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i과 Ag 금속을 이용한 N-type Si Schottky Junction 광전소자

        서철원,홍승혁,윤주형,김준동,Seo, Cheolwon,Hong, Seung-Hyouk,Yun, Ju-Hyung,Kim, Joondong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4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7 No.6

        A thin metal-embedding Schottky device was fabricated for an efficient photoelectric device. Semitransparent thick of 10 nm metal layers were deposited by sputtering of Ag and Ni on a Si substrate. The (111) N-type Si wafers with one-side polished, 450~500 ${\mu}m$ and resistivity $1{\sim}20{\Omega}{\cdot}cm$ were used. High rectifying ratio about 100 from Ni-Schottky device was achieved. This design would provide an effective scheme for high-performing photoelectric devices.

      • KCI등재후보

        해방기 단편소설에 나타난 미국 대중문화 양상 연구

        서철원(Seo, Cheolwon) 국어문학회 2013 국어문학 Vol.55 No.-

        본고는 해방기 소설 가운데 채만식의 「미스터 방」(1946), 이태준의 「해방전후」(1946), 염상섭의 「양과자갑」(1947)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해방기 미국 문화·자본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 소설들은 해방기 한국 문단의 판도를 조감하는 토대가 될 뿐 아니라, 해방기 미국에 의한 한국의 피식민 사회구조와 상황을 예시하고 있으므로 연구에 적정하다 할 수 있다. 또한 해방 후 미국에 의한 사상적·문화적 조류에 휩쓸리는 군상들의 혼란한 모습과 미군정의 등장으로 이어지는 신식민지적 사회를 표상하므로 연구 목적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이 소설들은 해방기 미국의 후기식민성에 의한 사회·정치·문화 등 전반적인 지배와 관련한 역사적·사회적 관점을 적시하고 있다. 더불어 한국의 신식민지적 정체성에 관한 현실 문제를 서사화하고 있는 것으로, 본 연구의 중심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고는 해방기 한국 단편소설 분석을 통해, 해방 이후 미국의 문화유입 양상을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신식민지 현실을 각층으로 하는 해방기 단편소설에 나타난 탈식민주의 경향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해방기 채만식의 「미스터 방」, 이태준의 「해방전후」, 염상섭의 「양과자갑」 소설의 탈식민주의 경향이 한국 현대문학사에 차지하는 문학적 위치와 성과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This study searches the phase of American culture and capital, which includes “Mr Bang”, Chae Man-Sik, “Haebang Jeonhu(Before and after Liberation)”, Lee Tae-Joon, “Yanggwazagap(Pack of Western-style cakes)”, Yeum Sang-Seop. These novels are suitable for study because those are not only the basis of understanding the stream of Korean literature but also demonstrate the system and situation the colonized Korea. In addition, These novels are suitable for study because those express the chaotic appearance of people swept away by the stream of thought and culture by America, and neocolonial society which results in American rule. In the meantime, these novels expose the historical social viewpoint, which is in connection with general rule by American imperialism ; society, politics and culture. Besides, this study describes actual problems about neocolonial identity in Korea.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phase of influx of American culture, and searches the tendency of post-colony came out in short stories. Moreov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iterary position and result that the neocolonial tendency of “Mr Bang”, Chae Man-Sik, “Haebang Jeonhu(Before and after Liberation)”, Lee Tae-Joon, “Yanggwazagap(Pack of Western-style cakes)”, Yeum Sang-Seop, are placed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 KCI등재

        대학 고전시가 교육의 선택과 배제

        서철원(Cheolwon Seo) 한국고전연구학회 2023 한국고전연구 Vol.- No.61

        전국단위 평가에 따라 표준화, 획일화되어가는 중등, 사범 계열에 비하면 지난날 국어국문학과의 고전시가 교육은 자율성이 어느 정도 있었다. 그러나 초기 국문학자들이 살아남은 고전 작품을 마주하며 느꼈을 민족주의적 감격은 오늘날의 학도에게 공감을 얻지 못하고, 일부 고전시가 작가는 풍자와 조롱의 대상이 되어가고 있다. 과거의 교육과정은 ①강독(초급)에서 이론(고급)으로 차근차근 이루어지거나, ②혹은 신라와 고려에서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장르별로 깊이 살피거나, ③여기에 더해 원전 강독이나 심화, 확장 과목까지 마련하는 등 학과마다 선택의 여지가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국어국문학과를 설치한 대학의 2/3 이상이 1개 과목만 운영하고 있다. 한편 강의실 바깥의 노년, 장년층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는 고향을 소재 삼은 대중가요를 매개 삼아 고전시가에 나타난 자연 제재에 관한 호응과 흥미를 유발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강의실 안의 젊은 세대에까지 공감을 얻는 일은 여전한 과제였다. 근래에 출간된 2권의 공저는 과거 교육과정이 지녔던 ①강독(초급)에서 이론(고급)으로, ②신라와 고려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흐름을 각각 보여주고 있어, 과거 현장의 체험이 축적된 양상을 오롯이 전해주고 있다. 대부분 대학에서 고전시가 과목이 1개로 운영되는 상황에서 학계의 공동작업으로서 이들 공저가 선택하고 배제했던 작품의 목록은 참고할 가치가 크다. 그렇지만 EBS 수능 연계 교재가 중등교육에서 행사하고 있는 권력 탓에, 학술계의 논의보다 저들이 선택한 작품을 사범 계열 나아가 국어국문학과의 교육에서도 우선하게끔 한다. 저들의 권력이 지나치게 난삽하거나 현실과 동떨어진 작품을 선택하지 않게 할 장치가 요청된다. 또한 공저의 다양성 못지않게 1인이 집필한 일관성 있는 교재 개발도 필요하다. 학생들에게 지식으로서 고전시가를 읽혀 설득하겠다는 태도 역시 중요하겠지만, 그들의 경험을 존중하고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작품 분석과 호응의 사례에 주목해야 하겠다. In the past, classical poetry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had some autonomy compared to the middle and ordinary classes, which were standardized and uniformed according to the national evaluation. However, the nationalistic emotion that early Korean literature scholars would have felt while facing the surviving classical works does not gain sympathy from today’s students. Even some classical writers have become the subject of satire and ridicule. In the past, students learned classical poetry step by step from beginner to advanced, or examined it deeply according to the times and genres. In addition, each department had a choice, including other subjects. However, more than two-thirds of Korean literature departments currently operate only one subject. In lectures outside the lecture room, popular songs about hometown were used as a medium to elicit responses to classical poetry. However, it was still a task to gain sympathy for the younger generation in the classroom. One of the two recently published publications shows the trend of the times, from beginner to advanced, and the first book shows the trend according to the times. As a collaboration of academia, the list of works by these co-authors is worth referring to.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sistent textbooks written by one person as well as the diversity of co-authors.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examples of work analysis and response that can respect students’ experiences and gain empathy.

      • KCI등재

        원효(元曉)의 게송(偈頌) <대승육정참회(大乘六情懺悔)>와 <원왕생가(願往生歌)> 전승담의 참회와 관법(觀法) -향가와 게송 연구의 상호 관계와 방법론적 전망-

        서철원 ( Seo Cheolwon ) 한국고전문학회 2021 古典文學硏究 Vol.60 No.-

        원효는 참회를 제재로 한 <대승육정참회>라는 게송을 지었고, 향가 <원왕생가> 전승담 후반부에서 참회하는 엄장에게 쟁관법을 가르쳐주기도 했다. <대승육정참회>는 270행으로 현존 게송 가운데 비교적 장형이며, 엄장이 참회하고 수행하여 깨달음을 얻는 과정과 유사한 전개를 지니고 있다. 그 66행에서 262행까지, 대략 여섯째 단락에서 열다섯 번째 단락까지의 화자는 ⓐ다른 사람을 따라 죄를 범하려다가, ⓑ참회를 통해 그 죄라는 개념이 애초부터 존재하지 않았음을 자각하고, ⓒ꿈이라는 일상적인 경험을 관법으로 삼아 ⓓ궁극적 깨달음을 얻기에 이른다. 이는 마찬가지로 원효가 등장하는 <원왕생가> 전승담 후반부에서 주인공 엄장이 ⓐ광덕을 따라 그 아내와 동침하려고 하다가, ⓑ광덕이 계를 범하지 않아 죄가 없음을 자각하고, ⓒ일상적인 어구로 규정된 관법을 통해 ⓓ광덕과 동일한 깨달음을 얻는 구성과 대략 일치한다. 더 세부적으로 보면, ⓐ와 ⓑ의 죄는 욕망과 오해로 말미암은 것이었는데, 이는 원효가 『二障義』』에서 내세웠던 번뇌장과 소지장, 게송의 육정-대승 참회의 대상에 각각 대응한다. ⓒ는 이야기에서는 ‘錚觀法’, 게송에서는 ‘夢觀法’으로 달리 나온다. 그러나 원효가 『金剛三昧經論』』 등에서 수행의 위계, 자질에 따라 여러 관법을 마련했음을 고려하여, 그 실질은 달라도 기능에 차이는 없었으리라 추정했다. 추정의 근거로 원효의 깨달음 체험과 한국 불교문학에서 잠과 꿈의 역할 등을 제시했다. 참회와 관법을 비교하여 향가 <원왕생가>를 미타신앙 일변도로만 이해해 온 관점을 벗어나, 원효 사상의 넓은 맥락 안에서 이해할 가능성이 열렸다. Wonhyo wrote a song titled Daeseung Yukjeong Chamhoe on the theme of penance, and when the penitent Eomjang, who appears in the second half of the story of Wonwangsaengga, asked how to perform it, he taught Jaengwanbeop. The Gatha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Eomjang's repentance and performance to gain enlightenment. From lines 66 to 262 of it, from the sixth to the fifteenth paragraph, he tried to commit a crime after others, but learned that the concept of crime did not exist from the beginning through penance, resulting in ultimate enlightenment. Similarly, in the second half of the story of Wonwangsaengga, where Wonhyo appears, the protagonist Eomjang, like Kwangdeok, tried to sleep with his wife, learned that Kwangdeok did not break the rules, and it roughly coincides with the composition of obtaining the same enlightenment through a common language. More specifically, the sins were caused by desire and misunderstanding, which correspond to the two objects of penance that Wonhyo put forward. It appears differently as Jaengwanbeop in the story and Mongkwanbeop in the Gatha. However, considering that Wonhyo prepared various types of kwanbeop according to the qualities of mankind, it was assumed that there would have been no difference in function even if the substance was different. As the basis for speculation, Wonhyo's experience of enlightenment and the role of sleep and dream in Korean Buddhist literature were presented. By comparing penance and kwanbeop, you can newly understand the incense song Wonwangsaengga within the broad framework of Wonhyo's idea.

      • KCI등재

        『혼불』의 소환 콤플렉스

        서철원(Seo Cheolwon) 국어문학회 2021 국어문학 Vol.77 No.-

        이 연구는 『혼불』에 나타난 작중인물들의 삶의 방식과 관련하여 내면적·심리적 상황의 정합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작중인물의 삶은 필연적으로 과거의 사건과 연동되어 나타나기 마련이다. 과거의 사건으로부터 발생하는 무의식의 추동 의미를 ‘소환 콤플렉스(summons complex)’라고 정의할 때, 텍스트 내부에 건설된 시간·공간 이미지는 작중인물의 불안·공포·단절·죽음·허무·광기 등의 의식/무의식과 연관된다. 먼 과거에서 이어져 온 인간 삶의 방식은 다양하면서도, 그 살아온 시간·공간의 위상은 인간의 내면에 자리 잡은 향수·추억과 관련하여 구성된다. 소설의 텍스트 내부에 존재하는 작중인물의 경우 그 존재를 증명하는 유일한 단서는 기억의 재생 혹은 기억의 소환에 의지할 수밖에 없다. 『혼불』의 경우, 텍스트 내부에 건설된 시간·공간 이미지 자체가 식민지 현실에 대한 뒤틀린 ‘기율(奇慄)’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매안마을 인물을 중심축으로 하여 거멍굴·고리배미 인물들 간의 삶의 방식에서 드러난다. 인물과 인물의 삶의 방식에는 필수적으로 상호 대립과 갈등, 연대와 공존 등 사건에 대한 실제적이며 선험적인 체험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단서들은 인물 내면의 트라우마를 증폭시키거나 기억으로부터 망각을 추동하는 소환 콤플렉스로 작용하며, 거시적으로는 『혼불』이 일제강점기 ‘인간적 해방’을 지향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본 연구는 『혼불』의 텍스트 내부에 살아가는 작중인물의 ‘존재적 정체성’과 ‘실존성’ 사이의 ‘소환 콤플렉스’를 규명하고, ‘죽음’·‘불안의식’·‘꿈’을 둘러싼 무의식의 반응으로써 근원성에 대해 해명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혼불』에서의 ‘혼불’의 본질에 해당하는 ‘전통의 복원 문제’, ‘인간성 상실의 문제’, ‘삶의 터전에 관한 문제’ 등 작가의 의식/무의식 상황에 대한 규명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internal and psychological consistency of the characters in ‘Honbul’ related to their life styles. It is certain that the life of the character in the story will be appeared in conjunction with the past incidents, inevitably. Defining the meaning of unconscious ‘reappearance’ on the past incident as ‘summons complex’, temporal and spatial images of the character developed inside the context as the basis of life are related to his/her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such as anxiety, fear, disconnection, death, futility, madness, and so on. Life styles of the human-beings originated from the past are dynamic, and the temporal and spatial positions are organized related to the nostalgia and memory inside the human-beings. For the characters in the novel, the only clue to verify their existences is dependent on the replaying or summons of memory. In ‘Honbul’, the temporal and spatial images developed in the context show distorted Giyul against the reality of the colony. It is certain that there must be real and transcendental experiences including confrontations, conflicts, collaborations, coexistences, and so on in the meanings of characters. These clues work as summons complex to amplify the internal trauma or facilitate the oblivion, demonstrating ‘Honbul’ to pursue ‘the humanity liberation’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summons complex’ between the existence identity and facticality of the characters in the context of ‘Honbul’ and to clarify the origin of unconscious responses related to death and dream. In addition, this study has the meaning to investigate the unconscious situation of the characters in the novel such as ‘issue of tradition recovery’, ‘issue of humanity loss’, ‘issue of living foundation’ and so on in ‘Honbul’.

      • KCI등재
      • 제대혈의 적혈구 제거 방법에 관한 연구 : 제대혈 은행 설립을 위한 기초 연구 Basic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Cord Blood Bank

        김효정,서철원,김상희,김상위,김성배,김강욱,조화정,민영주,박진희,김암,이인식,이필량,지현숙,서종진,강위창,이정신,김우건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0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5 No.1

        배경:제대혈에서 적혈구를 제거하는 것은 제대혈 은행의 효율적인 운영 및 제대혈이식시 ABO 부적합 수혈, DMSO 독성 등의 부작용을 해결하기 위한 이상적인 방법이다. 저자들은 동일한 제대혈로 여러가지 적혈구 제거법을 동시에 시행하여, 이들에서 CD34양성 세포의 수득률 및 조혈세포 집락형성능을 비교하여 제대혈 은행 설립의 기반 기술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방법:제왕절개 직후 헤파린 처리된 용기에 제대혈을 채취하였다. 제대혈은 5개의 용기에 분산하여 실온에서 보관하였고 12시간 이내에 적혈구를 분리하였다. 적혈구 제거 방법으로 Ficoll 비중 분리법, gelatin 침전법, 적혈구 용혈법, starch 침전법을 각각의 제대혈에서 시행하였다. 전혈과 적혈구가 제거된 제대혈에서의 세포 생존율, 적혈구 제거율과 단핵구 및 CD34양성 세포의 수득률, 조혈세포 집락형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18례에서의 평균 제대혈 채취양은 81.3 mL(범위 42~128 mL)이었다. 서로 다른 적혈구 제거법들간에 세포 생존률과 적혈구 제거율은 차이가 없었다. 단핵구 수득률은 3% gelatin침전법(47.7±14.5%)이 다른 적혈구 제거법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3% gelatin침전법은 Ficoll비중 분리법과 Starch침전법에 비해 CD34 양성 세포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36.1±5.4×10³/mL, 15.0±3.5×10³/mL, 20.7±4.2×10³/mL). 또한 CFC의 집락수도 3% gelatin침전법에서 Ficoll 비중 분리법과 적혈구 용혈법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52.0±7.1×10²/mL, 32.8±4.7×10²/mL, 36.8±5.7×10²/mL). 그러나 제대혈 전혈의 CD34 양성 세포수(65.7±11.2×10³/mL) 및 CFC의 집락수(117.8±15.8×10²/mL)를 적혈구 제거법을 이용한 실험군과 비교하였을 때 전혈군에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3% gelatin 침전법은 다른 적혈구 제거법과 비교해 볼 때 더 우수한 단핵구, CD34 양성 세포 수득률 및 조혈세포 집락형성능을 보였다. 그러나 다른 보고들과는 달리 3% gelatin 침전법은 CD34양성 세포 및 CFC 집락수의 절대값이 제대혈 전혈과 비교하여 의미있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시약의 종류와 실험방법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최상의 세포 수득률을 얻기 위하여 적혈구 분리 방법의 표준화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Efficient volume reduction is important to make a cost-effective umbilical cord blood (UCB) banking syste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a method of red cell depletion of UCB without major losses of the hematopoietic progenitor-CD34+ cells. Methods:Eighteen cor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in heparinized bottle immediately after Cesarean section. Five aliquots of each cord blood were stored at room temperature and processed within 12 hours. We used 4 different RBC depletion methods (Ficoll density gradient separation, gelatin sedimentation, red cell lysis, starch sedimentation) and compared the results of viability, RBC reduction rate, mononuclear cell (MNC) recovery rate, CD34+ cells and colony forming unit (CFC).Results: The mean collected cord blood volume was 81.3 mL (range 42~128 mL).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viability and RBC reduction rate among groups. MNC recovery ra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elatin group (47.7±14.5%) than other RBC depletion methods. Gelatin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CD34+ cell count than Ficoll and starch group (36.1±5.4×10³/mL, 15.0±3.5×10³/mL, 20.7±4.2×10³/mL) and higher CFC count than Ficoll and RBC lysis group (52.0±7.1×10²/mL, 32.8±4.7×10²/mL, 36.8±5.7×10²/mL). But the results of CD34+ cell count (65.7±11.2×10³/mL) and CFC count (117.8±15.8×10²/mL) of untreated control group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ll other treated groups. Conclusion:Umbilical cord blood processed with 3% gelatin sedimentation has higher recovery rate of MNC, CD34+, cell and CFC than other groups. Unlike other reports, the absolute numbers of CD34+ cell and CFC count of 3% gelatin sedimentation method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untreated control group. Different laboratory processes with gelatin could be one cause of these differences, a study for standardized laboratory methods should be established to obtain higher recovery rate of hematopoietic cells after RBC deple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