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불임환자의 착상기 자궁내막에서 leukemia inhibitory factor의 발현에 관한 연구

        송인옥(In Ok Song),김계현(Kye Hyun Kim),유근재(Keun Jai Yoo),송지홍(Ji Hong Song),궁미경(Mi Kyoung Koong),전종영(Jong Young Jun),허영범(Young Bubm Huh),강인수(Inn Soo Kang)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5

        N/A Objective : To determine the expression of endometrial leukemia inhibitory factor (LIF) in infertile women and to compare it with that of fertile women during the window of implantation. Methods : Endometrial biopsies were performed during the window of implantation from 10 normal fertile and 15 infertile women (5 unexplained infertility, 5 endometriosis and 5 tubal disease with hydrosalpinx). We performed immunohistochemistry using paraffin-embedded endometrial tissues. Results : In fertile and infertile women, the staining intensities of LIF in the glandular epithelium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1) than those of stromal cells.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of LIF between the glandular epithelium of infertile women with endometriosis or hydrosalpinx and those of fertile women. However, the staining intensities of LIF in the glandular epithelium of unexplained infertility pati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P<0.01) than those in fertile women. The staining intensities of LIF in stromal cell of women with unexplained infertility, endometriosis and hydrosalpinx were similar to those in fertile women. Conclusions :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glandular epithelial cells are more important sites of LIF secretion than stromal cells. The expression of endometrial LIF may be decreased in women with unexplained infertility during the window of implantation. Therefore, this result suggest that abnormalities of LIF expression in infertile women may underlie endometrial dysfunction in the adhesive phase of implantation.

      • 교육경쟁력 강화를 위한 여건조성 방안

        이주호(Shin Jongick),강인수(Kang In Soo),신종익(Lee Ju Ho),홍성창(Hong Song Chang) 한국경제연구원 2005 한국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5-29 No.-

        교육개혁은 문민정부 때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하지만, 결과를 보면 ‘수요자중심의 교육’이라는 구호 외에 크게 달라진 것은 없다. 학생 등 교육 수요자들은 교육에 관한 선택권이 크게 제한되어 있다고 하고, 교직원 등의 교육주체들도 교육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한다. 교육에 문제가 많다는 것은 다들 인식하는 데도, 왜 다른 분야와 달리 교육제도 개혁이 어려운 것일까? 교육이념의 다양성으로 인한 개혁방안에 대한 이견, 시민단체의 영향력 증대, 정부나 정치권의 개혁 의지 미흡 등이 주요 원인이다. 하지만, 그간의 교육개혁 방안에 기인하는 바도 크다. 그간의 개혁은 평준화 해제(혹은 대폭 보완), 사립학교와 대학의 자율성 제고, 교육개방 등 한쪽은 취하고 다른 쪽은 버리는 방안이었다. 그런데, 이 같은 방안은 반대세력이 현존하는 경우 추진되기가 어렵다. 정부나 정치권이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육개혁도 이제는 다른 분야와 같이 ‘투명성’과 제도개혁을 위한 ‘선(先)여건조성’으로 접근해야 한다. 개혁내용도 중요하지만, 개혁방법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좋은 개혁방법은 모든 제도를 고치지 않더라도 많은 문제가 해결된다. 학교와 교육에 관한 정보가 공개되면 개별 학교들은 좋은 학교로 인정받기 위해 선의의 경쟁을 벌이게 되어 학생들은 더 좋은 교육을 받게 될 것이다. 학교나 교육에 관한 정보는 학생과 학부모의 알권리를 보장하기 위해서도 공개되어야 할 사안이다. 외환위기 이후 기업, 행정, 정치 등 각 분야의 개혁은 정보공시를 통한 투명성 제고에 역점을 두었고, 이를 통해 각 분야에 누적된 많은 문제들이 개선되었다. 서구국가에서는 학교정보가 이미 공개되고 있다. 미국은 2001년에 ‘학업향상법(No Child Left Behind)’이 제정되어 교과별 학업성취 추이, 학교 폭력, 우수배치과정(Advanced Placement Course) 통과 비율 등 대부분의 학교정보가 공시된다. 영국에서도 학교감독법(School Inspections Act)에 의해 학습의 질, 주요 과목의 평가결과 등이 공개된다. 프랑스와 호주도 마찬가지이다. 우리도 이제 단위 학교의 교육에 관한 정보를 공시해야 한다. 초·중등학교에는 학교운영회의 운영내용, 학업성취도, 진학률, 수학능력시험 결과 등을, 대학교에는 학과별 진학 및 취업률, 연구 성과, 대학 재정, 교수 충원율 등이 공시되어야 한다. 각 지방 교육청은 관할지역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공개해야 한다. 이같은 학교정보 공개를 위해서는 ‘교육정보공개에관한특별법’(가칭)을 제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현행 고교 평준화제도는 학교 및 학생의 선택권을 제한할 뿐 아니라, 학교에 대한 광범위한 규제를 실시하는 데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평준화의 병폐를 단계적으로 해소하는 방법으로 접근해야 한다. 즉 평준화를 해제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야 한다. 먼저, 지역간·계층간의 교육 격차를 해소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교육격차해소에관한법률’(가칭)을 제정해야 한다. 또한, 교육주체들이 스스로 교육의 질을 개선하도록 학교정보를 공개하고, 자립형 학교를 중학교 및 공립으로 확대해야 한다. 수석교사제 도입, 교장 초빙제 확대 등을 통한 교원인사 체제를 개선하고, 교육자치와 일반자치를 일원화하는 방안으로 교육 지방자치를 내실화해야 한다. 또한 대학의 학생선발권을 확대하고, 교과서 질을 개선하도록 교과서를 다양화해야 한다. The educational reform in Korea has been launched in 1993. However it hasn’t been different much except for a slogan, ‘the education based on the users’. The parents and students say that the choice related to the school is still limited a lot and the teachers also point the seriousness of the educational issues. Why is it so difficult to reform the educational system unlike other fields like business and administration, even though many people are aware of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 One of the reasons is probably the way of reform. Such reforms as the cancellation of the equalization policy, the extention of the self-control in the private schools, the opening of educational market necessarily result in opposition from the political party and civil groups and blocking reform. Therefore the way of educational reform should be changed and transparency should be introduced in educational system. If the information related to schools and education were opened, schools would compete to be recognized as a good school, and students could get better education. Since the foreign exchange crisis in 1997, the key reform in every fields was transparency and most of the issues related to each field was improved a lot, opening information to the public. In America, ‘No Child Left Behind Act’ 2001 regulates that school provides such information as the achievement of each subject’s study, the pass rate of the ‘advanced placement course’. There are similar laws in England, France and Australia. In Korea, ‘A special law related to opening educational information (a tentative name)’ should be enacted. The information includes minutes of ‘school management’s committee’, the level of studying achievement, the ratio of students who go on to a higher stage of education, the consequency of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for the college entrance. Regarding the equalization policy in high school, the circumstance should be settled first to release the equalization by stages. Most important is to solve the gab of the education between locals and classes. To achieve this purpose, ‘A law of lessening the educational gab(a tentative name)’ should be made. Also necessary are the opening the school information to the public, variety of textbook in public school, and accountability of local government in education.

      • SCOPUSKCI등재

        Efficacy of Frozen-Thawed ET in Patients with Old Age or Non-Pregnant in Fresh ET Cycles

        최수진,이선희,송인옥,궁미경,강인수,전진현,Choi, Su Jin,Lee, Sun Hee,Song, In Ok,Koong, Mi Kyoung,Kang, Inn Soo,Jun, Jin Hyun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3 No.4

        목 적: 동결-융해 배아이식은 보조생식술에서 환자들에게 보다 많은 임신의 기회를 제공해줄 수 있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후가 좋지 않은 환자들에서 동결-융해 배아이식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나이가 많은 고령 환자군 (38~44세)과 신선주기 배아이식에서 임신 실패군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과배란 유도를 통해 채취한 난자를 일반적인 체외수정 또는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시행하여 수정을 유도하고, 잉여의 전핵 또는 난할 시기의 배아를 완만동결법으로 동결하였다. 동결보관 배아는 급속융해법으로 융해하여 호르몬요법을 시행한 환자의 자궁에 이식하였다. 신선 배아이식과 동결-융해 배아이식 과정에서의 배아 상태, 임신율, 착상률 등을 통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나이가 많은 고령군에서 신선 배아이식을 시행한 환자들과 동결-융해 배아이식을 시행한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40.0{\pm}1.8$세 (n=206)와 $39.9{\pm}1.9$세 (n=6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임상적인 임신율과 착상률은 동결-융해 배아이식에서 29.0%와 11.2%로 신선 배아이식의 16.5%와 7.0%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5). 첫 번째 신선 배아이식에서 임신 실패군의 연속되는 신선 배아이식 환자군 ($31.2{\pm}2.3$, n=40)과 동결-융해 배아이식 환자군 ($31.9{\pm}3.1$, n=119)에서의 평균 연령은 차이가 없었으며, 임상적 임신율 (42.5% vs 40.3%)과 착상률 (22.6% vs 18.8%)도 유사하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동결-융해 배아이식이 고령 환자들에서 효과적으로 임신율과 착상률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배란 유도에 따른 자궁의 착상 환경 변화가 고령 환자들에서 임신율과 착상률을 저하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frozen-thawed ET in poor prognosis patients such as the old age (38~44 years; OA group) and the patients who did not achieve clinical pregnancy with the first fresh ET cycle (non-pregnant patients; NP group). Methods: Laboratory and clinical data were collected from fresh and frozen-thawed ET cycles of OA and NP group.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and conventional insemination or ICSI, in vitro culture and ET were performed by routine procedures. Supernumerary embryos were frozen by the slow freezing method, and frozen embryos were thawed by the rapid thawing method. Embryo development,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tudent t-test and chi square test Results: Mean ages were similar between fresh ET ($40.0{\pm}1.8$ years, n=206) and frozen-thawed ET ($39.9{\pm}1.9$ years, n=69) cycles in OA group. However, the clinical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 of subsequent frozen-thawed E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resh ET cycles (29.0% and 11.2% vs. 16.5% and 7.0%, p<0.05). In NP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age between fresh ET ($31.2{\pm}2.3$ years, n=40) and frozen-thawed ET ($31.9{\pm}3.1$ years, n=119) in subsequent cycles. The clinical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s were similar between the subsequent fresh ET (42.5% and 22.6%) and the frozen-thawed ET (40.3% and 18.8%). Conclusion: In old age patients, higher pregnancy rate of frozen-thawed ET compared to fresh ET cycles in this study. It may be related that better uterine environments for implantation in frozen-thawed ET cycles than that of non-physiological hormonal condition in uterus of fresh COH cycles.

      • KCI등재후보

        염색체 이수성과 관련된 비정상적 임신이 예상되는 환자에서 착상전 유전진단의 결과

        김진영,임천규,차선화,박수현,양광문,송인옥,전진현,박소연,궁미경,강인수,Kim, Jin Yeong,Lim, Chun Kyu,Cha, Sun Hwa,Park, Soo Hyun,Yang, Kwang Moon,Song, In Ok,Jun, Jin Hyun,Park, So Yeon,Koong, Mi Kyoung,Kang, Inn Soo 대한생식의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3 No.3

        목 적: 배아의 염색체 이수성은 착상실패나 자연유산과 관련되며 이는 고령이나 부부의 염색체 이상이 있는 경우 그 위험이 증가되어 습관성 유산이나 반복 착상실패 등 불량한 임신결과를 초래한다. 염색체 이수성에 대한 착상전 유전진단은 정상 염색체를 갖는 배아를 선별적으로 이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환자들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에 염색체 이수성에 대한 착상전 유전진단의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 어떠한 환자군에서 가장 큰 효용성을 얻을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총 42명의 환자에서 77주기의 염색체 이수성에 대한 착상전 유전진단을 시행하였다. 환자군을 적응증에 따라 세 군으로 나누어 제 1군은 37세 이상이며 3회 이상 반복 착상실패를보인 경우 (11예, 평균 나이 42.2세), 제 2군은 3회 이상의 습관성 유산 및 이 중 1회 이상 염색체 이수성을 보인 경우 (19예, 평균 나이 38.9세), 제 3군은 터너 증후군이나 클라인펠터 증후군, 47,XYY 등 성염색체 이상이나 모자이시즘을 가진 환자였다 (18예, 평균 나이 29.6세). 착상전유전진단은 제1군과 2군에서는 13, 16, 18, 21, X, Y염색체에 대한 FISH를, 제 3군에서는 X, Y 및18 또는 17번 염색체에 대한 FISH를 시행하였다. 결 과: 총 530개의 배아에서 할구 생검이 가능하였고 FISH 진단 효율은 92.3%였다. 정상 배아의 비율은 각 군에서 $32.5{\pm}17.5%$, $23.0{\pm}21.7%$, 및 $52.6{\pm}29.2%$ (mean ${\pm}$ SD)였으며 제 3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group II vs. III, p<0.05). 배아 이식은 51주기에서 시행하였으며 이식된 배아의수는 각각 $3.9{\pm}1.5$, $1.9{\pm}1.1$ 및 $3.1{\pm}1.4$개 (mean ${\pm}$ SD)였다. 임상적 임신율은 각 군에서 0%, 30.0% 및 20.0%로 제 2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0.05). 전체적인 임신율은 19.6% (10/51)였고 자연유산율은 20% (2/10)였으며 유산된 경우의 염색체는 정상이었다. 쌍태아 1예를 포함하여 총9명의 정상아가 출생되었으며, 양수검사로 정상 염색체 핵형을 확인하였다. 결 론: 염색체 이수성에 대한 착상전 유전진단은 염색체 이수성과 관련된 불량한 임신예후가 예상되는 환자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이수성과 관련된 습관성 유산이나 성염색체 이상에서 효용성이 있으며, 반복 착상실패에서는 착상에 관련되는 다른 원인들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큰 효용성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he risk of aneuploidies of embryos increases in advanced maternal age or parental karyotype abnormality and it results in poor reproductive outcomes such as recurrent spontaneous abortion (RSA) or repeated implantation failure (RIF).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for aneuploidy screening (PGD-AS) can be applied for better ART outcome by selecting chromosomally normal embryo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 of PGD-AS and which group can get much benefit from PGD-AS among the patients expected to have poor reproductive outcome. Methods: In 42 patients, 77 PGD cycles were performed for aneuploidy screening. Patients were allocated to 3 groups according to the indication of PGD-AS: group I-patients with old age (${\geq}37$) and RIF more than 3 times (n=11, mean age=42.2 yrs.), group II-patients with RSA (${\geq}3$ times) associated with aneuploid pregnancy (n=19, mean age=38.9 yrs.), group III-parental sex chromosome abnormality or mosaicism (n=18, mean age=29.6 yrs.) including Turner syndrome, Klinefelter syndrome and 47, XYY. PGD was performed by using FISH for chromosome 13, 16, 18, 21, X and Y in group I and II, and chromosome X, Y and 18 (or 17) in group III. Results: Blastomere biopsy was successful in 530 embryos and FISH efficiency was 92.3%. The proportions of transferable embryos in each group were $32.5{\pm}17.5%$, $23.0{\pm}21.7%$ and $52.6{\pm}29.2%$ (mean ${\pm}$ SD), respectively, showing higher normal rate in group III (group II vs. III, p<0.05). The numbers of transferred embryos in each group were $3.9{\pm}1.5$, $1.9{\pm}1.1$ and $3.1{\pm}1.4$ (mean ${\pm}$ SD), respectively. The clinical pregnancy rates per transfer was 0%, 30.0% and 20.0%,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II (group I vs. group II, p<0.05). The overall pregnancy rate per transfer was 19.6% (10/51) and the spontaneous abortion rate was 20% (2/10) of which karyotypes were euploid. Nine healthy babies (one twin pregnancy) were born with normal karyotype confirmed on amniocentesis. Conclusion: Our data suggests that PGD-AS provides advantages in patients with RSA associated with aneuploidy or sex chromosome abnormality, decreasing abortion rate and increasing ongoing pregnancy rate. It is not likely to be beneficial in RIF group due to other detrimental factors involved in implantation.

      • KCI등재

        체외 실험상 원인불명 습관성 유산환자에서 얻은 말초혈액 단핵구와 태반항원 반응 후 제일형 보조 T 세포 사이토카인 ( IFN - γ ) 의 분비 양상

        유근재(Keun Jai Yoo),송인옥(In Ok Song),최범채(Bum Chae Choi),강인수(Inn Soo Kang),박인서(In Sou Park),변혜경(Hye Kyung Byun),이지애(Ji Ae Lee),김정욱(Jeong Wook Kim),김현주(Hyun Joo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12

        N/A Objective: A dichotomous Thl and Th2 cytokine profile has been associated with reproductive failure and success, respectively.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s of Thl cytokine (IFN- y ) secreted by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form women with unexplained recurrentabortion (URA) and fertile controls in response to trophoblast antigen. Methods: PBMCs were isolated from 30 nonpregnant women with URA and from 10 nonpregnant fertile controls. Following 4 days of culture (1 * 10(6) cells/mL) with and without a protein extract derived from a trophoblast cell line (30 ug/mL, protein). None of the women had allergies, atopy or recent infection. Cytokines were measured in supernatants wit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kits. IFN- r kit was obtained from BOISOURCE (lower limit of sensitivity, 15.6 pg/mL for IFN- r ). All values below the lowest limit of sensitivity as determined by test kit standards were considered negative. The cytokine stimulation test is considered positive if the IFN- r concentration increases by 200% or more with the trophoblast antigen stimulation. Datas are presented as mean+ SEM. Nonparametric testing (Mann-Whitney U) was used for analysis with P<0.05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Thl-type cytokine (IFN- r ) was detected in 20(67%) of 30 supernatants from women with URA. In contrast, 2 (20%) of trophoblast-activated PBMC culture supernatants from the 10 parus women with normal reproductive histories was detected IFN- r and bu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levels in women with URA who had secreted IFN- r upon trophoblast stimulation (99.80+ 18.17 pg/mL versus 166.47 + 36.96 pg/mL, p<0.05). Spontaneous secretion of IFN- 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ulture supernatants from women with URA than in supernatants from women with successful reproductive histories (41.36.09+6.99 pg/mL versus 25.89+9.34 pg/mL, p<0.05). Conclusion: These data indicate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women with URA and women with normal reproductive histories in their regulation of the Thl-cytokine (IFN- r) in response to trophoblast. Thl-type immunity to trophoblast is associated with URA and may play a role in reproductive failure.

      • KCI등재

        Effect of Testicular Histopathology on Pregnancy Outcomes in Non-Obstructive Azoospermia

        박찬우,서주태,박용석,김혜옥,양광문,김진영,궁미경,강인수,송인옥,Park, Chan-Woo,Seo, Ju-Tae,Park, Yong-Seog,Kim, Hye-Ok,Yang, Kwang-Moon,Kim, Jin-Young,Koong, Mi-Kyoung,Kang, Inn-Soo,Song, In-Ok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5 No.4

        목 적: 비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에서 고환의 조직병리학적 진단에 따라 고환조직내 정자채취술 (Testicular sperm extraction, TESE) 후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 (Intracytoplsmic sperm injection, ICSI)의 체외수정시술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비폐쇄성 무정자증으로 고환조직내 정자채취술 후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이용하여 배아 이식을 시행한 122주기를 분석하였다. 고환의 조직병리학적 진단에 따라 Germ-cell aplasia (GA, 40주기), Maturation arrest (MA, 32주기) and severe hypospermatogenesis (S-HS, 50주기)로 구분하여 체외수정시술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이들 결과를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이용한 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의 체외수정시술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 과: 고환조직내 정자채취술 후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시 수정율은 각각 58.1% in GA, 42.2% in MA and 48.0% in S-HS로 조직병리학적 진단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의 72.9%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정율을 보였다 (p<0.001). 고환조직내 정자채취술시 채취된 정자 (spermatozoa, 94주기)로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시행한 주기의 배아 이식 후 임신율은 각각 22.6% in GA, 29.4% in MA와 26.1% in S-HS이었으며, 출생률은 각각 16.1%, 29.4%와 19.6%로 조직병리학적 진단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정자세포 (spermatid, 16주기)를 사용하여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시행한 주기의 임신율은 각각 0.0% (0/3 주기), 9.1% (1/11주기)와 0.0% (0/2주기)이었으며, 출생률은 각각 0.0%이었다. 정모세포 (spermatocyte, 12주기)를 사용한 주기의 임신율은 각각 0.0% (0/6주기), 0.0% (0/4주기)와 0.0% (0/2주기)이었으며, 출생률도 각각 0.0%이었다. 결 론: 비폐쇄성 무정자증환자의 배아이식을 시행한 주기에서 고환의 조직병리학적 진단에 따른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시 수정율은 차이가 없었으며, 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정율을 보였다. 비폐쇄성 무정자증환자에서 고환조직내 정자채취술시 정자를 채취하여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시행한 주기의 체외수정시술 결과는 고환의 조직병리학적 진단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Objective: To evaluate outcomes of patients with non-obstructive azoospermia (NOA) undergoing the testicular sperm extraction (TESE) combined with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with different histopathologic subgroups. Method: A total of 122 embryo-transferred TESE/ICSI cycles were compared among NOA subgroups; Germ-cell aplasia (GA, 40 cycles), Maturation arrest (MA, 32 cycles) and severe hypospermatogenesis (S-HS, 50 cycles). Obstructive azoospermia (OA, 667 cycles) patients were served as a control. TESE/ICSI outcomes such as fertilization rate (FR), clinical pregnancy rate (CPR) and live birth rate (LBR) were evaluated. Results: The 2PN FR of embryo-transferred TESE/ICSI cycle was 58.1% in GA, 42.2% in MA and 48.0% in S-HS,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OA (72.9 %, p<0.001). For ICSI-spermatozoa cyc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PR (22.6%, 29.4% and 26.1%) and LBR (16.1%, 29.4% and 19.6%) among NOA subgroups. The CPR of ICSI-spermatid cycles was 0.0%, 9.1% and 0.0% without a live birth. For ICSI-spermatocyte cycles, no clinical pregnancies occurred in any group.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 of embryo-transferred TESE/ICSI cycles among NOA subgroups. The FR among all NOA subgroup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OA. Testicular histopathology in NOA did not affect successful pregnancy if spermatozoa extraction from the testis is successful and embryo transfer is possible.

      • KCI등재

        골형성부전증의 착상전 유전진단을 위한 분자유전학적 방법의 조건 확립과 적용

        김민지,이형송,최혜원,임천규,조재원,김진영,송인옥,강인수,Kim, Min-Jee,Lee, Hyoung-Song,Choi, Hye-Won,Lim, Chun-Kyu,Cho, Jae-Won,Kim, Jin-Young,Song, In-Ok,Kang, Inn-Soo 대한생식의학회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5 No.2

        목 적: 착상전 유전진단은 환아를 출산할 가능성이 높은 부부들에게 정상아의 출산 기회를 제공해주는 보조생식술의 하나로서 널리 시행되고 있다. 골형성부전증은 상염색체 우성 유전질환으로서 뼈와 피부를 구성하는 결합조직의 이상으로 뼈가 잘 부러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질환의 95% 이상은 COL1A1 또는 COL1A2 유전자의 이상으로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골형성부전증 환자 2 가계를 대상으로 5 주기의 착상전 유전진단을 시행하여 임신에 성공한 사례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착상전 유전진단 수행 전에 환자의 단일 림프구에서 증폭성공률과 allele drop-out (ADO) rate을 확인하기 위하여 임상전 검사를 수행하였다. 각각 원인 돌연변이로 확인된 COL1A1 유전자 c.2452G>A와 c.3226G>A를 가지고 있는 골형성부전증 2 가계를 대상으로 5 주기의 착상전 유전진단을 시행하였다. 생검한 할구로부터 원인 돌연변이를 진단하기 위하여 nested PCR 후 HaeIII 제한효소를 이용한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분석방법과 direct sequencing 방법을 이용하여 진단을 실시하였다. 결 과: Genomic DNA를 이용하여 COL1A1 유전자 검사를 해 본 결과 각 가계의 원인 돌연변이는 c.2452G>A와 c.3226G>A임을 재확인하였으며, 단일세포를 이용한 임상전 검사 결과 첫 번째 사례의 경우 94.2%의 증폭성공률과 22.5%의 ADO rate을 나타내었고, 두 번째 사례의 경우 98.1%의 증폭성공률과 1.9%의 ADO rate를 나타내었다. 착상전 유전진단 결과 첫 번째 사례의 경우, 3 주기의 착상전 유전진단에서 총 34개의 배아 중 31개의 배아에서 진단에 성공하여 91.2% (31/34)의 진단성공률을 나타내었고, 총 19개의 정상 배아 중 8개의 배아 (2.7개/배아이식)를 이식하였다. 세 번째 주기에서 임신에 성공하였고 제왕절개로 건강한 아이를 분만하였다. 두 번째 사례의 경우 2 주기의 착상전 유전진단을 시행하였으며, 총 19개의 배아 모두 진단에 성공하여 100.0% (19/19)의 진단성공률을 나타내었고, 총 11개의 정상 배아 중 4개 (2개/배아이식)의 배아를 이식하였다. 두 번째 착상전 유전진단에서 임신에 성공하였고, 건강한 아이를 분만하였다. 결 론: 착상전 유전진단을 통한 골형성부전증 환자 2 가계에서의 성공적인 임신과 출산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임상 결과로, 본원의 착상전 유전진단방법은 효과적이고 확실한 방법으로써 앞으로도 더 많은 단일 유전자 이상의 유전질환을 가진 환자들에게 적용하게 될 것이며, 이는 이와 유사한 유전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유전질환의 이환 가능성이 있는 부부들에게 정상아의 임신과 출산의 기회를 더욱 많이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PGD) has become an assisted reproductive technique for couples carrying genetic conditions that may affect their offspring. Osteogenesis imperfecta (OI) is an autosomal dominant disorder of connective tissue characterized by bone fragility and low bone mass. At least 95% of cases are caused by dominant mutations in the COL1A1 or COL1A2. In this study, we report on our experience clinical outcomes with 5 PGD cycles for OI in two couples. Methods: Before clinical PGD, we assessed the amplification rate and allele drop-out (ADO) rate of alkaline lysis and nested PCR protocol using heterozygous patient's single lymphocytes in the pre-clinical diagnostic tests for OI. We performed 5 cycles of PGD for OI by nested PCR for the causative mutation loci, COL1A1 c.2452G>A and c.3226G>A, in case 1 and case 2, respectively. The PCR products were analyzed by agarose gel electrophoresis,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analysis with HaeIII restriction enzyme in the case 1 and direct DNA sequencing. Results: We confirmed the causative mutation loci, COL1A1 c.2452G>A in case 1 and c.3226G>A in case 2. In the pre-clinical tests, the amplification rate was 94.2% and ADO rate was 22.5% in case 1, while 98.1% and 1.9% in case 2, respectively. In case 1, a total of 34 embryos were analyzed and 31 embryos (91.2%) were successfully diagnosed in 3 PGD cycles. Eight out of 19 embryos diagnosed as unaffected embryos were transferred in all 3 cycles, and in the third cycle, pregnancy was achieved and a healthy baby was delivered without any complications in July, 2005. In case 2, all 19 embryos (100.0%) were successfully diagnosed and 4 out of 11 unaffected embryos were transferred in 2 cycles. Pregnancy was achieved in the second cycle and the healthy baby was delivered in March, 2008. The causative locus was confirmed as a normal by amniocentesis and postnatal diagnosis. Conclusions: To our knowledge, these two cases are the first successful PGD for OI in Korea. Our experience provides a further demonstration that PGD is a reliable and effective clinical techniques and a useful option for many couples with a high risk of transmitting a genetic disease.

      • KCI등재

        난관 폐쇄에 기인한 불임 환자에서 난관 개통술의 효용성

        박찬우,차선화,양광문,한애라,유지희,송인옥,김혜옥,강인수,궁미경,이경상,Park, Chan-Woo,Cha, Sun-Hwa,Yang, Kwang-Moon,Han, Ae-Ra,Yoo, Ji-Hee,Song, In-Ok,Kim, Hye-OK,Kang, Inn-Soo,Koong, Mi-Kyoung,Lee, Kyung-Sang 대한생식의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7 No.4

        목적: 불임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궁 난관 조영술을 이용한 난관 불임 선별검사에서 난관 막힘의 소견을 보인 경우 선택적 난관 조영술을 시행 후 실패 시 난관 개통술을 시행하여 난관 불임치료에 있어 난관 개통술의 효용성을 알아보고 난관 막힘 부위 및 형태에 따른 난관 개통률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난관 불임 선별검사로서 자궁 난관 조영술을 시행하였으며 자궁 난관 조영술 상 난관 막힘 소견을 보인 215명의 342개의 난관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난관 개통술을 시행하여 342개의 난관 가운데 248개의 난관이 개통되어 72.5%의 난관 개통률을 보였다. 막힘 부위에 따른 난관 개통률은 근위부 83.8% (197/235예), 협부 45.6% (47/103예), 원위부 100% (4/4예)를 보여 자궁-난관 접합부에 가까운 막힘 일수록 높은 개통률을 보였다. 막힘 형태에 따른 개통률은 점진형은 92.3% (157/170예), 오목형은 80.2% (69/86예), 볼록형은 25.5% (22/86예)의 난관 개통률을 보였다. 난관 막힘 부위와 형태를 종합하여 볼때 난관 근위부 점진형 막힘의 경우 91.6% (143/156예)의 높은 개통률을 보인 반면 난관 협부 볼록형 막힘의 경우에는 개통률이 11.3% (6/53예)에 불과하였다. 난관 개통에 성공한 156명 가운데 98명에서 임신에 성공하여 62.7%의 임신율을 보였다. 결론: 난관 개통술은 자궁 경부를 통한 시술로 수술적 방법이나 체외수정시술의 난자 채취에 비해 덜 침습적인 방법으로 입원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며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불임의 원인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난관 원인에 의한 불임 환자에서 우선적으로 시행해 볼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라 할 수 있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and efficacy of trans-cervical fallopian tube catheterization (TFTC) in diagnosis and optimal treatment modality for tubal blockage. Methods: The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those underwent TFTC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9. A total of 342 fallopian tubes in 215 patients which showed tubal blockage in hysterosalpingography (HSG), were subjected to TFTC. Recanalization rate (RR) was compared according to portion of tubal blockage; proximal, isthmic and distal portion and blockage type; tapering, concave, and convex type. Results: In total, RR was 72.5% (248/342 tube). According to the portion of tubal blockage, RR was 83.8% in proximal, 45.6% in isthmic and 100% in distal portion. RR was 92.3% in tapering, 80.2% in concave and 25.5% in convex type, respectively. There were 98 pregnancies in 156 patients after successful recanalization, which shows 62.7% pregnancy rate. Conclusio: TFTC were capable of recanalizing tubal blockage in 248 of 342 tubes in 156 of 215 patients (72.5%). The RR was increased with proximal portion and tapering type tubal blockage.

      • KCI등재

        과배란유도주기와 크로미펜주기의 보조생식술에서 기저난포자극호르몬 상승에 따른 난소반응과 임신율에 대한 고찰

        허걸(Kuol Hur),양광문(Kwang Moon Yang),김진영(Jin Young Kim),송인옥(In Ok Song),송지홍(Ji Hong Song),유근재(Keun Jai Yoo),전종영(Jong Young Jun),궁미경(Mi Kyoung Koong),강인수(Inn Soo Kang)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8

        목적 : 기저 FSH의 상승이 난소의 저반응과 임신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과배란유도주기와 크로미펜주기를 대상으로 기저 FSH의 상승정도애 따른 난소반응과 보조생식술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 1뭘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삼성제일병원 불임클리닉에서 보조생식술을 위한 과배란유도 1067주기와 크로미펜을 사용한 119주기, 총 1033명의 l186주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주기에서, GnRH효능제 투여 전, 월경주기 제 2일 혹은 월경주기 제 3일에 채취한 정맥혈로 면역방사계측법을 이용하여 기저 FSH를 측정하였다. 과배란유도는 GnRH효능제 단기투여법을 사용하여, 월경주기 제 3일부터 FSH와 HMG 를 복합사용하였다. 크로미펜주기는 월경주기 제 3일부터 7일까지 clomiphene citrate를 5일간 100 ㎎씩 경구투여 하였다. 기저 FSH의 상승정도에 따라 연구대상 과배란유도주기와 크로미펜주기를 10 mIU/㎖ 미만 주기를 정상군: A군 (n=796)과 I군 (n=35), 10 mIU/㎖ 이상에서 15 mIU/㎖ 미만인 주기를 경한 상승군: B군 (n=192)과 Ⅱ군 (n=39), 15 mIU/㎖ 이상에서 20 mIU/㎖ 미만인 주기를 중등도 상승군: C군 (n=44)와 Ⅲ군 (n=11), 20 mIU/㎖ 이상인 주기를 중한 상숭군: D군 (n=35)과 Ⅳ군 (n=34)으로 각각 분류하여, hCG주입일의 E_2농도, 채취된 난자의 수, 주기취소율 등으로 난소반응을 구하였고, 이들의 임상적 임신율과 생존아 출생률을 비교하였다. 통계학저인 분석은 일원배치분산분석, 다중비교, Fisher`s exact test, 카이제곱 및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인 경우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 과배란유도에서 난소의 반응은 기저난포자극호르몬이 증가한 군일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01). 시작주기당 임상적 임신율은 A군 (24.6%), B군 (23.4%), C군 (13.6%), D군 (5.7%)으로 D군 (5.7%)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P=0.01), 시작주기당 생존아출생율도 A군 (10.6%), B군 (18.2%), C군 (13.6%) D군 (2.9%,)으로, D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14). 그러나 35세 이하 668주기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경우, 기저 FSH의 경한 상승군인 B군에서 시작주기당 임상적 임신율과 생존아 출생률의 저하는 없었다. 크로미펜 주기에서는 Ⅳ군에서 난소반응이 의미있게 저하되었고, 시작주기당 임상전 임신율과 생존아 출생률은 네군 (Ⅰ,Ⅱ,Ⅲ,Ⅳ)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과배란유도시 기저 FSH의 경한 상승군은 난소반응이 유의하게 감소하고 소요된 성선자극호르몬의 양이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나, 임신율의 저하는 없었다. 기저 FSH가 중둥도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 임신율의 저하는 채취난자의 양적감소와 질 저하에 의한 것이며, 기저 FSM가 중한 상숭군은 과배란유도와 크로미펜주기의 임신율의 차이가 없었으나, CC주기가 경제적이고 순응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o evaluate whether elevation of basal FSH predict poor ovarian response and lowered pregnancy rate in women undergoing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and Clomiphene Citrate stimulated cycle (CC cycle) for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ART). Meterials and Methods : From January 1999 to December 1999, total 1067 COH cycles and 119 CC cycles from 1033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t each cycle, on cycle day 2 or 3, basal FSH was measured before GnRH agonist starting. FSH value (mIU/㎖) was 2 nd IRP 78/549 standard. We divided COH and CC cycles into 4 groups according to elevated basal FSH concentration, respectively. i ) Normal (Basal FSH<10 mIU/㎖): Group A (n=796), Group I (n=35), ⅱ) Mildly elevated (10 mIU/㎖<basal FSH<15 mIU/㎖): Group B (n=192), Group Ⅱ (n=39), ⅲ) Moderately elevated (15 mlU/㎖<basal FSH<20 mIU/㎖): Group C (n=44), Group Ⅲ (n=11), ⅳ) Markedly elevated (basal FSH≥20 mIU/㎖): Group D (n=35), Group Ⅳ (n=34). Retrospectively, we obtained mean total ampules of gonadotropin, mean serum E_2 concenturation on hCG day, mean number of retrieved oocyte, mean number of embryo transferred, mean number of good embryo, cancellation rate, clinical pregnancy rate and live birth rate. Results : Ovarian response by elevation of basal FSH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in COH cycles than CC cycles. In COH cycles, ovarian response of Group B, C and D decreased significantly (P<0.001). In CC cycles, ovarian response of Group Ⅳ decreased significantly (P<0.01). Including cycles only under 35 years old, COH cycles with mildly elevated basal FSH had poor ovarian response (P<0.01), but the clinical pregnancy rate (28.3%) and live birth rate (24.2%) did not decrease, compared with normal FSH Group (27.5%, 23.1% respectively). In cycles with markedly elevated basal FSH, clinical pregnancy rate (5.9%) and live birth rate (2.9%) of CC cycles were equal to that of COH cycles (5.7%, 2.9%, respectively). Conclusion : Mildly elevated basal FSH does not predict poor outcome in ART. Poor prognosis conferred by mildly elevated basal FSH may be overcome by maximizing stimulation protocol. Therefore other stimulation protocol for poor ovarian response may be effective in mildly elevated basal FSH cycles. In cycles with moderately to severe elevated basal FSH, lowered pregnancy rate was mainly due 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crease in ovarian response. In cycles with markedly elevated basal FSH, CC stimulated cycle was more cost effective with good compli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