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지역별 기온 자료를 활용한 벼 안전 재배 시기 분석

        양운호,강신구,김숙진,최종서,박정화 한국농림기상학회 2018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20 No.2

        The probability of safe cropping and the major phenological stages in rice were assessed using daily mean temperature data from 1981 to 2016 at 27 sites in North Korea. The threshold temperatures for early marginal transplanting date (EMTD), marginal harvesting date (MHVD), safe marginal heading date (SMHD), and cumulative temperature-based heading date (CTHD) were set to be 14oC, 13oC, 22oC for 40 days after heading, and cumulative temperature of 1200oC to MHVD, respectively. The safe heading date (SHD) was assumed to be either SMHD or CTHD whichever was earlier. It was also assumed that the minimum requirement for the suitability of safe rice cropping was met when both SMHD and CTHD appeared along with the time period of 60 days or more from EMTD to SHD. It was analyzed that 17 sites (Kaesong, Haeju, Yongyon, Singye, Sariwon, Nampo, Pyongyang, Anju, Kusong, Sinuiju, Changjon, Wonsan, Hamhung, Pyonggang, Huichon, Supung, Kanggye) had 90% or higher probability, two sites (Yangdok, Sinpo) had 80-90% probability, and eight sites (Kimchaek, Chunggang, Chongjin, Sonbong, Changjin, Pungsan, Hyesan, Samjiyon) had less than 80% probability of the safe rice cropping. For each region, the representative EMTD, SHD, and MHVD were analyzed using the 80 percentile of total years tested. The ranges for EMTD, SHD, and MHVD were May 4 in Sariwon∼May 24 in Sinpo, June 21 in Kanggye∼August 11 in Haeju, and September 17 in Kanggye∼October 16 in Haeju and Changjon, respectively. Time durations from EMTD to SHD and from SHD to MHVD were 67∼97 days and 57∼72 days,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regions. This study would facilitate modeling efforts for rice yield simulation in future studies. Our results would als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ractical researches on the rice cropping system in North Korea. 본 연구는 북한 27개 기상 관측 지점의 1981∼2016 년 기온 자료에 벼 주요 생육 단계의 기준 온도를 적용하여 지역별 벼 안전 재배 가능성을 분석하고 각 지역의 기온에 적합한 재배 시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벼 안전 재배 가능 햇수 비율은 개성, 해주, 용연, 신계, 사리원, 남포, 평양, 안주, 구성, 신의주, 장전, 원산, 남포, 평강, 희천, 수풍, 강계의 17 지역에서 90% 이상이었고, 양덕과 신포의 2개 지역에서 80∼90%로 벼 재배의 안전성이 높았다. 김책, 청진, 선봉, 중강, 장진, 풍산, 혜산, 삼지연의 8개 지역은 벼 안전 재배 가능 햇수의 비율이 80% 미만으로 재배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특히 북부 고산 지대에 속하는 4개 지역에서는 안전 재배 가능 연도가 한 해도 출현하지 않았으며, 동해안 북부 지대의 선봉에서는 16%로 낮아 벼 안전 재배가 어려울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에 따라 안전 조기 이앙 한계기는 사리원의 5월 4일∼신포의 5월 24일, 안전 출수기는 강계의 7월 21일∼해주의 8월 11일, 수확 한계기는 강계의 9월 17일∼해주와 장전의 10월 16일 범위였다. 안전 조기 이앙 한계기∼안전 출수기 기간은 양덕에서 67일로 가장 짧았고, 해주에서 97일로 가장 길었다. 안전 출수기∼안전 수확 한계기 기간은 양덕, 희천, 강계에서 60일 미만으로 짧았고, 장전과 원산에서 70일 이상으로 길었다. 본 연구는 북한 지역별 평균기온에 근거하여 벼 재배 지역의 안전 생육 시기와 기간을 분석하였고, 지역별 강수량과 같은 다른 기상 요소는 고려하지 않았으며, 생산성까지는 추정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북한의 지역별 벼 재배를 위한 기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생산성 모의나 북한 적응 기술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우리나라 자포니카 벼 품종의 등숙 한계온도 분석

        양운호,강신구,이대우,채미진 한국작물학회 2023 한국작물학회지 Vol.68 No.4

        Critical temperature for grain filling of three Korean japonica rice varieties was analyzed by late transplantation to induce a low temperature during grain filling period in a field study. The grain filling percentage (GFP) and grain dry weight (GDW) showed a sigmoid development for the first and second transplants in 2020 and first to third transplants in 2021. For the third transplant in 2020 and fourth transplant in 2021, the GFP and GDW reached a peak at 42 days after heading (DAH), and then decreased or remained unchanged. In non-linear regression analyses, 95% of the final GFP and GDW appeared at 49 - 62 DAH for the second transplant in 2020 and at 37 - 46 DAH and 30 - 36 DAH for the second and third transplants in 2021, respectively. At these time points, the critical seven-day moving temperature (7dMovT) was 8.4~9.4℃ for the second transplant in 2020 and 9.4~10.9℃ for the second and third transplants in 2021, depending on the grain filling traits and varieties of rice. The lowest 7dMovT was 8.4 - 8.7℃ in the three varieties. The observed lowest 7-day mean temperature (7dMT) accompanying increases in the GFP and GDW was 9.4 - 10.1℃, depending on the varieties in the third transplant of 2020 and fourth transplant of 2021. In the two transplants mentioned above, the highest 7dMT that showed no increase or decrease in grain filling traits was 8.7 - 9.1℃. The critical temperature for grain filling of japonica rice was 8.4 - 8.7℃ based on the 7dMovT and 9.1 - 9.4℃ based on the 7dMT. The previous 7dMT of 10℃ is recommended to determine the marginal harvest time for safe rice cropping since the temperature was the highest among the lowest temperature that accompanied an increase in grain filling traits.

      • KCI등재

        북한 저온 지역의 기온과 일장 조건에서 벼 품종의 출수 반응

        양운호,강신구,최종서,이대우,이석기,채미진,Yang, Woonho,Kang, Shingu,Choi, Jong-Seo,Lee, Dae-Woo,Lee, Seuk-ki,Chae, Mi-Jin 한국작물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66 No.3

        북한 저온 지역의 재배 기간과 환경 적응 벼 품종 선정을 위해 각 지역의 조기이앙 한계기 - 출수기 기간 중 기온과 일장 변화 조건에서 남한 조생종, 북한 품종, 중국 동북3성 품종을 공시하여 30일간 육묘한 산파묘와 포트묘의 출수 반응 차이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파묘를 이앙재배하는 경우 안전출수 한계기가 나타나는 6지역에서 안전출수 한계기까지 출수한 품종은 지역에 따라 생육 기간이 매우 짧은 몇몇 품종으로 제한되거나 나타나지 않았으며, 남한 품종 중에서는 희천 환경에서 조운이 유일하였다. 2. 산파묘의 경우 안전출수 한계기 - 출수만한기 사이에 출수한 남한 품종은 기온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함흥, 평강, 희천, 강계 환경에서 공통적으로 진부올, 백일미, 조운, 조품, 진옥, 조평, 산호미, 오대였으며, 신포 조건에서는 조운, 기온이 낮았던 양덕, 김책, 청진, 선봉, 중강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3. 산파묘의 출수소요일수는 모든 10지역 환경에서 서로 유의확률 1% 수준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포트묘의 출수소요일수는 산파묘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단축되었으나 차이가 없거나 증가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산파묘 대비 포트묘의 출수단축일수는 다른 지역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7지역에서 나타났다. 5. 산파묘 대비 포트묘의 출수소요일수 단축 정도는 남한품종 중 진옥에서 지역에 따라 8~13일, 북한 품종 중 선봉9가 7~15일로 컸으며, 중국 동북3성 품종은 묘 종류사이에 출수소요일수 차이가 적었다. 6. 포트묘 공시 남한 5품종 중 안전출수 한계기까지 출수한 품종은 함흥, 평강, 양덕, 신포, 강계의 5지역 환경에서 진옥, 희천 환경에서 진부올, 조품, 진옥이었으며, 김책과 중강에서는 진옥이 출수만한기까지 출수가 빨라져 적응성이 향상되었다. 7. 기온이 가장 낮은 청진과 선봉에서는 산파묘와 포트묘 모두 출수만한기까지 출수하는 품종이 없었으며, 이들 지역에 대하여는 생육이 더 진전된 묘의 출수 단축 효과를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e heading response of rice varieties, originated from South Korea, North Korea, and northern China, was examined under the temperature and day-length conditions of 10 low-temperature regions in North Korea. When 30-day-old broadcast tray-raised seedlings (BS) were used, only one or a few varieties reached the heading stage within the safe marginal heading date (SMHD) under the Hamhung, Pyonggang, Huichon, and Kanggye conditions. In the Yangdok and Sinpo environments, no varieties reached heading until SMHD. The South Korean varieties that reached the heading stage between SMHD and late marginal heading date (LMHD) were Jinbuol, Baegilmi, Joun, Jopum, Jinok, Jopyeong, Sanhomi, and Odae for the Hamhung, Pyonggang, Huichon, and Kanggye; Joun for Sinpo; and none for Yangdok, Kimchaek, Sonbong, and Chunggang environments. The number of days to heading (DTH) was positively correlated among all 10 regions. Reduced DTH in the 30-day-old pot tray-raised seedlings (PS), compared to BS, was not consistent with varieties and regions. Reduced DTH in PS, compared to BS, was the largest in Jinok and Sonbong9 among the South and North Korean varieties, respectively, whereas it was small in the northern Chinese varieties. The South Korean varieties that headed until SMHD in PS were Jinok for the Hamhung, Pyonggang, Yangdok, Sinpo, and Kanggye environments; and Jinbuol, Jopum, and Jinok for the Huichon condition. In the Kimchaek and Chunggang conditions, Jinok reached the heading stage within LMHD. With the use of PS for some responsive varieties such as Jinok, varietal adaptability could be improved to the conditions of low-temperature regions in North Korea. None of the PS or BS among the tested varieties reached the heading stage until LMHD for the Chongjin and Sonbong conditions.

      • KCI등재

        Benzobicyclon에 대한 총체 사료용 벼 품종의 약해 반응

        양운호,손지영,김준환,정한용,안억근,김보경,박태선,윤영환 한국잔디학회 2014 Weed & Turfgrass Science Vol.3 No.3

        Benzobicyclon induces phytotoxicity to Tongil type rice, although it is an efficient herbicide in paddy. This studywas performed to figure out the benzobicyclon-induced phytotoxicity responses of whole crop forage rice genotypes that have thegenetic background similar to Tongil type rice, under wet-seeded and transplanted conditions. Mogwoo demonstrated whiteningsymptom at all the temperatures in both wet-seeding and transplanting by the application of standard and double rates ofbenzobicyclon. Nokyang, Mogyang and Suweon560 exhibited no or negligible whitening and their plant heights were not reducedat standard rate of benzobicyclon. But in double rate application in wet-seeding, the three genotypes showed 0-8% of white plantsat all temperature treatments and reduction in plant height was comparatively larger at 27oC. In transplanting, the double rateapplication of benzobicyclon at 24 and 27oC induced 0-32% of whitening plants depending on genotypes while no whiteningplants were observed at 18 and 21oC in all genotypes. Reduction in biomass by double rate of benzobicyclon at 24 and 27oC wasgreater than at 18 and 21oC. It is concluded that Mogwoo is extremely sensitive to benzobicyclon and Nokyang, Mogyang andSuweon560 are tolerant to the standard rate of benzobicyclon. 담수표면산파와 이앙재배 조건에서 benzobicyclon에 대한 총체 사료용 벼 4품종 및 계통의 약해 반응 차이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목우는 모든 재배양식, 처리온도,benzobicyclon 처리량에서 100% 백화 증상을 보였다. 녹양, 목양, 수원560은 benzobicyclon 기준량 처리에서는 백화 증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매우 경미하였다. 그러나 benzobicyclon배량 처리에서 이들 3품종 및 계통은 담수표면산파의 경우 백화 현상이 0-8% 발생하였고, 27oC의 고온 처리에서는초장의 단축 정도가 컸다. 이앙재배의 경우 이들 3품종 및계통은 평균기온 18oC와 21oC에서 백화 증상을 보이지 않았던 반면, 24oC와 27oC에서는 품종에 따라 2-32%의 백화증상을 나타내었고 건물중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Benzobicyclon 배량의 고온 처리에서 이와 같은 약해 증상은 일반형 품종인 일품에서도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목우는 benzobicyclon에 대한 약해가 매우 심하였으며, 녹양, 목양, 수원560은 benzobicyclon 기준량 처리에서는 약해를 보이지 않았다.

      • KCI등재

        북한 지역의 기온 자료를 활용한 벼 출수 한계기 및 재배 기간 분석

        양운호,강신구,김숙진,최종서,박정화 한국농림기상학회 2018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는 북한 27개 기상 관측 지역의 36년간 평균기온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별 벼 안전 출수 한계기, 출수 만한기, 재배 가능 빈도 및 생육 기간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안전 출수 한계기와 출수 만한기는 장진, 풍산, 삼지연의 3개 지역을 제외한 24개 지역에서 출현하였으며, 연도별 안전 출수 한계기와 출수 만한기의 중위값은 혜산에서 각각 7월 16일과 27일로 가장 빨리 출현하였고, 해주에서 각각 8월 18일과 28일로 가장 늦게 출현하였다. 연도별 안전 조기 이앙 한계기부터 안전 출수 한계기까지 기간의 중위값은 혜산 51일∼평양 109일, 출수 만한기까지 기간의 중위값은 혜산 65일∼남포 119일 범위로, 안전 출수 한계기보다 출수 만한기 기준 출수 소요일수의 중위값이 지역에 따라 9∼15일 증가하였다. 연도별 안전 조기 이앙 한계기부터 안전 출수 한계기 및 출수 만한기까지 기간의 상한값과 하한값은 지역에 따라 각각 21∼50일과 13∼51일의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안전 조기 이앙 한계기 이후 출수기까지 60일 이상 확보되는 비율이 80% 이상인 지역은 안전 출수 한계기를 적용한 경우에 개성, 해주, 용연, 신계, 사리원, 남포, 평양, 안주, 구성, 신의주, 장전, 원산, 함흥, 평강, 양덕, 희천, 수풍, 신포, 강계의 19개 지역이었으며, 출수 만한기를 적용한 경우에는 위 지역에 김책, 청진, 선봉, 중강이 추가된 23개 지역이었다. 지역에서 80% 이상의 확률로 출현한 대표 안전 출수 한계기는 평강 7월 24일∼해주 8월 12일 범위였으며, 안전 조기 이앙 한계기에서 출수기까지 기간은 안전 출수 한계기 기준의 양덕 69일∼해주 98일 대비 출수 만한기 기준에서 9∼17일 길어졌다. 각 지역에서 안전 조기 이앙 한계기-출수기 평균기온은 안전 출수기와 안전 출수 한계기 및 출수 만한기 사이에 차이가 적었으나, 출수기-수확 만한기의 적산온도는 특히 출수 만한기 기준에서 크게 저하되었다. 안전 출수 한계기를 기준으로 수확 만한기까지 적산온도가 적정 수준인 지역은 양덕, 강계, 희천, 수풍, 용연, 구성, 안주, 신의주, 신계, 평양, 개성, 남포, 사리원의 13개 지역이었으며, 1,300℃ 이상으로 높은 지역은 신포, 함흥, 평강, 원산, 장전, 해주의 6개 지역이었다. 종합적으로, 북한 지역에서는 김책, 청진, 선봉, 중강까지는 벼 한계 재배 지역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외의 지역 중 출수 소요일수가 짧으면서 등숙 적산온도가 충분한 지역에서는 안전 출수 한계기보다 출수기를 늦추는 방안에 대한 검토 필요성이 제기된다. The safe and late marginal heading dates (SMHD, LMHD), cropping probability, and growth duration of rice were assessed using temperature data in the 27 regions of North Korea. The medians of SMHD and LMHD ranged Jul. 16 and Jul. 27 in Hyesan to Aug. 18 and Aug. 28 in Haeju, respectively, except Changjin, Pungsan, and Samjiyon that did not show any of the SMHD and LMHD. The medians of the days from early marginal transplanting date (EMTD) to heading date ranged 51 days in Hyesan to 109 days in Pyongyang for SMHD and those were delayed by 9∼15 days for LMHD, compared to SMHD. Nineteen regions (Kaesong, Haeju, Yongyon, Singye, Sariwon, Nampo, Pyongyang, Anju, Kusong, Sinuiju, Changjon, Wonsan, Hamhung, Pyonggang, Yangdok, Huichon, Supung, Sinpo, Kanggye) and additional four regions (Kimchaek, Chongjin, Sonbong, Chunggang) had the rice cropping probability higher than 80% when analyzed based on the SMHD and LMHD, respectively. The representative SMHD ranged Jul. 24 for Pyonggang to Aug. 12 for Haeju. Compared to the days from EMTD to SMHD, those from EMTD to LMHD were delayed by 9∼17 days. When applied SMHD, thirteen regions (Yangdok, Kanggye, Huichon, Supung, Yongyon, Kusong, Anju, Sinuiju, Singye, Pyongyang, Kaesong, Nampo, Sariwon) had the appropriate range of cumulative temperature during grain filling (CT) for grain yield and quality. Sinpo, Hamhung, Pyonggang, Wonsan, Changjon, and Haeju had the CT higher than 1,300℃. It is supposed that rice cropping could be extended to the regions where LMHD-applied cropping probability was higher than 80%. Delaying the heading date than SMHD could be also considered in the regions where the days to SMHD is small but CT is large.

      • KCI등재

        중부 평야지에서 사료용 벼 기계이앙과 담수산파 재배의 건물 생산성 비교 분석

        양운호,박정화,강신구,김숙진,최종서,Yang, Woonho,Park, Jeong-Hwa,Kang, Shingu,Kim, Sukjin,Choi, Jong-Seo 한국작물학회 2018 한국작물학회지 Vol.63 No.3

        A field study was conducted over a 3-year period from 2014 to 2016 in the central plain area, Suwon, Korea, 1) to compare the biomass production between machine-transplanted and water-broadcast seeded silage rice and 2) to elucidate the growth factors that affect the difference in biomass production between the two cultivation practices. The heading date for the water-broadcast seeded silage rice was September 11-18, which was delayed by 11-17 days when compared to that for the machine-transplanted silage rice. On average, water-broadcast seeded silage rice had a shorter plant height, more panicles per area, and a greater biomass production because of the increased straw dry weight. However, the difference in dry weight of each plant organ between the two cultivation practices exhibited yearly variation. When the data were pooled across experimental years, cultivation practices, and varieties, biomass production was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raw dry weight but not with panicle dry weight. When the ratio of water-broadcast seeding to machine-transplanting was analyzed, total dry weight and straw dry weigh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whereas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otal dry weight and panicle dry weight. Despite that water-broadcast seeded silage rice produced more panicles per area than machine-transplanted silage rice, the two cultivation practices had a similar dry weight per culm.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silage rice from the water-broadcast seeding, compared to the machine-transplanting, produced more biomass because of the combination of the increased panicle number per area and a similar dry weight per culm.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lage rice could be produced through water-broadcast seeding to increase biomass production with low labor and cost input.

      • KCI등재

        중부 평야지에서 중생종 벼 ‘하이아미’의 기계이앙 시기에 따른출수기와 수량특성 변화

        양운호,강신구,박정화,김숙진,최종서,윤영환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8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30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over a 3-year period from 2013 to 2015 in the central plain area, Suwon, Korea with aims to suggest optimum transplanting date of ‘Haiami’, a mid-maturing rice cultivar, by investigating changes in heading date, climatic factors before and after heading, and yielding characteristics affected by transplanting date. Thirty-day old seedlings were machine-transplanted on four different dates at 15-day interval from May 10 to June 24. Heading dates were August 10 and August 31 at the treatments transplanted on May 10 and June 24, respectively. Late transplanted Haiami rice was subjected to higher daily mean temperature before heading and required fewer days to reach heading stage. However, for 40 days after heading, daily mean temperature decreased as transplanting was delayed. Transplanting date, as a variable, resulted in a great variation in daily mean temperature but a relatively small variation in daily sunshine hours before and after heading of Haiami plants. As transplanting was delayed, number of panicles per unit area decreased but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increased, hence the decrease in days from transplanting to heading due to late planting did not result in a reduced sink size. Sink size affected by transplanting date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rain filling percentage. However, 1000-brown rice weight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mean temperature for 40 days after heading decreased. Milled rice yield was similar among the four transplanting date treatments while head rice percentage and consequent head rice yield increased with late transplanting. Therefore, to achieve higher head rice yield in consideration of possible erratic climate at late grain filling period, it is recommended to transplant ‘Haiami’ cultivar at mid-June in the central plain area of Korea. 중부 평야지에서 중생종 벼 하이아미의 이앙시기에 따른 출수기의 변동과 출수 전후의 기상 및 수량 특성을 파악하고 적절한재배시기를 제안하기 위하여, 이앙시기를 5월 10일부터 6월 24일까지 조절하여 3년간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원 벼 재배시험 포장에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앙기가 늦을수록 출수기까지는 일 평균기온이 높았으나 출수소요일수가 단축됨에 따라 적산온도가 적어졌고, 출수 후 40일간은 평균기온이 낮고 일조시간이 많은 경향이었다. 2. 이앙기~출수기와 출수 후 40일간의 평균기온은 시험연차보다 이앙시기에 따른 변이가 컸으나 일 평균 일조시간은 이앙시기보다 시험연차에 따른 변이 정도가 더 커서, 이앙시기 조절에 의한 기상요인의 변화는 평균기온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3. 이앙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수수는 감소하였으나 수당영화수가 증가하였고, 결과적으로 이앙시기 지연에 의한 출수소요일수의 단축이 sink size의 감소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4. 이앙시기 조절에 의한 m2당 영화수의 변화는 등숙비율과 뚜렷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출수 후 40일간 평균기온이 낮아짐에 따라 현미천립중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5. 쌀수량은 이앙시기에 따라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던 반면, 완전립 비율은 6월 24일까지 이앙이 늦어짐에 따라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으며 그에 따라 완전미 수량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6. 결과적으로, 중부 평야지에서 하이아미는 이앙시기를 6월 중~하순으로 늦춤으로써 쌀 품위를 높이고 완전미 수량을 향상시킬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등숙 후기의 저온 피해 우려를 고려하면 6월 중순에 이앙하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우리나라 고품질 벼 품종의 쌀 품질 특성에 미치는 등숙기 단계별 기온과 일조시간의 영향

        양운호,최경진,손지영,강신구,신성휴,심강보,김준환,정한용,장정희,정정수,이채영,윤여태,권석주,안규남,신종희,배성문 한국작물학회 2015 한국작물학회지 Vol.60 No.3

        Relationship between grain quality-related traits and daily mean temperature/sunshine hours during grain filling stage was analyzed using eleven high quality rice varieties at 24 experimental sites through eight provinces of Korea in 2013~2014. In the data set pooled across varieties, experimental sites and years, grain quality-related traits such as percentage of head rice (PHR), head rice yield (HRY), protein in milled rice (PRO) and Toyo Mido Meter glossiness value (TGV) were higher at the temperature lower than 22.6℃ for 40 days after flowering (DAF), which was optimum for percentage of grain filling in this study. Optimum sunshine hours for 40 DAF were 6.0~6.1 hr d -1 when considered PHR, HRY and TGV. PRO was associated with daily mean temperature and sunshine hours for 40 DAF in more varieties than the other traits. PRO was closely correlated with daily mean temperature during early filling stage and sunshine hours during early to mid filling stage, compared to other stages during grain filling. It is concluded that general trend in the variation of grain quality-related traits could be explained by the changes in daily mean temperature and sunshine hours during grain filling. In addition, climate conditions during early grain filling stage played important roles to enhance grain quality. Keywords : grain filling, grain quality, rice, sunshine hours, temperature 벼 등숙기간 및 등숙기 기간별 기온과 일조시간이 쌀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국 8개도 24개지역에서 고품질 벼 11품종을 이용하여 2013-2014년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품종, 지역 및 연차별 시험성적을 모두 합하였을 때, 출수기, 출수 후 40일간 평균기온 및 일조시간의 범위는 각각 7월 23일~9월 4일, 18.8~26.4℃, 3.9~8.0시간/ 일이었다. 2. 성적을 모두 합하였을 때, 특성별 범위는 등숙비율74.2~97.9%, 현미 천립중 19.6~26.1 g, 완전미 비율61.4~98.5%, 완전미 수량 276~701 kg/10a, 쌀 단백질4.8~8.3%, Toyo Mido Meter 값 66.1~91.5였다. 3. 완전미 비율, 완전미 수량, 쌀 단백질 및 Toyo Mido Meter 값은 출수 후 40일간의 등숙 최적온도인 22.6℃ 보다 낮은 온도에서 높아졌으며, 쌀 외관품위와 밥맛을 고려한 출수 후 40일간의 최적 일조시간은 6.0~6.1 시간/일로 평가되었다. 4. 쌀 단백질은 출수 후 40일간의 평균기온 및 일조시간과 유의한 관계를 보인 품종이 전체 11품종 중 각각 8 개와 9개로, 다른 특성에 비해 많았다. 5. 쌀 단백질은 등숙 초기의 평균기온 및 등숙 초․중기의일조시간에, 완전미 비율은 등숙 초기의 평균기온 및일조시간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받았다.

      • KCI등재

        중북부 중간지대에서 극조생 벼 품종 ‘조운’의 기계이앙 시기에 따른 개화기 및 수량특성 변화

        양운호,김명기,강신구,박정화,김숙진,최종서,양창인,백남현 한국작물학회 2017 한국작물학회지 Vol.62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over a 3-year period from 2013 to 2015 in the mid-northern inland, Cheolweon, Korea, to investigate changes in flowering date, daily mean temperature during grain filling, and yield characteristics affected by transplanting date in an early-maturing rice variety, ‘Joun’. Thirty-day-old seedlings were transplanted at four different dates at 15-day interval from May 5 to June 19. Flowering dates were July 16, July 21, July 31, and August 14 when transplanting was performed on May 5, May 20, June 4, and June 19, respectively. Late transplanting resulted in higher daily mean temperature before flowering but late-transplanted rice required fewer days and lower cumulative temperature to reach flowering from transplanting. As transplanting was delayed, daily mean temperature for 40 days after flowering decreased, whereas daily sunshine hours for the same period increased, with a temperature of 24.8°C and sunshine for 5.8 hours being recorded at the transplanting on May 5, and with a temperature of 21.0°C and sunshine for 7.7 hours at the transplanting on June 19. With late transplanting, panicles per square meter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spikelets per panicle showed an increasing tren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maximum head rice yield was attained from the transplanting on May 18, for which the flowering date was July 21, and daily mean temperature for 40 days from that flowering date was 24.6°C. A decrease in head rice yield by 5% and 10% of the maximum was observed for rice transplanted on June 6 and June 15, which resulted in flowering dates of August 2 and August 11, respectively, and the daily mean temperatures for 40 days from flowering were 23.2 and 21.7°C, respectively. Therefore, in mid-northern inland, it is recommended to transplant ‘Joun’ on May 18 to induce flowering on July 21, when grain filling is subjected to a daily mean temperature of 24.6°C during active filling stage. 중북부 중간지에서 극조생종 벼 품종 조운의 기계이앙시기에 따른 출수기와 등숙기간 중 평균기온의 변화 및 그에 따른 수량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립식량과학원 철원출장소 시험포장에서 이앙시기를 5월 5일부터 6월 19일까지 조절하여 3년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5월 5일 이앙에서 7월 16일이었고 6월 19일 이앙에서 8월 14일이었으며,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이앙~ 출수기의 일평균기온은 높았으나 기간이 짧아지고 적산온도가 적어졌다. 출수 후 40일간 기상은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일평균기온이 낮아지고 일조시간은 많아졌다. 2. m2당 이삭수는 이앙시기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은 수량구성요소로서 이앙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유의하게감소하였고, 수당영화수는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쌀수량은 5월 20일 이앙에서 가장 많았고 6월 19일이앙에서 가장 적었으며, 완전미 비율은 쌀수량과 반대의 경향을 보였는데, 완전미 수량은 쌀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이앙시기와 완전미 수량지수의 관계 분석 결과, 5월18일 이앙에서 완전미 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최고수량 대비 5%와 10%가 감소하는 이앙시기는 각각 6월6일과 6월 15일로 분석되었다. 5. 완전미 최고수량을 보인 이앙시기의 출수기는 7월 21 일이었고 이 때 출수 후 40일간 평균기온은 24.6°C였으며, 최고수량 대비 5%와 10%가 감소하는 이앙시기의 출수기는 각각 8월 2일과 8월 11일로 이들 출수기에서 출수 후 40일간 평균기온은 각각 23.2°C와 21.7°C 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