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명 변화에서 강도 패턴 보드 기반의 색상 보정 방법

        강두철,이소영,최유주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10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5 No.1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lor correction method based on a 5-level gray color pattern board in the variation of illumination. We first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the corresponding patches of the color pattern board images captured in the different illumination. Then based on this relationship, we construct the mapping function from the image of the source illumination to that of the target illumination. The corrected image is acquired by applying the mapping function to the color value of each pixel in the source image. The proposed method is devised for the real-time processing in order to correct the real-time input frames while excluding complicated color correction methods introduced in the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In the experiments, we applied the proposed method to two images including a color pattern board and three objects captured in the different illumin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colors for three objects in the different illumination are corrected with improvement of 79.5% on the average.

      • KCI등재

        Prognostic Factors of Status Epilepticus in Children

        강두철,이영목,이준수,김흥동,고창준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05 Yonsei medical journal Vol.46 No.1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89 children who were admitted to the Pediatric Neurology Department at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with status epilepticus (SE) between April, 1994 and April, 2003. The children were followed up for a mean duration of 17 months. We analyzed the clinical finding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neurologic sequelae, recurrence, age of onset, presumptive causes, types of seizure, seizure duration and the presence of fever. Mean age at SE onset was 37 months. Incidences by seizure type classification were generalized convulsive SE in 73.5%, and non-convulsive SE in 26.5%. The incidences of presumptive causes of SE were idiopathic 40.7%, epilepsy 29.1%, remote 16.4% and acute symptomatic in 13.3%. Among all the patients, febrile episodes occurred in 35.4%, especially in patients under 3 year old, and 38.4% of these were associated with febrile illness regardless of presumptive cause. Neurologic sequelae occurred in 33% and the mortality rate was 3%. Neurologic sequelae were lower in patients that presented with an idiopathic etiology and higher in generalized convulsive SE patients. The recurrence of SE was higher in patients with a remote symptomatic epileptic etiology, and generalized convulsive SE showed higher rates of recurrence. Based on this retrospective study, the neurologic outcomes and recurrence of SE were found to be strongly associated with etiology and seizure type. Age, seizure duration and the presence of febrile illness were found to have no effect on outcome.

      • KCI등재

        대뇌 피질 발달 기형을 동반한 난치성 소아 간질에서 케톤생성 식이요법의 효과

        이영목,강두철,정다은,강훈,김흥동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9 No.2

        Purpose : Malformation of cortical development(MCD) constitutes an important etiology of intractable epilepsy and is considered an indication for surgical treatments, though their efficacy is limited and variable depending on MCD's location or distribution. Ketogenic diets are widely known to be effective, but as little study has been made concerning their efficacy on epilepsy with MCD,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ketogenic diets on MCD patients compared with that of epileptic surgery, which is more invasive. Methods : We performed retrospective studies and analyse on 30 patients with MCD diagnosed by brain MRI and treated with ketogenic diets for intractable epilepsy since 1998, checking decreases in their seizure episodes after starting the diets. Results : Cortical dysplasia was observed in 24(80.0 percent) patients as the most common type of MCD. Also, MCD was observed in unilateral hemisphere most commonly, in 23(76.7 percent) patients; it was observed in both hemispheres in 7(23.3 percent) patients. Nine(30.0 percent) out of 30 patients became seizure-free after starting ketogenic diets, and 14(46.7 percent) patients experienced 50 percent seizure reductions as well. Age of starting the diet or the duration of epilepsy period before starting showed no statistical relationship with the efficacy of the diet. Though the younger the patient and the longer the treatment the more effective the diet seemed to be, there was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m. The location of MCD showed no significance neither. Conclusion : Considering various limits and invasiveness of surgical treatment, a ketogenic diet could be a good tool in treating children with intractable epilepsy with MCD. 목 적 : MCD는 항경련제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간질의 중요한 원인으로 수술적 치료의 대상으로 고려되어지지만, 병변의 범위나 분포에 따라 제한적이고 치료효과에 있어서도 차이가 보고되고 있다. 케톤생성 식이요법은 최근까지 대부분의 연구들에서 뛰어난 간질 억제효과를 보고하고 있으나, MCD 병변을 보이는 난치성 간질을 대상으로 시행한 케톤생성 식이요법의 치료효과에 대한 보고는 국내외적으로 지금까지 없는 상태로, 본 연구에서는 이 환자군들에 대해 간질 수술보다 덜 침습적인 치료법인 케톤생성 식이요법의 간질 억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 : 1998년 이후 난치성 간질로 케톤생성 식이요법을 시행하였던 소아 환아들 중 뇌 MRI상 MCD 소견을 보이는 3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고찰과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케톤생성 식이요법 시행 후 경련의 감소효과를 분석하였다.결 과 : 전체 대상 30명 환아들의 남녀비는 1 : 1.1이었고, 경련을 처음 시작한 연령은 평균 2.0±2.9세, 케톤생성 식이요법을 시작한 평균 연령은 5.4±4.6세, 케톤생성 식이요법을 시작할 때까지의 경련 지속기간은 평균 3.5±3.3년, 환아들의 추적 관찰기간은 평균 29.0±21.0개월이었다. MCD의 종류는 대뇌 피질 이형성증(cortical dysplasia)이 24명(80.0%)으로 가장 많았고, MCD의 분포는 일측 대뇌 반구에만 있는 경우가 23명(76.7%), 양측 대뇌 반구 모두에 병변이 있는 경우가 7명(23.3%)이었다. 케톤생성 식이요법에 의한 경련의 감소 정도는 전체 30명의 환아 중 9명(30.0%)에서 경련이 완전히 소실되었으며, 50% 이상 경련이 감소된 경우는 14명(46.7%)이었는데, 경련을 처음 시작한 연령이나 케톤생성 식이요법을 시작할 때까지의 경련 지속기간은 경련의 감소효과와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고, 케톤생성 식이요법을 시작한 나이가 어릴수록, 케톤생성 식이요법의 기간이 길수록 경련의 감소효과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MCD의 분포에 따른 특별한 연관관계는 없었다.

      • KCI등재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을 중심으로

        김정아,강두,고용 한국정보교육학회 2023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7 No.6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의 출현은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교육 분야에서도 생성형 AI를 학교 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교육기관에서 생성형 AI를 교육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실태를 분석하고, 제주특별자치도 교사,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인식 조사, 생성형 AI 교육 활동 활용 사례 제작위원을 대상으로 한 요구분석을 통해 미래교육을 위한 생성형 AI를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연구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 교육가족 중 2,114명(교원 355명, 학생 1,103명, 학부모 6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 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제작위원 64명을 대상으로 한 요구 분석 결과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생성형 AI를 활용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지식정보처리 역량 신장을 기대하고 있고, 생성형 AI의 교육 활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폐동맥 분지협착에 스텐트 삽입 후 유발되는 폐동맥의 형태변화 - 폐동맥 폐쇄 부전의 역할 -

        김미진,강두철,최재영,이종균,설준희,이승규,Kim, Me Jin,Kang, Du Cheol,Choi, Jae Young,Lee, Jong Kyun,Sul, Jun Hee,Lee, Sung Kyu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

        목 적 : 분지 폐동맥 협착 부위에 스텐트를 삽입하여 효과적으로 교정한 후, 이후 추적 관찰시에 협착이 없었던 반대편 분지 폐동맥 단면적이 감소하지 않고 증가하는 양상을 관찰하였다. 이에 분지 폐동맥 단면적의 변화에 영향을 끼치는 형태학적 혈역학적 요인들을 분석해 보았다. 방 법 : 1995년 1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연세대학교 심장혈관병원 소아심장과에서 좌폐동맥 분지 협착을 진단받고 스텐트 삽입을 시행받은 23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아에서 스텐트 삽입 전후로 심혈관 조영술을 통해 좌우 폐동맥 단면적의 변화, 도플러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폐동맥 부전을 측정하여 역류 분율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폐관류 검사를 함께 시행하였다. 결 과 : 1) 좌폐동맥 협착으로 스텐트를 삽입한 후 좌폐동맥 지수는 $102{\pm}12mm^2/BSA$에서 $125{\pm}11mm^2/BSA$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2) 협착이 없었던 우폐동맥 지수의 변화를 보면, 좌폐동맥에 스텐트를 삽입하기 전에 평균 $238{\pm}17mm^2/BSA$에서 추적 검사시 $249{\pm}20mm^2/BSA$로 유의한 증가는 없었다(P=0.474). 3) 스텐트 삽입 전후로 양측 폐동맥 지수의 합을 보면, 삽입전 $340{\pm}21mm^2/BSA$에서 추적 검사시 $374{\pm}26mm^2/BSA$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9). 4) 폐동맥 폐쇄부전 역류 분율의 변화는 스텐트 삽입전 $50{\pm}5%$에서 $46{\pm}5%$로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감소량은 아니었다. 그러나, 폐동맥 폐쇄부전 역류 분율 증감 정도에 따라 세 군으로 나누어 비교해 보면, 3 군에서 우폐동맥지수는 삽입 전 $260{\pm}23mm^2/BSA$에서 추적 검사시 $325{\pm}33mm^2/BSA$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41). 좌폐동맥 지수는 각 군에서 스텐트 삽입 전후로 증가하는 양상은 관찰되었으나, 1군에서만 유의하였고, 이는 폐동맥 폐쇄부전의 역류 분율 증감이 좌폐동맥의 단면적에 변화를 미치는 일차적 요인은 아닌 것으로 분석된다. 5) 스텐트 삽입 후 좌 우폐동맥 모두 폐동맥 폐쇄부전이 심할수록 폐동맥지수가 증가하여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지고 (좌폐동맥; r=0.69, P<0.01 및 우폐동맥; r=0.53, P<0.01), 회귀분석상으로도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또한 양측폐동맥 지수의 합도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r=0.71, P<0.01)를 보였다. 결 론 : 협착이 있던 좌폐동맥은 스텐트의 삽입으로 교정되어 그 단면적 지수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반대편 우폐동맥의 경우에는 잔존하는 폐동맥 폐쇄부전의 영향으로 단면적 지수가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한 것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잔존하는 폐동맥 폐쇄부전의 장기적 예후를 고려해 볼 때, 이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역류 분율을 정확히 산출하기 위해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는 것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다. Purpose : Intravascular stent implantation for the treatment of postoperative branch pulmonary artery(PA) stenosis has been used successfully. However, the cross sectional area of contralateral branch PA does not regress in spite of the successful dilation of the stenotic branch PA after stent implantation. We analyzed the morphologic and hemodynamic factors on the size of branch PA after successful stent implantation. Methods : The subjects in our study were 23 children who had undergone stent implantaion from Jan. 1995 to Jul. 2002 in the Division of Yonsei Pediatric Cardiology. We evaluated the cross sectional area index(CSAI) of branch PA before and after stent implantation at follow-up catheterization. We also investigated factors such as residual pulmonary stenosis, pulmonary regurgitation(PR), systolic pressure of right ventricle, and lung perfusion scan. Results : The CSAI of the RPA without stenosis changed from mean $238{\pm}17mm^2/BSA$ to mean $249{\pm}20mm^2/BSA$(P=0.47), but didn't regress. The CSAI of the LPA with stenosis was increased effectively by stent implantation from the mean $102{\pm}12mm^2/BSA$ to mean $125{\pm}11mm^2/BSA$(P< 0.05). At follow up after stent implantation, the CSAI of PA is correlated with the residual PR fraction after stent implantation. Conclusion : In a group with increased residual PR, CSAI of RPA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increased between the pre- and post-stages of stent implantation. So, we suspect that the pulmonary regurgitation remaining after right ventricle outlet tract(RVOT) dilatation surgery is correlated with the increase in CSAI of RPA.

      • 핸드폰 커버튼 불량검사에 관한 연구

        한승일(Seung-Il Han),강두철(Du-Cheol Gang),이병국(Byung-Gook Lee),이준재(Joon-Jae Lee)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7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7 No.1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미세부품 가운데 많은 불량 요소를 가진 핸드폰 키패드의 조립 이전 단계에 개별 버튼의 찍힘, 색상 불량 검사에 영상처리기술을 적용하여 자동 불량 검출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폰트 불량 검사를 위해 볼규칙적으로 획득된 영상을 레퍼런스 영상과 비교하기 위해 회전 및 이동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정규화 과정을 거친다. 정규화 된 영상에 다양한 영상처리 기법을 적용하여 불량 요소를 검출한다.

      • KCI등재후보

        소아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의 임상양상 및 치료 결과

        최윤석(Yoon Seok Choi),강정(Jeong Cheol Kang),이영목(Young Mock Lee),강두철(Du Cheol Kang),이준수(Joon Soo Lee),김흥동(Heung Dong Kim),고창준(Chang Jun Coe) 대한소아신경학회 2003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1 No.2

        목 적 :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은 선행하는 감염이나 예방 접종의 병력이 흔히 동반하는 신경학적 질환으로, 면역학적인 기전에 의해 중추신경계의 염증성 탈수초화를 일으킨다. 저자들은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으로 진단 받은 환아들을 대상으로 임상양상, 방사선학적 소견 및 치료 경과를 조사하였다. 방 법 : 1992년 7월부터 2003년 7월까지 소아과에 내원하는 신경학적 증상과 뇌자기공명영상으로 진단된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 환아 25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치료 방법에 따라 덱사메타손으로 치료한 군(1군), 덱사메타손과 면역글로불린을 같이 투여한 군(2군), 메틸프레드니솔론과 면역글로불린을 같이 투여한 군(3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에 따라 신경학적 증상의 호전시기와 재발 및 후유증의 발생 빈도를 통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총 25명의 환아 중에서 남아가 15명, 여아가 10명으로 남녀비는 1.5:1이었다. 발병연령은 1.4년에서 12.1년까지로 평균 6.5±3.4년이었다. 16명(64%)에서 선행하는 감염이나 예방접종의 병력이 있었고, 선행감염으로부터 신경학적 증상 발현까지의 기간은 3일에서 28일로 평균 9.8±6.7일이었다. 신경학적 증상으로는 경련이 15명(60%), 운동 장애 10명(40%), 의식 장애 10명(40%) 순이었다. 뇌자기공명영상은 모든 환아의 T2 강조영상에서 백질의 음영 증가 소견을 나타내었고, 피질하백질 16명(64%), 기저핵 13명(52%), 시상 7명(28%)의 순서였다. 25명 모두에서 스테로이드를 사용 하였고, 18명에서는 면역글로불린을 같이 투여하였다. 스테로이드 치료 시작부터 신경학적 증상이 호전되기 시작할 때까지의 기간은 1일에서 14알까지로 평균 6.9±4.0일이었고, 6명의 환아에서 후유증이 남았고, 이중 2명은 재발한 경우였다. 치료방법에 따라 분류한 각 군에 대해, 치료 시작으로부터 신경학적 증상 호전되기 시작까지의 평균 시간을 비교해보면, 1군(4명)에서 7.5±2.1일, 2군(9명)에서 7.3±5.1일, 3군(4명)에서 5.3±2.8일로 3군의 기간이 가장 짧았지만,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각각의 군에서 신경학적 후유증의 빈도나 재발율의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임상양상의 분포 및 자기공명영상에서 나타난 병변의 분포는 기존의 보고와 유사하였다. 그리고, 모집단의 수가 많지 않아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으나, 치료방법에 따른 신경학적 증상의 호전 기간은 메틸프레드니솔론과 면역글로불린을 같이 투여한 군에서 단축되는 경향을 보여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 및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 Acute disseminated encephalomyelitis(ADEM) is a neurological disease that is commonly associated with previous history of infection or vaccination. It is mediated through immunological mechanisms, resulting in inflammatory demyelination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clinical, radiological features and disease progress of patients diagnosed with ADEM. Methods : We have retrospectively reviewed 25 patients diagnosed with ADEM through neurological symptoms and brain MRI findings from July 1992 to July 2003.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patients treated with dexamethasone(group I), those with dexamethasone and immune globulin(group II), and those with methylprednisolone and immune globulin(group III). The neurological symptoms, time taken for recovery, recurrence rates and presence of neurologic residu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 All 25 patients were treated with steroid, and 18 patients received immune globulin at the same time. Symptomatic improvements occurred 1 to 14 days with a mean of 6.9±4.0 days after administration of steroids. 6 patients displayed long-lasting sequelae, including 2 patients who relapsed. The average time taken for clinical improvements in various treatment groups were as follows; 7.5±2.1 days for group I(N=4), 7.3±5.1 days for group II(N=9), and 5.3±2.8 days for group III(N=4). Group III showed most rapid recovery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Differences in the rates of relapse and prevalence of neurological sequelae among those groups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Conclusion : The image detected on MRI and the clinical features of the patients did not differ from these of previously reported studies. The size of the sample was too small to acqui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but the patients who received methylprednisolone and immune globulin showed shortest recovery time, which might necessiate further studies.

      • 지역사회 획득 메치실린 내성 포도알균에 의한 포도알균 열상 피부 증후군의 임상적 고찰

        허순영,송윤정,김성준,박선영,강두철,마상혁,Heo, Soon Young,Song, Yoon Jeong,Kim, Sung Jun,Park, Sun Young,Kang, Du Cheul,Ma, Sang Hyuk 대한소아감염학회 2007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4 No.1

        목 적 : 포도알균 열상 피부 증후군(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은 포도알균의 피부박탈성 독소에 의하여 전신성 수포와 낙설을 일으키는 포도알균의 피부 감염증의 한 형태이다. 환자들의 임상양상과 치료의 결과, 합병증 등을 알고 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2년 2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특징적인 피부병변을 보여 포도알균 열상 피부 증후군으로 진단된 53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고 임상형을 전신형, 중간형, 부전형 등으로 분류하고 2003년 9월이후 부터 발생한 환자의 비강 내 검체를 이용하여 원인 균 및 독소를 규명하였다. 결 과 : 1) 연구기간 동안 4S로 진단되어 치료한 환자는 총 53명이었다. 발병연령은 생후 20일부터 7세까지 분포하였으며, 평균연령은 2.8세였다. 성별은 남자가 35명이었고 여자는 18명으로 남여 성비는 1.9:1이었다. 2) 임상적인 유형은 전신형이 6례(11%), 중간형이 29례(55%), 부전형이 18례(34%)로 중간형이 가장 많았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혈액 검사 상 백혈구 증다증이나 C반응단백의 증가는 없었다. 3) 2003년 9월 이후에 15명 환자의 비강에서 얻은 검체 중 14명의 환자에서 얻은 검체에서 포도알균을 분리하였고 피부박탈성 독소는 독소 B의 유전자를 확인하였고 Panton-Valentine leukocidin의 유전자는 음성으로 나왔다. 4) 입원하여 치료받은 환자의 경우 평균 입원 기간은 7.3일이었으며 사용한 항생제는 amoxacillin/clavulanate, ampicillin/sulbactam, cefuroxime, vancomycin 등이었다. 모든 환자에서 전신적인 낙설이 나타났으며 임상형이나 사용한 항생제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환자가 특별한 합병증이 없이 회복이 되었다. 결 론 : 창원과 인근 지역에서 단기간 내에 지역사회 획득 메치실린 내성 포도알균감염으로 인한 다수의 4S 환자가 연속적으로 발생하였으며 원인은 피부박탈성 독소 B이었다. Purpose : 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 (4S) is a well known disease defined by clinical, microbiological and histological criteria caused by Staphylococcus aureus. This disease is uncommon but has been increasingly recognized.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features of 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 Methods : We reviewed retrospectively medical records of 53 patients diagnosis of 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 who were admitted to Changwon Fatima hospital from February 2002 to December 2005. The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clinical types; generalized type, intermediate type, abortive type. Age, sex ratio, clinical manifestations, laboratory findings, response to therapy and prognosis were investigated. Result : 1)The mean age of patients was 2.8 years, ranging from 20 days to 7 years. Male-to-female ratio was 1.9:1. 2) By clinical types, 6 patients were in the generalized type (11%), 29 patients in the intermediate type (55%), 18 patients in the abortive type (34%). The coexisting diseases were variable, including conjunctivitis (25 cases), atopic dermatitis (11 cases), otitis media (1 case). On laboratory findings, most of patients didn't have leukocytosis or increased C-reactive protein. 4) A total of fifteen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al Aureus (MRSA) strains were isolated from September 2003 through December 2005. Fourteen strains were positive for exfoliative toxin B gene by PCR and negative for enterotoxin, toxic shock syndrome toxin and Panton-Valentine leukocidin genes. 5) The mean duration of admission was 7.3 days. Patients were treated with vancomycin or amoxacillin/clavulanate or ampicillin/sulbactam or cefuroxime without significant sequelaes. Conclusion : Recently, 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 caused by exfoliative toxin B produced by MRSA in the Changwon area has been increa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