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이 광 투과 센서에서 민감도의 입사각 의존성 연구

        권용재,이승훈,김태연,김규정,Kwon, Yongjae,Lee, Seunghun,Kim, Taeyeon,Kim, Kyujung 한국광학회 2021 한국광학회지 Vol.32 No.3

        본 논문에서는 특이 광 투과 현상 센서에서 보조 파장 홀 패턴에 입사되는 광원의 각도 조절을 통해 센서의 민감도를 측정 및 분석하여 이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입사파 광원을 평행화된 광원과 각도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집속화된 광원 총 3개의 광원을 시스템적으로 설계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보조 파장 홀 패턴에 입사되게 제작하였다. 그리고 증류수(n=1.333)와 굴절률 정합액(n=1.360, 1.380)을 사용하여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센서의 민감도를 계산한 결과 평행화된 광원을 사용하였을 때 센서의 민감도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In this research, we have investigated the sensitivity of an extraordinary optical transmission sensor depending on the angle of incident light. Three types of light, including a collimated beam and focused beams (4× and 10×), were designed for the sensor system. To compare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we measured transmittance spectra using deionized water (n=1.333) and refractive-index-matching oils (n=1.360 and 1.380). Those spectra were analyzed in terms of redshifting of the peak, so that we could determine the sensitivity. The sensitivity tended to increase when the collimated beam is used on the system, and we have concluded that the sensitivity could be affected by the incidence angle on an extraordinary optical transmission sensor.

      • 좌측 유방에 대한 용적 변조 회전 방사선 치료 시 자세 오차로 인한 피부 선량

        권용재,박령황,김세영,정동민,백종걸,조정희,Kwon, Yongjae,Park, Ryeunghwang,Kim, Seyoung,Jung, Dongmin,Baek, Jonggeol,Cho, Jeonghee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21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33 No.-

        목 적: 방사선 피부염은 유방암 방사선 치료로 인해 발생하는 가장 흔한 부작용 중 하나로 본 연구는 자세오차에 따른 피부선량 차이를 분석하여 방사선 치료 부작용을 줄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유방 모형을 제작하고, 그것을 팬텀에 적용하였으며, 컴퓨터단층촬영을 통해 영상을 획득하였다. 처방선량의 95%가 들어가는 치료계획용적이 체적의 95%이상이 될 수 있도록, Dmax가 처방선량의 107%넘지 않게 치료계획하였다. 자세오차는 X축, Y축, Z축으로 ±1mm/±3mm/±5mm를 동일하게 적용하여 비교평가하였다. 결 과 : 자세오차 시 피부선량의 변동성은 처방선량 대비 약 106%에서 약 123%였으며 가장 큰 피부선량의 증가는 X축의 바깥쪽(lateral) 방향 5mm 자세오차에서 49.24 Gy였다. 처방선량 대비 107%이상의 영역은 skin lateral에서 6.87 cc로 가장 넓게 나타났다. 결 론 : 좌측 유방암 용적 변조 회전 방사선 치료 시 자세오차가 일어났을 경우 X축의 바깥쪽 방향에서 처방선량 대비 가장 큰 피부선량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치료실 CBCT 정합 시 치료받는 쪽 유방의 Y축, Z축을 정합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X축을 정합하는데 더 노력한다면 치료 간 피부선량의 변동성을 더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complications of breast cancer radiation therapy by analyzing skin dose differences due to Set-up error. Materials and Method: Pseudo breast was produced using a 3D printer, applied to the phantom, and images were acquired through CT. Treatment plan was carried out that the PTV, which contains 95% of the prescription dose, could be more than 95% of the volume, so that Dmax did not exceed 107% of the prescription dose. The Set-up error was evaluated by applying ±1mm/±3mm/±5mm to the X-axis, Y-axis, and Z-axis. Results: The dose-variation in skin due to Set-up error was approximately 106% to 123% compared to prescription dose, and the highest dose in skin was 49.24 Gy at 5mm Set-up error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X-axis. More than 107% of the prescription dose was the widest at 6.87 cc in skin lateral. Conclusions: If a Set-up error occurs during left breast cancer VMAT, a great difference in skin dose was shown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X-axis. If more effort is made to align the X-axis of the breast treated during CBCT registration, the dose-variation of skin will be reduced.

      • KCI등재

        대만의 한국 관광수요 연구: ARDL Bounds 검정을 이용한 접근

        권용재 ( Yongjae Kwo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1 유라시아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한국을 방문하는 대만 관광객의 수와 경제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경제변수로는 1인당 실질 GDP, 실질환율 그리고 제트유가격을 고려하였다. 분석을 위해 기존의 공적분 분석기법보다 유연한 자기회귀분포시차(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ARDL)모형에 기반한 공적분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대만의 실질 1인당 GDP가 증가할수록, 1대만달러 당 원화의 실질가치가 하락할수록 한국을 방문하는 대만 관광객 수가 장기적으로 증가함을 발견하였다. 반면 제트유가격이 증가할수록 한국을 방문하는 대만 관광객 수는 장기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경제적 직관을 위배하였으나 추정된 계수값이 작고 통계적으로 0과 유의하게 다르지 않았다. 요컨대 대만의 방한 관광수요는 대만의 실질 1인당 GDP와 실질환율에 장기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광수요 추정 결과는 관광·레저산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관광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Taiwanese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and economic variables. As economic variables, Taiwan’s real GDP per capita, real exchange rate and jet fuel price were considered. For the analysis, cointegration analysis based on the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ARDL) model, which is more flexible than the existing cointegration analysis technique, was applied.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Taiwanese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increases in the long run as the real GDP per capita of Taiwan increases and the real value of the won per Taiwan dollar decreases. As jet fuel price increases, however, the number of Taiwanese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increases in the long run, which contradicts economic intuition. However, the coefficient estimated was not only small but also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e empirical findings indicate that Taiwan’s tourism demand for South Korea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aiwan’s real GDP per capita and real exchange rate.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tourism and leisure industry and to establish tourism policies.

      • KCI등재

        러시아어 심리적 상태 동사의 의미파생 메커니즘 연구

        권용재(Yongjae Kwon) 한국슬라브어학회 2023 슬라브어연구 Vol.28 No.2

        This paper is devoted to the study of the role of context in the process of the semantic derivation. By distinguishing between “semantic derivation” which is a dynamic process in which new word meanings emerge, and “polysemy” which is the result of this process, research methods can be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stages of semantic derivation. In polysemy, which is the completed result of semantic development, the context functions as a means of identifying specific lexico-semantic variants. On the other hand, changes in the contextual environment are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the emergence of new meanings, and these changes occur under the conditions of creative use of words by language users. The method of changing the context in the semantic derivation process depends on the part of speech to which the word belongs, and the emergence of a new meaning in the predicate verb implies that the thematic class of the actants in the typical situation indicated by the verb has changed. One of the main mechanisms of semantic derivation as a dynamic process is described - a shift in the focus of atten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examples of Russian mental state verbs clearly show how, in the process of semantic derivation, they change the thematic class of the actants in the situation, forming the derived meaning of the type of speech act. Therefore, the syntactic and lexical context that emerge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Russian mental state verbs confirms the regularity of semantic derivation according to the “mental state → speech act expressing it” model. Of course, the frequent and customary use of mental state verbs in the meaning of speech acts does not guarantee the status of the derived meaning described as part of the entry in the explanatory dictionary. However, this semantic derivation model is meaningful in that it reflects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language and provides the possibility of describing the operating principles of words under actual usage conditions.

      • KCI등재

        고에너지 직접적층제조 (DED) 공정에 의한 석출경화형 STS630 소재의 적층 최적화 연구

        권용재(Yongjae Kwon),신성선(SeongSeon Shin),주상은(SangEun Joo),이종훈(JongHoon Lee),황준호(JunHo Hwang),김현덕(HyunDeok Kim) 대한용접·접합학회 2021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39 No.6

        The quality and properties of products manufactured using metal three dimensional (3D) printing technology differs based on the process parameter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and uses vary depending on the material used. In this study, the Direct Energy Deposition(DED) technology using a precipitation hardening type STS630 was investigated. The experimental process parameters, namely, the beam size, powder feeding rate, laser header moving speed, laser output power were set, and the deposition height and dilution were analyzed through deposition crosssection analysis after experiments according to each Additive Manufacturing(AM) process variab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position height decreased as the laser header moved faster. It was further observed that the dilution ratio and the width of the heat affected zone depended on the laser power and powder feed rate. The optimal process parameters were identified as a beam size of 1 ㎜, powder feeding rate of 6 g/min, laser header moving speed of 500 ㎜/min, and a laser output power of 500 W.

      • KCI등재

        학자금 지원제도의 소득이동성 효과 연구

        이광현(Lee, Kwanghyun),권용재(Kwon, Yongjae)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0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9 No.2

        본 연구는 한국장학재단에서 현재 구축하고 있는 장학재단패널 1~3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학자금 지원제도의 소득이동성 효과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소득탄력성 계수를 산출하여 학자금 지원을 받은 졸업생들 세 집단(장학금만을 받은 졸업생들, 학자금 대출만을 받은 졸업생들, 장학금과 학자금대출을 모두 받은 졸업생들)과 비수혜 졸업생들 간의 소득이동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가구소득과 자녀소득을 상/중/하로 구분하여 소득이행행렬 표를 산출하여 세대 간 소득이동성을 살펴보았다. 소득이동성을 분석하기 위해 네 집단에 대한 소득탄력성 추정을 위한 중다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중다회귀분석의 소득탄력성 계수가 작게 측정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2단계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가구소득과 자녀소득간의 소득이동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소득을 상/중/하로 구분하여 이행행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중다회귀분석의 소득탄력성 계수의 경우 네 집단 모두 소득탄력성 계수가 0.1이하로 매우 낮게 나타나 소득이동성이 노동시장 진입 초기에는 네 집단 모두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도구변수 분석결과에서는 전체 졸업생의 경우 0.611로 소득탄력성이 높게 산출되고 있어서 소득이동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었다. 네 집단별로 보면 소득탄력성 계수는 표본수의 문제 등으로 통계적 유의성은 사라지지만 비수혜 졸업생들의 소득탄력성 계수가 2.7가까이로 가장 크게 산출되어서 소득이동성이 가장 낮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는 비수혜집단의 경우 아버지의 학력수준과 자녀의 소득이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향후 추적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소득이행행렬 분석결과에서는 장학금만 받은 졸업생과 장학금과 대출금 중복 수혜 졸업생들의 상방이동 비율이 31.6%, 31.7%로 다른 두 집단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하방이동 비율도 30~32%로 상대적으로 다른 두 집단이 40% 이상으로 나오는 것과 비교하면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즉 한국장학재단의 장학금만 받은 졸업생들, 그리고 장학금과 대출을 동시에 지원을 받은 졸업생들의 소득이동성이 비수혜 졸업들이나 학자금 대출만 받은 졸업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We analyzed the effect of the income mobility of the scholarship support system using data from the first to the third year of Korea Student Aid Panel Survey(KOSAPS) conducted by the Korea Student Aid Foundation(KOSAF). Calculating the coefficient of elasticity of income (graduates who received only scholarships, graduates who received only student loans, and graduates who received both scholarship and student loans) and non-recipient graduates, we compared income mobilities among the four groups of graduates. In addition, both household income and children’s income were categorized into upper/middle/lower to calculate income transition matrix to examine income mobility between generations. In order to estimate income mobility, multiple regressions were performed to the four groups. Taking into account the possibility that the income elasticity coefficient estimated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would be small due to specification error, we also ran multiple regression with instrumental variables. Finally, the transition matrix analysis was performed by classifying income into upper, middle, and lower categories.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multiple regressions, income elasticity coefficient of all four groups was very low (0.1 or less) which shows high income mobility among student aid recipients However, the results from multiple regressions with instrumental variables showed that the income elasticity of the whole sample was 0.611, which was quite high, indicating that the income mobility is quite low. When the same analysis is applied to the four groups, however,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income elasticity coefficients disappears which may be due to small sample siz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income elasticity coefficient was 2.7 in a group of non-recipients, which is quite large. This suggests that, in the case of a group of non-recipients, the father s education level and the child s income are highly correlated. Further investigation is necessary for this specific group. In the analysis of income transition matrix, the upward movement rate of graduates who received only scholarships and those who received scholarships and loans was 31.6% and 31.7% respectively, higher than the other two groups. The downward movement rate of graduates who received only scholarships and those who received scholarships and loans was also 30-32%, which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more than 40% from the other two group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income mobility of graduates who received only scholarships from KOSAF and those who received both scholarship and loan at the same time from KOSAF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who received student loans only or non-receipients.

      • KCI등재

        대입제도 쟁점분석: 수시와 정시 입학생들의 소득수준 비교 분석

        이광현(Kwanghyun Lee),권용재(Yongjae Kwon)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2

        대입제도와 관련된 논쟁 중 하나는 수시전형과 정시전형 중 어느 입학전형이 사회적 계층이동을 위한 기제로서 작동하는지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 Ⅱ(KEEP Ⅱ) 데이터의 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입학전형(수시전형 vs 정시전형)에 따른 대학입학생들의 소득수준을 분석하여 관련 논의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3차년도 자료 분석결과 일반대학에 입학한 학생들 전체적으로는 정시와 수시 입학생들 간의 부모소득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시는 585.4만원 수시는 586.4만원으로 수시전형 입학생이 월평균 부모소득이 1만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실용적으로나 통계적으로는 의미가 없었다. 다음으로 카이제곱검정을 통해 부모소득과 정시/수시입학유형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시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학순위그룹별로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상위권 대학으로 갈수록 입학생들이 부모소득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본 연구의 주제인 입학전형별로 보면 정시전형 입학생들보다 수시전형 입학생들의 월평균 부모소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수시(학종)전형이 상대적으로 더 금수저 전형일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며, 정시수능전형보다 사회적 계층이동을 원활히 하는 통로로서 작동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인 판단으로 보인다. One of the debates regarding the college admission systems is about which admissions screening works as a mechanism for social mobility, between early and regular admissions. This study attempted to contribute to related discussions by analyzing the income level of college admissions students according to the admissions screening (early vs. regular admissions) using data from the third year survey of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II (KEEP II). Analyzing the dataset, we found that parental income was almost the same between students admitted from early and regular admissions. To be specific, average monthly parental income was 586.4 million Korean Won for students admitted from early admission while it was 585.4 million Korean Won for those admitted from regular admission, which mean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s neither practically nor statistically significant. Applying the chi-square test, we test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income and types of college admissions and foun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Finally, categorizing colleges where students are admitted by ranking, we compared parental incomes among students. We found that parental income was higher for top-ranked universities, and that parental income was higher for students admitted from early admission. We concluded that early admission can possibly be an admission system for “well-offs” between the two, and that early admission may not be working as a pathway to facilitate social mobility compared to the regular admissions.

      • KCI등재

        입학사정관제 전형 입학생들과 일반전형 학생들의 대학생활 비교 분석

        이광현(Kwanghyun Lee),권용재(Yongjae Kwo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敎育問題硏究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7~8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입학사정관제로 입학한 학생들과 일반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간의 대학생활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도별 중다회귀분석결과에서는 2011년도와 2012년도 모두 동일하게 학점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입학사정관제 입학생들이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경향점수매칭 분석결과에서는 2011년도에는 모든 종속변인들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2012년도에만 학점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한편 자료를 통합(pooling)하여 분석한 결과 중다회귀분석결과와 무선효과 모형 모두 통계적 유의성이 2011년도와 동일하게 학점에서만 유의하게 입학사정관제 입학생들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향점수매칭 모형 분석에서도 입학사정관 입학생들의 학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1년도와 2012년도 자료를 분리해서 분석한 결과와 동일하게 모든 대학생활관련 변인들에 입학사정관 입학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석준, 김병수(2010)의 연구와 다소간 다른 분석결과로서 입학초기에는 입학사정관제 입학생들과 일반전형 입학생 간의 성취도의 차이가 1년이 지난 시점에서도 존재하고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한편으로는 입학사정관 전형 학생들이 일반 전형 입학생들과 비교해서 대학만족도 향상, 휴학, 자퇴 등이 감소 등이 이루어질 것이라 보았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입학사정관제의 성과가 단기적으로는 나타나고 있지는 않은 상황이며 이는 대학이 입학사정관으로 입학한 학생들의 학습욕구, 동기 등을 잘 추수지도 하지 못하는 측면에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We analyze university life of students admitted by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OS hereafter) using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database. Dependent variables are (1) school life satisfaction, (2) GPA, (3) intention to transfer, (4) intention to change major, (5) intention to take time off from school and (6) intention to drop out of school. Running multiple regressions, we find that the GPA of students admitted by AO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GPA of students admitted by non-AOS in 2011 and 2012 samples. However, we cannot find evidence that there is any difference in other variables between students admitted by AOS and students admitted by non-AOS. Apply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to the dataset, we find that AOS variabl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all dependent variables in 2011 sample. In 2012 sample, however, AOS variabl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to GPA. Applying multiple regressions and random effect model to pooled sample, we find that the GPA of students admitted by AO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students admitted by non-AOS. Apply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to the same sample, we fin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dependent variables between students admitted by AOS and students admitted by non-AOS. These results show that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AOS and non-AOS students starts to differ not from freshman year but from sophomore year. This finding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reported in Choi and Kim(2010). Our finding highlights that follow-up service is needed to students admitted by AOS. Also, we cannot find evidence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life satisfaction, intention to change major and intention to drop out of school between AOS and non-AOS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has not succeed to produce outcomes yet. This is partly because university fails to provide follow-up service to students admitted by AOS properly.

      • KCI등재

        중초교사와 교대출신 교사의 교직수행 특성 비교 연구

        이광현 ( Lee Kwanghyun ),권용재 ( Kwon Yongjae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3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양성과정출신에 따른 내적동기, 교사효능감, 교직소명감, 전문직 교직관, 교사만족도, 교사 간 협력 등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분석자료는 2011년도와 2014년도 한국교육개발원의 초등학교 수준 및 실태분석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중다회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성별, 경력, 학교규모 등 제반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 중초교사, 즉 중등출신 초등교사가 교대출신 초등교사보다 교직선택에 있어서 내적 동기가 더 높았으며 교직소명감, 교직관, 만족도 등에서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교사 간 협력의 경우 교대출신이 중초교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교사 간의 협력 부분을 제외하고는 교직 소명감, 전문적 교직관, 내적동기 등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에서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성별, 연령, 경력, 학교규모 등 제반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 중초교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목적형 양성체제로서 교직관과 소명감이 높아야 할 교대출신 초등교사가 중등출신 초등교사보다 더 낮다는 점은 현재 교대의 학생선발과 양성과정에서 여러 고민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Analyzing data ranging from 2011 and 2014 in ‘Analysis on the Level of School Education and Its Actual Status of Korean Schools : Elementary School’ provided by the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we investigated whether academic backgroun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ffect teachers’ intrinsic motivation, teacher efficacy, sense of calling to teaching, views of teaching as a profession, teacher satisfaction and cooperation among teachers. Using explanatory variables with gender, experience years and school size being controlled for, we ran multiple regressions and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a secondary school teacher license showed higher or better levels of intrinsic motivation, sense of calling to teaching, views of teaching as a profession and teacher satisfaction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with education. However, the level of cooperation among teachers was higher i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graduated as education majors than in those with a secondary school teacher license or those who graduated from temporary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or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In summary, we could not find evidence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a secondary school teacher license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do not have the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s finding demonstrates that current admissions and education systems for education programs in universities in order to recruit elementary teachers may not be effective.

      • KCI등재

        사교육비와 사교육시간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이광현(Lee, Kwanghyun),권용재(Kwon Yongjae)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0 No.3

        이 연구에서는 사교육시간과 사교육비 지출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성취도 수준별로 그리고 과목별로 효과의 크기와 한계효과의 감소여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분위회귀분석을 국어, 영어, 수학의 세 과목에 대해 적용하였다. 연구자료는 2005~2007년도까지의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종단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사교육비와 사교육시간의 효과가 비선형관계인지 살펴보기 위하여 제곱변수를 분석에 추가하였다. 분석결과 사교육비와 사교육시간 변수는 학업성취도에 일정정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계수의 크기가 매우 작게 나타나서 상대적으로 효과의 크기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위별로 계수들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하위 분위에서 상위 분위로 올라갈수록 계수의 크기는 작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서 사교육효과의 크기가 전반적으로 크지 않은 상황 속에서도 하위성취도 그룹이 상대적으로 계수값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사교육비와 사교육시간의 제곱변수들의 경우 대부분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서 사교육투자의 한계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시간의 경우 분위별로 다르게 나타나지만 하위 분위에서는 대략 4.9시간, 상위분위에서는 2시간대가 정점, 즉 효과가 극대화되는 시간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그 이상의 사교육시간 투자는 효율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다. 영어는 10시간(30분위)에서, 수학에서는 8시간(30분위)에서 11시간(50-70분위)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그 이상의 사교육시간에의 투자는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사교육비 역시 국어와 수학에서 한계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영이과목의 일부 분위에서만 한계효과가 커지는 경향이 보인다. 그러나 계수의 크기가 매우 작게 나타나서 한계효과가 커지더라도 실용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사교육시간과 사교육비 지출이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는 작으며 한계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교 단계에서의 사교육에 대한 과도한 투자는 비효율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여타 학교급에 대한 사교육의 한계효과의 증감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hours and expenses on academic performances at various quantiles of performances. To conduct a proper examination, the quantile regression, proposed by Koenker and Bassett(1978), is applied to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scores from Korea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ies(KELS). In order to analyze nonlinear effects of private tutoring hours and expenses on academic performances, we include squared variables of tutoring hours and expenses. We found evidence that private tutoring hours and expense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s, but also found that the sizes of the effects were not large. Marginal effects of private tutoring hours and expenses on performances at lower quantile groups were larger than marginal effects at higher quantile groups. Analyzing nonlinear effects of private tutoring, we also found that marginal effects diminished as private tutoring hours and expenses increased. Taking into account that th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hours and expenses were small overall, we may conclude that private tutoring does not significantly improve academic performances and that spending on private tutoring is ineffic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