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MVP Chemotherapy and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for Stage Ⅲ Unresectable Non-Small Cell Lung Cancer

        최은경(Euk Kyung Choi),장혜숙(Hyesook Chang),서철원(Cheolwon Suh),이규형(Kyoo Hyung Lee),이정신(Jung Sing Lee),김상희(Sang Hee Kim),최철준(Chul Joon Chio),고윤석(Youn Suck Koh),김우성(Woo Sung Kim),김원동(Won Dong Kim),김삼현(Sam Hyu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9 No.2

        제3기의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에서의 MVP 항암 요법과 다분할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판정하기 위하여 1991년 1월부터 전향성 임의선택 연구(prospective randomized study)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제Ⅲ기의 비소세포 폐암중 절제가 불가능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MVP 항암요법(Mitomycin C 6mg/㎡, Vinblastine 6mg/㎡, Cisplatin 60mg/㎡)을 3회 시행한 후 다분할 방사선치료 (120cGy/fx, BID)를 6500cGy까지 조사하였다. 방사선치료가 끝난 1개월 후 관해정도를 확인하여 추가 항암요법을 시행하는 군과 계속 관찰하는 군으로 임의 분류하였다. 1991년 8월까지 18명의 환자가 등록 되었으며 이중 2명은 2cycle의 항암요법 후 치료를 포기하여 16명의 환자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MVP항암요법에 대한 관해율은 62.5%로 50%에서는 부분관해 12.5%에서는 minimal response를 보였다. 항암요법에 부분관해를 보인 3명중 1명에서는 방사선 치료후 완전관해를 보였으며 항암요법으로 병이 진행된 6명의 환자중 4명에서는 방사선 치료후에도 역시 병이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모든 환자는 다분할 방사선 치료를 잘 견뎠으나 한 환자가 방사선 치료 한달 후 항암요법과 관련된 부작용으로 사망하였다. 아직 추적관찰 기간이 짧고 대상환자가 많지 않다는 문제점은 있으나 본 연구를 계속 진행함으로써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 evaluate the effect of MVP chemontherapy and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in StageⅢ unresectable non small cell lung cancer(NSCLC), authors have conducted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since January 1991. StageⅢa or Ⅲb unresectable NSCLC patients were treated with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120cGy/fx, BID) up to 6500 cGy followng 3 cycles of induction MVP(Mitomycin C 6mg/㎡, Vinblastine 6mg/㎡, Cisplatin 60mg/㎡) and randomized for either observation or 3cycles of maintenance MVP chemontherapy. Until August 1991, 18 patients were registered to this study. 4cases were stage Ⅲa and 14 were stage Ⅲb. Among 18 cases 2 were lost after 2 cycles of chemonterapy, and 16 were analyzed for this preliminary report. The response rate of induction chemotherapy was 62.5%; partial response, 50% and minimal response, 12.5%. Residual tumor of the one partial responder was completely disappeared after radiotherapy. Among 6cases sho were progressed during induction chemotherapy, 4 of them were also progressed after radiotherapy. All patients were tolerated BID radiotherapy without definite increase of acute complications, compared with conventional radiotherapy group. But at the time of this report, one patient expired in two month after the completion of the radiotherapy because of treatment related complication. Although the longer follow up is needed, autors are encouraged with higher response rate and acceptable toxicity of this treatment. Authors believe that study is worthshile to continue.

      • SCOPUSKCI등재

        The Analysis of Failure Pattern in Locally Advanced Stomach Cancer Treated with Surgery and Post-Op chemotherapy

        최은경(Eun Kyung Choi),장혜숙(Hyesook Chang),서철원(Cheolwon Suh),이규형(Kyoo Hyung Lee),이정신(Jung Shin Lee),김상희(Sang Hee Kim),김명환(Myung Hwan Kim),민영열(Young Ⅱ Min),김진천(Jin Cheon Kim),이승규(Sung Gyu Lee),박건춘(Kun Cho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9 No.2

        A Retrospective study to analyze the failure pattern in locally advanced stomach cancer, treated with radical surgery and post-op chemotherapy was performed. Among 107 patients who underwent radical gastrectomy in Asan Medical Center between June 1989 and August 1990. there were 20 stageⅡ(T2NO, T2N1) and 87 stageⅢ (T3N1, T3N2) and 91 patients were eligible for study. 57 patients treated with 6 cycles of postop adjuvant chemotherapy. Among 57 patients treated with postop adjuvant chemotherapy, local failure occurred in 21% and distant failure in 12%. Among 34 patients who were not treated with postop chemotherapy, local failure occurred in 24% and distant failure in 26%. Among 29 failures including 13 locoregional, 9 distant metastasis and 7 locoregional and distant metastasis, 11 cases recurred in the anastomotic site, 3 in the gastric bed, 7 in the regional lymph nodes and peritoneal seeding occurred in 6 cases. The true incidences of gastric bed, nodal and peritoneal failures may be higher in the longer follow-up or reoperative or autopsy series. Our data sugest that postop chemocherapy is beneficial by reducing distant failure rate. Our data suggest that postop chemocherapy is beneficial by reducing distant failure rate. Postop adjuvant locoregional radiotherapy in addition to the systemic adjuvant therapy may reduce the local failure rate and potentially benefit in at least 20% of patients who developed the local failure only. 수수로가 항암요법만으로 치료한 국소 진행된 위암환자에서 치료실패의 양상을 분석해봄으로써 수술후 방사선치료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989년 6월부터 1990년 8월까지 치료받은 10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제2기 (T₃N₁, T₃N₂(환자는 87명이었다 16명은 수술후 추적이 어려워 91명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받았고 이중 57명은 수술후 항암요법을 시행하고 24명은 계속적 추적 관찰만을 하였다. 국소재발율은 항암요법 시행군에서 321%, 추적관찰군에서 24%로 차이가 없었고 원격전이는 항암요법 시행군에서는 12% 추적관찰군에서는 26%로 항앙요법 시행군에서 원격 전이가 적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국소 재발환자의 52%는 anastomosis site에서 재발하였고 원격 전이시 가장 많이 침범되는 장기는 간이었다. 아직 추적 관찰 기간이 짧으나 수술후 방사선 치료가 최소한 20%이상의 환자에서 도움이 될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림프종과 골수종 환자에서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술의 현실 세계 경험

        조형우 ( Hyungwoo Cho ),김신 ( Shin Kim ),이경민 ( Kyoungmin Lee ),박정선 ( Jung Sun Park ),서철원 ( Cheolwon Suh ) 대한내과학회 2021 대한내과학회지 Vol.96 No.6

        목적: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림프종/골수종 프로그램은 1993년에 소세포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국내 처음으로 자가 말초혈액 조혈모세포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림프종과 다발골수종이 이 시술의 주 대상이 되었고, 그동안 이 림프계 악성 종양의 치료에 많은 발전이 있었다. 이에 지난 25년 동안 시간대 별 성적 변화를 살피고자 하였다. 방법: 1993년 1월부터 전향 수집한 서울아산병원 자가 말초혈액 조혈모세포 이식 등록을 이용해 비호지킨림프종, 다발골수종, 호지킨림프종 환자 자료를 분석하였다. 충분 기간의 생존을 살피기 위해 2018년 말까지 이식술을 시행한 경우로 제한하고, 이식술 시행 연대는 임의로 1999년까지, 2000-2009년, 2010-2018년으로 나누었다. 다발 골수종은 1차 이식 결과만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대상 질환에서 시대 흐름에 따라 생존 성적이 향상하였다. 자가 말초혈액 조혈모세포 이식 연관 각종 의학술기의 발전이 작용한 때문으로 보이나, 각 질환군 모두 무진행 생존의 호전보다 전체 생존 성적의 향상이 더 뚜렷하였다. 이는 이식 후 재발 때 적용 가능한 구제 요법의 발전이 큰 영향을 끼쳤다고 판단한다. 조혈모세포 이식 특이 동반 질병 지수와 생존 성적의 연관은 볼 수 없었다. 결론: 림프계 악성 종양에서 자가 말초혈액 조혈모세포 이식술 후 생존 성적이 지난 25년여 동안 시대가 지남에 따라 향상되었다. Background/Aims: The first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ASCT) in Korea was performed for a small-cell lung cancer patient at Asan Medical Center (AMC) in 1993. Recently, lymphoma and myeloma have been the main indications; there has been progress in the treatments for these lymphoid malignancies. We explored the real-world experience of ASCT for lymphoma and myeloma at AMC over a 25-year period. Methods: We used the AMC ASCT registry, which has collected ASCT data prospectively since January 1993. Data for Hodgkin lymphoma, non-Hodgkin lymphoma, and multiple myeloma patients were analyzed. Patients transplanted up to December 2018 were included to assess adequate survival data. The ASCT time period was divided arbitrarily into 1994-1999, 2000-2009, and 2010-2018. In cases of multiple myeloma, we analyzed the 1st ASCT data only. Results: Survival of these lymphoid malignancy patients after ASCT has progressively improved. The increase in survival may be related to advances in various medical skills supporting ASCT. However, overall survival has improved much more than progression-free survival. This suggests that better salvage therapies after ASCT failure have mainly affected the improvement in overall survival. The hematopoietic cell transplantation-specific comorbidity index could not be used as a survival indicator in this analysis. Conclusions: This real-world experience study showed that the survival of lymphoid malignancy patients treated with ASCT has improved over the past 25 years. (Korean J Med 2021;96:501-511)

      • KCI등재후보

        원발 위장관 미만 대 B세포 림프종의 임상상과 International Prognostic Index의 적용

        구자은 ( Ja Eun Koo ),고옥배 ( Ock Bae Ko ),이단비 ( Danbi Lee ),김은희 ( Eun Hee Kim ),정용필 ( Young Pill Chong ),김신 ( Shin Kim ),류민희 ( Min Hee Ryu ),강윤구 ( Yoon Koo Kang ),허주령 ( Jooryung Huh ),서철원 ( Cheolwon Suh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1

        목적: 한국에서 원발 림프절외 림프종의 빈도는 서양권에 비하여 높다고 알려져 있다. 원발 위장관 림프종은 림프절외 림프종의 가장 흔한 형태이지만, 국내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인자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단일 기관의 원발 위장관 DLBCL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과 치료 결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8년 5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원발 위장관 DLBCL로 진단받은 76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임상적 특징과 예후인자를 분석하다. 결과: 남성이 40명이였고, 중앙 연령은 53세(15-75세)였다. 위 림프종이 38명으로 가장 많았고, 소장, 회-맹장부위, 대장, 직장을 침범한 환자의 수는 각각 21, 1, 10, 2명이었으며 다발성으로 위장관을 침범한 환자는 4명이었다. 제 IIE병기가 33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제 IE 병기 24명, 제 IIIE병기 9명, 제 IVE병기 8명의 순이었다. 중앙 추적관찰기간은 25개월이었으며 5년 전체생존률은 61.4%, 5년 무사건생존률은 59.3%였다. B 증상 유무, 활동도, LDH 값, 병변의 위치는 생존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7명의 환자가 1차 치료로 수술을 받았는데, 1차 치료로 단독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들과 생존률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장 림프종에서는 수술한 환자들이 수술하지 않은 환자들에 비하여 EFS이 우수하였다(p=0.030). 연령(p=0.038), 성별(p=0.017), 병기(p=0.048), 림프절외 침범병소의 수(p=0.002)가 EFS에 유의하게 관련이 있었다. IPI에 따른 3년 무사건생존률은 저위험군/저-중위험군/중-고위험군/고위험군에서 각각 78.4%/ 63.7%/ 30.0%/ 0%였다(p=0.002). 다변량 분석에서 IPI만 이 EFS에 대한 독립적 예후인자였다(p=0.002). 결론: 단일 기관의 원발 위장관 DLBCL 환자 76명을 대상으로 예후인자를 연구한 결과 IPI가 독립적이고 가 장 강력한 예후인자였다. Background: Primary gastrointestinal lymphoma is one of the most common extranodal lymphoma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of patients with primary gastrointestinal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at a single healthcare facility in Korea. Methods: Between May 1998 and December 2003, 76 primary gastrointestinal DLBCL patients at Asan Medical Center were identified and evaluated. Results: Male patients accounted for 40 cases. The median age was 53 years. A total of 38 patients had primary gastric DLBCL. With a median follow-up of 25 months, the five year overall survival (OS) rate was 61.4% and the five year event free survival (EFS) rate was 59.3%. B symptoms, performance status, LDH levels and involved sites did not affect survival. Twenty-seven patients who underwent primary surgical resection did not demonstrate a difference in survival when compared to patients who did not undergo surgery. However, for intestinal lymphoma, primary surgical resec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FS (p=0.030). Age (p=0.038), sex (p=0.017), stage (p=0.048), and the number of extranodal sites (p=0.002)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EFS. The three year EFS rate for each International Prognostic Index (IPI) risk group was as follows: 78.4% for low risk, 63.7% for low-intermediate risk, 30.0% for high-intermediate risk and 0% for high risk (p=0.002). Cox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the IPI was the only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EFS (p=0.002). Conclusions: Here we report on the unique pattern of clinical features of primary gastrointestinal DLBCL from a single healthcare center in Korea. The IPI system had prognostic value for primary gastrointestinal DLBCL. (Korean J Med 72:11-19, 2007)

      • 제대혈의 적혈구 제거 방법에 관한 연구 : 제대혈 은행 설립을 위한 기초 연구 Basic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Cord Blood Bank

        김효정,서철원,김상희,김상위,김성배,김강욱,조화정,민영주,박진희,김암,이인식,이필량,지현숙,서종진,강위창,이정신,김우건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0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5 No.1

        배경:제대혈에서 적혈구를 제거하는 것은 제대혈 은행의 효율적인 운영 및 제대혈이식시 ABO 부적합 수혈, DMSO 독성 등의 부작용을 해결하기 위한 이상적인 방법이다. 저자들은 동일한 제대혈로 여러가지 적혈구 제거법을 동시에 시행하여, 이들에서 CD34양성 세포의 수득률 및 조혈세포 집락형성능을 비교하여 제대혈 은행 설립의 기반 기술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방법:제왕절개 직후 헤파린 처리된 용기에 제대혈을 채취하였다. 제대혈은 5개의 용기에 분산하여 실온에서 보관하였고 12시간 이내에 적혈구를 분리하였다. 적혈구 제거 방법으로 Ficoll 비중 분리법, gelatin 침전법, 적혈구 용혈법, starch 침전법을 각각의 제대혈에서 시행하였다. 전혈과 적혈구가 제거된 제대혈에서의 세포 생존율, 적혈구 제거율과 단핵구 및 CD34양성 세포의 수득률, 조혈세포 집락형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18례에서의 평균 제대혈 채취양은 81.3 mL(범위 42~128 mL)이었다. 서로 다른 적혈구 제거법들간에 세포 생존률과 적혈구 제거율은 차이가 없었다. 단핵구 수득률은 3% gelatin침전법(47.7±14.5%)이 다른 적혈구 제거법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3% gelatin침전법은 Ficoll비중 분리법과 Starch침전법에 비해 CD34 양성 세포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36.1±5.4×10³/mL, 15.0±3.5×10³/mL, 20.7±4.2×10³/mL). 또한 CFC의 집락수도 3% gelatin침전법에서 Ficoll 비중 분리법과 적혈구 용혈법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52.0±7.1×10²/mL, 32.8±4.7×10²/mL, 36.8±5.7×10²/mL). 그러나 제대혈 전혈의 CD34 양성 세포수(65.7±11.2×10³/mL) 및 CFC의 집락수(117.8±15.8×10²/mL)를 적혈구 제거법을 이용한 실험군과 비교하였을 때 전혈군에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3% gelatin 침전법은 다른 적혈구 제거법과 비교해 볼 때 더 우수한 단핵구, CD34 양성 세포 수득률 및 조혈세포 집락형성능을 보였다. 그러나 다른 보고들과는 달리 3% gelatin 침전법은 CD34양성 세포 및 CFC 집락수의 절대값이 제대혈 전혈과 비교하여 의미있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시약의 종류와 실험방법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최상의 세포 수득률을 얻기 위하여 적혈구 분리 방법의 표준화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Efficient volume reduction is important to make a cost-effective umbilical cord blood (UCB) banking syste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a method of red cell depletion of UCB without major losses of the hematopoietic progenitor-CD34+ cells. Methods:Eighteen cor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in heparinized bottle immediately after Cesarean section. Five aliquots of each cord blood were stored at room temperature and processed within 12 hours. We used 4 different RBC depletion methods (Ficoll density gradient separation, gelatin sedimentation, red cell lysis, starch sedimentation) and compared the results of viability, RBC reduction rate, mononuclear cell (MNC) recovery rate, CD34+ cells and colony forming unit (CFC).Results: The mean collected cord blood volume was 81.3 mL (range 42~128 mL).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viability and RBC reduction rate among groups. MNC recovery ra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elatin group (47.7±14.5%) than other RBC depletion methods. Gelatin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CD34+ cell count than Ficoll and starch group (36.1±5.4×10³/mL, 15.0±3.5×10³/mL, 20.7±4.2×10³/mL) and higher CFC count than Ficoll and RBC lysis group (52.0±7.1×10²/mL, 32.8±4.7×10²/mL, 36.8±5.7×10²/mL). But the results of CD34+ cell count (65.7±11.2×10³/mL) and CFC count (117.8±15.8×10²/mL) of untreated control group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ll other treated groups. Conclusion:Umbilical cord blood processed with 3% gelatin sedimentation has higher recovery rate of MNC, CD34+, cell and CFC than other groups. Unlike other reports, the absolute numbers of CD34+ cell and CFC count of 3% gelatin sedimentation method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untreated control group. Different laboratory processes with gelatin could be one cause of these differences, a study for standardized laboratory methods should be established to obtain higher recovery rate of hematopoietic cells after RBC depletion.

      • 동종 골수 이식한 백혈병에서 단반복 유전자로 살펴본 혼합 키메라 현상의 의의

        장대영,이정신,서철원,이규형,이제환,지현숙,박찬정,한면수,최동원,김정균,최성준,김성배,김상위,김우건,김상희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8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3 No.1

        연구배경 : 동종 골수 이식한 백혈병에서 키메라 현상의 분석은 착상, 질병 재발과 이식 거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최근 STR을 PCR로 증폭한 검사법에 의해 매우 민감하고 유용하게 혼합 키메라 현상을 검출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이 방법의 민감도와 임상적 의의는 아직 완전히 정립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PCR-STR검사법이 혼합 키메라 현상을 민감하게 검출하는지 보고, 동종 골수 이식 후 혼합 키메라 현상의 변화 양상을 관찰하고, 키메라 현상의 임상적 의의를 보고자 하였다. 방법 : 형제로부터 동종 골수 이식한 급성 백혈병 6명과 만성 백혈병 2명의 모두 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44개 골수 검체에서 phenol/chloroform방법에 의하여 단핵세포 DNA를 추출하였다. DNA는 CTT 삼중체, vWA와 amelogenin시발체를 이용하여 증폭하였다. 증폭 산물은 5% 폴리아크랄아미드 젤에서 전기영동 뒤 은 염색으로 확인하였다. 2명의 DNA를 여러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검사를 하여 검출 가능 최소 농도를 결정하였다. 결과 : 상기 검사법의 검출 가능 최소농도는 0.25%였다. 혼합 키메라 현상은 8명중 4명에서 관찰되었다. 혼합 키메라 현상은 보인 1명에서 급성 및 만성 이식편대 숙주 질환이 나타났고, 완전 공여자 키메라 현상을 보인 1명에서 만성 이식편 대 숙주 질환이 나타났다.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혼합 키메라 현상을 보인 2명은 이식 후 12개월에 질병 재발을 보였으나, 완전 공여자 키메라 현상을 보인 경우엔 재발이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PCR-STR검사법은 동종 골수 이식 후 남아 있는 환자 세포를 검출하고 키메라 현상을 관찰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다. 또한 이 검사법은 동종 골수 이식 후 재발의 조기 진단, 이식편 대 숙주 질환의 평가와 면역 관용에 임상적으로 응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Background : Chimerism analysis after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for leukemia could be helpful understanding of the early marrow engraftment, disease relapse, and graft rejection. Recently, a PCR technique which amplifies short tandem repeats(STR) has been reported to be highly sensitive and reliable in detecting mixed chimerism. But its sensitivity and clinical significance has not been estab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rstly, to confirm whether a PCR-STR in highly sensitive enough ti assess mixed chimerism, secondly to monitor the changing patterns of mixed chimerism after allogeneic BMT, and lastly to determine correlation between the chimeric status and the clinical outcome. Methods : A study was made eight patients (six with acute leukemia and two with chronic leukemia) who underwent unmanipulated allogeneic BMT along with matched donors. DNA was extracted from mononuclear cells of 44 bone marrow samples using a phenol/chloroform method. Amplification of DNA was done using CSFIPO-TPOX-TH01(CTT) triplex with or without vWA or amelogenin primer. The amplified product was separated on 5% polyacrylamide gel and was confirmed by silver staining. The sensitivity of CTT triplex method was determined by mixing DNA from two person in serial proportion using the same method. Results : The sensitivity for CTT triplex method was 0.25% Mixed chimerism was documented in 4 of 8 patients. ONe of four patients with mixed chimerism developed acute and chronic graft versus host disease (GVHD) and one of four patients with complete donor chimerism also developed chronic GVHD. Two patient with progressive mixed chimerism relapsed at 12 months post-BMT, whereas no patient with complete donor chimerism has relapsed. Conclusion : The study has found that PCR-STR was an effective method for the detecting residual host cell and monitoring the chimeric status after allogenic BMT. PCR-STR can also be clinically applicable in early prediction of relapse, appropriate assessment of GVHD, as well as tolerance after allogeneic BMT.

      • COMPLICATIONS OF AUTOLOGOUS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Lee, Kyoo Hyung,Lee, Je Hwan,Kim, Sung Bae,Kim, Sang We,Suh, Cheolwon,Lee, Jung Shin,Kim, Woo Kun,Kim, Sang-Hee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6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1 No.1

        자가조혈모세포이식시에 발생하는 합병증들은 자가조혈모세포의 구동 및 채집, 고용량 항암요법, 그리고 냉동보관되었던 조혈모세포의 주입과 관련되어 발생한다. 이중 고용량 항암요법(전신방사선 조사가 추가되기도함)과 관련된 합병증이 가장 중요하며 골수억제, 감염, 구강염, 간정맥폐색성질환, 간질폐렴, 광범성폐포출혈, 급성신부전, 심장독성, 중추신경계독성, 출혈성방광염, 혈전성혈소판감소성자반증/용혈성요독증후군 유사질환, 착상증후군, 미세혈관누출증후군, 그리고 다발성장기부전증후군등이 포함된다. 자가조혈모세포이식술 시행시 치사율이 5-15%로 보고되며 대부분의 사망은 고용량항암요법에 의한 합병증에 기인한다. 조혈모세포의 구동 및 채집, 그리고 냉동보관되었던 조혈모세포의 주입과 관련된 합병증은 대게 경미하며 보존적 치료에 잘 반응한다. 또한 최근 조혈모세포이식술과 관련된 장기적인 합병증으로 골수이형성증후군이 기술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