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형성평가의 실제 : 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형성평가를 중심으로

        성을선,남정희,최병순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0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formative assessments practiced in middle school science teaching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In order to examine the practices of formative assessments in science teaching, 7 science classes were observed and video-taped for each of 2 instructions. We also interviewed the teachers and 3 students per each class with semi-structured question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3 types of formative assessments were generally used in science teaching; planned, interactive, and transitional from planned to interactive. Teachers tended to assess students' personal, social, and scientific developments through formative assessments. The assessment of scientific development was the most frequent pattern and was classified into the assessments of content, process, and context. However, formative assessments concerning content covered in class were dominant. The processes of formative assessments consisted of three interdependent stages; getting informations from students, judging their responses, and giving feedbacks to them. The types of questions and feedbacks used were also influenced by the extent of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 SCOPUSKCI등재

        형성평가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및 실태

        남정희,성을선,엄재호,김경희,최병순,Nam, Jeong Hee,Seung, Eul Sun,Um, Jea Ho,Kim, Kyung Hee,Choi, Byung Soon 대한화학회 1999 대한화학회지 Vol.43 No.6

        전국의 초,중,고등학교 과학교사 197명을 대상으로 과학교육에서 형성평가에 대한 인식 및 이에 대한 실태를 질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교사들은 학교교육에서 평가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 학습목표의 성취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가장 적절한 평가방법은 형성평가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형성평가는 수업 후반부에 학습내용의 성춰정도를 확인하는 평가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교사들이 형성평가가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그 이유로 학습목표 달성 정도의 확인을 들었다. 그러나 과학 수업 중 수시로 이루어지는 형성평가는 적었다. 형성평가의 실시를 어렵게 만드는 원인으로 학생 수 과다, 시간 부족, 준비의 어려움을 들었으며, 형성평가로부터 얻은 정보는 학생들의 성취수준을 판단하는데 이용한다고 응답하였다. Th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nd the status of formative assessment in science teaching were identified through a questionnaire. The majority of teachers thought that the most important goal of assessment in education was to identify to what extent pupils achieved learning objectives. They suggested that formative assessment wa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regardless of the purposes of assessment. They thought that formative assessment was an assessment carried out at the end of lesson to identify to what extent pupils achieved learning objectives. The teachers stressed the need for formative assessment to identify what pupils achieved. But they carried out formative assessment about once a week and there were very few teachers carrying out formative assessment during the lesson. They responded that it was difficult to carry out formative assessment because of large class size, lack of time and difficulty in preparation. And they used the information from formative assessment to judge the level of attainment.

      • KCI등재

        해결자·청취자 활동을 이용한 화학 문제 해결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에 따른 효과

        노태희,성을선,강훈식,정영선,강석진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4 No.6

        이 연구에서는 해결자ㆍ청취자 활동을 이용한 화학 문제 해결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에 따른 효과를 조사하였다. 서울시에 위치한 인문계 고등학교의 3개 학급을 선정하여 전통적 수업 집단, 동질적 집단 구성의 해결자ㆍ청취자 활동 수업 집단, 이질적 집단 구성의 해결자ㆍ청취자 활동 수업 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사전 검사로 메타인지적 기술의 사용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처치 집단의 학생들은 사전 성취 수준에 따라 동질적 집단과 이질적 집단으로 구성되었으며, 2명이 조를 이루어 화학 반응식과 화학 양론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수업 처치 후 분석적 기술 검사, 문제 해결력 검사, 메타인 지적 기술의 사용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일원공변량 분석 결과, 동질적 집단 구성으로 해결자ㆍ청취자 활동을 한 수업 집단의 분석적 기술 점수가 다른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러나 화학 문제 해결력 검사와 메타인지적 기술의 사용에 대한 인식 검사에서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ouping method in solving chemistry problems using Think-Aloud Paired Problem Solving (TAPPS). Three classes (125 students) of a co-ed high school in Seoul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control, the homogeneous TAPPS, and the heterogeneous TAPPS groups. Prior to the instructions, a test of awareness of metacognition was administered. In the treatment groups, students were grouped into either homogeneous or heterogeneous group on the basis of their pre-achievement levels, and worked in pairs on chemistry problems about chemical equation and stoichiometry. Students' analytical skil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wareness of metacognition were examined after the instructions. One-way ANCOVA results indicated that the scores of the homogeneous TAPPS group in the analytical skill tes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heterogeneous TAPPS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awareness of metacognition.

      • 형성평가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및 실태

        南貞姬,成乙善,飮在鎬,金慶姬,崔秉舜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9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9 No.1

        전국의 초, 중, 고등학교 과학교사 197명을 대상으로 과학교육에서 형성평가에 대한 인식 및 이에 대한 실태를 질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교사들은 학교교육에서 평가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 학습목표의 성취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가장 적절한 평가방법은 형성평가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형성평가는 수업 후반부에 학습내용의 성취정도를 확인하는 평가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교사들이 형성평가가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그 이유로 학습목표 달성 정도의 확인을 들었다. 그러나 과학 수업 중 수시로 이루어지는 형성평가는 적었다. 형성평가의 실시를 어렵게 만드는 원인으로 학생 수 과다, 시간 부족, 준비의 어려움을 들었으며, 형성평가로부터 얻은 정보는 학생들의 성취수준을 판단하는데 이용한다고 응답하였다. Th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nd the status of formative assessment in science teaching were identified through a questionnaire. The majority of teachers thought that the most important goal of assessment in education was to identify to what extent pupils achieved learning objectives. They suggested that formative assessment wa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regardless of the purposes of assessment. They thought that formative assessment was an assessment carried out at the end of lesson to identify to what extent pupils achieved learning objectives. The teachers stressed the need for formative assessment to identify what pupils achieved. But they carried out formative assessment about once a week and there were very few teachers carrying out formative assessment during the lesson. They responded that it was difficult to carry out formative assessment because of large class size, lack of time and difficulty in preparation. And they used the information from formative assessment to judge the level of attainment.

      • KCI등재후보

        ICT 활용 교육이 과학,기술,사회(STS) 관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과학 "탐구: 단원을 중심으로

        오혜란,노태희,성을선,홍정림,김희백 韓國生物敎育學會 2004 생물교육 Vol.32 No.1

        In this research ICT-base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ere developed for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unit of 'Inquiry'. 135 first year male students from a high school in Seoul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on-line with ICT instructional material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in a traditional way of instruction with textbook and hand-outs. Before and after teaching this unit, students' view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the interest of science classes and the perception of learning environment were examined using the View On Science-Technology-Society(VOSTS), the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TOSRA), and the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Survey(CLES) respectively. In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hose views of STS improved from naive perspectives to realistic ones were more than ones whose views were changed oppositely at 5 items of the VOSTS. However such effect was shown at only 2 items of the VOSTS in the control group. Students' perception of learning environment was more constructivistic at one scale of the CLES, i.e. 'student negoti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 at an item of the TOSRA, i.e. 'teaching materials were interesting'. It is thought that more communicative interaction and the positive attitude on ICT- based materials had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views of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 KCI등재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형성평가의 실제 : 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형성평가를 중심으로

        최병순,남정희,성을선 한국과학교육학회 200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과학수업에서 형성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과학수업을 관찰, 녹화하였으며,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업 중 형성평가가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관찰한 결과, 형성평가는 계획된 형성평가, 상호작용 형성평가, 계획된 형성평가에서 상호작용 형성평가로의 전환으로 구분되었다. 교사들은 형성평가를 통하여 개인적 발달, 사회적 발달, 과학적 발달을 평가하였으며, 과학적 발달은 내용평가, 과정평가, 상황평가로 구분되었다. 수업 중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평가는 과학적 발달평가였으며, 그 중에서도 내용평가에 치중되어 이루어졌다. 형성평가가 이루어지는 과정은 정보얻기, 판단하기, 피드백하기로 구분되었고, 이 세 과정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며 순환적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교사의 질문유형과 피드백의 유형은 교사와 학생의 수업 중 상호작용 정도에 영향을 미쳤다. 위의 결과는 과학 수업에서 형성평가가 학생들의 다양한 측면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하며, 상호작용이 보다 활발히 일어날 수 있도록 정보를 얻는 방법, 피드백을 하는 방법 등에 있어서 보다 많은 연구와 전략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formative assessments practiced in middle school science teaching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In order to examine the practices of formative assessments in science teaching, 7 science classes were observed and video-taped for each of 2 instructions. We also interviewed the teachers and 3 students per each class with semi-structured question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3 types of formative assessments were generally used in science teaching; planned, interactive, and transitional from planned to interactive. Teachers tended to assess students' personal, social, and scientific developments through formative assessments. The assessment of scientific development was the most frequent pattern and was classified into the assessments of content, process, and context. However, formative assessments concerning content covered in class were dominant. The processes of formative assessments consisted of three interdependent stages; getting informations from students, judging their responses, and giving feedbacks to them. The types of questions and feedbacks used were also influenced by the extent of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 KCI등재후보

        중학교 과학 실험실 및 기자재 실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오원근,김재우,금주혜,김병로,김순주,성을선,신지은,이정원,이현자,정지원,조선희,조현재,주석,최은경 한국물리학회 2003 새물리 Vol.47 No.1

        This study analyzed the recognition of science teachers about the laboratory environment and its facilities. The subjects were 36 science teachers in junior high schools in Seoul, Korea. The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by resear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quantitative aspects, necessaries are fulfilled in the least as the national curriculum requires. In contrast, many teachers showed their dissatisfactions about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like brightness, ventilation, draining etc.. They stated that it was urgent to improve the quality and designs of devices for laboratory experiments, and also the process of purchase for them. 서울 소재 중학교 교사 36명을 대상으로 중학교 과학 실험실 및 기자재 실태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은 연구자들이 직접 구안한 것이다. 설문 결과, 현행 과학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학교 실험실과 기자재를 양적 측면에서 보면, 교육과정의 요구를 최소한으로 충족하고는 있으나 좀 더 발전적인 탐구활동 중심의 과학 교육과정을 운영하기에는 질적 측면에도 한계가 있었다. 또한 실험실의 채광, 조명, 환기, 폐수 처리 등 기본적인 조건 뿐 아니라 환경 미화, 디자인 등 학생들의 정의적 요인을 촉진시킬 수 있는 부분에서도 부족한 면이 많았으며, 실험 기자재의 경우는 품질의 불만이 상당히 높았다.

      • KCI등재

        과학 개념 학습을 위한 소집단 토론에서 인지적 역할 부여의 효과

        노태희,강석진,한수진,한재영,전경문,성을선,Noh, Tae-Hee,Kang, Suk-Jin,Han, Su-Jin,Han, Jae-Young,Jeon, Kyung-Moon,Seung, Eul-Sun 대한화학회 2002 대한화학회지 Vol.46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ssigning cognitive roles, a method that may promote verbal interaction in knowledge-building processes, in small-group discussion for science concept learning. Two classes (62 students) of 7th-graders respectively received a concept learning instruction through small-group discussion with assigned cognitive roles (CR) asking to explain and contradict one's idea and to synthesize and conciliate group's idea, and a concept learning instruction through small-group discussion with no specific assigned roles (NSR), for 9 class periods. After the instructions, the tests of achievement, conceptions, the perceptions on science learning environments, and the perceptions toward small-group discussion were administered. ANCOVA results revealed that low-achievers in the NSR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in the CR group. Similar tendency was also found in the scores of the conceptions test. Two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the perceptions on science learning environments and toward small-group discussion. 본 연구에서는 과학 개념 학습을 위한 소집단 토론에서 지식구성 과정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지적 역할 부여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중학교 1학년 학생 62명을 대상으로 설명, 반박, 정리, 조정 활동을 촉진하는 인지적 역할을 부여한 소집단 토론 수업(CR)과 특정한 역할을 부여하지 않은 소집단 토론 수업(NSR)을 9차시 동안 실시하였다. 수업 처치 후, 학업 성취도, 개념 이해도,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토론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학업 성취도 점수에서 사전 성취 수준 하위 학생들의 경우 NSR 집단이 CR 집단보다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개념 검사에서도 유사한 경향성이 나타났다. 과학 학습 환경 인식과 토론에 대한 인식 검사 점수에서는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 KCI등재

        고등학교 과학 이수 과정에서 학생들의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견해 변화

        노태희 ( No Tae Hui ),김회백 ( Kim Hoe Baeg ),김영희 ( Kim Yeong Hui ),성을선 ( Seong Eul Seon ),홍정림 ( Hong Jeong L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0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tudents` view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technology and society during the high school `Science` course implemented under the 7th science curriculum. Participants were 241 tenth graders in Seoul. An instrument consisted of ten items selected from the VOSTS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 The surveys were administered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cours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 school `Science` course, on the whole, could not make students have adequate understand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technology and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