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창립20주년 기념: 성과와 전망

        이혜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40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was founded in January, 2000 with the goal of "the primary purpose of approaching and researching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from a feminine perspective, but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by promoting active exchanges with other achievements“ From the start, the society has made clear its identity as a joint society of male and female members and integrated field to discuss the issue of ‘women’ across various fields of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the journal of the Society, planning specials have been frequently prepared,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the direction of the Society, and by discovering a number of female writers and works that have not been known in academia,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has been enriched for 20 years. The ‘feminine perspective,’ the goal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ety, still seems to be valid as it needs to note the hidden voice of women. Above all, this Society is worth trying for the writing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It could also be responsibility of this Society to report how far North Korean classic women’s literature has come. In future, the Society needs expanding the research subject or perspective to include women's literature in East Asia, at least in the Northeastern Asian countries, influenced by Confucian culture at similar times. It is hoped that this year, which marks the 20th anniversary of its foundation, will be a new start year for the Society. 한국고전여성문학회는 “한국고전여성문학을 여성적 시각으로 접근, 연구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하되, 여타의 연구성과들과 활발한 교류를 도모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한국고전문학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는 목표 하에 2000년 1월 창립되었다. 본 학회는 출발부터 남녀 공동학회이고, 고전문학의 하위분야로서 고전문학 내 고소설, 고시가, 구비문학, 한문학 등 각 분야를 포괄해서 ‘여성’의 문제를 논의하는 통합 분야라는 정체성을 분명히 했다. 본 학회의 저널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를 살펴보면 무엇보다 기획특집이 자주 마련되어 학회의 방향을 확립하는 데에 기여했다. 그동안 학계에서 알려지지 않았던 여성 작가, 작품들을 다수 발굴해서 20년 사이 한국고전여성문학을 풍성하게 정립했으며, 여성의 여행, 종교나 노년의 여성처럼 여성 관련 주제의 다양한 속성들을 보여주었다. 단지 기획 특집을 통해 의미 있는 연구 주제들의 지속적인 제시에도 불구하고 치열하게 다툴 어떤 이슈나 쟁점은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나 학회창립의 목표인 ‘여성적 시각’은 고전문학 속 여성의 숨겨진 뜻과 목소리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어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이 학회는 여성문학을 깊이 있게 연구하는 인적 자원이 풍성하다는 점에서 한국고전여성문학사의 집체적인 저술을 시도해볼 만하다. 덧붙여 북한의 고전여성문학 연구가 어디까지 왔는지, 여성사 서술에 어떤 위치를 점하고 있는지도 본 학회가 중심이 되어 정리되기를 바란다. 앞으로 본 학회는 연구 대상이나 시각을 유사한 시기 유교문화의 영향을 받은 동아시아, 적어도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여성문학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대하는 것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학회의 다양한 성취에도 불구하고 고전문학 내 분야별로 활발하게 여성문학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여성문학회의 존재에 대한 도전에 직면할 수도 있을 것이지만 아직도 산재해 있는 여성 작가와 작품을 찾고, 분석하고, 평가해야 할 일이 산적해 있고, 이것은 본 학회만이 감당할 수 있는 고유 영역이라는 점에서 창립 20주년을 맞이한 올해가 한국고전여성문학회가 새롭게 다시 출발하는 해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정체성과 지구화 시대의 과제

        이경하(Lee Kyung ha)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4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9

        이 글은 지구화 시대에 한국고전여성문학 연구의 학문적 정체성과 이 분야 연구를 주도하는 학회의 역할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00년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창립 당시만 해도 선명해 보였던 '여성'주의의 기치는 오늘날 힘을 잃은 듯 보인다. 또한 신자유주의에 기반한 전지구화는 '한국'과 같은 민족국가 단위의 근대적 학문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흔들고 있으며, '고전/문학'을 비롯한 인문학을 점점 더 위기로 몰아가고 있다. 이 격변의 시대에 한국고전여성문학 연구가 '한국/고전/문학' 연구로서의 정체성에 안주하지 않고 '여성ㆍ젠더' 연구로서의 정체성을 학회 차원에서 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 이 글의 요지다. 학회 창립 이후 15년 간 한국고전여성문학회는 지속적인 기획을 통해 '여성문학' 연구를 특성화함으로써 '한국고전문학' 분야에서 다른 학회들과의 차별화에 어느 정도 성공했다. 그러나 한국고전여성문학 연구는 이제까지보다 훨씬 더 '여성ㆍ젠더' 문제의식에 민감해져야 하며, '여성ㆍ젠더' 연구의 간학문적이고 다학문적인 특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연구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지구화는 다양한 행위주체들의 선택과 노력에 따라 그 방향이 바뀌게 될 미완의 현실이다. 한국고전여성문학회도 학문세계를 구성하는 행위주체로서 바람직한 지구화에 기여하기 위해 새로운 도전이 필요하다. 첫째, '고전/여성' 연구의 현재적 의의와 방법에 대한 성찰을 학회 차원에서 담론화 함으로써 인문학의 소통성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에 동참해야 한다. 둘째, '한국/고전/문학' 연구의 국제화를 학회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기획하고 지원함으로써 학문세계의 평등한 지구화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학술지가 단순한 논문 모음집에 그치지 않고 '한국/고전/여성 /문학'을 매개로 비판적 인문정신을 실험하는 비평의 장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학회 차원의 적극적인 기획과 노력이 필요하다. This paper considers the identity of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in this globalized era and critically examines the role of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al Woman's Literature which has led the research. The banner of 'feminism' has come to be raised with less enthusiasm since the days when the society was first established in 2000, while research paradigms which focus on the unit of the nation-state (such as 'Korea') are becoming fundamentally weakened in the face of globalization. In such an intellectual context, it is imperative that the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looks beyond the themes of 'Korean', 'classical' and 'literature' and finds a new identity by focusing on research related to 'women' and 'gender'. It is stressed in this paper that the Society must play an active role in bringing about this change in research direction. In the 15 years since its establishment, the Society has been successful in encouraging research on 'Women's literature', thereby differentiating it from other research societies which deal with Korea classical literature. However, it can be argued that research needs to be even more attuned to the issues of 'women' and 'gender', with new attempts at inter-disciplinary and multi-disciplinary research. Globalization is an ongoing process, forged through the choices and efforts of various actors.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al Woman's Literature can also engage actively in this process. Firstly, this can be done by generating discourse within the society on the meanings and methods of research on 'classical/woman', thereby contributing the restoration of communication in the humanities. Secondly, the Society must actively encourage the internationalization of research on 'Korean/ classical/literature', thereby contributing to a more equal 'globalization' of scholarship. Finally, the journal of the Society should go beyond being a mere collection of papers; it should be an arena of experimentation for humanities focused studies of a critical nature - this can only take place with the active efforts of the Society.

      • KCI등재

        탈경계를 위한 도전: "고전-여성-문학-사"를 매개하는 "젠더 비평"의 학술사적 궤적과 방향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학술사적 의의와 과제-

        최기숙 ( Key Sook Choe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5

        이 논문은 13년의 연구 이력을 지닌 ``고전여성문학연구``가 사실상 ``고전-여성-문학-사``를 어떻게 매개하고 규정해 왔는지, 또한 그 관계들을 둘러싼 학술장의 제도적 변화와 문화사적 역할에 어떠한 비전을 제출하면서 ``통제/관리/조율/확산``해 왔는지에 관해, 학회와 학술지의 학술사적 역할이라는 차원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나아가 인문학 자체에 ``젠더적 시각``에 관한 어떠한 문제의식과 응답을 추동해 왔는지에 관해, 비판적이고 반성적인 성찰적 검토를 시도했다. 첫째, 학술사적 차원에서 해당 학회는 콜로키움, 하계워크숍, 학술대회 등을 통해 젠더 이슈와 관련한 고전문학 연구 주제를 선도적으로 기획하고 수행함으로써, ``고전-여성-문학``을 링크하는 학술적 공론장을 마련해 왔다. 또한 젠더 스터디의 연구 방법론으로서 학제간 연구를 지향함으로써, 문학주의를 벗어나 문화사/생활사 연구로 범주를 확장했다. 아울러 인접 학문의 페미니즘 연구의 성과를 수렴하여 케이스 스터디를 축적해가고, 이를 이론화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시작했다. 둘째, 해당 학회에 투고한 논문의 필자는 총 275명으로, 남녀 비율은 31% 대 69%로 여성 필자가 2배를 넘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고전문학은 대학의 분과 학문 체제의 전공 구분에서 독자적인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이는 여전히 대학의 전공 체제가 연구 방법론이 아니라 연구 대상을 중심으로 영역화되었기 때문이다. 셋째, 젠더적 시각에서 ``고전-문학-사``를 다시 읽는 작업은 기존의 전공 구분에 대한 학문 관행을 넘어서 젠더 연구를 영역화하는 선도적 역할을 했다. 국문 글쓰기 과정에 대한 주목, 생활사나 문화사 연구, 학제간 연구 등은 이전의 ``고전-문학-사`` 연구의 경계를 뛰어넘은 성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학회의 활동은 젠더 연구의 고전문학연구의 보편적 연구 의제이자 시각으로 설득하는 문화적 힘을 발휘했다.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고전-여성-문학-사``에 대한 연구는 다음의 해결 과제를 남겨두고 있다. 첫째, 연구의 대부분이 여성성 및 여성 연구에 집중되어 있어, 남성성에 대한 연구를 아우르려는 젠더적 관점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조선시대(조선후기) 연구에 집중된 연구를 확장하고, 동아시아적 관점과 방법을 연계함으로써, ``시기``와 ``지역``으로 제한된 연구 범주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회 차원의 장기 지속적인 학술 기획을 마련함으로써, 신자유주의 체제의 학문 제도화의 관행이 갖는 한계를 적극적으로 극복해 나가야 한다. 넷째, 이를 위해서는 현재의 학문 평가 시스템에 대한 전면적인 전환과 개편이 필요하다. 다섯째, 이를 위해 젠더 관련 학회 간에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콜라보레이션 네트워킹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향후 젠더 연구는 단지 연구 영역이나 방법론으로서의 개념과 역할로 제한되지 않고, 여성적 시각을 고려했을 때 필요한 인문학 연구의 ``태도``란 무엇인가라는(예컨대, ``돌봄``이나 ``배려``, ``공생`` 등), 사회·문화적 실천의 내용과 접합하려는 학적 노력이 필요하다. This paper researched the roles and outcome of the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by analyzing the journals, academic projects and works; 1) how this academic society redefine of the categ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history of literature`` with the view point of gender criticism, 2) how this working affected to the academic system and cultural roles, 3) what are effects of these gender issued scholarly process to the Humanities itself? First, at the level of academic history, this academic society have been planned long-term projected colloquium for 8 yeard, interdisciplinary summer-workshops, and conferences with the feministic view. By doing so it played a leading roles amongst researchers and academic societies with regard to th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By using the gender criticism as a methodology, and using the concept of cultural studies and a study of ordinary life, this academy made enlarge the category of literature, accumulated the case studies and got to academicize as a gender theory. Second, the total contributors are 275, amongst 31% are male-writer, and 69% are female-researcher. However, the gender criticism could not be considered as one of academic field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ese phenomena resulted from the fixed academic system of university depending on the category and objects, not on methodology and viewpoint. Third, in the engendered perspective, the critical reading with considering of the concepts of ``Classic-literature-history`` can be estimated as a leading role; crossing the border of academic system which is limited by the department system of university; a highlighting on the woman`s writing with Korean alphabet and oral narratives, newly focusing on the cultural history and interdisciplinary/multidisciplinary approach as a methodology. Nevertheless, this academy is in dept to the next issued studies; 1) Most studied are focused on the analysis of feminity, not positively including the studies of masculinity/manhood. So it need to be changed from the feminism study into the gender studies. 2) Most researched are converged on the Joseon period, especially late Joseon. It should be linked with the East Asian studies crossing the boundaries in limited in category of Korea. 3) It should be suggested a series of long-term projects at the level of academic society, by doing so it should be overcome the limitation resulted from neo-liberalism which had a decisive effect on the academic system. 4) To do so, it needs to change and reorganize of academic valuation system totally. 5) The collaboration amongst academic societies with regard to gender issues or perspectives should be linked by networking continuously.

      • KCI등재

        한국고전문학전집의 간행 양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권혁래 ( Hyeok Rae Kwon ) 한국고전문학회 2011 古典文學硏究 Vol.40 No.-

        이 논문은 한국고전문학전집의 간행 양상과 성격, 각 전집의 편찬의식과 구성, 수록 작품의 특색, 새로운 정전 구성을 위한 제안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1961년 민중서관에서 간행된 『한국고전문학대계』를 시작으로, 2000년대까지 발간된 20여 종의 한국고전문학전집은 서민대중들이 친근함을 가지고 읽는 ``재미있는 교양도서``와 민족 고전에 특별한 관심이 있는 (엘리트) 독자들이 읽는 ``학술기초 자료집``의 성격이 동시에 존재하는 편폭이 넓은 책이다. 이에 따라 대상 독자층도 불특정 ``서민대중``에서 전공 대학생층, 그리고 전문 연구자층에 이르기까지 넓게 존재하지만, 무게 중심은 후자쪽에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수록 작품은 소설 장르가 중심이 되었고, 시가, 구비문학, 한문학 장르가 부차적이다. 대표적인 9종의 한국고전문학전집을 대상으로, 편찬의식과 구성을 분석해본 결과, 초기(1965)에는 대중적인 소설 작품 위주로 소개함으로써 고전문학의 존재를 서민대중들에게 알리고 친근함을 심어주는 방향에서 기획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성음사본(1970), 서영출판사본(1978) 등으로 갈수록 문학사적인 관심에서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을 많이 채택하였고, 원문도 수록하고 주석 작업을 보강하는 등 학술기초 자료집의 성격이 강화되었다. 민족문화연구원본(1993)에서는 원전과 현대역을 동시에 수록하여 서로 다른 독자들의 요구를 수용하고자 하였다. 특이 현상은 같은 내용의 重版 작업이 빈번하게 일어났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은 고전문학전집의 출판이하지만 결과적으로 출판 행위의 권위를 지키지 못한 책임은 편찬자 및 출판 관계자들에 있음을 부인하기 어려울 것이다. 또한 새로운 한국고전문학전집 전집 발간 및 정전 구성 작업을 위해서 유의할 점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먼저 현재까지 간행된 작품들이 ``민족 고전``으로서 적절한 자격을 갖추었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후 작업에서 대중들의 교양 충동을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획·선집 작업이 필요하며, 또한 독자층의 분화에 따른 다양한 연령대별 출판물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a new approach to the compilation of Korean classic works of literature based on an analysis of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in the publication, composition and consciousness of such compilations, and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works included. Firstly, starting with The Collection of Korean Classic Works of Literature, which was published by Minjung-seokwan in 1961, 21 kinds of Collections of Korean Classic Works of Literature have been published, with a wide rang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collections, ranging from ``interesting cultural books`` for the public to ``academic fundamental materials`` for elite readers with a high interest in Korean classic works of literature. For this reason, the readers have widely ranged from everyday people to collegians and specialized researchers, but the focus has moved to readers with special knowledge. The works of literature included mainly consist of poems, folk tales and stories written in Chinese. Secondly, in terms of composition and consciousness in compilation, 6 collections were analyzed. Early collections were planned to give the public general information on and familiarity with Korean classic works of literature by introducing popular novels. However, as time went on, more and more works of literature from different literary genres were included in the collection published by Seongeum (1970), and the collection was published by Seoyeong Publishing, leading to the intensif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fundamental academic materials with the original texts included and comments on the original texts reinforced. The collection published by the Korean Studies Institute(1993) included both original texts and versions translated into modern Korean in order to meet the demands of modern readers. As the distinctive feature, diverse editions on the same text can be found. In a nutshell, before publishing a new collection of Korean classic works of literature, a publishing company should check whether the collections published so far have qualified as a ``Korea`s representative classics.`` Based on this process, it should pay more careful attention to the selection of works of literature to be included. Moreo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age of the readers of such works has become younger than adolescents, different types of collections should be published for different age groups.

      • KCI등재

        『한국어문학 여성주제어 사전』의 체제와 내용 -고전소설 분야를 중심으로-

        정선희 ( Sun Hee Jeung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4

        본고는 『한국어문학 여성주제어 사전』의 목표와 체제, 고전소설 분야의 내용과 특성에 대해 설명한 논문이다. 이 사전 편찬은 한국어문학 자료들을 여성적 시각으로 해석하여 주제어를 추출하고 이에 대해 설명하면서 해당 예문을 제시하여 사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와 같은 주제어 연구는 고전소설 분야의 경우 모티프 연구나 중심 관계 연구, 중요 소재 연구 등과 비슷한 면이 있지만, 여성주제어 사전에서 추구하는 바와 같이 많은 주제어들을 일목요연하게 추출해 내고 그에 해당하는 작품의 실제를 용례로 보여주는 총체적이고도 통시적인 연구는 없었기 에 그 의의가 인정된다. 특히 기존의 주제어 연구가 남성 학자들에 의한,남성중심적인 시각을 반영했거나 중성적인 시각을 견지했던 것에 비하여 이 연구는 여성중심적인 시각으로 한국어문학을 분석하고 독해했다는 면에서도 의의가 있다. 효과적인 사전 편찬을 위해 우선, 인간·관계, 공간, 자연, 제도·이데올로기, 몸, 사물 등 6개의 큰 범주로 나누었고, 이를 다시 7~12개의 소항목들로 나눈 뒤, 각 항목마다 3~8개의 소표제어들을 추출하였다. 표제어들마다 이에 가장 적절한 예문을 뽑아 제시하면서 설명하는 것으로 사전은 완성된다. 본 연구진 전체의 연구 대상 작품이 여성 작가의 것인 것과는 달리, 고전소설 분야는 모든 작품을 연구의 일차 대상으로 삼았다. 고전소설은 작가가 분명하지 않은 데다 여성과 관련된 의식을 읽어내고 해당 예문을 추출할 수 있는 작품이 그리 많지 않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연구결과, 여성이 주인공이거나 여성들이 주로 향유했던 소설들에서 압도적으로 많은 소표제어들과 예문들이 추출되었다. 고전소설 분야 여성주제어 사전 각 범주의 특성을 범박하게나마 정리하자면, 인간·관계 범주는 ``정감 있지만, 여성 희생을 요구하는 가족관계``, 공간 범주는 ``여성 억압과 교육의 이중적 공간``, 자연물 범주는 ``여성에 대한 비유와 하늘 뜻의시현``, 사물 범주는 ``여성 성장과 위안, 능력 표출의 매개``라고 요약할 수있다. 앞으로 좀 더 많은 인력이 오랜 시간을 투자하여 연구 대상 작품들을 늘린다면 일부 분야에서 여성 작가의 작품 위주로 편중된 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공 영역 간의 지속적인 교류와 이해가 뒷받침 된다면 여성주제어 추출 자료에 대한 통시적, 공시적인 위상 기술과 논평이 더욱 깊어질 수 있으리라 전망된다. The present paper attempts to explain a portion of "A Study on the Compilation of a Dictionary of Feminist Theme Words in Korean Literature," which aims to select essential theme words from a corpus of Korean literature; collect and analyze materials based on these theme words; and compile them into a dictionary. The theme words are selected from works of Korean literature by reviewing them from a feminist perspective, and they are analyzed and explained in a dictionary format. To facilitate the classification process, six categories have been determined: spa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nature, institution/ ideology, body, and object. Then, each category has been divided into sub-categories, each of which is assigned with three to eight theme words. As the final step, each theme word has been explained by providing suitable examples. Theme words in the area of classical novels are found to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the category of space, the selected words show that the inner space of a house, as a prototype of a patriarchal space,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idea of male supremacy, and that a house serves as a mirror that reflects the contemporary culture that oppressed and disciplined female members of a family. In the category of nature, the entry words are largely related to a woman`s outward looks and personality, and also reveals an idea that nature responds favorably to good-natured women. In the categor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selected words represent various maternal and paternal images, showing how they are changed by the parents` relationships with their offsprings. In addition, the words also manifest varied relationships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between lovers.

      • KCI등재

        후기 근대의 ‘확장된 효율성’과 여성주의 지식생산- 한국고전여성문학 연구에의 함의

        조주현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5

        Issues of feminist knowledge production and restructuring of classification scheme in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studies require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can offer diverse perspectives. This paper claims that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f gender politics on feminist knowledge production is starting to reveal its limitation in late modernity and need be generalized to the one based on practice theory and agonistic politics. This will proceed in the following steps. First, the concept of social practices as symbolic complex adaptive systems is introduced and explained based on the author’s previous research. Second, agonistic politics as implementation of practice perspective on feminist politics is presented as a comprehensive political strategy encompassing and generalizing identity politics. Third, possibility of mitigating the present prevalence of neoliberal logic based on shallow concept of economic efficiency deteriorating social practices in Korea through introduction of an expanded concept of social efficiency is presented and its impact analyzed carefully. Fourth, it is also pointed out that the practice turn of feminist theory and politics allows Korean women’s studies escape from the worries that it has been indiscriminately applying theories based on western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Fifth, analysis of aesthetic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practice theory reveals the creative role of aesthetic judgment in adaptively transforming social practices in general that has been characterized as an aesthetic character of political judgment at the world-building moment by Arendt. Finally, the practice perspective has important implications on the issues of feminist knowledge production and restructuring of classification scheme in classical Korean women’s literature studies. For example, the importance of the works by women writers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should be reevaluated for their role of valuable windows on diverse social practices in action as collaborative artworks of ancient Korean societies. 여성주의 지식생산과 한국고전여성문학 분류체계 재구성 문제를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들을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적 분석틀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 필자는 여성주의 지식생산에 관한 전통적인 젠더정치 관점은 후기 근대 한국사회에 들어 그 한계를 노정하기 시작했으며 이제 실천이론과 아고니즘 정치에 기반을 둔 관점으로 확장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다음과 같이 논의를 진행한다. 1) 필자의 선행연구에 근거해서 상징적 복잡적응계로서의 사회적 실천 개념을 제안하고 그 내용을 설명한다. 2) 페미니즘 정치에 대한 실천적 이해는 아고니즘 정치로 구현된다는 점을 주장하고 아고니즘 정치는 정체성 정치를 특수한 경우로 포함시킨 확장된 정치 전략임을 설명한다. 3) 신자유주의 논리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후기 근대 한국사회에서 사회적 실천들을 황폐화시키고 있는 편협한 경제적 효율성 개념을 대체할 확장된 효율성 개념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하고 대안으로 제시된 확장된 효율성 개념을 상세하게 분석한다. 4) 여성학 방법론과 페미니즘 정치의 실천적 전환을 통해 한국의 여성학은 서구의 경험과 관점에 기반을 둔 서구이론을 무차별적으로 적용한다는 혐의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5) 실천이론의 관점에서 미적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실천의 적응적 조정에서 미적 판단의 창의적 역할을 드러내고 이러한 미적 판단의 특징이 바로 아렌트가 포착한 세계-구축의 순간에 작동하는 정치적 판단의 미적 특성의 원천임을 강조한다. 6)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로부터 실천이론이 여성주의 지식생산과 한국고전여성문학 자료의 새로운 분류방식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법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 특히 한국고전여성문학작품에 대해 지금까지 이루어진 기존의 소중한 연구에 기반을 둔 평가에 더해, 이들 여성작가의 작품이 규범적 실천을 통해 유교사회의 안정적 작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남성작가의 작품에 비해 전통사회 구성원들의 공동 작품인 다양한 사회적 실천들의 적응적 변화가능성의 측면, 즉 창의적 측면에 대한 통찰을 제공해줄 수 있는 중요한 창이 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 KCI등재

        豹變의 한국고전문학, 연구와 교육 -글로벌ㆍ디지털 환경, 젠더 감수성, (기계)번역을 경유하여

        최기숙 한국고전문학회 2022 古典文學硏究 Vol.62 No.-

        In this article, we propose a curation concept of education and research that interactively connects classics and modern times, Korea and the world, and a communicative I searched for ways to innovate the research and educ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this, the viewpoints, perspectives, methods, and alternatives of research and education that can contribute significantly in the fields of humanities, Korean studies, and classical literature were sought. Classical literature has been institutionalized as part of the sub-major area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stablished since 1950s, and continues to this day. In the global environment and the digital age, the super-diversity of literature audiences is activated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s diversified through (machine) translation, encompassing the current literary phenomenon, which was proposed and established about 70 years ago. There are parts that are inappropriate to cover the phenomenon with the concep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eek a direction for the deconstructive reconstruction of the concepts and disciplines of Korean literature or classical literature. In the 21st Century, exophony activities that transcend the boundaries of nationality, language, and race are increasing. Activities that transcend genre boundaries and borders of literature, culture and art acceptance and creation are also activated. Accordingly, an expansive reconstruction of the concept of literature is required, and an institutional and practical search is needed to carry over the boundaries of language, genre, and national border and realize connectivity. 이 글에서는 시대 변화를 이해하여 한국/고전/문학의 개념을 해체적으로 재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고전과 현대, 한국과 세계를 대화적으로 연결하는 교육과 연구의 큐레이션 개념을 제안하고, 소통적 고전문학의 연구와 교육이 창신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 한국고전문학이라는 학술적 명명과 제도적 영역은 1950년대 이후에 확립된 국어국문학이라는 분과학문의 세부전공의 일부로 제도화된 이후,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글로벌 환경과 디지털 시대에 문학 수용자의 초다양성이 활성화되고 (기계)번역을 통해 문화간 소통이 다양화되는 현재의 문학 현상을 아우르기에, 대략 70여 년 전에 제안되고 확립된 ‘(국어국)문학’ 개념으로 해당 현상을 포섭하는 것이 부적절하고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 이에 따라 한국문학, 또는 고전문학의 개념과 학제를 해체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방향 모색이 필요하다. 현대는 국적, 언어, 인종의 경계를 넘어선 엑소포니의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문학과 문화, 예술 수용과 창작의 장르적 경계와 국경을 넘는 활동도 활성화된다. 이에 따라 문학의 개념의 확장적 재구성이 필요하며, 언어, 장르, 국경이라는 경계를 이월하고 연결성을 실현하는 제도적, 실천적 모색이 필요하다. 변화하는 젠더 감수성과 인권 감수성을 고려한 고전의 향유와 교육 방안도 요청된다.

      • KCI등재

        중국(中國)의 한국고전문학연구(韓國古典文學硏究) 현황(現況)과 과제(課題)

        이학당 ( Xue Tang Li ) 韓國古典文學會 2009 古典文學硏究 Vol.36 No.-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중국학자들이 한국고전문학(한문학) 연구의 현 주소와 특징,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를 다루는 데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 이래 근 반세기 동안의 한국 한문학에 대한 연구를 크게 1949~1970년대, 1970년대말~1980년대말, 1990년~현재 등 세 발전 단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각 시기별로 주요 연구성과와 특징을 종합분석한 결과, 고전문학 작가와 작품, 시화시론, 그리고 중한문학 비교연구 등 방면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들을 거두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국에서의 한국고전문학 연구는 초창기에 연변대학, 북경대학의 학자들을 위주로 하였다가, 90년대 이후 북경대학과 중앙민족대학을 중심으로 한 북경지역, 연변대학과 길림대학을 중심으로 한 동북지역, 산동대학과 청도해양대학을 중심으로 한 산동반도지역, 상해북단대학과 절강대학을 중심으로 한 화동지역 등 몇 개의 학자군이 형성되어 활발하게 전개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국고전문학 연구의 중국학파는 역사유물론과 변증유물론 미학의 원칙 하에서 서양 학계의 여러 가지 현대 비평방법을 도입하여 전통문화에서 중한문화와 문학의 유대관계의 형성, 한국문학의 민족적 특색을 규명하여 완전적인 동방문학체계의 구축을 도모하고 있다. <십초시>는 고려 때 문인이 뽑은 당, 오대의 시들인데 <전당시>를 연구하는 중요한 자료로 중국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에서의 연구사를 개괄하여 한·중·일 삼국 학계의 연대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search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features of projects in the field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by Chinese scholars. The history of this research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from 1949 to 1970, from 1970 to 1980 and from 1990 to the present age. By doing comprehensive analysis on research results and features in every period, the author suggests that the fields of research by Chinese scholars are mainly in the classical writers, works, random notes and poetics. In addition, as advantages and features of Chinese scholars, they have got remarkable achievement in the field of Comparative Literature. The scholars represent several areas such as Beijing area with the center of Beijing University and Central University for Nationalities, the Northeast area with the center of Yanbian University and Jilin University, Shandong area with the center of Shandong University and Ocean University of China, and the Eastern area with the center of FDU and Zhejiang University. They do intensive research on all aspects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The conclusion indicates that the current projects and research areas by Chinese school are mainly in learning more kinds of modern critiques from the West actively, expounding the nepotism of Korean culture and literature in traditional culture, analyzing the national characters of Korean literature and building up an integrated system of Oriental Literature by insisting the principle of historical materialism and dialectical materialism aesthetics.

      • KCI등재

        한국 고전소설의 여성주의적 연구에 대한 반성적 검토

        엄태식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40

        This study looks at 48 papers on classical novels that have been published during the past 10 years (2010~2019) in the journal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aper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jority of the studies focused on Korean full-length and heroine novels, consisted primarily of character studies, and made attempt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ale-centric readings of the works. In that they meticulously interpreted the works from a feminist perspective, attempted an understanding of women’s issues within their links with society and ideology, and sought new interpretations of works through critical distancing away from male-centric views, these studies have realized substantial achievements. Feminist studies of classical literature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allow for the reading of meaning that had gone unnoticed by previous research methods, and in that they contribute to fulfilling the goals of the feminist movement. In view of this, there is a need to persuasively present a reason for why ‘classics’ of the past should serve as a reference for ‘women’s’ issues of the present. 본고는 지난 10년(2010~2019) 동안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에 실린 고전소설 연구 논문 48편을 검토한 것이다. 그 결과 국문장편소설과 여성영웅소설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 인물론이 주를 이루었다는 점, 기존의 연구방법론 및 남성 중심적 독해가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는 점이 주된 경향임을 확인하였다. 여성주의적인 시각에서 작품을 정밀하게 해석하였고, 여성의 문제를 사회 및 이데올로기와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려 하였으며, 남성중심적 시선에 대한 비판적 거리 두기를 통해 새롭게 작품을 읽어내려 했다는 것이 큰 성과이다. 고전문학에 대한 여성주의적 연구는 기존 연구방법으로는 포착할 수 없었던 의미를 읽어낼 수 있게 한다는 점, 그리고 여성운동의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현재 ‘여성’의 문제를 과거의 ‘고전’ 속에서 찾아보아야 하는 이유가 보다 설득력 있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고전시가 여성 화자 교육 비판적 검토 (1)

        조희정(Hee-Jung Cho)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3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46

        본 논문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된 중등 국어과 교과서의 고전시가 여성 화자 교육 내용 중 충신연주지사 전통 교육에 제시된 중세 여성의 모습과 목소리를 검토하였다.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시가 제재 중 여성 작가가 창작한 작품의 수는 남성 작가의 작품에 비해 매우 적다. 여성 작가가 창작한 고전시가 작품을 보충하며 중세 여성의 모습을 드러내는 제재들은 ‘여성 화자’가 드러나는 작품군이다. ‘여성 화자’ 교육에 활용된 주요 고전시가 제재는 고려 속요 갈래와 충신연주지사 작품군으로 양분된다. 충신연주지사 작품군들은 대부분 국어과 교육과정의 전통 교육 성취기준들과 결합하여 다루어진다. 한국 문학 전통의 하나로 제시되는 충신연주지사 작품군 속에서 형상화된 중세 여인의 모습은 이별 상황 속 버림받은 여성이 임을 그리워하는 것이다. 충신연주지사 작품군에서 제시되는 ‘버림받은 여성’의 모습은 국어과 교과서에 선택된 중세 여성 작가의 고전시가 제재들과 연결되어 중세 여성을 대표하는 이미지를 형성한다. 국어과 교과서 속에서 중세 여성을 다루는 방식의 전환을 위해서는 충신연주지사 속 여성 화자 교육에 암묵적이고 명시적으로 내포된 여성관, 그로부터 파생되는 여성상에 주의를 기울여 교육 내용을 마련해야 한다. <사미인곡>·<속미인곡>에서 드러나는 여성상은 궁궐에서 생활했던 궁녀 신분으로 임의 사랑에 모든 것을 바친, 지나치게 관계 의존적인 여성상이다. 이는 비슷한 처지에 놓여 비슷한 정서를 드러내는 것처럼 보이는 규방 가사 <규원가> 속 여성 화자와 비교할 때 차이를 보인다. <규원가> 속 화자는 사대부가 여성으로 이별 상황 속에서도 자기 자신과 관계 맺기를 끊임없이 시도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국어과 교과서에서 충신연주지사 전통 교육 내용을 마련할 때는 이별 상황 속 여성 화자가 드러나는 고전시가 작품과 공통점뿐만 아니라 차이점을 강조하여 작품 이해와 학습 활동을 구성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충신연주지사 속 여성 화자의 모습이 지닌 특이성, 즉 남성 작가가 임금과 신하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 취한 문학 전략이라는 점, 그렇기에 충신연주지사 작품군 속 여성 화자의 모습은 중세 여성의 보편상이 아니라 1/N의 부분에 해당한다는 점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traditional education of ‘Loyalists' Love-songs for the King’ presen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Most of the works of ‘Loyalists' Love-songs for the King’ are dealt with in combination with the traditional educational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figure of a medieval woman drawn in the work group is a woman who was abandoned in a breakup situation and misses lover and thinks only of him whether she is sleeping or sitting or standing.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appearance of a female speaker in ‘Loyalists' Love-songs for the King’ is a literary strategy taken by a male writer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a king and a subject. It must be taught that the figure of the female speaker is not a universal image of medieval women, but has a partiality of 1/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