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경찰의 갈등조정자로서의 역할정립 방안

        김태헌,최응렬 한국경찰연구학회 2022 한국경찰연구 Vol.21 No.3

        Conflicts are an unavoidable phenomenon in human society, and there are various types of conflict. The possibility of conflicts are becoming more common in modern society, and it becomes more severe when there is big difference of understanding. As mentioned above, conflicts are common in social life and normally have two sides: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s. Traditionally, conflicts have been recognized as a negative aspect which can destroy the organization due to the inefficiency, but recently, it has been recognized that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are exist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reducing the negative aspects caused by conflicts and resolving conflicts through communication and consultation has been emphasized. Therefore this explains that the conflict management and conflict resolution has growing interest in our society. Conflict management can be said to be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dysfunctional function of conflicts into a positive function, and it is more important issue in policing activities. In general, conflict and communication are inextricably linked. In particular, depending on how the local police as conflict mediators in the community, the management conflicts through communication, secondary crimes can be prevented,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idents can be restored. Therefore, as a crime prevention activity, it should be turned into a conflict management system that detects and resolves conflicts in early stage. Recently, many research works on community policing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in Korea, and as a life-oriented policing service, it has developed that a community policing activity with interest in providing security information to residents and solving problems with residents and their families. Resolving conflicts between residents and families is now the most important role of the police, and mediation is commonly used to resolve various conflict cases. This study aim to establish the role of the local police as conflict mediators, thereby strengthen the stability of the community and the police function as a restorative justice. Through an understanding of community policing and conflict mediation, this paper can also provide the guideline for training of conflict mediation expert. And by understanding the five types of conflict resolution by Thomas & Kilmann(1975), the tool with the highest validity, it was guided to find a way to respond according to the conflict situation. In this paper, the current local police problems were analyzed based on two perspectives to provide appropriate solutions. First, from a restorative justice perspective, it is to clarify and actively utilize the legal basis for restorative justice at the police stage, such as at the prosecution and court stages. In addition to crime, it is also introduced to resolve conflicts between communities, such as domestic violence, school violence, and noise between apartments neighbors. Second, from the legal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 it is to revise the legislation related to the local police and shift away from the existing policing to the role of the local police as a conflict mediator focusing on conflict management and conflict resolution. And it was derived that the need for reorganization of the scope of the local police or the need for institutional change should be reviewed in consideration of the demand for policing, environmental changes, and the crime rates.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s three policy recommendations as below, firstly the life-oriented policing service to strengthen the role in the non-criminal fields, secondly the establishment of legal basis for use of recovery communication program, thirdly, the training of conflict mediation experts for resolving community problems. 갈등은 살아가면서 피할 수 없는 현상으로 다양한 형태의 갈등이 존재한다. 갈등의 가능성은 보편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해가 다를 때 심하게 나타난다. 이처럼 갈등이란 사회생활 전반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며 순기능과 역기능의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갈등은 조직을 파괴하고 비능률을 초래하는 부정적인 측면으로 인식되었으나, 최근에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갈등으로 인한 부정적인 면을 줄이고 대화와 협의를 통한 갈등해결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갈등관리 및 갈등해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이유이다. 갈등관리는 갈등의 역기능을 순기능으로 전환되는 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경찰의 치안활동에서 갈수록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갈등과 커뮤니케이션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특히, 지역경찰이 지역사회에서 갈등조정자로서 어떻게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갈등을 관리하느냐에 따라 2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범죄를 예방하고 주민 간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다. 따라서 범죄예방 활동으로서 갈등을 조기에 발견하고 해결하는 갈등관리 시스템으로 전환해야 한다. 최근 우리나라는 지역사회 경찰활동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생활밀착형 치안서비스 활동으로 주민에게 치안정보를 제공하고, 주민 사이의 갈등문제 해결 등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주민과 가정의 갈등문제 해결은 최근 경찰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기도 하며, 다양한 갈등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조정(mediation)이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 연구는 지역경찰의 갈등조정자로서의 역할을 정립하여 지역사회의 안정과 회복적 사법으로서의 경찰 기능을 강화하고자 했다. 지역사회 경찰활동과 갈등조정에 대한 이해를 통해 갈등조정자로서의 자질을 갖추는데 도움을 주고자 했으며, 타당성이 가장 높은 도구인 Thomas & Kilmann(1975)의 갈등해결유형 다섯 가지를 이해함으로써 갈등상황에 따라 대응하는 방법을 찾도록 설명하였다. 현재의 지역경찰의 문제를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고 그 방안을 도출했다. 첫째, 회복적 사법의 실무적 관점에서 검찰이나 법원단계에서와 같이 경찰단계에서의 회복적 사법에 대한 법적 근거를 명확히 해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범죄 이외에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갈등문제 즉, 가정폭력, 학교폭력이나 층간소음 등 이웃 간 갈등해결에도 도입하는 것이다. 둘째, 법적․제도적 관점에서 지역경찰과 관련된 법령을 개정해 기존의 치안활동 위주에서 벗어나 갈등관리 및 갈등해결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경찰의 갈등조정자로서의 역할로 전환하는 것이다. 또한 치안수요와 환경적 변화, 범죄율 등을 고려하여 지역경찰 범위의 재편성 또는 제도적 변화의 필요성을 검토해야 한다는 점을 도출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① 비범죄 분야에서의 역할 강화를 위해 생활밀착형 치안서비스 제공, ② 회복적 대화 프로그램의 적극적 활용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③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갈등조정 전문가 양성 등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재난예방정책 추진 상의 갈등영향요인 및 수준에 관한 연구 : 한탄강댐 사례를 중심으로

        김도희(Kim, Do Hee),김민정(Kim, Min Jung)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지방정부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재난예방사업인 댐 건설 정책추진 전반에 걸친 과정에서 발생한 갈등사례를 토대로 주요하게 작용하는 갈등영향요인을 도출하고 그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 사례는 한탄강댐 건설 사례이다. 이 사례는 최초로 중재기법을 통해 오랜 기간 첨예하게 대립되어 온 갈등을 해결한 사례로 갈등해결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한탄강 댐 건설 사례의 계획단계에서부터 완공단계에 이르기까지 추진단계별 갈등 발생 과정을 분석하고 이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친 갈등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의 시사점으로는 공공갈등에서 주민참여, 법적준수, 상호신뢰 등이 갈등영향요인으로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주민참여, 상호신뢰에 대한 영향수준은 강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따라서 법률 개정을 통한 사전검토협의회 운영의 의무화 및 활성화 방안, 중재자 선정과정의 투명성 확보방안의 마련이 필요함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공공갈등사례에서 갈등해결의 방향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다. 그리고 적극적인 대응방안 모색에서 기존의 법·제도상 개선되어야 내용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aims to derive primary conflict-influencing factors on the basis of a conflict case which has occurred over the whole process of implementing a dam construction policy as a disaster prevention project and to analyze their impacts.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Hantan river dam case. The Hantan river dam case is the first application of the arbitration scheme through which a long-lasted conflict involving sharp confrontation has been solved, which is expected to provide a great deal of insight in conflict resolution. We analyzed how conflict has evolved along the implementation steps ranging from the planning to the completion stage of the Hantan river dam construction and analyzed primary factors influencing the conflict. From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of residents, compliance to legitimate procedures, and mutual trust are important as conflict influencing factors in a public conflict situation. In particular, the resident participation and the mutual trust showed high impact levels. Therefore, it is analyzed that mandatory operation of a preliminary review council, activation plan thereof, and a method for securing fairness in selecting an arbitrator through law amendment are needed. Through this research, we propose a basis for a direction to be pursued in the future for solving conflicts in public conflict cases. An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a great deal of implications on what should be improved for the existing law system in pursuit of active countermeasures.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 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갈등’ 내용 분석

        박새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0 시민교육연구 Vol.52 No.3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conflict resolution in social studies by analyzing contents of ‘conflict’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his purpose, contents of conflict were categorized into narrative style, types and cases, and relevant activities; and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validity of content, conformity with reality, and agency. As a result, first, there was almost no direct narrative on conflict, and some of them described conflict as a negative phenomenon. Second, in terms of cases of conflict, conflict of interest, conflict between equal subjects, and conflict cases that have been traditionally emphasized, formed the majority. Third, conflict-related activity types were mostly understanding activities or activities that enable only a part of the conflict management process. This implies that the concept or cases of conflict may be perceived as limited or negative through textbooks, or have restrictions in developing conflict resolution ability.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social studies textbooks should be composed of various conflict cases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everyday world or social situations, while reinforcing narration on the function of conflict and conflict management while also providing activities focusing on practical actions. 이 연구는 초등 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갈등’ 내용을 분석하여, 사회과 갈등해결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갈등 서술 방식, 갈등의 유형 및 사례, 갈등 관련 활동으로 구분하여 갈등 내용의 타당성, 현실과의 일치성, 행위성 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갈등에 대한 직접적인 서술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일부마저도 갈등을 부정적 현상으로 기술하였다. 둘째, 갈등의 사례로는 이해관계 갈등이나 대등한 주체 간 갈등, 전통적으로 강조되어온 갈등 사례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갈등 관련 활동 유형으로는 이해 활동이나 갈등관리과정의 일부만을 경험할 수 있는 활동이 대부분이었다. 이는 학생들이 교과서를 통해 갈등에 대한 개념이나 사례 등을 제한적이거나 부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갈등해결능력을 함양하는 데 제약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사회 교과서를 통해 학생들이 일상 세계나 사회적 상황 속 다양한 갈등 사례나 갈등의 기능, 갈등 관리 등을 학습할 수 있게 해야 하며, 사회 교과서에서 갈등해결과정 전반을 경험할 수 있는 실천적 행위 중심의 활동이 강화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 KCI등재

        Conflict, Conflict Resolution, and Cooperation in the Inter-Korea Relations

        ChangKeungRyong ( 장경룡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5

        Although North Korea and South Korea have common cultural heritage and common goal(e.g., re-unification), they have endured persistent conflict over 67 years since the Korean War. What makes the inter-Korean conflict prolonged? Would there be a termination of the conflict? Under what conditions could the two Koreas resolve their conflict? This article addresses the nature of inter- Korea relations. It describes the inter-Korea relations as a long-term conflict. It explore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long-term conflict. It also suggests a structure of long-term conflict: decision-maker’s perception, institutionalized commitments, and biased coping. In addition, this article deals with a theoretical prospect for the resolution of inter-Korea conflict. This article concludes by discussing the implications of conflict, conflict resolution, and cooperation in the future inter-Korea relations. 남북한은 동일한 문화유산과 동일한 목표(예; 통일)에도 불구하고 한국전쟁 이후 67년 동안 갈등을 지속해오고 있다. 남북한 갈등이 장기화된 이유는 무엇인가? 남북한 갈등은 종식될 수 있을까? 남북한 갈등의 해결 조건은 무엇인가? 이 논문은 남북한 관계의 성격을 다루며 남북한 관계를 장기갈등으로 규정한다. 논문은 먼저 장기갈등의 특징을 논의한다. 또한, 장기갈등의 구조로 정책결정자의 인식, 제도화된 의지, 그리고 편견이 개입된 정책결정을 제시한다. 협력 관련하여, 남북한 갈등의 해결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분석한다. 남북한 관계의 미래와 관련하여 갈등, 갈등해결, 협력에 대한 시사점 논의가 논문의 결론이다.

      • KCI등재

        신뢰가 갈등의 민주주의 측면에 미치는 영향: 국민의식조사를 중심으로

        김강민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1 社會科學硏究 Vol.37 No.3

        This study researches the effect of reliability on the contribution of conflict of democracy. The reliability is divided into normal reliability, reliability of government and reliability of public organization.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The first, the reliability for the government affects positive effect on the conflict of democracy, and positive effect to decrease of conflict and release. The second, the reliability of public organization affects positive effect on the conflict of democracy. The third, Normal reliability affects negative effect on releasing conflict. This negative effect is indirect. And finally, the reliability between the government and public organization and normal reliability take positive effect mutually. As a summary, the result show that normally felt the correlation between normal reliability, government and public organization take closely effect each other and especially the reliability of the government and public organization take an effect to the normal society. However, under the conflict of democracy, the reliability of government and public organization shows the meaningful result. Merely, normal reliability takes effect on the contribution of conflict of democracy through the release of conflict as a parameter. 본 연구는 신뢰성이 갈등민주주의 기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신뢰성은 일반적인 신뢰, 정부의 신뢰, 시민단체의 신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신뢰는 갈등민주주의 기여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갈등 발생감소와 갈등해소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시민단체의 신뢰는 갈등민주주의 기여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일반 신뢰는 갈등해소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부의 영향은 직접적으로는 미치지 못하고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었다. 넷째, 정부신뢰, 시민단체신뢰, 일반신뢰는 상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종합해 보면, 일반적으로 느끼는 사회신뢰, 정부, 시민단체의 신뢰와의 상호관계는 밀접하게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 및 시민단체의 신뢰가 일반 사회에서 느끼는 신뢰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갈등민주주의에는 정부의 신뢰와 시민단체의 신뢰만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다만 일반적 신뢰는 매개변수인 갈등해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갈등민주주의 기여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 KCI등재

        포병사격훈련장 인근 지역주민과의 갈등관리 방안 연구

        박갑룡 ( Kabryong Park ),황천용 ( Cheonyong Hw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포병사격훈련장 인근 지역주민과의 갈등관리 방안을 연구하여 정책적 제언을 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의 갈등은 공공갈등이며, 갈등의 주체는 민·관·군 혼합형이다. 갈등 성격은 기피 갈등, 환경갈등, 비용 갈등의 혼합형이다. 갈등 내용은 광역시설의 기피시설이다. 둘째, 갈등관리 방안은 대안적 관리 방식을 지지하되 당사자 간 협의를 통해 당사자 협상, 민관협의체 구성 공동 해결, 각종 행정 협의체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포병사격훈련장과 관련된 중·장기적 발전방향을 단계화하여 지역주민과 갈등 완화를 위한 군의 노력과, 민·관·군 상생을 위한 대안마련, 장기적 장 사거리 사격장 및 시뮬레이터 개발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포병사격훈련장 갈등 연구로서 선행연구가 거의 없는 가운데 이루어진 사례연구라는 점에서 타 연구와의 차별성이 있다. This study is to make policy suggestions by studying conflict management measures with local residents near Artillery shooting training ran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flicts in this study are public conflicts, and conflicts are mixed between civil, government, and military. Conflict characteristics are a mixture of challenge conflicts, environmental conflicts, and cost conflicts. The content of the conflict is the avoidance of metropolitan facilities. Second, conflict management measures are alternative management approach through consultation between the Parties to support public-private joint consultative body, various administration to take advantage of the consultative body, the Parties to the negotiations. Proposed Third, the military's efforts to ease conflicts with local residents by staging medium- and long-term development directions related to artillery shooting training ranges, and development of long-term long-range shooting ranges and simulator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other studies in that it is a case study conducted with little prior research as a conflict study in artillery firing range.

      • KCI등재

        갈등전환: 새로운 관점에 대한 논의

        김명환 ( Myeonghwan Kim ),은재호 ( Jaeho Eun ),김상묵 ( Sangmook Kim ),이승모 ( Seung-mo Lee ),김동현 ( Donghyun Kim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7 국가정책연구 Vol.31 No.4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의 갈등대응방식으로는 갈등의 원천적 해결을 기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오히려 갈등의 증폭, 장기화, 폭력화로 전개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갈등관리·갈등해소 관점에 대한 대안을 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기존 접근방식의 대안으로서 갈등전환(conflict transformation) 관점을 제시하고 학계의 관심과 논의를 촉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갈등전환의 개념 정의와 갈등관리·갈등해소 개념과의 비교를 통하여 갈등전환의 의미를 명확히 하였다. 이어 갈등전환 학자들에 의해 공통적으로 제시되는, 인적, 관계, 구조 등 전환의 세 가지 유형에 대하여 각각의 개념, 초점 및 내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갈등전환의 주요 측면을 고찰하고, 최근의 밀양 송전선로 건설 갈등, 제주해군기지 건설 갈등, 세월호 참사를 둘러싼 갈등 사례를 통하여 갈등전환의 적용가능성 여부를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갈등전환 관점으로의 변화 필요성과 변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actual conflict management system in Korea focuses too much on the short-term solution of conflict issues. It explains why it is often difficult to resolve the conflict at the level of its fundamental origin. Furthermore, that is a reason why some conflicts are amplified, prolonged, and transferred into violent solutions. This preliminary observation leads this study to suggest a relatively new approach in terms of conflict transformation for conflict resolution. This paper first defines the concept of conflict transformation in comparison with classical concepts of conflict management and conflict resolution. Second, it explains each concept, focus and contents of the three changes in conflict transformation such as transforming persons, relationships and structures. Third, after discussing the major issues in conflict transformation, it reviews its applicability in Korean context with applying this perspective into the recent serious conflict cases.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change in the perspective on how to deal with social conflict.

      • KCI등재

        Resolving Conflict in a Church Educational Ministry

        조철현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2 기독교교육논총 Vol.31 No.-

        Christians who participate in church educational ministry may be involved in conflict. Many problems in church context take place because of unresolved conflict. Leaders of church educational ministry are to prevent and manage conflicts based on the biblical principles. This essay presented biblical principles, factors, and skills for preventing and resolving church conflict creatively to help church educational ministry leaders. The definition of conflict is as follows: “church conflict is an uncomfortable situation among people or groups in a church in which people realize that they cannot truly achieve what they wish.”This essay suggested five positive factors for preventing and resolving conflict in church educational ministry. First is shared vision. It is also impossible to draw followers’ devotion if church leaders fail to share their ministry vision effectively. The second is communication. It is a method of connecting people’s thoughts and actions in church ministry groups. The third is participation. Most people want to be regarded as important beings in churches and organizations by participating in the shaping of visions and activities. The fourth is trust building. When there is a low trust in the church, conflict may come to pass. The fifth is understanding cultural difference. If a church leader does not understand cultural differences, church conflicts will arise among people. This essay also suggested seven biblical principles of conflict resolution for helping churches. First, conflict must be properly resolved. Second, Christians are to see conflict positively because they can glorify God if they resolve it in a biblical way. Third, Christians also have to confront conflict situation based on Matthew 18:15-17, if necessary. Fourth, Christians try to seek mutual benefit in resolving conflict. Fifth, Christians should take the role of a peace maker based on Eph. 4:3. Sixth, Church leaders are to train church congregation for conflict management. Seventh, lov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s for conflict resolution.

      • KCI등재

        임신기 아버지의 갈등해석 마인드셋이 부부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갈등해결전략과 일-가정갈등의 매개효과

        강수경,김해미,정미라 한국육아지원학회 2019 육아지원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work-family conflicts’ mediating effects in the associations between conflict mindsets and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s among fathers in pregnancy. A self-reported survey was answered by 504 fathers in pregnancy who participated in prenatal education program in Seoul and Gyeonggi, and correlational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path from a learning mindset to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s through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Second, the dual mediation paths from a learning mindset to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s through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and work-family conflicts were significant. Third, the dual mediation paths from a judgemental mindset to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s though nega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work-family conflict were also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change individuals’ cognitive mindsets in order to increase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s and to reduce work-family conflicts. 본 연구는 임신기 아버지의 갈등해석 마인드셋이 부부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갈등해결전략과 일-가정갈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지역의 임신기 아버지 504명이고, 자료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적 마인드셋이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을 통해서 부부관계 질로 가는 매개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적 마인드셋이 긍정적 갈등해결전략과 일-가정갈등을 통해서 부부관계 질로 가는 이중매개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평가적 마인드셋이 부정적 갈등해결전략과 일-가정갈 등을 통해서 부부관계 질로 가는 이중매개경로 또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임신기 부부 관계 질을 높이고 일-가정갈등을 줄이기 위해서는 갈등에 대한 개인의 인지적 마인드셋을 수정해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갈등사례와 해결방안

        김재광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9 江原法學 Vol.56 No.-

        The solutions to the conflicts in terms of local government–conflicts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or residents, or between residents–are as follows. First, the solution of conflict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s as follows. (1) In case of stopping con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it is necessary to compensate for the special sacrifice of ‘risk acceptance for public interest’ by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due to suspension of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2) In the case of high-level disposal site selection, residents need to be assured of safety before considering reimbursement, which should ensure that the hazards of the disposal site are minimized not only for future generations, but also for themselves. In any case, the compensation of money is important, but the confidence of the residents on the site safety is more important than compensation. and should be done in advance. Second, the solution of the conflict between local governments is as follows. In the case of border conflicts between local governmen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basis for mediation which the conflicts between city, county and district are mediated by metropolitan organizations, and inter-city conflict is done by the government. The new laws should include all of the provisions for special organization adjusting boundaries, the principles and criteria for the boundary adjustment, the subject of the boundary adjustment, the boundary adjustment procedure, the operation of the association, and loss compensation. etc.. Third, the solution of the conflict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is as follows. In the case of conflicts in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business, the permission of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business should head to reduce environmental damage, such as damage to the mountain area, over development, and speculation of real estate that business could result in. Fourth, the solution of the conflict between residents is as follows. The case of conflicts among residents in inviting Samcheok coal-fired thermal power plant implicates that it can be solved smoothly with trying constant communication and improvement efforts on facts that cause conflicts. 지방자치단체의 갈등사례–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갈등,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갈등, 지방자치단체와 주민 간의 갈등, 주민과 주민 간의 갈등 –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갈등사례의 해결방안의 실마리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원전건설 중단사례의 경우 대안 없는 탈원전정책은 원점에서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정부가 원전건설 중단을 강행한다면 지금까지의 원전건설에 있어서 주민 간 극심한 찬반 갈등을 겪다가 국익을 위한 주민들의 대승적 결단으로 원전건설이 결정된 경위를 감안하면 정부의 일방적인 원전건설 중단에 따른 지방자치단체, 주민들의 ‘공익을 위한 위험의 인수’라는 특별한 희생에 대한 손실보상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이는 입법을 통해 해결하여야 할 것이다. (2) 고준위방폐장 부지선정사례의 경우 주민들은 보상을 고려하기 전에 안전에 대한 확신이 필요로 하는데, 이는 방폐장의 위험이 미래세대 뿐만 아니라 자신들에게도 최소화가 될 것이라는 확신이 있어야 한다. 우리의 경우에도 유치지역 지원을 위한 금전보상도 중요하지만 부지안전성에 대한 주민들의 확신이 선결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갈등사례의 해결방안의 실마리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지방자치단체 간 관할구역 경계 갈등사례의 경우 시ㆍ군ㆍ구간 갈등은 광역단체가, 시ㆍ도간 갈등은 정부가 중재에 나설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법률에는 자치단체 경계조정을 위한 전담기구, 경계조정의 원칙 및 기준(고려사항), 경계조정의 대상, 경계조정절차, 협의체의 운영, 손실보상 등에 관한 규정들이 모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지방자치단체와 주민 간의 갈등사례의 해결방안의 실마리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태양광발전사업 갈등사례의 경우 태양광발전사업허가가 산지훼손, 난개발, 부동산투기 등 역기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환경 훼손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주민과 주민 간의 갈등사례의 해결방안의 실마리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삼척 석탄화력발전소 유치를 둘러싼 주민 간 갈등사례의 경우 반대론자들이 주장하는 환경훼손문제의 해결을 토대로 마무리된 것처럼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는 요소에 대한 부단한 대화와 개선노력 등이 더해진다면 원만하게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