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三國時期 七重城에 대한 諸檢討와 戰略的 位相

        정동민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3 군사 Vol.- No.129

        칠중성은 경기도 파주의 칠중성으로 비정되는 성곽으로 그 위치가 명확하게 비정된다는 점에서 역사적 자료로서 높은평가를 받고 있다. 본고에서는 우선 고고 자료를 바탕으로 칠중성의 축조 주체와 시기를 추론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문헌 기록에나타난 칠중성을 여러 관점에서 접근해보고 영유권 변천을 통해 당시의 접경 양상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칠중성이 가지고 있었던 전략적 위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3세기 후반∼4세기 전반 경 임진강 유역으로 진출한 백제는 토성혹은 토루나 柵과 같은 형태의 칠중성을 축조하였다고 여겨진다. 그러다가 5세기 후반 고구려가 임진강 유역을 영유하면서 칠중성을차지하였는데, 특별한 개·보수 없이 그대로 연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7세기 전반에 신라가 차지하면서 석축 형태로 개축하였다. 칠중성은 임진강의 여울인 술탄과 호로탄을 통한 도하를 감시·통제하였는데, 이를 통해 평양-서울 교통로를 연결하거나 끊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교통의 요충지에 위치하였고 또한 임진강 유역이삼국과 신라·당 사이의 접경이 되면서 칠중성은 남·북진 세력 모두진군의 첫 번째 관문으로서 공격 대상이 되었다. 칠중성은 7세기 전반 신라와 고구려가 임진강을 경계로 대치하면서 그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었다. 만약 고구려가 칠중성을 차지한다면 한강 유역 방어와 북진의 거점성 역할을 하던 북한산성으로빠르게 진군할 수 있음으로써 한강유역 진출의 주도권을 잡을 수있기 때문이었다. 이에 칠중성은 신라에 있어 고구려의 남진을 방어하는 전략적 요충지가 될 수밖에 없었는데, 이와 같은 기능은 나당전쟁기까지 이어졌다. 한편 칠중성은 신라의 성곽 방어체계가 가동되고 있는 상황에서 간파천로의 아미성과 수철성 그리고 설마천로의 감악산보루와 무건리보루를 거느리는 거점성으로 기능하였다. 나아가 포천 반월산성과 더불어 7세기대 임진강-한탄강 방어선의핵심으로 거듭났다. Chiljungseong Castle is a fortress in Paju, Gyeonggido province, and is highly regarded as an important historical reference point in that its location is clearly identified. First, this paper attempted to deduce the subject and timing of the construction of the castle based on archaeological data. Next, this study approached Chiljungseong Castle, which has appeared in the literature records,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identified border patterns at that time through changes in sovereignty. Lastly, this study studied the strategic position of Chiljungseong Castle. It is believed that Baekje, which advanced to the Imjingang River basin around the late 3rd century and the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built Chiljungseong Castle in the form of an earthen fortification, an earthwork, or a wooden fence. In the second half of the 5th century, Goguryeo occupied the Imjingang River basin and occupied Chiljungseong Castle, and it is presumed that it was used as it was without significant alterations. Later, in the first half of the 7th century, Silla occupied the castle and built a stone fortress. Chiljungseong Castle was a place where it was possible to monitor and control whether Sultan and Horotan near the Imjingang River crossed the river, which allowed it to connect or disconnect the Pyongyang-Seoul transportation route. The castle was an important transportation point, and as the Imjingang River basin became a border between the Three Kingdoms and Silla and Tang Dynasty, Chiljungseong Castle became the first gateway to attack wherever a nation entered the South or North. In the first half of the 7th century, the importance of Chiljungseong Castle emerged greatly as Silla and Goguryeo faced off on the border of the Imjingang River. This is because if Goguryeo occupied the castle, it could take the lead in advancing into the Hangang River by defending the Hangang River basin and quickly marching to Bukhansanseong Fortress, which served as a base for the north. As a result, Chiljungseong Castle became a strategic point for Silla to defend Goguryeo's southern advance, and this function continued until the NaTang War. In addition, Chiljungseong Castle served as a stronghold with Amiseong Castle, Suchulseong Castle, Gamaksan Bastion on Sulmachun Road, and Mugunri Bastion at a time when Silla's fortress defense system was in operation. Furthermore, along with Pocheon Banwolsanseong Fortress, it was reborn as the core of the Imjingang River-Hantangang River defense line in the 7th century.

      • KCI등재

        고구려 광개토왕대의 임진강・한강 유역 진출과 남방 접경

        정동민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2 한국고대사탐구 Vol.42 No.-

        In this paper, it was tried to review the process of King Gwanggaeto occupying the Baekje area and advancing into the basic of the Han River in the battle between Goguryeo and Baekje from the late 4th to early 5th centuries, and the transition pattern of the borders of the two countries. Goguryeo, attempting to advance southward in the late 4th century, clashed with Baekje over the Nangnang and Daebang regions. In the process, the two countries continued to fight over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Yeseong River while forming a boundary around the Myeorak Mountains. Goguryeo, somewhat weak in the 370s and 380s, began to show a dominant pattern when King Gwanggaeto took the throne. In July 392, he succeeded in advancing to the basin of the Imjin River crossing the Myeorak Mountains and the Yeseong River by destroying Baekje's government facilities and conquered about 10 castles including the Seokhyun Castle. In October, by occupying the Gwanmi Castle, which was presumed to be located at the confluence of the Imjin River and the Han River, Goguryeo took control of the Kyunggi Bay and prepared a bridgehead to press the Baekje. However, as Baekje strongly counterattacked, Goguryeo had no choice but to retreat from the Imjin River area to the Yeseong River area. As Baekje continued to try to restore its territory and confront Goguryeo, King Gwanggaeto launched a large-scale attack on Baekje in 396. He succeeded in occupying the lower part of the Han River by conquering the capital of Baekje. Furthermore, while occupying 58 provinces and 700 villages, Goguryeo advanced to the area of Yeseong River-Imjin River – West Coast of Gyeonggi-do-Bukhan River. Baekje, restoring the capital city and the lower reaches of the Han River through temporary surrender, attempted a counterattack while seeking an alliance with Wae. In the process, the two countries established contact zones at the south of the Yeseong River and north of the Imjin River and confronted each other taking it as a buffer zone. After that, Goguryeo became more interested in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Yaodong Region than in the south, and Baekje suffered an internal problem of dissociation of the people. As a result, the two countries entered a period of lull, and the border at that time has been fixed for a long time. 본고에서는 4세기 후반~5세기 초반 고구려와 백제의 각축전 속에서 광개토왕이 백제 영역을 차지하고 임진강과 한강 유역으로 진출하는 과정 그리고 양국 국경의 변천 양상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4세기 후반 남방 진출을 시도한 고구려는 낙랑․대방 지역을 두고 백제와 군사적 충돌을 빚었고, 이 과정에서 양국은 멸악산맥을 중심으로 접경을 형성하면서 예성강 중하류 일대를 둘러싼 공방전을 이어갔다. 370~380년대 다소 약세를 보이던 고구려는 광개토왕이 즉위하면서 우세한 양상을 보이기 시작하였는데, 392년 7월 백제의 관방시설을 무너뜨리고 석현성 등 10여 개의 성을 함락함으로써 멸악산맥을 넘고 예성강을 건너 임진강 유역으로 진출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리고 10월에는 임진강-한강 하구 합류처에 위치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관미성을 점령함으로써 경기만을 장악하여 백제 도성을 압박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하였다. 하지만 백제가 거세게 반격함에 따라 임진강 유역에서 예성강 유역으로 퇴각할 수밖에 없었다. 백제가 계속해서 영토 수복을 시도하며 고구려에 맞서자 396년 광개토왕은 다시 대대적인 백제 공략에 나섰고, 백제 도성을 함락함으로써 한강 하류 지역을 차지하는 데 성공하였다. 나아가 58성 700촌 또한 차지하면서 예성강-임진강-경기 서해안-북한강 유역까지 진출하였다. 일시적인 항복을 통해 도성과 한강 하류 유역을 되찾은 백제는 왜와 연합을 모색하면서 반격을 시도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양국은 예성강 이남-임진강 이북을 접경공간으로 설정하고 완충지대로 삼으면서 대치하였다. 이후 고구려는 남방보다 요동 지역의 정세에 관심을 두었고 백제는 민심 이반이라는 내부 문제에 시달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양국은 소강기에 들어서게 되었고 접경은 장기간 고착화되었다.

      • KCI등재

        공유 메모리 기반 시스토릭 어레이 FFT 프로세서 설계 및 구현

        정동민,노윤석,손한나,용철,윤호 한국전기전자학회 2020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24 No.3

        In this paper, we present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results of the FFT processor, which supports 4096 points ofoperation with less memory by sharing several memory used in the base-4 systolic array FFT processor into onememory. Sharing memory provide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area, and also simplifies the flow of data as I/O of thedata progresses in one memory. The presented FFT processor was implemented and verified on the FPGA device. Theimplementation resulted in 51,855 CLB LUTs, 29,712 CLB registers, 8 block RAM tiles and 450 DSPs, and confirmed thatthe memory area could be reduced by 65% compared to the existing base-4 systolic array structure. 본 논문에서는 base-4 시스토릭 어레이 FFT 프로세서에서 사용되는 여러 메모리를 하나의 메모리로 공유함으로써 기존보다 작은 메모리 면적의 FFT 프로세서의 설계 및 구현 결과를 제시한다. 메모리를 공유하여 면적이 줄어드는 장점이 생겼으며, 데이터의 입출력이 하나의 메모리에서 진행되므로 데이터의 흐름이 단순해졌다. 제시한 FFT 프로세서를 FPGA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 및 검증하였으며, 구현 결과 4096-point FFT 기준 51,855개의 CLB LUT, 29,712개의 CLB registers, 8개의block RAM tile과 450개의 DSP로 구현되었고, 최대 동작 주파수는 150MHz 인 것을 확인했으며 특히, 기존 base-4 시스토릭 어레이 구조 대비 메모리 면적이 65% 감소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Rapid Concentration of Some Bacteriocin-like Compounds Using an Organic Solvent

        정동민,Ki Eun Kim,성엽,박창수,안극현,김동호,강대욱,전효곤,윤병대,고홍범,Hong Jib Kim,최낙식 한국식품과학회 2011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0 No.5

        A new solvent extraction method for isolation of bacteriocin-like compounds (BLCs) from bacterial culture broth was developed. Culture supernatant of Pediococcus acidilactici WRL-1 was mixed with 3 volumes of cold acetone and maintained at −20^oC for 2 h. The solvent and precipitate were separated by centrifugation. Most (95.2±2.5%) pediocin activity was found in the liquid phase and it was obtained by evaporation. This method was also an effective means of isolating other BLCs from culture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acillus licheniformis DJ-2. Other solvents (methanol,ethanol, and butanol) were also suitable toward this end.

      • Yonsei Cancer Center QA Set을 이용한 6DoF Couch의 이동 정확성 검증

        정동민,박효국,윤종원,이상규,김주호,조정희,Jung, Dongmin,Park, Hyokuk,Yoon, Jongwon,Lee, Sangkyu,Kim, Jooho,Cho, Jeonghee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7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9 No.1

        목 적: 영상유도를 통한 6DoF Couch의 이동 정확성의 검증을 위해 QA Set을 제작하였고, 그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6DoF Couch와 CBCT가 설치된 두 대의 선형가속기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체 제작한 YCC QA Set을 이용하여 수평수직(Translation; TX, TY, TZ)과 회전(Rotation, Pitch; RX, Roll; RY, Yaw; RZ) 여섯방향의 Off-Set 값이 설정된 Penta-Guide Phantom의 CBCT영상을 각각 15회에 걸쳐 획득하였다. 이를 통해 기준영상(Reference Image)과 보정영상(Registration Image)을 비교하였으며, 보정된 6DoF Couch의 이동정확성을 실측하여 오차를 분석하였다. 결 과: 기준영상과 보정영상의 Air Cavity에 해당하는 Pixel들은 모두 30에서 66 사이에 포함되어 보정정확도가 높게 나타났다. 6DoF Couch의 Off-set의 보정 결과 값과 실측치의 비교에서 수평수직방향의 오차는 TX방향은 $0.25{\pm}.18mm$ TY방향은 $0.25{\pm}.25mm$ TZ방향에서 $0.36{\pm}.2mm$로 나타났다. 그리고 회전방향의 오차는 RX방향은 $0.18{\pm}.08^{\circ}$ RY방향은 $0.26{\pm}.09^{\circ}$ RZ방향에서 $0.11{\pm}.08^{\circ}$로서, 임의의 값에 대하여 정확하게 보정되었다. 결 론: YCC QA Set을 이용해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6DoF Couch의 수평수직방향뿐 아니라 회전방향의 오차에 대한 검증을 할 수 있었으며, 이는 6DoF Couch의 Daily IGRT QA를 수행함에 있어서 유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Purpose: A QA Set was established to verify the movement accuracy of image-guided 6DoF Couch and to evaluate its usefulness. Materials and Methods: Two sets of linear accelerators equipped with 6DoF Couch and CBCT were used. Using the established QA Set, each CBCT image was obtained over 15 times through the Penta-Guide Phantom installed with off-set shift values along six translational (Translation; TX, TY, TZ) and rotational (Rotation, Pitch; RX, Roll; RY, Yaw; RZ) directions. Using this method, we compared the reference image and the registration image, and we analyzed the error calculated by measuring the positional accuracy of the modified 6DoF Couch. Results: The Air Cavity corresponding to the Pixel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registration image were all contained between 30 and 66, and the revealing high registration accuracy. Error between the modified off-set value of 6DoF Couch and the measured value along translational directions were $0.25{\pm}0.18mm$ in the TX direction, $0.25{\pm}0.25mm$ in the TY direction, and $0.36{\pm}0.2mm$ in the TZ direction. Misalignments along the rotational axis were $0.18{\pm}0.08^{\circ}$ in the RX direction, $0.26{\pm}0.09^{\circ}$ in the RY direction, and $0.11{\pm}0.08^{\circ}$ in the RZ direction, it was corrected precisely for any value. Conclusion: Using the YCC QA Set, we were able to verify the error of 6DoF Couch along both the translational and rotational directions in a very simple method. This system would be useful in performing Daily IGRT QA of 6DoF Couch.

      • KCI등재
      • KCI등재

        613・614년 高句麗-隋 전쟁에 보이는 遼西 상황과 隋軍의 전략

        정동민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서강인문논총 Vol.0 No.55

        In this paper, it was tried to review the formation of the armies of Sui(隋) during the war between Goguryeo(高句麗) and Sui in 613 and 614, and identify the implications of the strategy of Sui the war between 613 and 614 by comparing the strategy of the Sui identified in the review and the military strategy of Sui in the war with Goguryeo in 612. In addition, it was tried to examine the situation of Liao Xi(遼西) and the movement of the Sui army in the contact zones with Goguryeo seen in the war in 613. Looking at the strategy that Emperor Yangje(隋 煬帝) of Sui devised in the war between Goguryeo and Sui in 613 and 614, it is found that he supplied the final military supplies to the corps before they entered the area of rivers of Goguryeo making the old castle of Goguryeo located in Liao Xi as the foremost logistics base after entering the lower part of Daereungha(大陵河) and east of Mt. Euimureyo(醫巫閭山) in 603 and 604 and establishing Liaodonggun(遼東郡) showing off its influence in all the area of Liao Xi which is the border between Goguryeo and Sui since the war in 612. As Sui had influence on the all areas of Liao Xi as such, Liao Xi lost the characteristic as a buffer between two countries as the contact zones. Furthermore, he did not change much by appointing the personnel who participated in the war in 612 for the expedition, but he reduced conscripted soldiers and increased recruited soldiers in general force. He organized navy as two corps and limited their roles to the army supply, and gave 便宜從事權 to the commanders of the corps. In addition, he attached various castles of Goguryeo simultaneously while advancing to Goguryeo. He also formed a detached force to advance to Pyongyang Castle(平壤城) of Goguryeo bypassing the castles that his army could not defeat. In the expedition in 613 and 614, Emperor Yangje adopted strategies that were attributed to other commanders or soldiers after revision and his own strategies without revisio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war in 612. It was because if he made a lot of changes in his strategies, it might be considered that he acknowledged the strategic error in the war in 612 and that he was the one to blame.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strategy of the Sui in the wars in 613 and 614 shows his intention to prevent the weakening of the imperial power by avoiding the attribution of the defeat of the war to himself. 본고에서는 613・614년 高句麗-隋 전쟁 당시 隋軍의 군단 편성과 전쟁 수행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파악된 수군 전략과 612년 고구려-수 전쟁 당시 수군 전략을 비교함으로써 613・614년 전쟁에서의 수군 전략 속에 담겨진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전쟁 직전 고구려와 수의 접경공간인 遼西의 상황과 이에 따른 수군의 행보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隋 煬帝가 613・614년 전쟁에서 구사한 전략을 보면, 먼저 612년 전쟁 이후 요서 전역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하고 遼東郡을 설치한 상황 속에서 고구려 옛 성 武厲邏를 최전방 군수물자 보급기지로 삼았다. 이와 같이 수가 요서 전역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하고 郡을 설치하면서, 요서는 양국의 접경공간으로서 완충지대라는 성격을 잃어버리게 되었다. 원정군 편성에 있어서는 募兵을 통해 선발한 驍果를 대거 참여시켰고, 水軍은 2개 군으로 편성하면서 전투 수행보다는 육군에게 군량미를 수송・보급하는 역할에 비중을 두었으며, 각 군 지휘관에게는 便宜從事權을 부여하였다. 또한 여러 루트를 통해 고구려로 진군하면서 동시다발적으로 고구려 성들을 공격하였고, 한편으로는 별동대를 편성해서 점령하지 못한 고구려 성을 우회하여 平壤城으로 진군하였다. 기본적으로 수 양제는 613・614년 고구려 원정에서 612년 전쟁 종결 후 장군이나 군사에게 패배 책임을 돌렸던 전략에 대해서는 수정하여 채택하였고, 본인이 주도한 전략은 그대로 채택하였다. 자신의 전략을 크게 수정하여 원정에 나선다면 612년 전쟁에서의 전략적 착오를 인정하고 전쟁 패배에 대한 책임을 스스로에게 전가하는 셈이 되기 때문이다. 즉, 613・614년 전쟁 당시 수군이 구사한 전략 이면에는 612년 전쟁 패배에 대한 책임을 회피함으로써 황제권의 약화를 막으려고 했던 수 양제의 의도가 담겨져 있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