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종사상 지위와 일-가족 갈등 - 주중근로시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최혜진 한국사회복지학회 2019 한국사회복지학 Vol.71 No.1
This paper addresses the question of whether job status and working time contribute to the work-family conflict of working mothers who taking caring children aged under 5. Using data from the Korean Child Care Survey 2015, we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working conditions (i.e. working hours and job status) and work-family conflict, as well as wheth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working time and job status better explain the link. Results show that regular workers with more than 1 year contract had more difficulty in childcaring than the self-employed or temporary workers. However, the working hour moderates the effect of job status that temporary workers who work more than 40 hours a week experienced more difficulties than the regular workers. We discuss the differential effect of the job status on the work-family conflict and sugges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본 연구는 취업모의 종사상 지위가 일-가족 갈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주중근로시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전국 5세 이하 아동을 둔 가구를 대상으로 수집한 2015년 보육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상용직 여성이 다른 종사상 지위에 비해 높은 양육고충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종사상 지위의 효과는 노동시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주중 40시간 이상의 노동을 하는 임시일용직 취업모는 상용직 취업모보다 높은 일-가족 갈등을 경험하는 것으로제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임시일용직이 일자리가 유연하며 일가정 양립에 친화적이라는 일반적인 인식에서 벗어나 장시간 노동에 노출된 임시직 취업모의 취약성을 제시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최혜진 한국구비문학회 1998 口碑文學硏究 Vol.7 No.-
우리가 판소리를 학문의 대상으로 삼을 때 지난 시기 우리 판소리사에서 이름을 떨쳤던 명창들을 검토해 보는 작업은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판소리사의 행적을 더듬어 보면 우리에겐 가왕 송흥록도 있었고 팔명창, 오명창도 있었으며 여성 명창의 시조를 열었다고 하는 진채선도 있었음을 알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판소리사의 선봉에 우뚝 선 명창들을 통해 우리의 면면한 판소리적 바탕이 무엇이었는지를 실감하게 한다. 그러나 한편 '배고픈 광대'의 설움을 이겨내면서도 평생 판소리만을 고집하고 그 예술적 성취를 보듬다 간 수많은 명창들이 그 저변에 있었음을 생각해 볼 때 우리의 명창사는 더욱 빛날 수 있다. 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일세를 판소리적 정열로 불태우고 간 명창들을 발굴해 내고 조망해 주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행복의 관계: 직무자율성으로 조절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최혜진,신현정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3 교육혁신연구 Vol.3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job autonomy through instructional crea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fficacy and happines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400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ed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City S, G, & K.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moderated mediation using SPSS 23.0 and PROCESS macro 4.1 model 1, 4, & 7.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artial mediation effects of instructional crea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happines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autonom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instructional creativity was significant. Third, job autonomy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instructional crea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happines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ffered information about instructional creativity, which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s teacher efficacy and happiness. Also, this result identified a path to job autonomy, a mechanism that can promote instructional creativity.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자율성 수준에 따라 변화하는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서울, 강원, 경상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PROCESS macro 4.1 model 1, 4, 7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조절된 매개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행복의 관계에서 교수창의성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수창의성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행복의 관계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는 직무자율성의 수준에 따라 달라져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행복의 관계를 설명하는 교수창의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교사의 교수창의성을 촉진할 수 있는 기제인 직무자율성의 경로를 발견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