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동종 골수 이식한 백혈병에서 단반복 유전자로 살펴본 혼합 키메라 현상의 의의
장대영,이정신,서철원,이규형,이제환,지현숙,박찬정,한면수,최동원,김정균,최성준,김성배,김상위,김우건,김상희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8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3 No.1
연구배경 : 동종 골수 이식한 백혈병에서 키메라 현상의 분석은 착상, 질병 재발과 이식 거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최근 STR을 PCR로 증폭한 검사법에 의해 매우 민감하고 유용하게 혼합 키메라 현상을 검출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이 방법의 민감도와 임상적 의의는 아직 완전히 정립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PCR-STR검사법이 혼합 키메라 현상을 민감하게 검출하는지 보고, 동종 골수 이식 후 혼합 키메라 현상의 변화 양상을 관찰하고, 키메라 현상의 임상적 의의를 보고자 하였다. 방법 : 형제로부터 동종 골수 이식한 급성 백혈병 6명과 만성 백혈병 2명의 모두 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44개 골수 검체에서 phenol/chloroform방법에 의하여 단핵세포 DNA를 추출하였다. DNA는 CTT 삼중체, vWA와 amelogenin시발체를 이용하여 증폭하였다. 증폭 산물은 5% 폴리아크랄아미드 젤에서 전기영동 뒤 은 염색으로 확인하였다. 2명의 DNA를 여러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검사를 하여 검출 가능 최소 농도를 결정하였다. 결과 : 상기 검사법의 검출 가능 최소농도는 0.25%였다. 혼합 키메라 현상은 8명중 4명에서 관찰되었다. 혼합 키메라 현상은 보인 1명에서 급성 및 만성 이식편대 숙주 질환이 나타났고, 완전 공여자 키메라 현상을 보인 1명에서 만성 이식편 대 숙주 질환이 나타났다.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혼합 키메라 현상을 보인 2명은 이식 후 12개월에 질병 재발을 보였으나, 완전 공여자 키메라 현상을 보인 경우엔 재발이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PCR-STR검사법은 동종 골수 이식 후 남아 있는 환자 세포를 검출하고 키메라 현상을 관찰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다. 또한 이 검사법은 동종 골수 이식 후 재발의 조기 진단, 이식편 대 숙주 질환의 평가와 면역 관용에 임상적으로 응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Background : Chimerism analysis after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for leukemia could be helpful understanding of the early marrow engraftment, disease relapse, and graft rejection. Recently, a PCR technique which amplifies short tandem repeats(STR) has been reported to be highly sensitive and reliable in detecting mixed chimerism. But its sensitivity and clinical significance has not been estab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rstly, to confirm whether a PCR-STR in highly sensitive enough ti assess mixed chimerism, secondly to monitor the changing patterns of mixed chimerism after allogeneic BMT, and lastly to determine correlation between the chimeric status and the clinical outcome. Methods : A study was made eight patients (six with acute leukemia and two with chronic leukemia) who underwent unmanipulated allogeneic BMT along with matched donors. DNA was extracted from mononuclear cells of 44 bone marrow samples using a phenol/chloroform method. Amplification of DNA was done using CSFIPO-TPOX-TH01(CTT) triplex with or without vWA or amelogenin primer. The amplified product was separated on 5% polyacrylamide gel and was confirmed by silver staining. The sensitivity of CTT triplex method was determined by mixing DNA from two person in serial proportion using the same method. Results : The sensitivity for CTT triplex method was 0.25% Mixed chimerism was documented in 4 of 8 patients. ONe of four patients with mixed chimerism developed acute and chronic graft versus host disease (GVHD) and one of four patients with complete donor chimerism also developed chronic GVHD. Two patient with progressive mixed chimerism relapsed at 12 months post-BMT, whereas no patient with complete donor chimerism has relapsed. Conclusion : The study has found that PCR-STR was an effective method for the detecting residual host cell and monitoring the chimeric status after allogenic BMT. PCR-STR can also be clinically applicable in early prediction of relapse, appropriate assessment of GVHD, as well as tolerance after allogeneic BMT.
장대영,박성동,박건욱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6 東國醫學 Vol.13 No.1
최근에 특발성 혈소판증가증의 분자 생물학적 병인에 관한 많은 발전이 이루어 졌다. 특발성 혈소판증가증의 진단은 수 년전에 개발된 방법으로 다른 질환들을 배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특발성 혈소판증가증은 혈전성 및 출혈성 합병증을 증가시키고, 골수 섬유화증이나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진행할 수 있다. 혈관성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골수 억제제 치료법은 혈액학적 악성 질환으로서의 진행을 가속화 시키지 않을까하는 우려로 질병의 위험도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고 있다. 따라서, 저위험 환자군에서 골수 억제제 치료는 추천되지 않으며, 고위험 환자군에서는 하이드록시유리아와 아스피린의 치료가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나글레라이드나 인터페론-알파는 하이드록시유리아에 내성을 가지거나 투약이 불가능한 환자들에게 2차 약제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산모에 있어서는 인터페론-알파가 더 추천된다. Significant progress in our understanding of the molecular pathogenesis of essential thrombocythemia(ET) has recently been achieved. Unfortunately, the diagnosis of ET still relies on a set of exclusion criteria developed years ago, as recent advances have yet to be evaluated for this purpose. The clinical course of ET is characterized by an increased incidence of thrombotic and hemorrhagic complications and an inherent tendency to progress into myelofibrosis or acute myeloid leukemia (AML). There is concern about undesirable effects of cytoreductive therapy given to prevent vascular events, particularly the risk of accelerating the rate of hematologic transformation. Thus, management involves modification of reversible vascular risk factors and further stratification according to the thrombotic risk. Myelosuppressive agents are not recommended in low-risk patients, whereas controlled studies support the therapeutic value of hydroxyurea (HU) plus aspirin in high-risk cases. Anagrelide or interferon-alpha (IFN-alpha) could be considered as second-line therapy in patients refractory or intolerant of HU, IFN-alpha is preferred in pregnant women.
장대영 大韓法醫學會 1981 대한법의학회지 Vol.5 No.1
The essential factor of medical operation is for a medical doctor to perform operations in a general, professional, and medically acceptable manner, soiey for the purpose of treating his patient's disease. Thus, the outcome of the operation is not requiste for the operational process. As long as the doctor performs a medically acceptable operation, he is not responsible for the operational result. Thus, the operation consent forms which are u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doctor has to assume the responsibility for the outcome of the operation, becomes meaningless. When the doctor fails to perform professionally competent operations, the consent froms only serves as a reference material, not as the evidence to protect his malpractice. However, the consent forms will protect doctors from paying for the claims on a civil suit.
장대영,강경옥 한국통신학회 2023 정보와 통신 Vol.40 No.9
최근 세계적인 경제 위축에 따라 메타버스 관련 산업이 동반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를 시발점으로 원격 협업과 소셜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경험 확산과 편의성이 입증됨으로써, 메타버스의 잠재적인 발전 가능성에 대해서는 부정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다. 이에 MPEG에서는 메타버스와 같은 VR/AR 응용 분야를 위하여 몰입형 공간음향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여전히 메타버스를 가장 중요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생각하고 있다. 현재 MPEG-I Immersive Audio 표준화는 WD(Working Draft) 단계에 있으며, CE (Core Experiment)를 통하여 기술을 개선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메타버스 음향공간의 특징과 이러한 음향공간에서의 공간음향 표현을 위한 MPEG-I Immersive Audio 표준기술 동향에 대하여 분석하며, 향후 메타버스 음향공간 표현을 위하여 풀어야 할 문제들과 함께 메타버스 음향공간 표현 기술의 전망에 대하여 기술한다.
나노 버블 수가 모르타르의 응결 및 압축강도에 미치는 특성 분석
장대영,하태호,송창석,최승학,윤경구 한국도로학회 2024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24 No.03
최근 나노 버블 수의 건설 산업에 적용한 효과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나노 버블 수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산소 및 이산화탄소 기체를 이용하여 나노 버블 수를 사용하였다. 모르타르의 물리적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응결 시험과 압축강도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응결 시간 내 열중량 분석을 통하여 응결 시험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써 산소 나노 버블 수를 사용하였을 경우 모르타르의 미세 응결촉진을 가져왔으며 이산화탄소 나노 버블 수를 사용한 경우 응결시간의 지연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실험한 기체의 종류에 관계 없이 강도가 증가 하였으며 응결 지연 여부와 관계없이 조기강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인 공극구조 및 수화물 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지만 나노 버블 수가 건설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발수성 혼화재료를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역학적 성능 분석
장대영,Mohammad Shakhawat,하태호,송창석,윤경구 한국도로학회 2024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24 No.10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구조물은 물의 침투로 인한 열화현상으로 인해 외관 손상 및 내구성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본 연구는 위해 소수성 혼화재료를 혼입하여 방수 성능을 개선한 모르타르를 개발하고 역학적 성능을 분석하고자 하 였다. 소수성 혼화재료로써 스테아레이트산을 기반한 재료들을 혼입하였으며 역학적 성능 분석을 위해 압축강도, 휨강도, 물의 접촉각 시험, 모세관 흡수 시험을 진행하였다. 발수성 혼화재료를 혼입하였을 때 압축강도 및 휨강도는 OPC(Ordinary Portland Cement) 비교군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되었으나 급속염소이온침투저항성과 모세관 흡수 저항성이 증가하여 우수한 방수 성능을 나타내었다. 이러 한 결과는 모르타르의 방수 성능을 개선하여 건물 외곽 또는 건설재료에서 방수코팅 등으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속카메라 영상분석 데이타를 이용한 충격흡수시설의 충돌거동 분석에 관한 연구
장대영,고만기,이윤기,주재웅 한국도로학회 2009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1 No.2
Collision behavior of crash cushion occurs for a second of less than 0.4sec usually so that it is too hard to calculate numerically. Therefore, for development of crash cushion, it rely on full-scale vehicle crash test without any design procedure. Occupant safety indices is calculated from acquired data by data measurement system and collision behavior of vehicle and crash cushion is filming using high-speed camera in the crash test. But practical use scope of high-speed camera is limited and it is not using to calculated the occupant safety indices or analyzed the energy dissipated mechanism of crash cushion. This work is to estimate to be suitable or not for compare the data from measurement system with the data from high-speed camera. And also it is to grope for practical use scheme to calculation of occupant safety indices or analysis of collision behavior. 충격흡수시설의 충돌거동은 보통 0.4초 미만의 짧은 순간에 일어나므로 삼차원의 매우 복잡한 거동을 수치적으로 계산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새로운 충격흡수시설을 개발할 때 특별한 설계단계를 거치지 않고 실물차량 충돌시험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충돌시험에서 탑승자 안전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계측기를 통해 가속도와 각속도를 추출하여 계산하고 있으며 고속카메라를 이용해 차량과 충격흡수시설의 충돌거동을 촬영한다. 하지만 고속카메라 영상의 활용범위는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탑승자 안전도 분석이나 충격흡수시설의 에너지소산 메커니즘을 분석하기위해 활용된 사례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계측기로부터 획득한 데이타와 고속카메라 영상분석을 통해 추출된 데이타를 비교해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고 탑승자 안전도 해석이나 충돌거동을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