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암 이을호의 탈주자학,탈중국적 자주성과 한국사상연구의 시각

        김형찬 ( Hyoung Chan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4 No.-

        현암 이을호는 중국사상의 기준으로 볼 때 한국사상이 어떤 가치를 가졌는지, 나아가 그러한 기준에서 중국사상의 발전에 기여한 한국사상이 어떤 것인지를 찾아 드러내려 하기보다는, 근본적으로 한국사상이 중국과 어떻게 다른지를 밝히려 하였고, 그 독자적 특성을 기반으로 평가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의 이러한 시도는 한민족의 뿌리인 동이문화가 중국문화에 뒤질 것이 없다는 당당한 자부심에 기초한 것이었다. 그러하기에 그는 중국의 수직적 문화와 다른 한국의 수평적 문화, 중국의 도일분수적(道一分殊的) 사유방식과 대조가 되는 한국의 회삼귀일적(會三歸一的) 사유방식을 그 특징으로 제시하였다. 나아가 그러한 한국의 수평적 호혜 문화가 중국의 수직적 종속 문화보다 앞선 것이며, 회삼귀일?이이일(二而一)적 묘합(妙合)의 문화가 서구의 논리적 사고를 넘어서는 차원의 사유방식이라고 자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을 기반으로 한국 고유의 사상을 `한사상’으로 정의하고, `한사상’의 기준으로 한국사상사를 재평가하였다. 현암의 이러한 평가는 다소 지나친 감이 없지 않지만, 한국사상사의 큰 맥락에서 한국사상의 기준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라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생각해 볼 때 참고할 만한 좋은 선례가 된다. Hyeonam Yi Eulho tried to reveal how much Korean Thought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Chinese Thought and suggest the criteria of evaluation on the basis of the independent property of Korean Thought. That was a great contrast to the other scholars that have found the value of Korean Thought by the standard of Chinese Thought and have disclosed which of Korean Thought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hinese Thought by the same criteria. His attempt like this was on the basis of the confident pride that the culture of Dong-I, as the root of the Korean race, is never inferior to the Chinese culture. Therefore, he presented the horizontal culture of Korea that was deferent from the vertical culture of China and the Korean way of thinking uniting the three vehicles into one (會三歸一) that contrasted with the Chinese way of thinking dividing one way to a great number of individuals (道一分殊) as the characteristics. Moreover, he was confident on the idea that the Korean culture of the horizontal reciprocity was one step ahead of the Chinese culture of vertical subordination and the Korean culture of the mysterious combination was the way of thinking that went beyond the logical thinking of the West. Then on the base of these characteristics, he defined the original Korean thought as `One Thought` and revaluated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on the standard of `One Thought`. Hyeonam`s assessment like this would be hard to escape from the excessiveness, however it could be a good precedent to refer if we think what should be the criteria of Korean Thought in the grand context of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사학(史學))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고대(古代) "불교사(佛敎史)" 서술 검토

        박미선 ( Mi Sun Par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9 No.-

        2009년 교육과정 개정안과 2010년 부분 개정안에 따라 2011년부터 기존의 國定 「국사」교과서 대신 6종의 檢定 「한국사」교과서가 고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래 2009년 개정안에서는 국사와 세계사를 결합한 「역사」과목과 교과서를 계획했으며, 이 「역사」는 근현대사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2010년 「역사」를 「한국사」로 급히 변경하였고, 그로 인해 전근대사를 추가적으로 서술해야 했다. 결국 기존 「국사」교과서에 서술된 전근대사 내용을 요약·정리하여 「한국사」 교과서에 수록하게 되었고, 이로써 새 교과서는 근현대사와 전근대사의 불균형, 체제의 비통일성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새 교과서에서 고대 불교에 대해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 기존 교과서와는 어떤 차별점이 있으며, 또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불교는 한국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키워드로, 특히 불교를 수용하여 한국문화의 한 축으로 형성한 때가 바로 고대이므로 불교문화를 제외하고 고대사를 설명하기도 이해하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먼저 6종의 검정 교과서를 비교·검토하고, 이를 기존의 국정 국사 교과사와 비교해 보았다. 기존 「국사」는 정치·경제·사회·문화분야로 나누어 서술된 데 비해, 검정 교과서들은 개설적인 서술 방식으로 정치사와 문화사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 고대 불교에 대한 서술을 비교해 본 결과, 6종의 교과서는 서술 분량에서 차이가 있었고, 그 원인은 불교미술에 대한 서술 분량의 차이에 있었다. 공통적으로 삼국시대에 비해 남북국시대의 불교 서술이 매우 소략하며, 남북국시대 불교를 다루지 않은 교과서도 있었다. 최근에 신라 말 ``禪宗``에 대한 연구가 늘어나고 있는 경향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그 결과 새 교과서 또한 삼국의 ``불교 수용``만 집중적으로 서술하는 태도를 답습하고 있다. 또한 「국사」교과서의 내용을 요약하여 새 교과서에 싣다보니, ``불교문화가 발전했다``와 같은 결론만 서술하거나 불교미술의 종류와 명칭을 ``나열``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서술 방식으로는 학습자들이 역사적 지식을 ``이해``하기란 어려우며, 이해할 수 없는 경우 ``암기``로 이어지게 되고, ``암기``는 곧 학습 부담이 된다. 따라서 내용의 많고 적음을 떠나 ``역사적 판단력 함양``을 역사교육의 목표로 한다면, 단순한 사실의 나열이나 불교미술의 나열이 아닌 시대적·사상적 배경과 因果관계 등 좀더 ``친절한`` 서술 방식이 필요하다. According to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and 2010 Partial Amendment, six authorized ``HANKUKSA: Korean History`` textbooks have been used in high school instead of the existing ``KUKSA: National History`` textbook. The original 2009 Amendment had a plan of making ``YUKSA: History`` subject and textbooks by combining the national and world history, centered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But in 2010, ``YUKSA`` was changed by ``HANKUKSA`` urgently, which made additional description of premodern history inevitable. As a result, the descriptions on premodern history in the existing ``KUKSA`` were summarized and organized to be included in the new ``HANKUKSA``; therefore, the new textbook showed many problems such as the imbalance between premodern and modern-contemporary history and lack of formation-unity.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how the new textbooks describes the Ancient Buddhism, what kinds of difference they show and what kinds of problem they include. Buddhism is the keyword in understanding Korean history and culture, and it was the Ancient Era when the Buddhism was accepted and became the axis of Korean culture. So, we can neither explain nor understand the ancient history except the Buddhist culture, and that is the reason why Buddhism should be centered on. First, six kinds of authorized textbooks were compared one another and then with the existing national Korean history textbooks. Contents of the existing ``KUKSA`` were described by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but, on the contrary, authorized textbooks were done by centering on the political and cultural history with the method of introductory description. Comparing the description of Ancient Buddhism, quantitative differences were found in six textbooks, especially, those of Buddhist arts. Commonly, the Buddhism descriptions of North and South States Period were rougher and more negligent than the Era of Three States, and even some textbook has no part of North and South States Period Buddhism. It did not match the recent trend that investigating the Zen of late Shilla is steadily increasing. As a result, the new textbooks followed the old trend again which were concentrated on the intensive descriptions of Buddhism embracement in the Era of Three States. Also, because the contents of ``KUKSA`` were summarized and included in the new textbooks, we could find only the conclusion like ``Buddhist arts were developed`` or the lists of categories and names of Buddhist arts. Such descriptions cannot make learners` understood the historical knowledge. If learners cannot understand the knowledge, they will try to ``memorize`` it, which will burden them. So, if the aim of history education is to ``foster the historical judgement`` regardless of the quantity, more ``kind`` method of description is needed by providing the background of the time and ideology and the causal relationship, instead of the lists of simple facts or Buddhist arts.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사학(史學) : 조선 후기 청도 『오산지(鰲山志)』의 편찬과 효자, 열녀

        박주 ( Joo Par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4 No.-

        본 연구는 조선 후기 경상도 청도 지역의 사찬읍지인 『오산지』의 편찬과 내용 그리고 『오산지』에 나와있는 효자, 효녀, 효부, 열녀들의 사례를 실증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청도지역의 유교윤리의 보급과 재지사족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오산지』는 청도군의 사찬읍지이다. 이 읍지는 처사 이중경(李重慶)에 의해 1673년(현종 14)에 편찬되었다. 『오산지』의 편찬이 40여년 전(1627년)에 군수 유진(유성룡의 아들)에 의해 시작되었으나 파직되어 떠나게 되어 중단되었다가, 1673년 이중경의 나이 75세 때 청덕루(淸德樓)의 제영(題詠)을 지은 군수 권일(權佾)의 부탁으로 예전의 기록들을 다시 모아 편찬하게 되었던 것이다. 『오산지』는 임란이후 사라져가는 청도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할 필요성 뿐아니라 수령의 지방 통치에 필요한 자료, 교화의 수단 등으로 이용하기 위해 편찬하였던 것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오산지』의 경우 다른 지리지에 비해 역사, 문화부분에서 내용이 가장 풍부하고 상세하며, 인물중심의 읍지였음을 알 수 있다. 청도와 관련된 인물 즉 절효(節孝) 김극일(金克一),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 삼족당(三足堂) 김대유(金大有), 소요당(逍遙堂) 박하담(朴河淡) 등에 관련된 행적과 아울러 봉안문, 축문, 제문, 비명, 묘갈명, 기문 등의 상세한 내용을 통해 당시 재지사족의 영향력을 엿볼 수 있다. 한편 조선시대 청도지역의 효자들의 사례유형을 보면, 부모가 병이 들었을 때 단지, 상분, 연종, 시약 등을 한 경우, 부모 사후 여묘를 3년 내지 6년한 경우, 묘소 곁에서 호랑이를 가축처럼 기른 경우, 지극한 효성에 하늘이 감응하여 이루어진 것이 무릇 여섯가지나 된 경우, 어머니가 호환의 위기에 처했을 때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시체를 빼앗아 돌아온 경우, 상을 마친 뒤에도 50년을 하루같이 성묘한 경우 등이 있다. 효자들의 가계배경과 신분이 상세하였다. 효자들의 신분을 살펴보면 지평 1명, 수군의 아들 1명, 무열공의 후손 1명, 충경공의 후손 1명, 선전관 1명, 참봉 1명, 문양공의 후손 1명이 보여 주목된다. 효부의 신분을 보면 참봉의 딸 1명, 都事(종5품)의 딸 1명이 보인다. 포상내용으로 정려, 정려와 복호, 동몽교관 증직, 상물(賞物) 등이 보인다. 효녀사례는 전혀 보이지 않고 효부사례만 3건이 보인다. 한편 청도지역의 열녀 행적을 유형별로 나누어보면 임란 때 절개를 지킨 경우, 남편이 죽자 스스로 목을 매어 자결한 경우, 남편이 죽자 따라 죽고자했으나 어린 자식이 있어 40여 년을 수절한 경우, 남편이 병으로 위중해지자 자신의 몸이 대신하기를 원했으나 남편이 결국 죽자 장례를 마치는 즉시 자결한 경우 등이 있다. 신분이 밝혀진 열녀의 신분으로는 향리의 처 1명, 유학의 처 1명, 군수의 증손녀 1명, 선비의 처 1명이 보여 주목된다. 포상내용으로는 정려만이 보인다. 요컨대 청도지역은 조선 중기 이후 김해 김씨와 밀양 박씨들이 청도의 재지사족으로서 확고한 지위를 가졌으며, 청도의 효자, 열녀는 타지역에 비해 많이 배출되지 않았음이 주목된다. 청도, 오산지(鰲山志), 효자, 열녀, 정려(旌閭), Chungdo, Osanji, Filial sons, Virtuous women, Chung-rye This paper was analyzed about publication of Osanji and the examples of filial sons, filial daughter, filial daughter-in-law and virtuous women in Chungdo province(淸道). Also the inflow of the morality ofConfucianism into the Chungdo area and the regional aspect have been investigated.Osanji(鰲山志) is eupji of Chungdo. The chronicle of Osan was compiled by Lee Joong Kyung(李重慶) in 1673. The chronicle i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various facts in detail about Chungdo`s history, culture after Imjinwaeran and focus on people.When the cases of filial sons have been classified, they turned out to be various. Among the classified cases, while their parents were alive, cases of cutting off one`s finger and after their parents passed away, cases of living in a small- roofed hut near the grave of his parents from three to six years was noticeable. The family background and social status of filial sons were distinct. Looking at the social status of filial sons, the most was Yangban.The reward was given in the form of Chung-mun or Chung-rye, Jeung-jik. Bok-ho etc.The typical examples of virtuous women was suicide by hung oneself when one`s husband died. The social status on the most of the virtuous women was literati``s wives. The reward was given in the form of Chung-mun or Chung-rye.It is worthy to note that the number of the case for the filial sons and virtuous women in Chungdo area was less than the number of those cases in other areas. The case of filial daughters were not shown at all and a few cases of filial daughter-in-law were show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문학(文學) : 고전 여성시의 사적 고찰

        조연숙 ( Yeon Sook Ch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9 No.-

        고전 여성시는 고전시 중 여성이 지었거나 여성이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들로 크게 고전여성시가와 고전여성한시로 나눌 수 있다. 현전하는 고전 여성시는 상고시대로부터 삼국·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20세기에 이르기까지 실로 다양한 계층의 여성 작가들이 풍부한 여성 정감의 세계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를 사적으로 살펴보면 현전하는 고전 여성시의 기반은 고려시대에 마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고려시대 이전은 고전 여성시의 잠동기(潛動期)로서 여성시가 태동하고 여성 작가가 미미하게 작품 활동을 한 시기이며, 고려시대에 이르러서는 후에 여성시의 주된 작가층인 사족(士族) 여성과 기녀가 작가로 가담하여 여성시의 특성을 보여주는 작품을 창작하는 시기로서 여성시의 정립기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후 조선시대는 고려시대에 마련된 여성시의 기반 위에 많은 여성 작가가 여성시를 창작하는 여성시의 전성기라고 할 수 있으며, 20세기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고전 여성시가 감소하는 쇠퇴기라고 할 수 있다. 고려시대 여성시로는 한시와 고려속요가 있는데, 한시는 전 시기에 비해 작가와 작품 면에서 한결 다양해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고려속요는 돌아오지 않는 남편의 무사 귀환을 기원하고 여성의 정절과 남녀 간 애정과 이별의 정을 노래한 작품이 다수 산출되어 주제 면에서 이후 여성시의 큰 맥을 형성하는 기틀을 마련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형식면에서도 순환구조와 대화체 형식의 작품을 창작하여 형식의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고려시대 여성시는 고전 여성 시문학사라는 거시적 관점에서 볼 때 작가와 작품, 형식면에서 고전 여성시의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시문학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Classical women`s poems are the works created by women, or presumed to be written by women, roughly being divided into classical woman`s poetry and classical woman`s Chinese poem. Looking into the classical women`s poem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the basis of the descendant classical women`s poems can be judged to be arranged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period before the Goryeo Dynasty, as a creeping period of classical women`s poems, witnessed women writers incubating dreams for poetry with a slight activity of creating works.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women of a good family and gisaeng, who formed the main writer class of women`s poems, created works showing the characteristic of women`s poem; in this context, that period can be called the establishment period for women`s poem. Afterwards, with the coming of the era of the Joseon Dynasty, many a woman writer was engaged in creating poem on the solid basis of woman`s poem arranged by women pioneers in poems during the Goryeo Dynasty period; indeed, th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can be called the heyday of women`s poem. However, in the 20th century, classical women`s poem faced the period of its decline according to the stream of the times. Women`s poems during the Goryeo Dynasty include Chinese poems and Goryeo folk songs; Chinese poems are showing a more diversified appearance in the aspect of writers and works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period. Goryeo folk songs were arranging a framework that formed a big vein of women`s poem later in terms of their themes with a multitude of songs presented, expressing a woman`s fidelity praying for her husband`s safe return, a romance between man and woman, and the sorrowful love of farewell. In addition, even in their form, Goryeo folk songs are showing formal diversity by creating works in the form of a circulatory structure and dialogic style. Accordingly, women`s poems during the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from the macroscopic viewpoint of classical woman`s poetic literature history, are of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poetic literature history in that they arranged a basis of classical woman`s poem from the aspect of writers, works, and form.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사학(史學)) : 관직 진출 동향으로 본 조선후기 여흥 민문 성장의 구조

        김명숙 ( Myeong Sook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7 No.-

        본고는 17세기 중엽 이후 과거가 폐지된 1894년까지 270여 년 동안 문과·생진과·무과·천거·음직을 통한 관직 진출 동향을 중심으로 여흥 민문 성장의 구조를 고찰한 것으로 그 특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흥 민문은 문과에 163명이 급제하였는데, 경파 73명(44.8%), 향파 90명(55.2%)으로 향파가 17명(10.4%)이 많았으나, 19세기 세도정치기에는 향파의 문과 급제율이 식년시·별시 모두 낮아지고, 경파인 여흥 민문의 식년시·별시 독점현상이 두드러져 문과에서의 ``경(京)·향(鄕) 분기(分岐)`` 현상이 확연해졌다. 둘째, 여흥 민문 중에서도 인현왕후를 배출한 민유중계가 문과의 67.6%, 생진과의 48.2%, 무과의 72%, 음직의 67.3%라는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였다. 민유중계는 상층에서 멀어진 지파가 무과를 통해 관직에 적극 진출하여 훈무세가(勳武世家)를 형성하였고, 음직도 관직 진출의 새로운 경로로 적극 활용하여 19세기 중반 이후 기득권을 유지하는 메커니즘의 하나로 활용하였다. 셋째, 여흥 민문의 민시중·민정중·민유중 형제는 현종-영조대 남인인 전서공파의 민희·민암 형제와 정치적으로 대립하였다. 민희·민암 형제는 현종대 예송논쟁에서 남인 영수 허목을 지지하고 송시열 처벌에 온건론을 펼치며 탁남의 입장을 지지하였으나, 경신대출척·갑술환국을 거치면서 서인에 패배하고 정치적으로 몰락하였다. 넷째, 여흥 민문에서는 민유중의 손자인 민익수와 민우수 형제가 유일로 천거되었다. 이들은 영조 전반기의 대표적 산림인 이재의 외종 조카로, 송시열·이단상·조성기·김창협·김창흡으로 이어지는 낙론 학맥을 계승하여, 여흥 민문이 18세기 후반 서울의 노론 낙론 산림가로서 사상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일조하였다. 다섯째, 여흥 민문은 문과·생진과·무과·천거·음직을 통하여 267명이 관직에 진출하였고, 이 중에서 100명이 당상관으로 진출하였다. 당상관 진출은 민시중계 40.4%, 민유중계 38.7%, 민정중계 28.6%로, 이는 안동 김문 청음파·선원파·휴암파의 당상관 진출 비율인 25-30%보다도 높은 수준이었다. 19세기에 해당하는 26-29세에 와서 여흥 민문 당상관이 급격히 증가하는데, 그 중에서도 민유중계의 관직 독점이 압도적이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d the structure of the growth of Yeoheung Min family focusing on the trend of the advancement to public posts through service examination from the aspect that the study on family can be a meaning index for the understanding of identify of the persons of historical importance and for evaluating the mechanism of the formation of hierarchy and the pattern of the changes of time. The characteristics, which were identified in the course of the advancement to public posts through civil service examination, minor and first level civil service examination,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recommendation and ancestor`s virtue for the period of 270 years from the middle of the 17C in which the political activities of Min family were unfolded in full scale as main force of ``Seo-in`` and ``No-ron`` to 1894 when the service examination system was abolished, are as follows: First, the advancement of people from Yeoheung Min family to public posts were structurally stabilized during the period of the 18C~19C as many people from Min family could advance to public posts through diversified channel such as civil service examination, minor and first level civil service examination,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recommendation and ancestor`s virtue. In the case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total 163 persons passed the examination, and 73(44.8%) of them were from city sect and 90(55.2%) from country sect. The country sect had 17 persons(10.4%) more compared to the city sect at that time but during the period of power based politics in the 19C the rates of pass of the country sect in civil service examination were all down in the service examination with 3 year term as well as special examination while showing the phenomena of monopoly of special examinations by Yeoheung Min family who belonged to the city sect, which demonstrated the phenomena of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city sect and the country sect in civil service examination. Second, even among Min family, Min Yoo-Joong sect from which Queen Inhyeon came occupied absolute majority of passes for 67.6%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48.2% of minor and first level civil service examination, 72% of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and 67.3% of ancestor`s virtue. Especially in the case of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many people from the branch of Min Yoo-Joong sect which had distant relationship with central people in Min Yoo-Joong sect could actively advance to public posts through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and formed a so-called powerful military family. We can see that the influential family with vested rights like Min Yoo-Joong family actively made use of the ancestor`s virtue as one of the mechanisms to maintain the vested right since the middle of the 19C. Third, the brothers of Min Si-Joong, Min Jeong-Joong and Min Yoo-Joong of Min family who were the influential figures of ``Seo-in`` and ``No-ron`` and the brothers of Min-Hee and Min-Am of Jeonseogong sect who were the influential figures of ``Nam-in`` in the age of King Hyeon-jong and King Young-jo politically confronted each other. The brothers of Min-Hee and Min-Am, who supported the position of Tak-Nam unfolding moderate position for the punishment of Song Si-Yol supporting Huh Mok who was the leader of ``Nam-in`` at the debate of Yesong at the age of King Hyeonjong, were defeated by ``Seo-in`` going through the incident of great purge in the year of ``Gyeongsin`` and political return in the year of ``gapsul`` and were politically collapsed to the level of having only one person who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during the time of King Youngjo. Fourth, only the brothers of Min Ik-Soo and Min Woo-Soo who were grandsons of Min Yoo-Joong were recommended for the public posts from Yeoheung Min family. The brothers were the mother`s side nephews of Doam Lee Jae who was a representative sanlim in the first half of King Youngjo and succeeded the academic legacy of ``Nakron`` which was succeeded to Song-Si-Yol, Lee Dan-Sang, Jo Seong-Gi, Kim Chang-Hyup and Kim Chang-Heup and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ideological base for Yeoheung Min family as persons living in forest for ``Noron`` and ``Nakron`` in the latter half of the 18C. Fifth, out of the people from Yeoheung Min family, the number of persons who advanced to public posts through civil service examination, minor and first level civil service examination,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recommendation and ancestor`s virtue were 267 persons, and only 100 persons representing approximately 1/3 of them were advanced up to the dangsanggwan. The dangsanggwan were taken up for 40.4% by Min Si-Joong sect, 38.7% by Min Yoo-Joong sect and 28.6% by Min Jeong-Joong sect, and these levels were even higher than the level of 25~30% which corresponds to that in the period of power based politics by Cheongeum sect, Seongwon sect and Hyuam sect of Andong Kim family. The numbers of persons who were promoted to the dangsanggwan in the government were rapidly increased at the age of 26~29 years old which corresponds to the period of power based politics in the 19C, and the author could positively confirm the fact that during the period of power based politics the monopoly of public posts taken up by Min Yoo-Joong sect even among Yeoheung Min family was at absolute level.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문학) : 송암 권호문의 <독락팔곡(獨樂八曲)> 연구

        김병국 ( Byong Kuk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6 韓國思想과 文化 Vol.33 No.-

        이 연구는 송암이 <독락팔곡>에서 사용하고 있는 독락(獨樂)의 의미를 세밀히 밝히고, 이 독락(獨樂)의 개념을 바탕으로 ``마음의 득실을 잊고 그 뜻을 즐긴다.`` 것의 의미와 <독락팔곡>에서의 그 구체적인 실현양상을 살펴보고자 했으며, 아울러 <독락팔곡>이 송암의 관유온유(寬裕溫厚)함 속에서 이루어졌음을 살폈다. 우선 송암의 <독락팔곡>에 쓰인 독락(獨樂)의 의미는 ``가슴 속에 얻은 것은 물(物)에 따라 변하지 않고 언제나 호연하게 그대로 있어, 안으로 돌이켜보아도 거리낌이 없고 위로 하늘을 우러러보거나 아래로 땅을 굽어보아도 부끄러움이 없는 것``이며 이것은 독선을 통하여 "가슴 속의 즐거움으로부터 미루어 물에 미침에 이른다면 곧 천지 만물이 모두 나와 일체이니, 어느 하나도 나의 즐거움 속에 있지 않는 것이 없다."의 즐거움이다. 이 때 독락(獨樂)의 그 즐거움은 그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 속에서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송암이 독락(獨樂)하는 것은 그 뜻으로 그것은 ``마음의 득실을 잊는 것``이며, 그 뜻을 즐긴다는 것은 ``마음의 득실을 잊도록 하는 그 뜻``을 즐긴다는 것이다. 마음의 득실을 잊는다는 것은 세상살이에서 득실을 따지는 마음 곧 기심을 잊는다는 것으로 송암에게는 활로에 대한 마음을 잊는 것이다. 송암은 <독락팔곡>에서 학문연구를 통해 인의를 추구하며 이를 통해 마음의 자득을 얻어 마음의 득실을 잊고 그 뜻을 즐기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송암의 <독락팔곡>은 관유온유(寬裕溫厚)함을 드러내고 있는데, 이는 퇴계의 온유돈후를 계승한 것으로 송암이 실제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것이다. 송암은 관유온유(온유돈후)를 바탕으로 하기에 편안하지 못한 마음을 노래로 만들면서도 그 희로애락의 마음이 적절함을 얻어 그것이 노래에 나타날 수가 있었던 것이다. 그 적절함이란 송암이 <독락팔곡병서>에서 말한 ``말 가운데 뜻이 있고 뜻 속에 아름다움이 있다``고 했을 때의 그 아름다움인 것이다. 송암은 이러한 <독락팔곡>을 불러, 그 속에 들어 있는 뜻을 펴서 성정을 기르고자 했던 것이다. This article studies in details the meaning of ``dokrak``-enjoying with a thought without considering personal interests-and its practical realization in Songam`s Dokrakpalgok, which is based upon the attitude of the kwanyouonyou. Dokrak in Dokrakpalgok means the attitude in which introspecting oneself and looking up and down under the sky, one can find nothing to be ashamed of because once one bears anything in mind, any situation cannot change it. The attitude can be achieved by the life of the dokseon, where all things in the universe is identified with oneself and where one can enjoy everything. This can be shared with those who come to the understanding. When Songam says ``dokrak``, he means the thought to forget any personal interests. Enjoying the thought means ``to ignore any personal interests and to have a fun with the thought``. Forgetting any personal interests makes him not to be an opportunist who is interested in any gains and loses of a thing. As for Songam, this meas to forget any interest in entering into any government positions. He makes a scholastical studies in Dokrakpalgok, pursues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forgets any gains and loses out of them, and enjoys the thought. Songam`s Dokrakpalgok demonstrates the kwanyouonyou, which is inherited from Toege`s onyoudonyou, and practices the thought in reality. Even though he fails to sing any convenience for the kwanyouonyou, he can keep a proper attitude for feelings of joy and anger in his work. The proper attitude means the beauty where a thought is in the words and the beauty is in the thought. He tries to pursue the beauty and to keep his calmness in Dokrakpalgok.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문학(文學)) : 자기개발을 위한 글쓰기의 효과적인 지도방안 -대학교 1학년 학생을 위한-

        임선애 ( Seon Ae L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9 No.-

        이 글의 목적은 대학교 1학년 학생들이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쓰기를 통해서 자기개발을 위한 전략을 마련할 수 있는 지도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내세울 만한 이력이 거의 없는 대학교 1학년 학생들과 함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쓰기를 연습하다 보면, 그야말로 문서작성에 지나지 않는 수업으로 끝나버릴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쓰는 요령이라든가 쓸 때의 주의점을 강조하며 쓰기 지도를 해도 구성할 내용이 없으니 결과는 미미할 수밖에 없다. 이런 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첫 번째,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는 왜 쓰는가, 누가 읽는가 라는 두 가지 질문을 던지고 학생들이 그 질문과 대답의 주체가 되도록 유도를 한다. 학생들이 문제의 주체가 되게 하면 이력서와 자기소개서의 내용은 양적인 풍부함과 질적인 성장을 보이게 된다. 두 번째, 조를 짜고 각 조들이 회의를 통해서 자신들이 설립하고 싶은 회사를 정하게 한다. 자신의 전공과 무관한 회사로 결정이 나도 응용력을 높이는 기회로 삼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세 번째, 각 조는 회사 이름과 함께 채용공고문을 발표한다. 간결하면서도 공고문을 보는 사람의 의문을 없애는 채용공고문은 어떤 채용공고문일까를 생각하면서 구성해야 한다. 네 번째, 각 조의 조원들은 제출해야 할 조의 회사 성격을 감안해서 자신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를 가상으로 작성한다. 컴퓨터 게임의 유저(user)처럼 자신의 미래를 시뮬레이션(simulation)해 봄으로써 자신의 역량을 가늠해 보는 작업이다.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쓰는 법을 배우고, 스펙의 중요성을 깨우치게 한다. 다섯 번째, 각 조들은 원모양으로(예:→A조→B조→C조) 돌며 자신들이 쓴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를 교환한다. 제출기한을 꼭 지켜야 한다. 여섯 번째, 채점 기준을 정하고 상대조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를 채점한다. 채점기준은 회의를 통해서 정하고, 간단한 글쓰기로 피드백을 해준다. 일곱 번째, 가장 잘 쓴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를 뽑는다. 채점표에 기재된 점수를 합산하여 최고득점자를 뽑는다. 여덟 번째, 교수자는 뽑힌 학생들에게 상황에 적절한 보상을 한다. 보상은 교수자 임의로 미리 정하면 되고, 탈락자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는 것을 잊으면 안 된다. 이 과정에서 행해지는 채점관 체험은 학생들이 자신의 삶에 대한 성찰과 설계의 동력이 되고, 나아가 대학생활의 효율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teaching method of writing for freshman of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that they are prepared strategy through the writing of resume and a cover letter. Specially be careful, finally the class can be fail because many freshman doesn`t have apparent career. The professor teach the main point about the writing of resume and a cover letter but many students doesn`t have apparent career. This paper suggest to overcome this one. First, why write it and who read it that the professor attract to student that they can question and answer. If students are the subject that problem, the contents of resume and a cover letter are richer and improver. Second, students makes each group, each group establish some company through discussion. If the major of student is not agreement, this is opportunity for application. Third, each group open the name of company and the message of employment. The message of employment must belief and clear. fourth, the member of each group writes resume and a cover letter that they must adjust theirs career at some company. This working is like to simulation and they are self test through some artificial process. This process is learning to how to write resume and a cover letter and important of making of spec. Fifth, each group exchange their`s resume and a cover letter. (ex.:→group A→group B→group C) The important thing is to keep of dead line of submission. sixth, each group prepare a criterion of test, they are marking some resume and a cover letter. They gives also feedback. Seventh, they select best resume and a cover letter. eighth, The professor make it up the right compensation to selected student. This time, the professor must be remember to give courage and hope to a dropout. Through this process, many students has experience of feedback. These all courses are very useful to students.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문학(文學)) : 정암 조광조의 도학적 삶과 시 일고

        장도규 ( Doe Gyu J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7 No.-

        조선전기의 도학자들은 성리학을 보다 깊이 탐구하여 마음을 닦고 만물의 이치를 밝혀 우주적 질서의 조화로움을 파악하고 인간행위의 규범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그들의 학문은 단순히 지식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진리의 실천과 궁행까지도 강조하였던 것이다. 도학의 실천을 위한 단서들이 정여창·김굉필로부터 시작되었다면 정암 조광조는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임금을 요순의 치세로 이끌기 위한 지치주의(至治主義)와 온갖 시련 속에서도 대의를 위해 자신을 돌보지 않는 의리정신을 바탕으로 도학정치의 이상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는 젊은 나이에도 도학적 이상국가의 실현을 위해 개혁을 실천하였으나 주위 사람들의 성급한 개혁주장과 중종의 배신으로 말미암아 좌절되었다. 문학에 있어서, 조광조는 당대 정치 현실과 그것을 개혁하려는 의지를 담은 도학시를 지었으나 그 독자성은 인정하지 않았다. 그는 문장이 곧 나쁜 일은 아니지만, 치우쳐 집착하게 되면 마음을 잃기가 쉽다고 하여 문장창작 자체는 인정하면서도 문장에 빠져 마음을 잃는 완물상지(玩物喪志)의 태도를 경계하였다. 이를 기조로 한 조광조의 시에는 대부분 수기(修己)와 치인(治人)이 공존한다. 수기를 통한 내면세계의 형상화와 치인을 통한 경세에의 의지를 도학적 사유로 그려낸 것이다. 조광조의 도학시는 도학자로서의 실천적 삶을 진솔하게 보여준다. 도학의 정통적 의리정신을 실현시키기 위해 실천궁행과 살신성인을 마다하지 않은 것에서 그가 평생 중시했던 군자의 도에 대한 신념과 경세적 의지를 확연히 볼 수 있다. 후 세대인 이언적·이황 등의 도학시가 보여주는 심화된 내재적 심성수양에 역점을 두었던 것과도 사뭇 다른 양상이다. 그러므로 조광조의 도학시는 중간자적 위치에 있다 할 것이다. Cho Kwang-Cho aspired to the learning of the wise and pursued moral philosophy, trying to lead a morally sincere life and to incorporate the thinking of moral philosophy in his literature from a moralistic point of view. He show a practical life as a moralist in reality Dohak poems by Cho Kwang-Cho show a practical life as a moralist in reality. The faith of a man of virtue which had been cherished by him throughout his life is definitely demonstrated in his willing to practice Silcheongunghang(實踐躬行) in order to realize the orthodox principles of righteousness in moral philosophy. His poetry seems to consist of teachings and instructions of confucian ideology. They are, however, saturated with the sincere inner world as a common person. Cho Kwang-Cho have been mentioned very insignificantly and not until recently are studies on them followed. Undoubtedly studies on his poetry and prose have been insufficient since moral philosophy and integrity takes precedence over the poetry and prose. However, judging from his stature in the poetry world of the 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