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완전편파 SAR영상의 새로운 영상 분해 기법

        이경엽 ( Kyung Yup Lee ),오이석 ( Yi Sok Oh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0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6 No.1

        이 논문은 편파화 정도(degree of polarization: DoP) 와 동일편파 위상차이(co-polarized phase-difference: CPD)를 이용하여 완전편파 SAR 영상을 분해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이 영상 분해 기법을 검증하기 위해 2009년에 춘천 지역에서 얻은 ALOS PALSAR 완전편파 L-밴드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이 새로운 영상 분해 기법의 결과와 기존의 3-성분 분해방법과 4-성분 분해방법의 결과들과 비교한다. ALOS PALSAR 영상 자료의 바다, 맨땅, 산림 그리고 도심지역을 선정하여 새로운 DoP-CPD 영상 분해기법을 적용한 결과, 제안된 영상 분해 기법의 정확도가 기존의 분해기법보다 높거나 유사함을 보인다. This paper proposes a new decomposition technique for polarimetric synthetic apertureradar (SAR) images. This new decomposition technique is based on the degree of polarization (DoP) and co-polarized phase-difference (CPD) of the measured polarimetric backscattering coefficients. This decomposition technique is compared with the existing three-and four-component decomposition techniques with the ALOS PALSAR full polarimetric L-band data acquired in 2009. It is shown that the new decomposition technique is better or comparable to the existing techniques for the study areas such as sea, bare soil, forest, and urban area.

      • KCI등재

        호남지역 무당굿놀이의 연행양상과 의미

        이경엽(Lee Kyung Yup) 한국무속학회 2010 한국무속학 Vol.0 No.21

        이 글은 호남지역 굿 전반의 전승체계 속에서 무당굿놀이가 어떻게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고, 그 연행양상과 의미를 고찰한 논문이다. 호남의 무당굿놀이는 ‘마른굿’과 치병굿 또는 무주고혼을 위한 공동체굿과 긴밀한 관련이 있다. 〈삼설양〉과 〈중천멕이〉는 여러 개의 토막극이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보인다. 한 인물이 등장하여 이야기를 펼친 다음 퇴장하면 하나의 토막극이 끝나고, 또 다른 인물이 나오면 다른 토막극이 시작되는 방식이다. 하나의 토막극은 자체로 완결되어 있으며, 각 토막극이 합해져 전체의 주제를 구현한다고 할 수 있다. 무당은 배역에 맞게 가장(假裝)하고 나와 굿놀이 방식을 통해 잡귀들을 배송한다. 잡귀를 성대하게 놀리는 굿을 하는 것은 잡귀의 존재를 그만큼 각별하게 의식하기 때문이다. 잡귀들의 처지를 입체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해원(解寃)의식을 강화하고 그것을 통해 굿의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호남의 〈삼설양〉과 〈중천멕이〉는 서울의 〈뒷전〉, 동해안의 〈거리굿〉등과 유사하다. 지역에 따라 등장하는 잡귀들의 숫자가 다르고 그 성격에서 지역차가 있다. 특히 호남지역 무당굿놀이에는 연희자(演戱者)와 관련된 잡귀들이 등장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호남과 동해안을 비교해볼 때, 호남의 경우 민요와 단가를 비롯한 노래들이 많이 나오는데 비해, 동해안은 재담이 풍부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개별적인 장면들을 비교해볼 때 잡귀를 위로하고 달랜다는 점에서는 공통적이지만 구체적인 방식에서는 약간씩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how Mudang-gut-nori(무당굿놀이) exists in the transmission system of gut in the Honam region and its performance status and meanings. Mudang-gut-nori in Honam has a close relation to 'Maruogut' and cure gut or community gut for a forlorn wandering spirit that has no posterity to perform the memorial service. 〈Samsulyang〉(삼설양) and 〈Jungcheonmaggi〉(중천멕이) show the organization where several skits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One character shows up and delivers a story and exists, which brings an end of the skit, and the next characters shows and begins another skit. A skit concludes on its own and each skit adds up to the whole topic. Shaman disguises himself or herself appropriately for the character and sends the evil spirits away. The reason for splendid gut which teases evil spirits is because the existence of evil spirits is recognized very specially. Through the three-dimension formation of the evil spirits' situation, grudge-solving ceremony is intensified and through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gut is accomplished. 〈Samsulyang〉 and 〈Jungcheonmaggi〉 of Hoanm are similar to Seoul's 〈Duitjerm〉 (뒷전) and East Coast's 〈Guri gut〉(거리굿). The number of evil spiri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y vary according to the region. Especially, in the Mudang-gut-nori of Honam region, there are evil spirits related to performers. Comparing Honam with East Coast, there are a lot of folk songs and tanga in the case of Honam while there are a lot of witty remarks in the East Coast. Through the comparison of individual scenes, they all share the fact that they comfort and soothe the evil spirits, however, as to the methods of how, there are some differences.

      • KCI등재

        진도 씻김굿 무구의 공연예술성

        이경엽 ( Kyung-yup Lee ) 남도민속학회 2011 남도민속연구 Vol.22 No.-

        씻김굿 연행의 중심에 무구(巫具)가 있다. 씻김굿이란 이름 자체가 무구 연행과 관련이 있고 < 넋올리기 >, < 고풀이 >, < 길닦음 > 등의 주요 절차들도 무구 이름에서 비롯된것이다. 이런 점을 주목해서 진도 씻김굿의 남다른 점을 밝히고자 했다. 진도 씻김굿은 굿청 장식 무구가 소박하다. 또한 의례용으로만 사용하는 도구는 별로 없고 한지나 대나무를 이용해 현장에서 만들거나 일상용품을 전용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일상 용구의 의례적 전용을 통한 상징의 생산, 이것이 씻김굿 무구의 독특함이다. 씻김굿을 하는 무녀는 연행 무구를 통해 ‘절연’, ‘풀이’, ‘씻김’, ‘닦음’ 등의 핵심적인상징을 연출한다. 넋올리기는 절연의 가시적 표지이며, 고와 고풀이는 한풀이를 통해이승과의 단절을 형상화한 것이며, 씻김은 물의 정화력을 이용해서 펼치는 인격전환의 정화의례다. 그리고 길베와 길닦음은 저승길과 저승 천도를 상징한다. 씻김굿의 특징이 무구를 활용한 연극적 진행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습무가 활동하는 동해안지역과의 비교를 통해 진도 씻김굿 무구의 특징을 입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했다. 동해안 오구굿은 굿청 장식 무구가 대단히 화려한데 비해 진도는 소략한 편이다. 의례용 무구를 보면 두 지역은 비슷하면서도 다른 점이 많다. 동해안 오구굿은 무구 사용이 활발하지는 않다. 이에 비해 진도 씻김굿은 무구를 활용한상징적 연행이 집중화돼 있다. 그리고 서로 긴밀하게 연결돼 있고 맥락화돼 있다. 진도 씻김굿 무구는 예술성 높은 무가 가창, 음악 연주와 결합돼 공연예술성을 강화시켜주는 특징이 있다. Sitgim Gut is, by its name, related to shaman apparatus. Its procedures such as < Nukoligi >, < Gopuli >, < Gildakeum >, and etc. originated from the names of shaman equipment. In the center of gut performance, there is the shaman equipment. Focusing on this, this article attempts to disclos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Jindo Sitgim Gut. Jindo Sitgim Gut has rather simple decoration equipment for gut center. For ritual shaman equipment, exclusive equipment is rather rare. The equipment is made from Korean paper or bamboo tree at the scene or ordinary items are used for rituals. The reproduction of symbol through the ritual diversion of ordinary items is the distinctive feature of Sitgim Gut shaman equipment.Shaman expresses the core symbols such as ‘Julyeon’, ‘Puli’, ‘Sitgim’, ‘Dakeum’, and etc through the performance equipment. Nukoligi is a visualized mark of Julyeon; Goe and Gopuli illustrate the severance between this life and the deceased; and Sitgim is a purification ritual of personality through the religious purifying power. In addition, Jilbe and Gildakeum symbolize the road to Hades and transfer to the underworld. The features of Sitgim Gut is in performing feature through utilizing shaman equipment. This article attempted to look for the characteristics of Jindo Sitgim Gut shaman equipment from multi-level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East Coast areas. Jindo’s decoration equipment for gut center is quite simple while that ofOdu Gut in the East Coast is very splendid. There are a lot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reas in terms of ritual equipment. Odu Gut of the East Coast shows less usage of shaman apparatus. On the other hand, Jindo Sitgim Gut shows symbolic performance through the high usage of shaman equipment. They are closely intertwined and contextualized. The shaman equipment of Jindo Sitgim Gut strengthens performance in artistic aspect by combining highly artistic shaman songs with the playing of musical instruments.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의 가치 재인식과 계승 방향

        이경엽 ( Kyung Yup Lee ) 남도민속학회 2014 남도민속연구 Vol.29 No.-

        유네스코 관련 이슈들이 부각되면서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있다.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국제적인 위상 정립이라고 여기고 과도한 경쟁이나 대결 구도를 조성하는 경우가 있다. 국가가 그것을 주도하고 지자체나 관련 단체 및 학자들이 적극 호응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지위나 위상의 문제에만 집중할 뿐 무형유산 계승을 위한 실질적인 노력을 하지는 않는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는 것을 영예로 여기지만, 유네스코 무형유산의 보호 방향이 ‘원형으로 고착화시키는’ 것이 아닌 ‘살아 있는’ 문화유산으로 전승되는 데 있다는 사실을 주목하지 않는다. 우리의 무형문화재 제도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협약은 제정 목적이나 기능이 다르므로 구분돼야 하지만 연계적인 지향점을 갖고 있어야 한다. 우리의 무형문화유산은 다양하고 풍부하며 남다른 가치가 있다고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역사적·예술적·학술적 가치가 큰 무형문화유산이 과거적 의미가 아닌 당대의 가치와 미래적 가치가 될 수 있게 하는 계승 방향을 지향하고 있지는 않다. 불확실하고 애매한 ‘원형 유지’를 표방하면서 창조적인 변형을 용납하지 않고 있어서 문제다. 종목 수나 외형적인 성대함을 자랑하기보다는 무형문화유산의 전승 현실을 진단하고, 창조적인 계승 방향을 마련해서 그것을 실천해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그 구체적인 방안을 찾기 위해 전승 현실 진단과 계승 방향 모색, 기록화와 교육 및 확산, 새로운 전승환경 조성과 재맥락화, 계승론에 토대를 둔 재창조와 활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interest i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th the emersion of UNESCO-related issues. The designation as world intangible heritage is seen as an international prestige. Unfortunately, it causes overheated competition and rivalry. However, in most cases, the focus is on acquiring the status and prestige, very little on substantial efforts to inherit the intangible heritage. The designation as world intangible heritage is regarded as a great honor, but there is no attention on the fact that the preservation aim of UNESCO intangible heritage is not to ``fix the archetype‘ but to renew it. Kore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and the UNESCO world intangible heritage agreement differ in their purpose and function, but they must share related objectives. Korean intangible heritage is praised for its variety and richness, possessing unique values. However, intangible heritage with great historical, artistic, academic value does not aim to be the contemporary value and the future value. The problem is that the obsession to the uncertain and vague ‘archetype preservation’ does not allow creative changes. Rather than boasting about the number of designated heritages and outward splendor, there must be efforts to appraise the current transmission reality of intangible heritage and look for creative transmission methods. This paper examined the current transmission situation, the ways for transmission, documentation, education, and spread, and establishment of new transmission environment and recontextualization, and finally, renewal and application based on transmission theory.

      • KCI등재

        축제식 상장례를 통해 본 진도 민속의 독특함

        이경엽 ( Kyung Yup Lee ) 남도민속학회 2013 남도민속연구 Vol.26 No.-

        축제식 상장례를 중심으로 진도 민속의 독특함에 대해 살펴보았다. 진도 민속의 특별함을 고정적인 자질로 다루던 기존 논의와 달리 전승론적 관점에서 축제식 상장례의 전승배경과 맥락을 살펴보는 데 초점을 두었다.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진도에도 유학이 전파되면서 전래 풍속과의 긴장관계가 형성되었다. 하지만 진도의 유학은 예법 연마보다는 시서공부에 집중해온 경향이 있었고,‘무당을 좋아하는 토속(土俗)’과 ‘선비를 귀하게 여기고 시서가 있는 민풍(民風)’이 공존해온 전통이 있었다. 이런 배경으로 인해 유교 예법이 도입되었지만 전래의 풍속을 단절시킬 만큼 적대적이지 않았고, 그로 인해 전래의 장례놀이들이 이어지고 근래에 들어서는 여성들의 호상놀이가 도입되는 등 확장성을 띠고 전승될 수 있었다. 진도 민속의 독특함은 사회적 담론으로 재구성되기도 한다. 다시래기의 사례에서 보듯이 문화재 지정 과정에서 문화권력이 작용하고 어떤 측면이 확대되거나 배제되는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그리고 상장례 풍속을 대하는 내.외부의 시선이 엇갈리는 경우도 있다. 상가에서 펼쳐지는 놀이와 여성들의 호상놀이에 대해 외지 학자들이 각별하게 주목하지만 진도 현지 식자층은 그와 다른 평가를 내리기도 한다. 유교 / 비유교를 둘러싼 담론이 흥미롭긴 하지만 비중 있는 논의거리로 삼기 어렵다. 호상놀이의 사례에서 보듯이 상장례 전통에 담긴 창조성을 발견하는 일이 중요하다. 축제식 상장례는 공동체의 예술적 욕구가 다양하게 표출되고 새로운 양식들이 창출되는 공간이다. 진도 민속의 남다른 전통과 그 속에담긴 창조성을 새롭게 발견할 필요가 있다. We have examined the uniqueness of Jindo folklore by centering around the festive funeral. Similar to other regions, Jindo has accepted Confucianism and established its customs. However, Confucianism in Jindo focused more on studying poetry andcalligraphy rather than etiquette and there were two traditions in existence: local customs which liked shamans and folklores which regarded scholars highly. That is why Jindo was not hostile to severe the inherited customs even after the transmission of confucian etiquette. On such background, the inherited funeral plays survived and in the modern time, they extended to such extent that there is good funeral play by females. The uniqueness of Jindo folklore is reconstructed through the social discussion. As seen the case of Dasiraego, in the process of designating a cultural asset, there is a culture power at play and sometimes and certain features are expanded or removed. In addition, there is a mixed view in regard to festive funeral from inside and outside. Scholars from outside pay a special attention to the play taking place at a mourner’s house and the female good funeral play, yet the scholars in Jindo look at it differently. The discussion about Confucianism/Non-Confucianism is interesting and yet it is not worth setting it as an important matter. As seen in the case of good funeral play, it is very important to discover the creativity in the funeral traditions. The festive funeral is a space where the artistic desires of community are expressed and new styles are created. It is necessary to discover the uniqueness tradition of Jindo folklore and the creativity within it.

      • KCI등재

        영광의 굿과 예술전통의 계승 영무장의 세습무계와 무계 예인들의 활동

        이경엽 ( Kyung Yup Lee ) 남도민속학회 2015 남도민속연구 Vol.30 No.-

        Youngmujang is the name of region that includes Youngkwang, Gochang (Mujang), and Jangsung. This article focused on the hereditary shamans who have transmitted gut and arts for generations and the activities of such artists. Shaman artists have maintained and expanded artistic tradition based on social network which is connected lengthwise and breadthwise. Especially, Gulgung activity led by shaman artists has become the characteristic transmission foundation for the local nongak. Centering on the cases of two representative artists, their activities have been closely examined. Both domestic and foreign activities are important;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art, linked accomplishments tend to stand out. Kim, Hakjun is a famous artist who showed vigorous activity played the central role in the region. He systemized Suljanggu which is counted as one of the greatest accomplishments in the history of modern nongak and transmitted it to the next generation, and contributed to maintaining the fame of Bupsungpo Danoje as an artistic festival. Jeon, Kyunghwan is a person who applied his domestic and foreign experiences into gut music in a creative manner and enriched the local art. There needs to be a foundation where such traditions can be newly evaluated and creatively transmitted.

      • KCI등재

        고싸움놀이의 문화재 지정과 축제화, 재맥락화

        이경엽 ( Kyung Yup Lee ) 남도민속학회 2011 남도민속연구 Vol.23 No.-

        이 글에서는 고싸움이 무형문화재로 지정되는 과정과 문화재 지정 이후 축제화되고 재맥락화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고싸움은 남도뿐만 아니라 한국을 대표하는 민속놀이로 꼽힌다. 영산강과 탐진강 일대 여러 지역에서 고싸움이 전승되었지만, 제대로 조명받지 못한 채로 사장되고 ‘광주 칠석동 고싸움’이 선택적으로 특화돼왔다. 칠석 고싸움놀이는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이후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아시안게임과 올림픽에서 시연된 후 세계성을 지닌 문화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외형화된 평가와 달리 간단치 않은 문제들을 안고 있으므로 새로운 논의가 필요하다. 오늘날의 고싸움놀이는 축제를 통해 재현되고 있다. 고싸움놀이축제는 30여년 지속되면서 일정한 기조를 유지하면서 또 새롭게 변화돼왔다. 고싸움놀이에 대한 기대가치는 여러 형태로 다양하게 표출되고 있다. 지자체의 문화정책이나 학계의 몇몇 논의는 고싸움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쪽에 집중돼 있고, 언론과 방송도 이런 방향에 힘을실어주고 있다. 그리고 이런 경향이 축제나 지역개발 프로그램으로 수용되고, 유용 주체의 재맥락화 논리로 차용되고 있다. 마을 내 유용 주체들은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정책에 맞춰, 이벤트화를 통해 고싸움놀이의 상업적 가치를 높이고 세계축제로 나갈 길을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유용 주체의 정치지향성에도 불구하고, 고싸움놀이축제는외부의 지원 없이는 존립하기 어렵고, 내부적인 여건과 공동체에 내재된 자발성, 전승기반은 허약한 상태이다. 이런 상황과 세계적인 축제 또는 성공적인 축제 사이의 거리는 쉽게 좁혀질 것 같지 않다. 외형 확대 위주의 사업화를 경계하고 축제의 허실을 따지고 현실을 냉철하게 진단하는 작업이 우선시돼야 한다는 것을 거듭 확인하게 된다. Gossaum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folk games in Korea, not only in Namdo region, but also nationwide. Gassaum has been transmitted in many regions along Yongsan River, however, it has not received its due attention and died out with the exception of ‘Kwangju Chilsukdong Gossaum’ which came into the spotlight and developed. Chilsuk Gossaumnori has received a lot of attention since it has been designated as a cultural heritage. Especially after its performance in Asian Games and Olympic, it has been deemed as a cultural heritage with universal beauty. Today’s Gossaum is revived through festivals. Gossaumnori festival has been taking place over 30 years with certain form of consistency while also undergoing changes. Expectations for Gossaumnori have been presented in various forms. They have been accepted into festivals and expressed in different formats. Gossaumnori plays a dynamic role and raises expectation high through recontextualization under the new circumstances and contexts of the modern age. Attempts have been made to raise Gossaumnori``s commercial value and to find ways to help it become a world festival through diverse events. However, such attempts rely heavily on external support such as municipals instead of leading it with independent capability and planning. It is time to consider the path of the festival. It is the remaining task as to how to accept and revive the dynamic energy within Gossaumnori.

      • KCI등재

        기독교의 전파와 의례생활의 변화

        이경엽(Kyung-Yup Lee)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6 島嶼文化 Vol.28 No.-

        이 글에서는 신안군 증도의 사례를 통해 전통문화와 기독교의 관계를 입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기독교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기독교식 의례가 등장한 현상은 민속학적으로 새롭게 주목할 문제다. 문화 양식의 측면에서 보면 전통의 약화만을 다룰지 모르지만, 전승주체의 삶 속에서 민중생활사를 본다면 의례생활은 단절되지 않고 지속되고 변화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기독교는 한국 사회 전반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동안 전통과 기독교의 관계를 대립적으로 파악하고 기독교에 의해 전통문화가 사라지고 있다는 점만을 주목해왔다. 그러나 실상은 다르다. 전통과 외래문화의 관계는 일방적이지 않다. 전통이 약화되고 변화되기도 하지만 외래문화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또 새로운 것이 생겨나기도 한다. 전통과 외래 종교는 대립하면서 공존하고 있다. 한 마을에 전통식[사회식]과 교회식 장례, 풍어제와 풍어예배가 공존하는 현상을 통해 그 실상을 볼 수 있었다. 문화접변의 산물로 기독교식 의례가 등장하고 그것이 서로 맞서 있는 양상이다. 내용상으로 보면 공존하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기독교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나타난 의례생활의 변화와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 번째는 전통의례의 약화와 존속이다. 두 번째 특징은 기독교식 의례의 확대와 토착화다. 특히 교회식 장례는 지역사회의 현실적인 조건과 연관되면서 폭넓게 수용되고 있다. 세 번째 특징은 의례의 현세성 확대와 축제적ㆍ예술적 기능의 약화다. 기독교식 의례의 경우 당사자의 개별적인 축원 기능만을 담당할 뿐 공동체를 통합하는 축제적 기능이나 예술적 측면의 표출과는 별개로 수행되는 특징이 있다. 높은 전파율에도 불구하고 교회와 지역문화 발전의 상관성이 별로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culture and Christianity in three dimensional through the case of Jeongdo, Shinan province. The increasing influence of Christianity and the emergence of Christian ceremonies are issues that need to be paid attention to in folklore. In the perspective of cultural pattern, it is only seen as a weakening of tradition. However, by looking at the history of the mass in the life of transmitting subject, we see that the rites are not severed, but changed and continued.<br/> Christianity has affected enormously in Korean society in many aspects. Until now, the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 and Christianity have been on their confrontation, especially on the point that a lot of traditional culture went extinct because of Christianity. However, that is not the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itional culture and imported culture is not unilateral. Traditional culture is weakened and changed, however, it also affects the imported culture and be the cause for the creation of something new.<br/> Traditional religion and foreign religion confront each other and coexist. The co-existence of the traditional funeral ceremony and Christian traditional ceremony in a same village and the co-existence of rites to wish for a big catch and the church service for the same reason confirm this. As a product of cultural progressive assimilation, Christian services have emerged and they confront the traditional ones. In the context, they coexist. There are thre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in the rites occurred as the result of the increasing influence of Christianity. First, it is the weakening and continuance of traditional rites. Secondly, it is the expansion and indigenization of Christian services. Of particular,Christian funeral services are widely accepted in relation to the realistic conditions of local communities. Lastly, the expansion of secular features of rites and the weakening of their festive and artistic functions. In case of Christian services, they only undertake the individual invocation function of the person concerned. They do not conduct the festive function to unite the community or the expression of artistic aspects like traditional ones.<br/>

      • KCI등재

        굿문화의 전통과 문화적 정체성

        이경엽 ( Kyung Yup Lee ) 남도민속학회 2010 남도민속연구 Vol.20 No.-

        굿문화는 종교적 영역만이 아니라 예술, 놀이, 일 등 민중생활 전반에 폭넓게 걸쳐 있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굿문화의 전통과 그 정체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무속 기원론은 굿문화의 정체성 문제를 쟁점화하고 있는 주제다. 고유성은 시원의 순수성을 뜻한다기보다는 다른 것에는 없는 개성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고유성은 절대적인 특질이 아니라 상대적인 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고유성은 우리 굿문화의 전통과 역사 속에서 성립된 정체성이란 점에서 각별하게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굿문화는 외래종교 및 지배이념의 통제에 맞서고 대응하면서 정체성을 유지해왔다. 지배층은 축제식 상장례를 ‘폐풍(弊風)’, ‘음사’라고 단죄했지만, 민중들은 풍악이 없는 상례를 경박하다고 여겼으며, 음식을 마련해 사람들을 대접하고 무당을 불러 굿을 하고 잡희를 하면서 초상을 치르면 착한 상주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유교적 도덕률로 굿문화의 전통을 통제하면서, 외부적 시선을 내면화시켜 스스로의 전통을 왜소하게 취급하게 되었다. 굿문화는 다른 종교문화와 교섭하고 다른 양식을 수용해서 내용을 더 풍부하게 만들어왔다. 이는 굿문화의 생존방식이기도 하지만, 다르게 말하면 한국인이 선호하는 문화적 향유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굿문화 속에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이 반영돼 있다고 할 수 있다. 굿문화가 오랜 동안 지속될 수 있는 배경과 한국인이 굿을 좋아하는 핵심적인 이유는 그 속에 신명풀이가 있어서다. 신명풀이는 공동체성을 띠고 있고 생활과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어 더 포괄적으로 수용될 수 있었다. 신명풀이가 한국인의 정서에 맞기 때문에 굿문화의 전승력으로 작용했다고 본다. 그리고 한국인의 독특한 예술적 성향을 낳고, 생활 전반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신바람 문화로 확장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이런 점에서 신명풀이는 굿문화의 전통 속에서 유지해온 문화적 정체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Gut culture is spread widely not only in the religious areas but also in broader areas of folk life such as art and play. This article looks into the tradition of gut culture and its identity. Shamanism origination is a contentious topic that sets on fire the identity issues of gut culture. Identity means individuality which isn’t found in other things rather than the purity of its existence. In this point, identity is not an absolute characteristic, but a relative difference. We need to pay special attention to it because it’s the identity which has been established in the tradition and history of our gut culture. Gut culture has maintained its identity by standing and reacting against the control of foreign religions and governing powers. The establishment condemned the festive funerals as evil customs, however, the general public considered funerals without music frivolous, and they considered chief mourner nice if he prepared food to serve the people and called the shaman to perform gut and various plays to go through a funeral process. Gut culture intertwined with other religious cultures, accepted different ways, and enriched itself. This is how it has survived, however, put differently, it’s the way how Koreans prefer to enjoy their culture. In the gut culture,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ns are reflected. The background for its long history and the core reason for Koreans to like gut is ‘Sinmyung-Puli’(liberation or release of spiritual human nature). Sinmyung- Puli is for community and it is organically connected to life, thus, furthering its acceptance. Sinmyung-Puli fits the feelings of Koreans well so it served as the transmitting power for gut culture. It gave birth to the unique artistic taste of Koreans and extended to exciting culture which is evaluated positive in the comprehensive realm of life. In this point, Sinmyung-puli is the culture identity that has been conserved in the tradition of gut culture.

      • KCI등재

        상례굿의 총체성과 호모 밤따래쿠스 -상례, 씻김굿, 다시래기, 밤샘놀이, 만가, 호상놀이의 통합적 이해-

        이경엽 ( Lee Kyung-yup ) 남도민속학회 2021 남도민속연구 Vol.43 No.-

        상례에는 여러 과정과 양식들이 복합돼 있다. 기존에는 유교식 예법과 씻김굿·밤샘놀이·만가 등을 별개로 다루거나, 무형문화재 종목 단위로 해체해서 각각의 예술성이나 연극성 등을 고찰하는 방식으로 접근했다. 이 글에서는 상가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적 복합을 ‘상례굿’이라고 지칭하고, 진도를 비롯한 서남해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상례굿의 총제성을 살피고 상례굿을 전승하는 사람들-‘호모 밤따래쿠스’-의 존재성과 그들의 민속철학을 주목하고자 한다. 먼저 상례굿 전체의 연행 맥락과 과정을 분석했다. 상례굿의 전개과정을 보면, 죽음 확인·알리기 단계에서 삶과 죽음의 경계를 의례적으로 구획한다. 그리고 죽음 달래기를 통해 전이 단계에 놓여 있는 망자와 상주에게 굿과 놀이, 노래 등을 통해 명복을 빌고 슬픔을 위로한다. 이 과정은 특히 수많은 사회적 관계들이 참여하는 놀이와 연대의 장이므로 굿놀이의 비중이 크게 나타난다. 그리고 망자 보내기는 상여와 그 행렬이 규모를 갖추고 있고, 거기에 참여하는 연행자, 참관자들이 많은 데서 보듯이 시각적으로 성대하다. 이처럼 상례굿은 하나의 총체극적 구성을 갖추고 있다. 상례굿의 총체성은 사회적 관계 속에서 구축된다. 초상이 나면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상주의 슬픔을 위로하고 물품을 부조한다. 이 과정에서 각종 계가 가동된다. 또한 주민들은 물품과 노동만을 교환하는 것이 아니라 놀이를 하면서 밤샘을 한다. 상가 마당에서는 윷놀이, 화투, 노래판, 춤판, 다시래기, 씻김굿 등을 하면서 죽음 달래기를 한다. 그리고 많은 인력이 요구되는 산역과 운상을 위해, 상두계와 호상계가 작동된다. 이렇게 해서 망자가 공동체와 작별하는 과정을 성대한 축제 행렬로 만들어간다. 사회적 교환과 관계가 상례굿의 총체성을 구축하는 배경과 토대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례굿은 유교적 지배이념의 간섭과 비난 속에서 전승되었다. 진도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분석한 데서 보듯이 외지에서 온 유배인과 현지의 지식인들은 전래의 축제식 상례를 ‘그릇되고 개탄스러운 병폐’로 여겼으며 유교적 예법으로 교화하고자 했다. 하지만 전승자들은 긴 기간 부정적인 시선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지만, 전래의 풍속을 버리지 않고 유교식 예법과 결합시켜 상호보완하는 형태로 재구성했다. 또한 1970년대 이후 널리 파급된 호상놀이처럼 새로운 전통을 창출해서 전승하고 있다. 상례굿이 전승자들의 선택과 의지에 의해 전승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호모 밤따래쿠스가 펼치는 상가의 밤샘놀이와 가무·굿·연극·떠들썩한 운구행렬은 예사 놀이와 다른 특별함을 담고 있다. 이런 점에서 상례굿을 하는 사람들은, 호모 루덴스 중에서도 더 각별한 존재인 ‘호모 밤따래쿠스’라고 할 만하다. 호모 밤따래쿠스는 사무치도록 지극하게 노는 사람들이다. 상례굿에는 죽음으로부터 비롯된 상실과 슬픔을 노래와 춤으로써 극복하고, 활력의 에너지로 삶을 회복하려는 의지가 담겨 있다. 무엇보다도 상례굿은 공동체의 사회적 관계를 토대로 펼쳐진다. 마을 공동체에서는 유무형의 조직과 관행을 중심으로 죽음이 발생하는 처음부터 장례를 치르는 전 과정을 주관한다. 그리고 상황에 맞게 의례와 예술적인 연행을 결합시켜 상장례를 수행한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상례굿은 죽음을 더 깊게 수용하면서 죽음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자 하는 집단적인 연행 행위라고 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공동체 구성원들이 송별 이후, 다시 살아갈 삶에 대한 강한 긍정을 표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례굿에는 죽음이 가져온 상실의 아픔을 예술적인 연행과 사회적 관계 속에서 치유하고 현세적 삶을 긍정하는 민속철학이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A funeral is a place where various stages continue. Previously, Confucius manners and sitgimgut·yunnori·lamentations had been approached separately or their respective artistry and theatralite was examined after being disassembled in the unit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This article names the cultural complex performed in the house of mourning ‘funeral gut’ and attempts to examine a series of performance taking place in the mourner’s house. Centering on the cases of the southwestern regions including Jindo, the totality of funeral gut and ‘Homo Bamtarakus’ who transmit funeral gut will be examined in terms of their existence and their folklore philosophy. Firstly, the performance context and the process of whole funeral gut is analyzed. Let’s look at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funeral gut. In the stage of confirming death and notifying others, The chief mourner-centered rituals are subdivided into the rituals for the body of the deceased and the soul of the deceased, ritually dividing the realm of the living and the dead. Then, through soothing the dead, prayers for the repose of the deceased and the bereaved are made to comfort them through gut, play, and singing for the deceased and the chief mourner who stand at the transition stage. This process is a field of play and solidarity in which a numerous social relationships participate, giving a larger role to gut play. Finally, sending the dead involves the bier and the mourning procession in which there is a great number of performers and spectators, offering a impressive view. As mentioned above, funeral gut is equipped with total dramatic process. The totality of funeral gut is established in social relationships. When there is a death, members of a community comfort the bereaved and provide goods. In this process, various gye go into action. Also, the residents not only exchange goods and labor, but also they stay up all night while playing. In the yard of the house of the bereaved, yunnori, hwatu, singing, dancing, dasiraegi, and sitgimgut are played and performed in order to comfort the bereaved. Sangdugye and hosanggye are called into action in order to perform carrying out and burying the dead. Through these stages, a magnificent festival is built up to allow the dead to bid farewell to the community. Social exchange and relationships establish the foundation and the background for the totality of funeral gut. Funeral gut has been transmitted in the mist of intervention and criticism of the ruling Confucius ideology. A detailed analysis of the case of Jindo shows that the exiled from outside and the intellect of the region considered the traditional festive funeral as ‘a wrong and deploring malady’ and they attempted to replace it with Confucius manners. However, the transmitters, even though they were never free from the skeptic, hung close to the traditional customs and reconstructed and complemented funeral gut through combining it with Confucius manners. Also, new traditions are created and transmitted as the case of propitious mourning play which spread widely since 1970’s. It shows that funeral gut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ll and the choice of the transmitters. The overnight play at the house of the mourning·singing and dancing·gut·drama·the festive coffin carriage by the homo bamtarakus is very extraordinary. In this respect, the performers of funeral gut deserve to be called ‘homo bamtarakus’ as someone very distinguished among homo ludens. Homo bamtarakus are the ones who play with such an enthusiasm to the extent of touching one’s heart. Funeral gut contains the will to overcome the sense of loss and sadness originating from death through singing and dancing and to restore life through the vitalizing energy. Above all, funeral gut is performed on the basis of social relationships. The village community oversees the whole process of funeral as early as there is death through combining the rituals and artistic performance fitting the occasion. From this perspective, funeral ritual accepts death more deeply while offering the energy to be free from death through the collective performing action. After the farewell,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will have the positive power to continue living. Therefore, funeral gut contains a folklore philosophy will heal the pain of loss brought by death in the artistic performance and the social relationship and allow the community to continue living in this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