과학회 200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7 No.1

        Purpos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whether human articular chondrocytes express heat shock protein 27 (hsp27) and to evaluate the relation between hsp27 and the apoptosis of chondrocytes. 목 적 : 골관절염이 있는 인간 관절 연골세포에서 heat shock protein 27 (hsp27)이 발현되는지 알아보고, 발현된 hsp27이 연골세포의 세포사멸(apoptosis)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