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독일 역사교과서의 세계사 내용구성 및 탐구활동 분석 중국사를 중심으로
배지혜,윤세병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2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5 No.1
This study examined the composition of contents and questions in the Chinese history units of three 10th grade history textbooks of Baden-Württemberg, Germany. According to the curriculum, students in grades 5-9 learn history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in chronological order, focusing on Western Europe. In 10th grade, they learn the history of three countries, Russia, China, and Turkey, as world history of unfamiliar spaces. This composition reflects the Western Europe-centered understanding of history. The overall content focuse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ocial issues of each country, following the principle of the "Present Relevancy", the "Gegenwartsbezug" in German. The proportion of modern history is, therefore, relatively high. The pre-modern Chinese history includes the Qin Dynasty, Zheng He's naval expeditions in the Ming Dynasty, and as the last dynasty of the pre-modern era, in relation to modern history, the Qing Dynasty, taking up 28%. The main topics of modern Chinese history deal with the Opium Wars and the Opening of the ports,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Mao Zedong, Deng Xiaoping, and his reforms, and China's present social problems under the leadership of Xi Jinping, accounting for 72%. As for the questions, 15% of the questions requires reproduction of knowledge, 51% requires analysis and reorganization of data, and 28% requires reflection and problem solving through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The list of Operational Verbs in the curriculum supports developing questions that require various cognitive activities. The learning ques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authors' texts and materials, represent "multiperspectivity" and "controversity."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evaluative questions promote students' multiperspectivity, namely, the "plurality." 본 연구는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Baden-Württemberg)에서 사용하는 중등 10학년 역사교과 서 3종의 중국사 단원에 나타난 내용구성 및 탐구활동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에 따르면 5-9 학년에서는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역사를 서유럽을 중심으로 학습하고, 10학년에서 낯선 공간으로서 의 세계사를 학습한다. 세계사 내용은 독일내의 이주민 구성 상황과 세계화 등을 고려하여 러시아, 중 국, 터키의 역사를 다룬다. 이러한 구성은 서유럽 중심의 역사 인식을 보인다. 한편, 학습 내용은 현재 관련성(Gegenwartsbezug)의 원리에 따라 현재 사회의 구조 및 현안을 중심으로 구성하였고, 이에 현대사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중국사 단원의 전근대 내용은 진(秦)의 시황제, 명대 정화의 항해 및 전통 시대의 마지막 왕조이자 근대사와 연결되는 청조 등이며 서술 분량은 28%이다. 근현대사는 아편전쟁과 개항, 중화인민공화국과 마오쩌둥, 덩샤오핑의 개혁, 시진핑의 정책 및 현재 중국의 사회 문제 등을 다루고 72%를 차지한다. 탐구활동은 정보를 확인하는 문제가 15%에 지나지 않고, 자료를 읽고 재구성하는 사료학습 활동이 51%, 학생의 역사에 대한 평가와 판단 및 새로운 아이디어를 요구 하는 성찰 및 제안 활동은 28%를 차지했다. 탐구활동은 설명글과 사료를 통해 당대의 역사 속 인물들 이 갖는 다원적 관점(성)(Multiperspektivität)과, 후대 역사 해석의 논쟁성(Kontraversität)을 제시 하고, 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이 주체적으로 역사를 평가하고 미래의 구성 방안을 제안하도록 요구함으로써 학생 수준의 견해와 판단의 복수성(Pluraltät)을 갖도록 돕는다.
독일의 5, 6학년 역사교육 :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배지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독일 남서부 바덴-뷔르템베르크(Baden-Württemberg) 주의 역사과 교육과정 및 코넬젠(Cornelsen) 출판사의 5, 6학년 역사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교육의 지방자치 성격이 강한 독일에서는 국가 즉 연방 차원이 아닌 16개 주(洲) 정부의 교육부 차원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하며, 주요 출판사에서는 주 단위로 다른 버전의 역사 교과서를 제공한다. 인문계와 실업계 중등학교의 역사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도 구분되어 개발되기 때문에 그 종류가 다양하다. 독일의 학교급은 대체로 초등 4년, 중등 8년으로 구성되어 한국과 달리 5, 6학년은 중등학교의 1, 2학년에 해당되지만 학생 연령은 한국의 초등 5, 6학년과 같다. 따라서 본 글은 주로 한국의 초등 역사교육에의 시사점을 염두에 두고 독일 중등 역사교육의 저학년 부분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로 첫째,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정부의 2016 역사과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역사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역사 학습 과정상의 역량을 강조하며 이를 각 학년군에서 다루는 시대사 내용과 통합하여 안내하였다. 둘째, 해당 지역의 인문계 중등학교* 제1저자 및 교신저자, Bae@stud.uni-heidelberg.de 1) 흔히 유럽의 학교 교육제도를 복선형 학제, 이에 비해 한국의 학교 교육제도를 단선형 학제라 본다. 물론 두 지역 모두 사회·경제적 지위 등에 관계없이 개인의 능력에 따라 교육받을 수 있는 단선형 학제인 기본 의무교육을 하고 있으나 인문계와 실업계의 선택을 비교적 빨리 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위와 같이 구분하기도 한다. 이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실업계가 아닌 독일 인문계 중등학교의 1, 2학년 교육내용을 단선형 학제 하에서의 초등 5, 6학년 교육내용과 비교할 수 있는 대등한 범위의 내용으로 간주하였다. 용 역사 교과서 중 코넬젠 출판사의 역사 포럼(Forum Geschichte) 5/6학년 교과서는 ‘역사와의 첫 만남’이라는 역사 학습에 대한 개념 형성을 돕는 도입 단원이 있다. 단원은 두 페이지에 하나의 소주제를 다루는 옴니버스식 구성을 취하며, 각각의 소주제는 설명글·사료·역량확인문제의 세 요소로 구성된다. 역사과목의 학습방법을 별도로 소개하는 코너도 있다. 독일의 사례를 통해 한국 초중등 역사교육의 역할분담에 대한 논의, 다원적 사고를 지향하는 학습 방향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교육과정에의 역사 연구 역량의 구체적인 적용, 역사교과서 내용의 질적 양적 개선을 제안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y Curriculum of Baden-Württemberg for 5th and 6th graders and the History Textbook published by Cornelsen. In Germany,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re generally composed of 4 and 8 grades. Therefore the 5th and 6th grades are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the secondary school, while in South Korea, the 5th and 6th grades are the last two years in elementary school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2016 History Curriculum of Baden-Württemberg emphasizes the historical competences of History Learning process to improve pupil's Historical Thinking Ability and concretely represents them to the related chronological history contents. Second, the 5 and 6th grade textbook has an introduction unit called 'First Meeting with History', which promotes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history subject. The units are composed of various topics in the Omnibus format on every two pages. Each topic consists of three elements: Descriptive Text, Historical Sources, and Competency Checking. The history textbook also includes Methodology segments which elaborate various ways to study history with different types of historical sources and media. This research proposes a discussion to allocate the role of history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 in South Korea, the necessity of a redirection of nationalistic history education towards a Pluralistic Identity, an application of the historical competencies to the curriculum, and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provement of history textbooks.
미술상(art prize)을 통한 국내 미술계 기업 후원(corporate art patronage)의 의미: 근거이론 분석 방법론을 통한 연구
배지혜,현은정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2
전 세계에 걸쳐 기업 미술상이라는 제도를 통해 기업들은 문화예술계 종사자들에 대한 재정지원에 한정된 후원자(patron)의 역할에서 벗어나 작품의 가치를 판단하는 평가에 까지도 영향을미치는 적극적 후원자로서 자신들의 역할을 재정립해가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평가제도는 예술가 명성(artistic reputation) 형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문화예술계 내 기업과 같은외부 민간 주체들의 이와 같은 역할 변화는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 미술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이러한 제도적 변화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사회학적 관점에서 문화예술계에서 작품과 작가에 대한 평가가 갖는 의미를 예술가 명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이를 토대로, 기업상에 대해 실제 문화예술계 종사자들이 인식하고있는 바를 근거이론 분석방법론을 통한 탐색적 접근법으로 실증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보고한다. 구체적으로, 기업 미술상에 대해 국내 미술계 참여자와 관계자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수행하고, 이를 근거이론 방법론을 적용해 상향식(bottom-up) 접근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미술상을 통해 기업이 새로운 평가의 주체로 등장하며 국내 미술계에서 영향력을 미치는 정도를이에 대한 미술계 다양한 참여자들의 인식, 의견, 감정을 상세히 들여다봄으로써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미술계 민간에서 촉발된 ‘기업 미술상’이라는 새로운 평가 시스템이 작동하는기재를 미술계 참여자의 관점에서 탐색해 관련 후속 연구를 촉발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
배지혜,안익수,배명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8
Analyzed the voice of Bo-gum Park in order to solve the curiosity about the voice of the actor Park Bo-gum voice that appeared in Korean drama 'Gurmigreen Moonlight'. The secret of his popularity was not only his role but also his appearance, but his voice was as charming as he was. According to the production team, he gave his gentle voice as well as a good impression as one reason why Bo-Gum Park was able to adapt to a gentle casting. It has a vocal cord vibration frequency characteristic that can transmit a stable black voice to a viewer, and it has a voice characteristic that speaks with a pronounced and slow speed at each syllable. In addition, he maintains a constant tone at the same sound pressure, and changes the tone of his voice before the rest of the sentence. Especially, the nose due to the big nose added a smooth and soft voice, so that it could appeal to the viewers and fulfill the role as the hero. This study will be the first study to confirm how the fitness of various characters in drama affects the completeness of drama. 한국의 드라마 ‘구르미 그린 달빛’에 출연했던 배우 박보검의 목소리의 발성에 관한 궁금증을 풀어보기 위하여 박보검의 목소리에 대한 분석을 진행해 보았다. 그의 인기비결은 그가 맡은 역할과 그에 걸 맞는 외모도 중요했지만 그에 못지않게 목소리 발성의 매력도 한 몫 했다. 박보검은 안정적인 목소리를 시청자에게 전달 할 수 있는 성대 진동 주파수 특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음절마다 발음을 또박또박 구사하고 느린 속도로 말을 하는 목소리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는 대체적으로 동일한 음압에서 일정한 톤을 유지하고 문장 중간 쉬기 전에 목소리 톤의 변화를 주어 감칠맛을 더하는 화법을 구사하고 있다. 특히 큰 코로 인한 비음이 매끄럽고 부드러운 목소리 음을 추가해 주어 시청자들에게 호감을 주고 주인공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드라마에서 다양한 캐릭터별 목소리의 적합도가 드라마의 완성도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게 되는가를 확인하게 되는 첫 번째 연구가 될 것이다.
배지혜,정재석,박형호,정의경,배진석,Bae, Jihye,Jeong, Jae-Seok,Park, Hyung-Ho,Jeong, Euigyung,Bae, Jin-Seok 한국섬유공학회 2016 한국섬유공학회지 Vol.53 No.3
The fineness of wool fibe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ciding quality. Recently, the demand of fine denier wool has increased but it is relatively expensive because of the manufacturing cost. In this study, a machine, controlling the fineness of wool fibers,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prepare fine denier wool. By easily controlling the fineness of wool fiber by elongating the wool sliver, the manufacturing costs of spun yarn can be reduced to eliminate the cost burden of high-quality wool fibers.
배지혜,이재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5
(Background and Purpose) In a world that has experienced design industrialization, we now follow a stream of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trends. The nature of the design works, based on sustainable designs, should be considered a fundamental element for sustainable life in the future, in the pursuit of pleasant living spaces in a polluted and exhausted ecosystem. The space should be self-generated, and actively cope with changing circumstances. A functional modular system is utilized in diverse ways in conventions and exhibitions, not only to save on costs and time, but also to pursue efficiency. However, as the forms and standards of mass-produced modular systems are limited, materializing its design is complicated. Therefore, one-time designs have been produced, and are primarily made of wood, which requires substantial investment costs. Further, large companies have considered that environmental destruction is inevitable to a certain extent in creating something necessary to human beings. These singular design pieces are typically utilized only for a short period until the exhibition is over, and are then disposed. Although we have experienced economic growth that is typically based on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future trends will be based on an eco-friendly and sustainable economy. Therefore, deeper research is required regarding these matters. (Method) Therefore, this paper studies sustainable spaces in convention exhibitions. It not only mentions the simple recycling or green design methods, but also addresses collective strategies, including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values, and examines sustainable exhibitions that can easily adjust to paradigm changes. Further, the study does not attempt to view modern space as a natural being that highly depends on given factors, nor does it consider it a symbol for existentialism. This study instead defines the space in a cultural context. (Results) The study investigates the available and sustainable spaces in convention exhibitions and draws conclusions based on an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formation of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trends. The results were also analyzed, consolidat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for application in different exhibition spaces. The methods used to promote a sustainable environment in the exhibition space are ① tightened environmental regulations, ②diverse functions, ③ materials’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④ the space’s mobility. These methods delineate the exhibition’s available and sustainable spaces, and the convention’s exhibition design will provide the key to the problems we face by converging diverse methods and an external extension. (Conclusions) We can avoid the risk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source depletion by experimenting with sustainable display methods that reflect paradigm changes in the exhibition space. We expect a positive outlook for future sustainable trends with diverse display methods. This change in trends, which perceive the space as a non-physical space based on eco-friendly values, will initiate the development of future sustainable exhibition designs. (연구배경 및 목적) 디자인 산업화 시대에 우리는 대량생산, 대량소비 문화와 그 흐름을 같이 하고 있다. 의미 없는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시대를 넘어서고자 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기초한 디자인의 성질은, 인류 환경의 오염과 자연고갈의 위협 속에서 삶의 공간을 추구해야하며 스스로 자생하고, 주위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미래의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근본적인 개념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합리성, 비용 및 시간절약을 위해 세계적으로 기능성 모듈시스템을 컨벤션 전시장에서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대량생산된 모듈시스템은 형태 및 규격에 제한이 많아 다양한 디자인의 구현이 어렵다. 그래서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 목재중심의 일회성 디자인을 연출하며 기업에서는 인간에게 유용한 무언가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환경을 파괴시키고 훼손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있다. 일회성 디자인은 짧은 기간 동안 사용되다가 전시가 끝난 후 매립, 소각으로 폐기처분된다. 기존의 대량의 생산 및 소비위주의 경제성장을 했다면, 미래에는 환경 친화적으로 전환해 가는 지속가능한 트렌드의 연구가 요구된다. (연구방법)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속적인 컨벤션 전시공간에 대한 고민으로 단순한 재활용이나 그린디자인의 차원을 넘어, 사회, 환경, 경제적 가치를 통합한 여러 가지 전략으로 연구하여, 컨벤션 전시장에서의 지속가능한 트렌드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지속가능한 전시방향을 연구한다. 또한 현대의 공간을 자연적으로 주어진 요인들에 의존하는 자연적 존재로 보거나, 공간을 실체론적 표상으로 보는 사고를, 보다 문화적 맥락적 차원과 관련된 공간의 차원에서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지속적인 컨벤션 전시공간의 사용가능성을 규명하기 위한 방법과 개선방안의 도출로 정치, 경제, 사회ㆍ문화, 과학ㆍ기술 등의 트렌드 형성에 영향을 끼치는 환경요인을 분석하고 통합하여 컨벤션 전시공간의 특성에 따라 적용할 수 있도록 구분하였다. 지속적인 컨벤션 전시공간의 사용가능성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①환경규제의 강화, ②기능의 다양성, ③소재의 친환경성, ④공간의 이동성이 있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트렌드에 대한 전시유형 방법으로 컨벤션 의 전시디자인은 현재 직면한 과제에 대한 외연 확장과 다양한 방법의 융합으로 지속가능성의 발전과 문제해결의 단초를 제공할 것이다. (연구결론) 전시공간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지속가능한 전시방법을 통해 일회성 전시디자인으로 인한 환경오염 및 자원고갈의 위협에서 벗어나, 전시공간의 향후 직면할 환경, 기술, 사회, 문화적 트렌드의 변화로 다양한 전시방법의 촉진과 함께 미래의 지속가능한 트렌드의 비전을 기대한다. 또한 거시적 트렌드로 친환경에 기초한 비 물리적 가치 공간으로의 변화는 전시공간의 패러다임은 지속가능한 미래 전시디자인 발전의 중요한 트렌드로 나타날 것이다.
국내 30대 기업의 인재상 분석 및 인재양성의 정책적 시사점
배지혜,이영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4
We analyzed current right people for major national companies in accordance with high demand of new knowledge, skills and higher value-added business. In results, we found most businesses require challenge spirit, professionalism, integrity, creativity on the contrary major companies required integrity and responsibility in the 1980~90s. In particular, the top six properties of the 30 conglomerates’s right person is challenge, professionalism, integrity, creativity, cooperation, and enthusiasm, etc. This reality raise crisis awareness of the cramming education for enhancing of academic intelligence. As much as right person is changed, education system should have the flexibility to develop non-academic intelligence, that is to say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intelligence, and practical intelligence. By connecting the properties of the convergence human resource and the index of excellent human resource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olicy and improvement of a system. 인문사회와 과학기술 간의 융합 뿐 아니라 학문 간 경계를 넘나들며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창조함으로써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인적자원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국내 주요그룹의 인재상 역시 변화를 거듭해왔다. 산업화 시대에 성실성과 책임감이 중요시되었던 것과 달리 2000년대에는 도전정신과 전문성, 도덕성, 창의성 등이 새로운 인재상의 지표로 나타났다. 특히 30대 그룹의 인재상 키워드 중 상위 6개의 항목은 도전정신, 전문성, 도덕성, 창의성, 협력, 열정 등이다. 이러한 인재상은 학업지능계발 위주로 구성되었던 인재양성 시스템에 경종을 울린다. 인재상이 변화한 만큼 비학업지능인 감성지능, 사회지능, 실용지능을 계발할 수 있도록 중고등교육에서의 교육정책 목표와 구체적 실현 과정역시 달라져야 하며 지역 및 국가 차원의 인재양성 정책도 유연성을 갖춰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