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판소리의 유네스코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 경위와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

        최동현(Tong hyon Choe) 판소리학회 2023 판소리연구 Vol.56 No.-

        이 논문은 판소리가 유네스코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Proclamation of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에 선정된 경위와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에 대해 정리하고자 집필되었다. 2008년 6월 무형문화유산 당사국 총회에서는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협약 운영 지침’이 제정되었다. 이 지침은 총 3장으로 되어 있는바, 긴급보호목록(Urgent Safeguarding List)과 대표목록(Representative List) 등재 절차, 기금과 국제기금, 협약에 참가한 기관 및 단체 등을 자세하게 규정하였다. 이에 따라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 사업이 시작되었다. 그 경위는 다음과 같다. 2000년 10월 17일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정식 신청 종목 한 종목과 잠정목록 5종’을 선정하였다. 이에 앞서 ‘사단법인 유네스코 순천협회’ 이태호 회장은 2000년 7월 <건의서 - 무형문화재 구전문화(판소리), UNESCO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위한 사업계획(안)>을 만들었다. ‘유네스코연맹 전북협회’(회장 윤석길)에서도 2000년 9월 14일 ‘걸작 등록 추진에 따른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 2000년 10월에는 남원에서 ‘유네스코 한국위원회’가 주최하는 ‘무형문화재 보존을 위한 워크숍’을 개최했다. 문화재청이 판소리를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에 신청하기로 결정한 다음 전라북도는 판소리학회와 손을 잡고 사업을 진행했다. 신청서를 작성하기 위해서 판소리학회 회장 대행을 맡고 있던 김진영 교수가 집필위원을 구성하였다. 집필위원은 김진영 교수, 최동현 교수, 김종철 교수, 김현주 교수, 박일용 교수 등 5명으로 구성되었고, 이보형 선생이 자문을 했다. 영어 번역은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생이었던 나수호(본명 Charles La Shure. 현 서울대학교 국문과 교수)에게 맡겼다. ‘관리’와 ‘실천 계획’은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에 요청해서 받은 ‘한국의 무형문화재 보호정책’과 ‘보존관리와 활용에 관한 문화재 기본 계획’을 토대로 작성하였다. 전라북도와 문화재청은 2002년 2월 6일 ‘걸작 등록신청서 작성 관련 회의’를 갖고, 신청서 및 사진첩 제작은 전라북도가 담당하고, 영상물 제작은 전라남도와 문화재청이 담당하는 것으로 결정을 했다. 사진첩 제작은 ‘한국유네스코연맹 전북협회’가 맡았다. 영상물 제작은 KBS의 최공섭 PD가 담당했다. 문화재청과 외교통상부는 2002년 6월 14일 판소리의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 후보 신청서를 제출하였다. 본래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은 2003년 6월 30일에 이루어질 예정이었으나 지체되어 11월 7일에야 이루어졌다. 판소리가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선언된 것을 언론이나 판소리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창조적인 인간 천재의 걸작으로서의 뛰어난 가치”에 주목한다. 그 결과 마치 걸작 선언이 자국문화의 상대적 우수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조치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다. 물론 그런 뛰어난 가치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이것이 다른 문화에 대한 우월성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님을 깊이 인식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summarizes how pansori was proclaimed a “Masterpiece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by UNESCO and its value as world cultural heritage. In June 2008, UNESCO’s General Assembly of the Parties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nacted the “Guidelines for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se guidelines consist of three chapters: the first stipulates in detail the procedures for registration, an urgent safeguarding list, and representative list; the second concerns funds and international funds; and the third chapter lists th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the agreement. Accordingly, the Proclamation of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project was launched. The process for pansori was as follows. On October 17, 2000, one officially applied list and five provisional lists of Masterpieces of Human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were selected. Prior to this, in July 2000, Lee Tae-ho, the Chairman of the UNESCO Suncheon Association, created a plan for registration of pansori as UNESCO World Heritage. On September 14, 2000, the UNESCO Federation Jeonbuk Association (Chairman Yoon Seok-gil) held a “policy meeting according to the promotion of masterpiece registration.” In October 2000, a workshop hosted by the UNESCO Korean Committee was held to preserv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ft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decided to apply for the registration of pansori as a Masterpiece of Human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Jeollabuk-do teamed up with the Pansori Society to implement the project. In order to complete the application, Professor Kim Jin-young, who was acting chairman of the Pansori Society, formed a writing committee consisting of five members: Professors Kim Jin-young, Choi Dong-hyun, Kim Jong-chul, Kim Hyun-joo, and Park Il-yong, with Lee Bo-hyung consulting. The English translation was entrusted to Na Soo-ho (real name Charles La Shure), currently professor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at that time a graduate student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management and action plans were prepared based on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Policy” and “Basic Cultural Heritage Plan on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received upon request from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ivision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Jeollabuk-do an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eld a meeting on February 6, 2002, where it was decided that Jeollabuk-do would be in charge of the applications and photo albums, while Jeollanam-do an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ould produce the videos. The photoalbums were produced by the Korean UNESCO Federation Jeonbuk Association. KBS producer Choi Gong-seop was responsible for producing the video. On June 14, 2002,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submitted an application for pansori to be included in the Proclamation of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The proclamation was originally scheduled to take place on June 30, 2003, but it was delayed and only took place on November 7. When pansori was declared a “Masterpiece of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the media and pansori lovers noted the statement of its “outstanding value as a masterpiece of creative human genius.” Furthermore, there is a tendency for a masterpiece declaration to be taken as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measure of the relative excellence of its culture. Of course, while it is true that this recognition indicates great worth, it is necessary to remember that this does not presuppose superiority over other cultures.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가야금산조>의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목록 등재와 관련된 한중 문화갈등의 배경과 대응 방안

        공정배 ( Jeong Bae Kong ),이정원 ( Jung Won Lee ),김용범 ( Yong Bum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5 No.-

        This paper is the study about the background and cause of cultural conflicts between Korea and China related to listing of gayageum, which is the cultural heritage shared in two contries,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and about how to solve these conflicts. Since the diplomatic relations began in 1992, Korea and China have accomplished a remarkable achievement in the fields of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through various exchanges and cooperation during the past 20 years. However, the Korea-China Cultural Conflict originated by the China``s Northeast Project in 2002 are being expanded to the aspect of the culture war between Korea and China, showing the aspects of cross-country competition, listing the Dano festival in Gangreung on the UNESCO in 2005, the Dance of the Korean Farmers living in China opposed to Nongak of Koreans`` living in China in 2006, and relisting Chinese Acupuncture according to the listing of Tonguibogam of Korea in 2009. Being placed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leads national pride inspiring as improving the image according to international certification about domestic cultural heritage, tourist industry development, securing the identity of national culture and effect of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UNESCO member nations show appearance to try to be preoccupy and list cultural heritage which is shared by neighboring nations in UNESCO as national cultural heritage. So, this leads to cultural conflicts between countries surrounding the UNESCO listed. Meanwhile, the conflicts between Korea and China reached an apex, China designating Arirang, Pansori, and gayageum as national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2011. However, Pansori had been already placed in UNESCO World Heritage List by Korea in 2003. And China got to announce it had no right and intension to request Arirang as its own cultural heritage, thanks to Korean resistance and efforts in 2012. Now, this last one, the right for gayageum art to belong on the World Heritage List, having been shared by two countries is a controversial issue which can cause cultural conflicts between these two countries.The problem is that legitimacy of gayageum art was started in Yanbian in China. The founder of gayageum sanjo, Kim Chanjo who is a Korean, bequeathed his art to An Giok, who lived in North Korea and she passed on this art to Kim Jin, who lived in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in China. Therefore, it is possibile for China to insist it`s right about its claim to ownership of gayageum sanjo. Also,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possible for China to get to have the initiative about this instrument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ecause the gayageum art which China designates as its national material heritage is a concept which is in any way related to gayageum, including the performance, the style of playing, the improvement of instruments, and history. Although gayageum sanjo was originated by Kim Chanjo and was geographically passed on to Yanbian in China, the place where the current 12 strings`` gayageum music has full-vitally performed is Korea, keeping the originality. In addition, Korea already asked UNESCO to place gayageum sanjo on the World Intangible Heritage List in 2011, while China has not established the originality and authenticity in accurate categories of gayageum sanjo. Therefore, Korea must promote UNESCO preoccupation listing of gayageum sanjo which Korea applied listing in 2011, so Korea can complete the listing on the World Intangible Heritage List as a Korea Cultural Worth till 2013, most priorly setting as a UNESCO listing strategy event.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의 가치 재인식과 계승 방향

        이경엽 ( Kyung Yup Lee ) 남도민속학회 2014 남도민속연구 Vol.29 No.-

        유네스코 관련 이슈들이 부각되면서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있다.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국제적인 위상 정립이라고 여기고 과도한 경쟁이나 대결 구도를 조성하는 경우가 있다. 국가가 그것을 주도하고 지자체나 관련 단체 및 학자들이 적극 호응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지위나 위상의 문제에만 집중할 뿐 무형유산 계승을 위한 실질적인 노력을 하지는 않는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는 것을 영예로 여기지만, 유네스코 무형유산의 보호 방향이 ‘원형으로 고착화시키는’ 것이 아닌 ‘살아 있는’ 문화유산으로 전승되는 데 있다는 사실을 주목하지 않는다. 우리의 무형문화재 제도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협약은 제정 목적이나 기능이 다르므로 구분돼야 하지만 연계적인 지향점을 갖고 있어야 한다. 우리의 무형문화유산은 다양하고 풍부하며 남다른 가치가 있다고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역사적·예술적·학술적 가치가 큰 무형문화유산이 과거적 의미가 아닌 당대의 가치와 미래적 가치가 될 수 있게 하는 계승 방향을 지향하고 있지는 않다. 불확실하고 애매한 ‘원형 유지’를 표방하면서 창조적인 변형을 용납하지 않고 있어서 문제다. 종목 수나 외형적인 성대함을 자랑하기보다는 무형문화유산의 전승 현실을 진단하고, 창조적인 계승 방향을 마련해서 그것을 실천해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그 구체적인 방안을 찾기 위해 전승 현실 진단과 계승 방향 모색, 기록화와 교육 및 확산, 새로운 전승환경 조성과 재맥락화, 계승론에 토대를 둔 재창조와 활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interest i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th the emersion of UNESCO-related issues. The designation as world intangible heritage is seen as an international prestige. Unfortunately, it causes overheated competition and rivalry. However, in most cases, the focus is on acquiring the status and prestige, very little on substantial efforts to inherit the intangible heritage. The designation as world intangible heritage is regarded as a great honor, but there is no attention on the fact that the preservation aim of UNESCO intangible heritage is not to ``fix the archetype‘ but to renew it. Kore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and the UNESCO world intangible heritage agreement differ in their purpose and function, but they must share related objectives. Korean intangible heritage is praised for its variety and richness, possessing unique values. However, intangible heritage with great historical, artistic, academic value does not aim to be the contemporary value and the future value. The problem is that the obsession to the uncertain and vague ‘archetype preservation’ does not allow creative changes. Rather than boasting about the number of designated heritages and outward splendor, there must be efforts to appraise the current transmission reality of intangible heritage and look for creative transmission methods. This paper examined the current transmission situation, the ways for transmission, documentation, education, and spread, and establishment of new transmission environment and recontextualization, and finally, renewal and application based on transmission theory.

      • KCI등재

        <아리랑>의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목록 등재로 비롯된 한중간 문화갈등 배경 연구 - 중국 조선족 문화의 이중정체성을 중심으로 -

        이정원,공정배,김용범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40 No.-

        This paper is the study about the background of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and trends and prospects of the expected future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that were originated from listing folksong <Arirang> in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of UNESCO.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raised by China's Northeast Project 'research projects in 2002 is surfaced as <Gangneung Dano festival> in korea is listed in the Unesco in 2005 and showed contending aspect as China listed <Dragon Boat Festival>, changing the name, in 2009. What is more, when the 「Tonguibogam 주제어 : 중앙아시아 고려말, 종결어미, 대화 등급, 중앙아시아 고려인 소설, ≪레닌기치≫, ≪고려일보≫of Korea is listed in 2009, China listed <Chinese Sewing Kit> in 2011. And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is being run in contending aspect for preoccupancy of item while China listed <Nongak> of Korean race as <Farmer's Dance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in 2006.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Chinese Ministry of Culture selected <Arirang>, <Pansori>, <Gayageum art> as China's national cultural heritage material through the notification of State Council for the third national cultural heritage materials registration in 2011. China is claiming to advocate the policies that protect minorities' cultural heritage, but behind them the intention that lead the flow of the East Asian cultural identity through preoccupancy of listing heritage that is shared by South Korea, North Korea, and China in Unesco is laid. In its origin, there is ethnic Koreans with different cultural double identity in China as a Chinese citizen in national identity and as Koreans in ethnic identity. And, the conflict that takes place and is overlapped with korea in process ethnic Koreans represent the position of China in culture terrain of international society is the source of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The problem is the fact that the cultural conflict which encircles <Arirang> is just beginning. Korea and China share 17 ethnic Koreans' cultural heritage among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of the country's cultural heritage materials in China. The number of cultural heritages that are shared by two countries is increased to 60 when a level is lowered to district cultural heritage material. District cultural heritage material is upgraded to national cultural heritage material through evaluation in any time. When upgrading is regarded as a being listed, the ethnic Koreans' cultural heritages are the factors of cultural conflicts between Korea and China. 본고는 민요 <아리랑>의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목록 등재로 비롯된 한중간 문화갈등 원인 및 배경과 향후 예상되는 양국 간 갈등 추이 예측에 관한 연구이다. 2002년 중국의 ‘동북공정’ 연구 사업으로 불거진 한중 문화갈등은 2005년 한국의 <강릉단오제>가 유네스코에 등재됨에 따라 양국 간 문화마찰이 표면화되고 뒤이어 2009년 중국은 <용선축제>로 이름을 바꿔 등재하는 경합 양상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2009년 한국의『동의보감』이 등재되자 2011년 중국은 <중국침구>를 등재했고, 2006년 중국이 한민족의 농악을 <중국에 거주하는 조선족의 농무>라는 이름으로 등재하는 등 경쟁적 아이템 선점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11년 중국 문화부는 제3차 국가급비물질문화유산 등록에 대한 국무원 통지를 통해 <아리랑>, <판소리>, <가야금예술>을 중국의 국가급비물질문화유산으로 선정하였다. 중국은 국가 차원에서 자국 소수민족의 문화유산을 보호하겠다는 정책을 표방하고 있으나, 그 이면에는 한국 중국 북한이 공유하는 문화유산의 유네스코 등재 선점을 통해 동아시아 문화정체성에 대한 흐름을 주도하려는 의도가 내재되어 있다. 그 근원에 중국 국민으로서 국가정체성과, 한민족으로서 민족정체성이 상이한, 문화적 이중정체성을 지닌 조선족이 존재하며, 이들이 국제사회 문화지형 내 중국의 입장을 대변하는 과정에서 한국과 중첩되어 벌어지는 갈등이 한중 문화갈등의 근원이다. 문제는 <아리랑>을 둘러싼 한중 문화갈등이 시작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중국 동북3성의 국가급비물질문화유산 중 17개의 조선족 문화유산을 한국과 중국이 모두 공유하고 있다. 한 단계 아래의 성급비물질문화유산으로 내려가면 한중 양국이 공유하는 문화유산의 수는 60개로 늘어난다. 성급비물질문화유산은 언제라도 심사를 거쳐 국가급비물질문화유산으로 승급할 수 있으며, 승급이 유네스코 목록 등재를 전제한다고 볼 때 조선족의 문화유산은 한중간 문화갈등의 잠재 요소들이다.

      • 現代 中國의 傳統醫藥 無形文化遺? 現況 및 保護措置에 관한 硏究

        이민호(Minho Lee) 한국한의학연구원 2011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17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traditional medicines registered by the Chinese state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of Chines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registered by UNESCO as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2010, in connection with the need to hav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skills similarly registered as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ems. Since UNESCO’s adoption of the Convention on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2003, the Chinese government has pushed ahead with efforts to explore and protec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ems and have them registered as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us, Benchaogangmu (本草綱目) and Huangdineijing (黃帝內經) were listed on UNESCO’s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while Chines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were registered as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perties. For Traditional Korean Medicine skills to be listed as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perties, steps should be taken first to include the skills in the list of domestic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ems and to make further explorations in the sector. Such efforts are also important in terms of the need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s.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의 가치 재인식과 계승 방향

        이경엽 남도민속학회 2014 남도민속연구 Vol.29 No.-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interest i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th the emersion of UNESCO-related issues. The designation as world intangible heritage is seen as an international prestige. Unfortunately, it causes overheated competition and rivalry. However, in most cases, the focus is on acquiring the status and prestige, very little on substantial efforts to inherit the intangible heritage. The designation as world intangible heritage is regarded as a great honor, but there is no attention on the fact that the preservation aim of UNESCO intangible heritage is not to 'fix the archetype‘ but to renew it. Kore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and the UNESCO world intangible heritage agreement differ in their purpose and function, but they must share related objectives. Korean intangible heritage is praised for its variety and richness, possessing unique values. However, intangible heritage with great historical, artistic, academic value does not aim to be the contemporary value and the future value. The problem is that the obsession to the uncertain and vague ‘archetype preservation’ does not allow creative changes. Rather than boasting about the number of designated heritages and outward splendor, there must be efforts to appraise the current transmission reality of intangible heritage and look for creative transmission methods. This paper examined the current transmission situation, the ways for transmission, documentation, education, and spread, and establishment of new transmission environment and recontextualization, and finally, renewal and application based on transmission theory. 유네스코 관련 이슈들이 부각되면서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있다.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국제적인 위상 정립이라고 여기고 과도한 경쟁이나 대결 구도를 조성하는 경우가 있다. 국가가 그것을 주도하고 지자체나 관련 단체 및 학자들이 적극 호응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지위나 위상의 문제에만 집중할 뿐 무형유산 계승을 위한 실질적인 노력을 하지는 않는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는 것을 영예로 여기지만, 유네스코 무형유산의 보호 방향이 ‘원형으로 고착화시키는’ 것이 아닌 ‘살아 있는’ 문화유산으로 전승되는 데 있다는 사실을 주목하지 않는다. 우리의 무형문화재 제도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협약은 제정 목적이나 기능이 다르므로 구분돼야 하지만 연계적인 지향점을 갖고 있어야 한다. 우리의 무형문화유산은 다양하고 풍부하며 남다른 가치가 있다고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역사적․예술적․학술적 가치가 큰 무형문화유산이 과거적 의미가 아닌 당대의 가치와 미래적 가치가 될 수 있게 하는 계승 방향을 지향하고 있지는 않다. 불확실하고 애매한 ‘원형 유지’를 표방하면서 창조적인 변형을 용납하지 않고 있어서 문제다. 종목 수나 외형적인 성대함을 자랑하기보다는 무형문화유산의 전승 현실을 진단하고, 창조적인 계승 방향을 마련해서 그것을 실천해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그 구체적인 방안을 찾기 위해 전승 현실 진단과 계승 방향 모색, 기록화와 교육 및 확산, 새로운 전승환경 조성과 재맥락화, 계승론에 토대를 둔 재창조와 활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 KCI등재

        중국과 베트남의 문화유산 특성 비교 연구

        신현실,전다슬 한국전통조경학회 202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40 No.2

        This stud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in China and Vietnam, which have developed in the relationship of mutual geopolitical and cultural influence in history,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the definition of cultural heritage in China and Vietnam has similar meanings in both countries. In the case of cultural heritage classification, both countries introduced the legal concep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rough UNESCO, and have similarities in term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econd, while China has separate laws for managing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Vietnam integrally manages the two types of cultural heritages under a single law. Vietnam has a slower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than China, but it shows high integration in terms of system. Third, cultural heritage in both China and Vietnam are graded, which is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heritage. The designation method has a similarity in which the two countries have a vertical structure and pass through steps. By restoring the value of heritage and complementing integrity through such a step-by-step review, balanced development across the country is being sought through tourism to enjoy heritage and create economic effect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organization has a central government management agency in both countries, but in China, the authority of local governments is higher than that of Vietnam. In addition, unlike Vietnam, wher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e managed by an integrated institution, China had a separate institution in charg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ifth, China is establishing a conservation management policy focusing on sustainability that harmonizes th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heritage. Vietnam is making efforts to integrate the contents and spirit of the agreement into laws, programs, and projects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especially intangible heritage and economic and social as a whole. However, it is still dependent on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ixth, China and Vietnam are now paying attention to intangible heritage recently introduced, breaking away from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policy centered on tangible heritage. In addition, they aim to unite the people through cultural heritage and achieve the nation's unified policy goals. The two countries need to use intangible heritage as an efficient means of preserving local communities or regions. A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network should be established for each subject that can integrate the components of intangible heritage into one unit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enjoyment of the people. This study has limitations as a research stage comparing the cultural heritage system and preservation management status in China and Vietnam, and the characteristic comparison of cultural heritage policies by type remains a future research task. 본 연구는 역사상 상호 지정학적․문화적 영향관계 속에서 발전해 온 중국과 베트남의 문화유산 특성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중국과 베트남의 문화유산 정의는 양국이 유사한 의미를 지닌다. 문화유산 분류의 경우 양국 모두 무형문화유산의 법적 개념을 유네스코를 통해 본격적으로 도입하게 되면서, 무형문화유산 진흥정책 측면에서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둘째, 중국은 유형문화유산과 무형문화유산을 관리하는 법이 각각 따로 존재하는 반면, 베트남은 두 유형의 문화유산을 단일 법령에 의해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베트남은 중국에 비해 문화유산 개념의 도입은 늦은 면이 있지만, 체계적인 측면에서는 높은 통합성을 보이고 있다. 셋째, 중국과 베트남의 유산은 모두 등급화가 나타나며, 이는 유산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지정방식은 양국이 수직적 구조를 가지고 단계를 높여가는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단계적 검토를 통한 유산의 가치 복원 및 완전성의 보완으로 관광을 통한 유산 향유, 경제적 효과 창출을 통한 전국의 균형적 발전을 꾀하고 있다. 넷째, 문화유산 관리기구는 양국 모두 중앙정부의 관리기관이 존재하지만, 중국의 경우 베트남에 비해 지방정부의 권한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유형문화유산과 무형문화유산을 통합적인 기관에서 관리하는 베트남과 달리 중국은 무형문화유산을 관장하는 기관이 별도로 존재하였다. 다섯째, 중국은 유산의 보호와 활용을 조화롭게 한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어 보존관리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베트남은 협약의 내용과 정신을 문화유산, 특히 무형문화유산과 경제․사회 전반에 관련된 법률, 프로그램, 프로젝트에 통합하고 이를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선진국의 원조와 국제기구의 영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섯째, 중국과 베트남은 유형문화유산 중심의 문화유산 보호정책에서 벗어나 현재는 근래 도입한 무형문화유산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문화유산을 통해 국민을 결집시키고 국가의 통일된 정책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양국은 무형문화유산을 지역 공동체나 지역을 보존하는 효율적 보존 수단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무형문화유산의 구성요소를 하나의 단위로 통합할 수 있는 각 주체별 문화유산 보존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민들의 향유 기반을 마련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중국과 베트남의 문화유산 체제와 보존관리 현황에 주목해 비교한 연구의 단계로 한계를 지니며 유형별 문화유산 정책의 특성비교는 차후 연구과제로 남긴다.

      • KCI등재

        『무예도보통지』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방안

        곽낙현 동양고전학회 2016 東洋古典硏究 Vol.0 No.64

        이 연구의 목적은 『 무예도보통지』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전략과 과제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1790년(정조 14) 정조의 명에 의해 편찬된 『 무예도보통지』는 전체 5권 5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시의 한국⋅중국⋅일본 등 동아시아 단병무예를 가장 집약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군사관련 무예기록유산이다. 둘째, 세계기록유산 등재절차는 신청서접수, 조사, 평가, 권고, 국제자문위원회에 제출, 등재까지 6단계로 진행되며, 소요되는 기간은 2년이다. 셋째,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관한 구체적인 주요기준은 첫째, 유산의 진정성(Authenticity)으로 해당 유산의 본질 및 기원(유래)을 증명할 수 있는 정품이어야 한다. 둘째, 독창적(Unique)이고 비(非)대체적(Irreplaceable)인 유산으로 특정 기간 또는 특정 지역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쳤음이 분명한 경우이다. 셋째, 세계적 관점에서 유산이 가지는 중요성이다. 한 지역이 아닌 세계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여부와 시간(Time), 장소(Place), 사람(People), 대상/주제(Subject/Theme), 형태 및 스타일(Form and Style)의 다섯 가지 요소 중 한 가지 이상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보조 요건으로 ①희귀성, ②원 상태로의 보존(Integrity). ③위협(Threat), ④관리 계획(Management Plan)이다. 넷째,『 무예도보통지』 세계기록유산 등재과제는 다음과 같다. ①『 무예도보통지』의 서지학적 연구를 통한 귀중본 또는 보물 지정이 필요하다. ②『 무예도보통지』에 대한 영문 번역본 사업이 필요하다. ③『 무예도보통지』유네스코 기록유산 등재추진위원회가 준비되어야 한다. ④『 무예도보통지』등재를 위한 정부와 민간 관련 부처, 학계의 긴밀한 협조체제가 이루어야 한다. ⑤『 무예도보통지』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해서는 유네스코가 지향하는 등재기준과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⑥『 무예도보통지』 세계기록유산과 세계무형유산 등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무예도보통지』는 세계기록유산 등재 과제를 보완함으로써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해야 한다. 북한이 2016년 아시아태평양 세계기록유산으로『 무예도보통지』를 등재했듯이, 우리나라도『무예도보통지』에 대한 충분한 가치와 위상을 가지고 준비해야 하며, 세계인들에게 우리의 우수한 기록문화 정신과 진정성을 보여줘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ed at examining the strategy and task for 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ration of 『 Muyedobotongji』.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uyedobotongji』published by King Jeongjo in 1790(Jeongjo 14th year) was composed of 5 books in 5 editions on the whole. This is military martial arts record heritage that could show East Asian Danbyung martial arts of Korea⋅China⋅Japan most intensively. Second, Memory of the World Registration procedure is proceeded in 6 stages, i.e. application form receipt, investigation, evaluation, recommendation, and submission to international consultation committee, and registration, required time thereof is 2 years. Third, concrete and major standards related to Memory of the World registration are, first, it should be the true one that can verify the essence and the origin(beginning) of the relevant heritage based on the authenticity thereof. Second, it should be the definite case that ha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a specific period or specific region as a unique and irreplaceable heritage. Third, importance of the heritage based on the global viewpoint. Whether of influence of the world beyond a region, in respect of over one factor among the five factors, i.e. Time, Place, People, Subject/Theme, and Form and Style should be verified. Fourth, subsidiary factors are ①Rarity, ②Integrity, ③Threat, and ④Management Plan. Fourth, Memory of the World registration plans for『 Muyedobotongji』 are as follows. ①Designation of rare unit or treasure of『 Muyedobotongji』 through bibliographical research is required. ②English translation project of 『 Muyedobotongji』 is necessary. ③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ration promotion committee for『 Muyedobotongji』 should be prepared. ④Close cooperative system among the government, private relevant division, and academic circle should be prepared for the registration of『 Muyedobotongji』. ⑤For Memory of the World registration of『 Muyedobotongji』, registration standards and conditions that UNESCO aims at should be satisfied. ⑥Basis for Memory of the World and World Intangible Heritage registration should be prepared for『 Muyedobotongji』. Fifth, 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ration should be promoted by complementing the task for the Memory of the World for『 Muyedobotongji』. As North Korea registered『 Muyedobotongji』 as 2016 Asia Pacific Memory of the World, we should prepare enough value and status for the registration of『 Muyedobotongji』, also, should show the spirit and authenticity of our excellent archival culture to the world.

      • KCI등재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판소리 현황과 미래 전략

        최혜진 판소리학회 2014 판소리연구 Vol.37 No.-

        This study reflected on the Pansori status for last 10 years in order to check up the status of Pansori as a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suggested the tasks for Pansori's development in the future. This study tried to propose a future strategies for Pansori's transmission by investigating the spirit of UNESCO Convention and its fulfillment, the status quo of Korean intangible cultural assets management-relevant institutions. It is very encouraging that Korean intangible cultural assets management-relevant institutes are improved under the great awareness of the world heritages' protection and transmission. Nevertheless, it was found that several conditions related to the certification of Pansori singers were need to improved, and specific efforts for actively transmitting the Pansori were more required. For these goals, this study reflected on the spirit of UNESCO's Convention and investigated Korean Intangible Properties Protection Law. Especially, some problems and tasks to be solved were proposed by reviewing the Pansori singers' status and the designated data for consideration. Meanwhile, this study reported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current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and the opening of National Intangible Heritages Center, and proposed the direction for the Pansori to go toward in the future. The life of Pansori as a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relied on its transmission in the future. Although it needs to recover a community's culture of course, but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es suitable for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future generations will be put before that. Pansori needs to progressively approach to the public, not being afraid of changes. We should not forget that the drive force continually to circulate the cycle of a Pansori's creation, choice and extinction will eventually be generated from us. 본 논의는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판소리 위상을 점검해보기 위해 지난 10년 간을 되돌아보고, 과제를 제언한 것이다. 유네스코의 협약 정신과 이행, 우리나라 무형문화재 제도 현황과 문제점 등을 짚어봄으로써 판소리 전승을 위한 미래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무형문화재 제도가 세계유산을 보호, 전승하고자 하는 큰 인식 아래 개선되고 있음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판소리 종목 보유자의 인정과 관련한 여러 사항이 개선될 필요가 있으며, 판소리의 활발한 전승을 위한 구체적 노력이 더욱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해 유네스코의 협약 정신을 되돌아보며, 우리의 무형문화재 보호법을 살펴보았다. 특히 판소리 보유자 현황과 지정 심의 자료를 통해 문제점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한편 현행 문화재보호법의 개선 방향과 국립무형유산원의 개원 등을 보고하였으며, 이를 통해 앞으로 판소리가 가야할 방향을 제언하였다. 세계무형문화로서의 판소리의 생명력은 미래로의 전승에 달려있다. 공동체의 문화를 회복하는 일도 필요하지만 변화하는 환경에 맞는 전략을 세우고 미래 세대와 함께 소통하는 일이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다. 판소리의 변화를 두려워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일도 필요하다. 판소리의 생성과 선택, 소멸의 순환이 끊임없이 일어날 수 있는 원동력은 결국 우리에게서 나온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 KCI등재

        한국음식의 세계무형문화유산 등재전략에 관한 연구

        김은희,이광옥,이웅규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5

        본 연구는 지중해·멕시코·프랑스 등 세 지역의 음식 문화가 유네스코가 선정하는 세계무형문화유산에 일제히 등재되면서 "먹는 문화"에 대한 관한 관심이 고조된 것을 계기로 한국음식의 세계무형문화유산 등재전략을 제시하고자 했다. 또한 음식문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올라간 것은 이번이 처음이기 때문에 각국의 음식문화의 문화유산 등재전략에 대한 사례분석을 하고 있다. 음식 자체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이들 지역은 식재료를 얻는 방법, 요리법 전수 방식, 식사법, 요리에 대한 전설 등을 아우르는 음식 문화 전반을 올려서 등재가 된 것을 계기로 음식문화를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올리기 위한 각국의 경쟁은 한층 더 가열될 전망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무형문화유산 등재관련 선행연구에서 지적한 무형문화유산 관련 법의 제정과 정부 및 민간의 지속적인 관심 등을 중심으로 한국 음식문화의 유구한 역사와 철학, 그리고 풍부한 이야깃거리를 지니고 있는 한국음식의 세계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외국의 선행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진행되는 세계 각국의 음식문화전쟁에 임할 구체적인 전략을 제공하였다. 연구결과, 가장 중요한 것은 등재 추진국가의 사례분석결과에서처럼 철저한 사전조사와 전략적인 접근, 그리고 대폭적인 정부지원과 전국민적인 관심이라는 점이다. 이제 시작된 음식문화전쟁을 고려할 때 앞으로 정부의 높은 관심과 정책적·제도적 지원은 더욱더 적극적이고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구체적인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해당 음식에 대한 발 빠른 문화재 지정 등 국가의 지원이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French, Mediterranean, and Mexican cuisines were added to the list of the UNESCO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aly, Spain, Greece and Morocco jointly applied for Mediterranean cuisine. Thoug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cludes oral culture, cultural festivals, and traditional music and dance, this was the first time for food culture to be selected. Since cuisine itself cannot be put on the list, the countries focused on procuring food resources, table manners and setting, or cuisine-related stories. This research was installed to raise people's pride and interest in cultural heritage and conservation as well as to promote the registration as a heritage. This study method consists of literary investigation and case analysis. Literary investigation includes theses on regional newspaper articles, food management books, culture and society books, investigation data and publications of related agencies, etc. Through the theoretical and case study on the Korean food for registration of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result was obtained as follows. First, to analysis the identity of Korean food. Second, to raise the public's consciousness on the Korean food. Third, to assign a national policy projects. Fourth, to promote making a law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inally, to revitalize the seminar and festivals for the registration of world cultural heritage in the Korean food. Korean food development needs to be connected with the registration of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rough which the potential energy of Korean food will possibly be discovered and redef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