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Корейские фамилии как объект антропоним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й

        데포냔 한국슬라브어학회 2012 슬라브어연구 Vol.17 No.2

        본 논문은 한국의 성씨를 연구한다. 한국어에는 고유의 인명체계가 있는데, 이는 러시아어의인명체계와 상당 부분 차이가 있다. 이는 두 언어가 서로 다른 문화에서 발전해 온 서로 다른 구조의언어이기 때문이다.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인명 형태에는 유형적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한국 학생들이러시아의 인명체계(이름-부칭-성)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이 야기되며, 종종 이러한 차이가언어간 장벽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국인에게 러시아어를 가르칠 때, 언어간의 차이를 극복하고모국어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러시아어에 대한 사전 이해뿐 아니라 학생들의 모국어를 고려한특수한 교수법이 요구된다. 이 연구는 이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첫 번째 시도이다. 연구 대상은 한국어의인명체계이고, 그 구성요소 중 하나인 한국의 성씨를 중점적으로 고찰한다.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한국 성씨의 형성 역사를 추적하고, 성씨와 한국의 역사, 경제, 정치, 문화의 연관성을 밝힌다. 2. 성씨의 음성학적, 통계학적 분석을 실시한다. 3. 러시아어의 관점에서 한국의 성씨를 고찰한다. 인명학적 측면에서의 한국의 성씨 연구는 향후 러시아 원어민 교사들이 한국 인명 형태를 심도 있게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가 모국어인 학생에게 러시아어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학생의 모국어를고려한 러시아어 교수법을 개발하는 데에 큰 기여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속담의 러시아어 번역 기법연구

        전혜진 한국슬라브어학회 2013 슬라브어연구 Vol.18 No.2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속담의 러시아어 번역에서 발생하는 언어적, 문화적 문제를 연구하는 데 있다. 한국어 속담의 러시아어 번역을 위한 언어 간, 문화 간 변환과 더불어 그것의 축어적 번역의 장단점이 연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속담의 어휘-의미적, 통사적, 문체적, 화용적, 문화적 특성들을 고려하여 그것의 러시아어 번역을 위한 총체적인 방법론이 제시된다. 우선 한국어 속담의 특징과 이것의 번역과 관련된 문제점들이 검토되며, 이러한 검토 결과에 기반하여, “등가적 번역”, “축어역”, “변형 기법”, “설명적 번역” 등과 같은 한국어 속담의 러시아어 번역을 위한 여러 가지 방법론이 제시된다. 더 나아가서 한국어 속담의 러시아어 번역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의사소통적, 감정표현적 기능에 대한 전략이 제안된다.

      • KCI등재후보

        러시아어 음운학습의 특이성

        이희숙 한국슬라브어학회 2005 슬라브어연구 Vol.10 No.-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체계, 음절구조 등을 대조, 비교분석하여, 이들의 유사점과 상이점을 밝히고, 한국학생들이 러시아어의 음운을 학습하는데 장해물이 되는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음성구조는 아래와 같이 상이점을 지니고 있다: 한국어의 자음에서 유성음은 /l/과 비음 외에는 없다. 그러나 러시아어에는 거의 모든 자음이 유성과 무성의 쌍으로 존재한다. 국어에는 순치음(в, ф)이 없으나 러시아에는 있다. 국어에는 기음(ph, th, ch, kh)과 경음(p', t', c', k')이 음소로 존재하나, 러시아어에서는 그렇지 않다. 한국어에는 l/r이 한 음소의 서로 다른 변이음이지만, 러시아어에는 각각 다른 음소이며, 러시아의 l은 어두운 l이고 r은 떨림소리이다. 러시아의 자음엔 연자음과 경자음이 쌍을 이루며 음소로 존재하나, 한국어에는 없다. 겹친자음은 국어에는 없으나 러시아에는 onset과 coda에 모두 존재한다. 러시아에서는 강세가 음소인데, 한국어에서는 변이음이다. 한국어는 음절언어인데, 러시아어는 스트레스 언어이다. 즉 한국어는 한 음절, 한 음절 발음하는 반면, 러시아어는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발음한다. 경상지역에는 중세 국어의 잔재인 성조가 남아 있어서, 러시아의 단어 강세와 구절 강세 및 억양을 습득하는데 간섭현상이 심하게 관찰된다. 따라서 학생들은 러시아어의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강약, 고저, 장단 등의 운율을 익히는데 타 지역 학생들보다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모음과 자음조직 뿐만 아니라 강세, 억양 등 모국어의 특징이 러시아어를 습득하는데 장해물이 됨을 다시 인식했으며 한국인이 러시아어를 배우는데 필요한 러시아어 학습교재는 양국의 언어적 차이점을 기준으로 해서 모국어와 목표 언어의 상이점을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이러한 언어학적인 상이점과 유사점을 인식하고 있는 러시아어 교습자는 학생들이 러시아어 학습을 하는 데에 어려운 난관을 빨리 그리고 쉽게 극복할 수 있도록 강의방법 및 교재를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Исследование стратегий перевода корейских пословиц на русский язык исходя из типов текста --на примере газетных статей и литературно-худо

        전혜진 한국슬라브어학회 2015 슬라브어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on the Russian translation strategies of Korean proverbs based on text types. The tasks to achieve it are as follows: 1) Analyz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studies on Korean proverb translation. 2) Provide the Russian translation strategies based on text types and Textuality 3) Through comparison of the text types, such as Informative Text, Expressive Text, Vocative Text, Operative Text, list the Russian translation strategies of Korean proverbs based on text types. 4) Apply the translation strategies based on the text types and textuality to newspaper articles and literature 본 연구에서는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을 목표로 한국 속담의 내용적 특성과 표현적 특성 및 언어 외적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텍스트 유형에 따른 러시아어로의 번역 기법과 전략 연구를 목표로 설정한다. 본 논문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속담 번역 연구 문제점을 분석한다. 둘째, 정보적 텍스트(Informative Text), 표현적 텍스트(Expressive Text), 호소적 텍스트(Vocative Text), 또는 작용적 텍스트 (Operative Text) 등과 같은 텍스트 유형과 텍스트성에 따른 한국 속담의 러시아어 번역 전략을 연구한다. 셋째, 구체적으로 신문기사, 연설문, 문학작품 등 다양한 텍스트 유형별로 해당 번역 전략을 적용한다. 러시아어 번역분야에서 텍스트 차원의 한국 속담 번역에 대한 연구 부재로 인해 이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비효율성이 양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한국 속담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와 실용적인 접근을 통하여 ’실제 번역에서 이론으로‘, ‘이론에서 실제 번역으로‘의 메커니즘을 제시할 수 있다. 연구 대상은 한국 속담의 중요도와 사용 빈도수를 기준으로 선정한 500개 이상의 속담과 신문기사, 연설문, 문학작품, 영상물 등에 인용된 한국 속담이다. 또한 한국 속담과의 대응 관계 연구를 위해 주제 별로 추출한 500개 이상의 러시아 속담도 연구 대상에 포함된다.

      • KCI등재

        Историческое изменение обозначающих семейное родство слов в русском языке

        정경택 한국슬라브어학회 2009 슬라브어연구 Vol.14 No.1

        This article is devoted to research of historical changes of terms of the basic consanguinity with application of methods of historical phonetics and morphology. To study historical changes of these terms, comparison of all slavic languages, comparison of slavic and non-Slavic languages were used. It is known that terms of consanguinity in Russian belong to the most ancient words. Such words as mat'(mother), syn(son), doč (daughter), brat(brother), deduška(grandfather), and vnuk(grandson) in Russian concern to common Indo-European words, and such words as otec(father) and babuška(grandmother) in Russian to Common Slavic words. Russian historical phonetical and morphological analyses result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 Russian words having conformity in non-Slavic and Baltic languages concern to Common Indo-European language; 2) Russian words which are not having conformity both in non-Slavic and Baltic languages concern to Common Slavic language(Eastern Slavic or Old Russian); 3) All analysed Russian words have characteristic features both in historical phonetics and in historical morphology. For example, Russian word otec(father) which is considered common slavic, according to this research, is to Common Indo-European, because etymon of this word occurred from Common Indo-European stem *at-. And Russian word as "mat'", "doč", "brat," "deduška", "vnuk" have a different origin, for example, words mat' and "doč" have suffix *-er(a Common Indo-European origin) in all case except for the nominative case. And comparison of word "vnuk" with "junoša"(a youth) and "junyj"(young) proves presence at them one stem *-ъn-. It gives the basis to approve, that "vnuk" is Common Slavic word with a Old Church Slavic element -ju-.

      • KCI등재

        한국어와 러시아어에서 그리움의 개념적 은유

        안혁 한국슬라브어학회 2011 슬라브어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e current paper is to show the conceptual metaphor of YEARNING in Korean and Russian. Two separate cultures have developed different ways of conceptualizing emotions. YEARNING is conceptualized diversely using different conceptual metaphors. Abstract emotions are often considered as concrete object – an ontological metaphor. Emotions have complicated system involving the possessors and external events caused by the emotions. The complex event system is described using event structure which is more concrete and tangible. However the concrete event structure,i.e. source domain of the structural metaphor, has different functions in different languages and culture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conceptual metaphor would reveal universalities and specificities of languages and cultures and this paper provides a bundle of information about YEARNING in Korean and Russian. 본 연구에서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그리움”이라는 감정을 개념화하는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연구하고, 그것이 발현되는 양상을 각 언어의 말뭉치 속에서 경험적 증거를 통해서 보이고자 하였다. 한국어에서 그리움은 9가지의 근원영역과 관련되어 개념화된다. 기본적으로 그리움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구체적인 대상으로 개념화하여 인지하는 존재론적 은유와 상대적으로 더 복잡한 구조적 은유를 사용하여 표현하게 된다. 물론 텍스트의 유형에 따라 더 시적인 은유도 발견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개념적으로 구조화된 은유라는 것으로 제한하여 우리의 일상 속에 살아 숨쉬는 개념화의 메카니즘을 고찰하였다. 한국어의 그리움이 한국의 문화 속에서 상당히 긍정적이거나 가치 중립적인 근원영역을 사용하여 구조화된 반면, 러시아어의 тоска는 부정적인 가치의 근원영역인 짐승, 포획자 등을 사용하여 구조화되었다. 감정이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스케일라(scalar) 현상이기 때문에 긍정적인 감정도 그 정도에 따라 감정 소유자의 적으로 개념화될 수 있다. 그러나 그 사용빈도에서 감정 소유자와의 부정적관계를 지시하는 근원영역의 상대적으로 더 빈번한 사용은 러시아인들과 한국인들의 그리움이라는 감정에 대한 상이한 태도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문화의 상대적 개념화의 현상학적 연구는 거대한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해야만 긍정적으로 모두에게 설득력있는 주장을 펼칠 수 있다. 동시에 하나의 개념에 대한 단편적인 연구가 아닌 다양한 개념의 통합적 관점에서 연구만이 학문적으로 가치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복잡한 연구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많은 데이터와 인지언어학적 방법론은 이러한 연구의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Проблемы сопоставления внутренней формы фразеологизмов

        최윤희 한국슬라브어학회 2007 슬라브어연구 Vol.12 No.-

        관용구의 내적형태 비교 문제(러시아어와 한국어의 단어 “눈”을 바탕으로 하는 신체 관용구를 중심으로) 러시아어와 한국어에 나타나는 다양한 신체관용구 중 단어 “눈”을 바탕으로하는 신체 관용구를 중심으로 관용구의 내적형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관용구가 형성되는 데는 각 나라의 문화적․사회적 환경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신체 관용구는 인간의 직접적인 신체 기능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어느 언어 속에나 풍부하게 나타나는 관용구 그룹으로서 관용구들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다양한 의미를 전달한다. 또한 각 나라마다 사용 빈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어휘․형태 및 통사․의미론적인 관점에서도 유사한 부분이 매우 많다는 점이 신체 관용구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사람의 신체명을 의미하는 어휘들과 결합하여 형성되는 신체 관용구는 신체명이 지칭하는 부위가 가진 기능의 직접적인 의미를 바탕으로 하여 의미 발전 및 전이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점은 신체 어휘 “눈”을 바탕으로하여 형성된 신체 관용구에서 보다 뚜렷이 살펴 볼 수 있다. 신체 어휘 “눈”은 “시각 활동 기능을 가진 신체 부위”이다. 그리하여 신체 어휘 “눈”을 바탕으로하여 형성된 신체 관용구 대부분은 “시각활동” 기능과 여기서 발전된 의미를 바탕으로하여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신체 어휘 “눈”을 바탕으로 하여 형성된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신체 관용구를 크게 의미별로 분류하여 그러한 의미 발전을 가져온 내적형태를 중심으로 두 언어의 공통점과 상이한 점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슬라브어 영형태(null-form)에 대한 소고: 무주어문, 탈락 그리고 화용론적 생략에 대하여

        정정원 한국슬라브어학회 2012 슬라브어연구 Vol.17 No.2

        The Slavic languages allow semantic, structural, contextual and situational null-forms in the sentences. All the Slavic languages have impersonal constructions without a nominative subject which denote weather, atmosphere, natural force and human emotional or physiological states and in which the subject does not have a referent. In addition the Slavic languages have impersonal constructions where the subject has a referent, but the referent is unimportant, general or hidden. In these Slavic impersonal sentences the predicate cannot agree with the subject and it takes neutral third-person singular form. Russian and Polish also have impersonal sentences in which the verb takes third person plural form. Most of Slavic languages, except Russian and Ukrainian, allow null referential subject, i.e. prodrop. In the Slavic languages having a developed system of inflections the verbal forms contain grammatical information about person, gender and number of the subject. Therefore the grammatical information about person, gender and number of the pronominal subject becomes redundant and this redundant pronominal subject drops frequently according to Grice’s Maxim of quantity. The Slavic languages allow not only null subject, but also null object, null oblique and null predicate. These null forms came to existence for pragmatic reasons, but the frequent use made them grammatical in discourse-oriented Slavic languages. Pragmatic ellipsis is found in many different languages at a colloquial level. In the Slavic languages a sentential component can be more frequently omitted, when it is theme, given and grammatical subject. It is noteworthy that syntactic role of a compon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agmatic ellipsis. Thus many different kinds of null-forms in the Slavic languages have both syntactic and pragmatic aspec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nd out where these two levels meet and how they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Slavic ellipsis.

      • KCI등재

        러시아어와 폴란드어의 수동구문 비교

        정정원 한국슬라브어학회 2010 슬라브어연구 Vol.15 No.2

        이와 같이 지리적, 언어학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폴란드어와 러시아어는 수동구문에서 여러 가지 차이를 드러낸다. 첫째, 러시아어의 수동태는 수동 형동사 구문과 재귀구문을 통해서 실현되지만, 폴란드어 수동태문은 수동 형동사 구문을 통해서만 실현된다. 이때 폴란드어 수동태문의 행위주는 전치사와 결합된 ‘przez + 대격’의 형태를 취하며, 러시아어 수동태문의 행위주는 조격 형태를 취하여 도구역과 형태적으로 일치된다. 한편 폴란드어 수동태문에서는 조동사와의 결합을 통해 반드시 인칭, 시제를 표시해야 한다. 둘째, 폴란드어에서는 자동사에서 파생된 수동태문이 자주 발견되는데 반해, 러시아어에서는 자동사에서 파생된 수동태문이 지극히 예외적인 경우로 간주된다. 자동사에서 파생된 수동태문이 다른 슬라브어에서도 자주 발견되는 현상임을 고려하면 이것은 슬라브어족 내에서 러시아어 수동태문이 갖는 독특한 특징이다. 셋째, 재귀동사 구문과 형동사 구문에서의 상적 분배가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나는 러시아어와 달리 폴란드어 수동구문은 동사의 상에 따라 분화되지 않는다. 폴란드어뿐 아니라 체코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를 비롯한 여러 슬라브어에서 불완료상 동사가 수동 형동 구문에서 사용되는 것을 보면 완료상 동사만 수동 형동 구문에 사용되는 것은 러시아어 수동구문의 변별적 특징으로 보아야 한다. 넷째, 러시아어에서는 수동태의 행위 의미와 상태 의미 구분이 주로 문맥을 통해서 가능한데 반해, 폴란드어 수동태문에서는 조동사를 통해 행위 의미 또는 상태 의미 발현 여부가 결정된다. 이 때 폴란드어 조동사 zostać는 완료상 파생 형동사와 결합하여 행위 의미만을 지시하고, 조동사 być 는 완료상 파생 형동사와 결합 시에는 상태 의미를, 불완료상 파생 형동사와 결합 시에는 행위 의미를 지시한다. 다섯째, 러시아어 재귀구문이 불완료상 동사의 수동태로 사용되는 데 반해, 폴란드어 재귀구문은 수동태로 사용되지 않으며, 대신 피의체역이 주어가 되는 반사역구문이 된다. 이에 폴란드어에서 재귀구문은 수동태의 하위 유형이 아니라 수동태와 동등한 지위를 지니는 재귀태로 불린다. 다른 슬라브어와 비교했을 때 재귀구문이 수동태로 사용되지 않은 것은 폴란드어에서 발견되는 특수한 현상이다. 여섯째, 피의자역이 항상 주격을 갖는 현대 표준 러시아어의 수동구문과 달리 폴란드어 수동 구문에서는 피의자역이 주격이 되지 않고, 능동구문에서처럼 사격의 형태를 띠는 경우가 발견된다. 이러한 폴란드어 무주어 재귀 구문과 –no/to 구문에서는 술어가 어떠한 논항과도 문법적으로 일치되지 않는 3인칭 혹은 무인칭 주어를 가지게 되며, 이것은 불특정 다수의 행위주의 존재를 암시하는데, 이는 동일한 의미를 지시하는 러시아어 부정인칭문의 술어가 3인칭 복수형으로 일치되는 것과 유사하다. 이와 같이 동일하게 슬라브어에 뿌리를 둔 폴란드어와 러시아어의 수동태형은 술어의 형태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는 많은 유사점을 공유하지만, 논항과 조동사의 결합, 상의 분배, 술어의 타동성, 행위 및 상태 의미의 발현, 재귀구문 및 무인칭 구문과의 관계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상이점을 드러낸다. The Russian and Polish passive constructions have many different characteristics, although two languages are very close linguistically as well as geographically. First, Russian passive voice is based on both the passive past participle and the reflexive passive, whereas Polish passive voice is exclusively related to the past passive participle. The Polish passive construction has ‘przez + acc’ as an Agent marker and the Russian passive construction has an Agent marker of the instrumental case that also serves as a marker of a different semantic role as Instrument. In addition, the Polish passive sentence must have an auxiliary verb być or zostać indicating grammatical categories such as Person and Tense. Second, the passive constructions with the predicates derived from intransitive verbs are often found in Polish as well as in many other Slavic languages. Such constructions are exceptional in the Russian language. Third, the imperfective past passive participles are used in Polish, whereas they are not allowed in Russian, where the reflexive serves as an imperfective counterpart to the perfective passive of past participle. The imperfective verbs in the passive past participle are also found in the other Slavic languages, such as Serbo-Croatian and Czech. Fourth, the distinction between actional and state readings in the passive construction is made by means of the auxiliary verbs in Polish. Namely, the auxiliary verb zostać leads to an actional reading, while być can get either actional or state readings depending on the aspect of the main predicate. However, the actional or state reading of the Russian passive predicates can be done just by the contexts or the use of temporal or spatial adjuncts. Fifth, the reflexive can be used in the Russian passive sentences, but the Polish reflexive passive is not possible. Instead the Polish reflexive has an anticausative reading. The reflexive is a subcategory of passive voice in Russian, but it is considered as one of voices in Polish. Sixth, the Patient can have the accusative case in Polish impersonal reflexives and –no/to constructions. In the Russian language –no/to constructions are found just in the Northern dialects and the impersonal reflexives are not found.

      • KCI등재

        불가리아어에서 수사 един 의 기능적 용법에 관한 연구

        김원회 한국슬라브어학회 2011 슬라브어연구 Vol.16 No.2

        본 논문에서는 불가리아어 수사 един의 용법과 그 기능적 특성을 전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도 그 의미가 정확한 수사로서의 기능보다는 한정사적 기능, 즉 부정관사로서의 기능적 특성과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영어에서 강 한정사와 약 한정사의 구분과 구문적 특성에 착안하여 동일한 원칙이 불가리아어 수사적 한정사 един에도 적용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여기에는 존재문에서의 사용여부,상태서술어와의 동일 문장에서의 사용 가능성 등을 주로 판단의 근거로 삼아보았다. 결과적으로 영어에서와 달리 불가리아어의 수사 един은 강 한정사와 약 한정사 사이에서 혼란스럽게 사용되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약 한정사의 경우 един은 변항으로 사용되어지고, 강 한정사의 경우 един은 존재수사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복문에서의 부정소사와 후치정관사의 사용에 대하여 비교해 보았다. 이 경우 비문과 정문의 차이는 어순과 문장 내에서 동사 서술어의 한정성 내포 정도에 의하여 결정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즉, 수사 един이 문장에서 없는 경우는 일반적인 기술을 하는 경우이고, 수사 대신 불가리아어 후치 정관사가 사용되어지는 경우에는 화자와 청자 그리고 대화의 모든참여자들이 이미 알고 있거나 그 지시체를 인지하고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수사 един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화자만이 그 사물이나 사람을 인지하고 있고, 청자는 알고 있지 못한 경우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위에서 언급한 일반적인 의미 기능 외에도 불가리아어의 수사 един은 Как може една майка да има нещо по-мило, по-скъпо от собствената си рожба?(한 엄마에게 있어서 자신의 아이보다 더 소중하고 귀한 것이 있을 수 있을까?)에서와 같이 특정한 자격이나 성의 정체성을 의미적으로 부가하는 기능도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러시아어, 폴란드어 등 동종의 친족어인 슬라브어들과의 비교들을 통하여 불가리아어의 수사 един이 다른 슬라브어 대용어들에 비해 상당히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多用적 기능이나 출현이 통시적 관점에서는 점점 줄어들고 있음을 기존의 연구와의 비교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불가리아어 내의 한정성 표시 기제들인 후치정관사, 지시대명사, 명사들과의 상관관계 속에서 해석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용례들을 통하여 설명해 보았다. Until now, many studies have made on the status of the Bulgarian numeral един. The main focus of these researches is on the following theme. “Is the Bulgarian numeral един the indefinite article?”. As a conclusion, I have shown that the Bulgarian numeral един functions a week and a strong determiner. Also this paper deals with comparative study of един in non-quantitive function in the Slavic language scopes. An estimate is made that in most cases един exercise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ndefinite article or definite semantic function of other Slavic languages. As a results of this, the Bulgarian един is used more often than corresponding item in the other Slavic. In Modern Bulgarian the category of indefiniteness is expressed not only by zero article but also by the един. This, however, is not fully developed in Bulgarian. In some cases the use of един is optional and the post-definite article is used instead of the един. For the expression of the meaning of definiteness/indefiniteness, the един is now on the competition way with definite article, demonstrative pronoun and nou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