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예도보통지』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방안

        곽낙현 동양고전학회 2016 東洋古典硏究 Vol.0 No.64

        이 연구의 목적은 『 무예도보통지』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전략과 과제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1790년(정조 14) 정조의 명에 의해 편찬된 『 무예도보통지』는 전체 5권 5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시의 한국⋅중국⋅일본 등 동아시아 단병무예를 가장 집약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군사관련 무예기록유산이다. 둘째, 세계기록유산 등재절차는 신청서접수, 조사, 평가, 권고, 국제자문위원회에 제출, 등재까지 6단계로 진행되며, 소요되는 기간은 2년이다. 셋째,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관한 구체적인 주요기준은 첫째, 유산의 진정성(Authenticity)으로 해당 유산의 본질 및 기원(유래)을 증명할 수 있는 정품이어야 한다. 둘째, 독창적(Unique)이고 비(非)대체적(Irreplaceable)인 유산으로 특정 기간 또는 특정 지역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쳤음이 분명한 경우이다. 셋째, 세계적 관점에서 유산이 가지는 중요성이다. 한 지역이 아닌 세계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여부와 시간(Time), 장소(Place), 사람(People), 대상/주제(Subject/Theme), 형태 및 스타일(Form and Style)의 다섯 가지 요소 중 한 가지 이상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보조 요건으로 ①희귀성, ②원 상태로의 보존(Integrity). ③위협(Threat), ④관리 계획(Management Plan)이다. 넷째,『 무예도보통지』 세계기록유산 등재과제는 다음과 같다. ①『 무예도보통지』의 서지학적 연구를 통한 귀중본 또는 보물 지정이 필요하다. ②『 무예도보통지』에 대한 영문 번역본 사업이 필요하다. ③『 무예도보통지』유네스코 기록유산 등재추진위원회가 준비되어야 한다. ④『 무예도보통지』등재를 위한 정부와 민간 관련 부처, 학계의 긴밀한 협조체제가 이루어야 한다. ⑤『 무예도보통지』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해서는 유네스코가 지향하는 등재기준과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⑥『 무예도보통지』 세계기록유산과 세계무형유산 등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무예도보통지』는 세계기록유산 등재 과제를 보완함으로써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해야 한다. 북한이 2016년 아시아태평양 세계기록유산으로『 무예도보통지』를 등재했듯이, 우리나라도『무예도보통지』에 대한 충분한 가치와 위상을 가지고 준비해야 하며, 세계인들에게 우리의 우수한 기록문화 정신과 진정성을 보여줘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ed at examining the strategy and task for 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ration of 『 Muyedobotongji』.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uyedobotongji』published by King Jeongjo in 1790(Jeongjo 14th year) was composed of 5 books in 5 editions on the whole. This is military martial arts record heritage that could show East Asian Danbyung martial arts of Korea⋅China⋅Japan most intensively. Second, Memory of the World Registration procedure is proceeded in 6 stages, i.e. application form receipt, investigation, evaluation, recommendation, and submission to international consultation committee, and registration, required time thereof is 2 years. Third, concrete and major standards related to Memory of the World registration are, first, it should be the true one that can verify the essence and the origin(beginning) of the relevant heritage based on the authenticity thereof. Second, it should be the definite case that ha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a specific period or specific region as a unique and irreplaceable heritage. Third, importance of the heritage based on the global viewpoint. Whether of influence of the world beyond a region, in respect of over one factor among the five factors, i.e. Time, Place, People, Subject/Theme, and Form and Style should be verified. Fourth, subsidiary factors are ①Rarity, ②Integrity, ③Threat, and ④Management Plan. Fourth, Memory of the World registration plans for『 Muyedobotongji』 are as follows. ①Designation of rare unit or treasure of『 Muyedobotongji』 through bibliographical research is required. ②English translation project of 『 Muyedobotongji』 is necessary. ③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ration promotion committee for『 Muyedobotongji』 should be prepared. ④Close cooperative system among the government, private relevant division, and academic circle should be prepared for the registration of『 Muyedobotongji』. ⑤For Memory of the World registration of『 Muyedobotongji』, registration standards and conditions that UNESCO aims at should be satisfied. ⑥Basis for Memory of the World and World Intangible Heritage registration should be prepared for『 Muyedobotongji』. Fifth, 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ration should be promoted by complementing the task for the Memory of the World for『 Muyedobotongji』. As North Korea registered『 Muyedobotongji』 as 2016 Asia Pacific Memory of the World, we should prepare enough value and status for the registration of『 Muyedobotongji』, also, should show the spirit and authenticity of our excellent archival culture to the world.

      • KCI등재

        남북한 씨름의 지역적 분포

        곽낙현 동양고전학회 2018 東洋古典硏究 Vol.0 No.72

        이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남북한 씨름에 대한 지역별 분포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의 향토오락』에 기재되어 있는 씨름은 전국적으로 226개 지방에서 272회의 씨름을 시행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남한지역의 씨름은 5개의 권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서울·경기도는 단오, 백중, 추석에 씨름을 가장 많이 시행하였다. 충청도는 백중과 추석, 전라도와 경상도는 추석, 강원도는 단오와 추석에 씨름을 시행하였다. 셋째, 북한 지역의 씨름은 3개의 권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 모두 단오에 씨름을 가장 많이 시행하였다. 넷째, 전국적으로 씨름이 가장 많이 개최되는 시기로 단오, 백중, 추석을 꼽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씨름은 개인별 대항이라기보다는 마을공동체 또는 지역 간의 대규모 놀이라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일찍부터 규칙을 갖추고 경기종목으로 자리를 잡은 씨름은 지역별 축제인 단오, 백중, 추석의 명절놀이로 정착되었다. 다섯째, 씨름은 민간의 놀이이자 대표적인 세시풍속의 놀이로써 남북한 지역적인 편차 속에서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오늘날까지 전승되었다. 여섯째, 씨름이 시행되지 않은 미확인 남한 지역은 경기도 가평, 전라남도 보성, 제주도, 경상북도 군위, 청송, 강원도 인제 등 5개도 6곳이었다. 북한 지역은 평안남도 평양, 양덕, 강동, 개천, 평안북도 박천, 함경남도 단천 등 3개도 6곳이었다. 이를 통해 8개 지역 12곳이었다. 일곱째, 『조선의 향토오락』에서 제시된 놀이명의 총 항목수는 약 6,400여종에 이른다. 이 가운데 놀이법에 대한 설명이 있는 항목이 약 1,300종이며, 설명 없이 놀이명만 제시된 항목이 5,100종이 된다. 특히 씨름의 경우는 각 지방마다 시행된 음력절기에 해당하는 시기만 기재되어 있을 뿐, 실제적인 씨름의 시행방법 및 종류 등에 대한 내용은 누락되어 확인할 수 없는 아쉬운 점이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Ssireum(Traditional Wrestling) of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seon ui hyangto orak(Folk play in Joseon)』 showed the record of performing 272 times of Ssireum in 226 regions of the whole nation. Second, the Ssireum of South Korea could be divided into five regions. Seoul/Gyeonggi-do performed Ssireum the most in Dano, Baekjung, and Chuseok while Chungcheong-do performed Ssireum in Baekjung and Chuseok. Jeolla-do and Gyeongsang-do performed Ssireum in Chuseok while Gangwon-do performed Ssireum in Dano and Chuseok. Third, the Ssireum of North Korea could be divided into three regions. All the Hwanghae-do, Pyeongan-do, and Hamgyeong-do performed Ssireum the most in Dano. Fourth, as the period when Ssireum was held the most in the whole nation, Dano, Baekjung, and Chuseok could be pointed out. Ssireum has the characteristics of large-scale play between village communities or regions, instead of individual game. Thus, the Ssireum that was played as a sport event under certain rules for a long time was settled down as a folk play of regional festivals such as Dano, Baekjung, and Chuseok. Fifth, as a folk play and a representative play of seasonal customs, Ssireum was distributed in the whole nation and handed down till today under the regional devi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Sixth, the unidentified regions of South Korea that did not perform Ssireum were six places including five dos such as Gapyeong Gyeonggi-do, Boseong Jeollanam-do, Jeju-do, Gunwi and Cheongsong Gyeongsanbuk-do, and Inje Gangwon-do. The regions of North Korea were six places including three dos such as Pyeongyang, Yangdeok, Gangdong, and Gaecheon of Pyeongannam-do, Bakcheon Pyeonganbuk-do, and Dancheon Hamgyeongnam-do. Total 12 places in eight regions were included. Seventh, the number of total items of play names presented in the 『Joseon ui hyangto orak(Folk play in Joseon)』 was about 6,400 types. Out of them, about 1,300 types were the items including how to play while about 5,100 types were the items presenting the play names only without explanations. Especially, in case of Ssireum, the periods of the lunar calendar were only specified in each region. Unfortunately, it was not possible to check the contents about the actual performance methods and types of Ssireum as they were omitted.

      • KCI등재

        씨름의 체급 명칭 검토

        곽낙현,김태완 동양고전학회 2022 東洋古典硏究 Vol.- No.88

        이 연구의 목적은 씨름의 체급 명칭에 대한 검토이다. 이에 대한 내용을 종합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존재하는 체급 구분 상황. 아마추어씨름 체급은 경장(輕壯), 소장(小壯), 청장(靑壯), 용장(勇壯), 용사(勇士), 역사(力士), 장사(壯士)의 7개 체급, 민속씨름은 태백(太白), 금강(金剛), 한라(漢拏), 백두(白頭)의 4개 체급, 여자씨름은 매화(梅花), 난초(蘭草), 국화(菊花), 대나무(竹), 무궁화(無窮花)의 5개 체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몇몇 체급 구분 방식은 그 의미가 뒤섞여 명확한 의의가 드러나지 않고 있다. 둘째, 체급 구분의 어원. 천하장사(天下壯士)의 어원은 ‘천하(天下)’와‘장사(壯士)’로 구분해 살펴볼 수 있다. ‘천하(天下)’는 범위를 나타내는 맥락에서‘전국 또는 전세계’를 뜻하고, 수준을 나타내는 맥락에서‘천하제일, 세계 최고’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장사(壯士)’는 체격이 건장하고 체력이 강대하여 두려울 것이 없이 씩씩한 사람을 일컫는 용어로 용사(勇士)와 같은 말이다. ‘장군(將軍)’은 매우 높은 직위에 있는 무관(武官)을 일컫는 용어이다. ‘선사(選士)’는 ‘선발된 인재, 정선된 병사’라는 뜻이다. 따라서 대회 입상 순위에서 장군(將軍)이 으뜸이 되고, 다음에 장사와 선사의 순서로 되어야 한다. 셋째, 기존 체급 구분의 한계. 민속씨름 체급 공모에서 가작으로 선정된, 가람, 뫼, 누리, 한울 등의 구별은 그 기준과 적용 범위가 일관되지 않아 체급의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또한 아마추어 7개 체급은 지나치게 세분화 되어 있다. 따라서 각 체급은 ‘소년(少年) - 청년(靑年) - 청장년(靑壯年) - 장년(壯年)’의 4개 체급으로 조정되어야 한다. 넷째, 새로운 체급 구분. 여자씨름의 5개 체급을 한반도의 대표적인 4대강의 명칭을 적용하여‘금강 – 대동강 – 낙동강 – 한강’으로 구분하고, ‘천하장사’ 체급을 추가하면 남자부와 동일하게 5개 체급으로 정리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씨름 체급 명칭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아마추어는 ‘소년-청년-청장년-장년’, 남자부는 ‘태백-금강-한라-백두’, 여자부는 ‘금강 – 대동강 – 낙동강 - 한강’의 각각 4개 체급으로 표준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인의 건강함과 아름다운 금수강산의 의미를 담아서 표현함으로써 통합타이틀인 ‘천하장사’ 명칭을 부각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아울러 씨름 경기의 체급 명칭에 대한 서열이 정리되고, 전통놀이의 무형유산에서 전통스포츠의 ‘씨름’으로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weight class names of Ssireum matches. The conclusion are following in these. First, The existing weight classification situation. The amateur Ssireum weight classes can be divided into seven weight classes: Gyeongjang, Sojang, Cheongjang, Yongjang, Yongsa, Yeoksa, and Jangsa. The folk Ssireum weight classes can be divided into four weight classes: Taebaek, Geumgang, Halla, and Baekdu. The Women’s Ssireum weight classes can be divided into five weight classes: Maehwa, Nancho, Kukhwa, Daenamu and Mugunghwa. However, some weight classification methods have been mixed with their meanings thus the significance of classification is not clear. Second, The etymology of weight classification. The etymology of Cheonhajangsa can be examined through concepts of ‘Cheonha’ and ‘Jangsa’. ‘Cheonha’ means 'national or global' in the context of indicating the scope, and It implies the meaning of 'The world's best’ in the context of indicating the level. ‘Jangsa’ is a term that refers to a brave person with a strong build and physical strength like a warrior. The term ‘Janggun’ refers to a military officer in a very high position. ‘Seonsa’ means ‘selected people of talent, selected soldiers.’ Therefore, In the competition the term ‘Janggun’ should be the first in the ranking of the competition, and then the order of ’Jangsa’ and ‘Seonsa’ masters. Third, The limit of the existing weight classification. The distinction between Garam, Meo, Nuri, and Hanul, which were selected as entry names in the folk Ssireum weight class contest is not consistent with its standards and scope of application, so the difference in weight class is not clearly revealed. Also the seven amateur Ssireum weight classes are too subdivided.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adjust each weight class to four general weight classes: "Boy – Young man – Young adult- Senior". Fourth, The new weight classification. The five weight classes of women's Ssireum can be classified into "Geumgang – Daedonggang – Nakdonggang – Hangang" by applying the name of the four representative rivers of Korea and if the "Cheonhajangsa" weight class is added, It can be reorganized into five weight classes the same as the men's division. In this way, standardizing Amateur Ssireum weight classes into "Boy – Young man – Young adult- Senior" , and Men’s Ssireum weight classes Taebaek – Geumgang - Halla-Baekdu ,and Women's Ssireum classes "Geumgang – Daedonggang – Nakgang - Han River" highlights the integrated title of Korea's healthy adults and stands for beautiful Korean Mountains. Through this efforts, the ranking of the Ssireum weight class names can be sorted out, and the environment of Ssireum can be changed from the intangible heritage of traditional games to the "Ssireum" as traditional sports.

      • KCI등재

        조선후기『壯勇營故事』를 통해 본 도검무예

        곽낙현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1

        본 연구의 목적은 『壯勇營故事』에 나오는 試射를 중심으로 장용영 군사들이 시행한 도검무예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壯勇營故事』에 수록된 도검무예는 총 15회의 試射에서 30회가 나왔다. 세부기예로는 馬上雙劍 8회, 馬上月刀 8회, 新劍 1회, 用劍 2회, 靑龍刀 2회, 雙劍 2회, 銳刀 1회, 倭劍交戰 3회, 提督劍 1회, 月刀 1회, 挾刀 1회 등이다. 둘째, 1790년(正祖 14) 『武藝圖譜通志』의 편찬이 완성되기 전까지는 馬上雙劍과 馬上月刀만이 실시되었다. 『武藝圖譜通志』를 편찬하는 시기인 1789년(正祖 13년)에 壯勇營에서 시행한 中日試射부터 보군에게 新劍(本國劍)을 가르치고 보급했다는 試射의 무예내용을 알 수 있었다. 실제적으로 보군의 도검무예를 전담하는 用劍軍의 군사들에게 도검무예가 보급되는 시기는 1792년의 用劍(雙手刀)의 보급부터이다. 1795년(正祖 19)년부터 『武藝圖譜通志』에 수록되어 있는 新劍(本國劍), 雙劍, 銳刀, 倭劍交戰, 提督劍, 月刀, 挾刀, 用劍(雙手刀) 등의 다양한 형태의 도검무예가 보급되었다. 셋째, 1789년(正祖 13)의 新劍을 시작으로 1792년(正祖 16)에 用劍, 1795년(正祖 19)에 靑龍刀, 雙劍, 銳刀, 倭劍交戰, 提督劍, 月刀 등 6技가 보급되었다. 1796년(正祖 20)에는 挾刀, 倭劍交戰, 靑龍刀의 3技, 1797년(正祖 21)에는 靑龍刀, 雙劍, 倭劍交戰의 3技, 1799년(正祖 23)에는 用劍 등이 보였다. 靑龍刀를 제외한 『武藝圖譜通志』에 나오는 新劍(本國劍), 雙劍, 銳刀, 倭劍交戰, 提督劍, 月刀, 挾刀, 用劍(雙手刀) 등 8技의 도검무예가 장용영 군사들에게 보급되는 것을 『壯勇營故事』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넷째, 『壯勇營故事』에 보이는 도검무예는 장용영 군사들에게 개별적으로 전수되어 각 기예에 전문적인 殺手를 양성하기 위한 조치로서 『武藝圖譜通志』에 수록된 도검무예가 활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조치는 장용영의 用劍軍처럼 도검무예를 습득하는 군사들을 전문적으로 양성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기반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武藝圖譜通志』의 도검무예들이 장용영 군사들에게 전수되고 보급된 것을 『壯勇營故事』의 試射 내용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군영자료인 『壯勇營故事』를 부각시킴으로써 전통무예단체와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조선후기 무예 자료를 제공하는 기대효과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Sword martial arts performance of Jangyongyeong focused on Sisa(test of Military martial arts Skills) in 『Jangyongyeonggosa』. The conclusion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re are 30 times of Sword martial arts in 15 times of Sisa. Details of martial art are as following 8 times of Masang Ssanggeommes, 8 times of Masang Woldo, 1 time of Singeom, 2 times of Yonggeom, 2 times of Cheongnyongdo, 2 times of Ssanggeom, 1 time of Yedo, 3 times of Waegeomgyojeon, 1 time of Jedokgeom, 1 time of Woldo, 1 time of Hyeopdo etc. Second, before complied 『Muyedobotongji』in 1790. only Masang Ssanggeom and Masang Woldo is performed. Through consideration of Jungil-Sisa(test of Military martial arts Skills) performed in Jangyongyeong. Singeom was taught and supplied to army around in 1789. Actually Sword martial art was contributed to military in Yonggeomgun(military of Yonggeom) after 1792. Various forms of Sword martial arts such as Singeom(Bongukgeom), Ssanggeom, Yedo, Waegeomgyojeon, Jedokgeom, Woldo, Hyeopdo, Yonggeom had been distributed Since 1795. Third, Starting as Singeom in 1789, Yonggeom was distributed in 1792. 6 kinds of Sword martial arts Cheongnyongdo, Ssanggeom, Yedo, Waegeomgyojeon, Jedokgeom, Woldo were distributed in 1795. 3 kinds of Sword martial arts Hyeopdo, Waegeomgyojeon, Cheongnyongdo in 1796. Cheongnyongdo, Ssanggeom, Waegeomgyojeon in 1797. Yonggeom in 1799. Through consideration of 『Jangyongyeonggosa』. 8 difference kinds of Sword martial arts Singeom(Bongukgeom), Ssanggeom, Yedo, Waegeomgyojeon, Jedokgeom, Woldo, Hyeopdo, Yonggeom(Ssangsudo) except Cheongnyongdo were distributed to the military in Jangyongyeong. Forth, Sword martial arts appeared in 『Jangyongyeonggosa』were seperately handed down to the military in Jangyongyeong. Because it was applied to train or educate experts in Sword martial arts. Due to this it is considered to be a background of fostering experts in Sword martial arts. Finally, this study reconfirms the fact that Sword martial arts in 『Muyedo- botongji』were contribute and handed down to the military in Jangyongyeong examining Sisa in 『Jangyongyeonggosa』. This study will be expected as a way of providing martial arts lessons in late Joseon Dynasty to the traditional martial arts researchers and groups.

      • KCI등재

        조선시대 무예서 언해에 나타난 무기명 고찰

        곽낙현,이현주 동양고전학회 2014 東洋古典硏究 Vol.0 No.57

        이 연구의 목적은 전통시대 무예서 언해에 보이는 무기명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글이 대상으로 삼은 무예서는 1598년(선조 31) 『무예제보』, 1610년(광해군 2) 『무예제보번역속집』, 1759년(영조 35)『무예신보』, 1790 년(정조 14) 『무예도보통지』이다. 둘째, 무예서에 나타나는 무기명은 『무예제보』에는 곤(棍), 등패(藤牌), 낭선(筤筅), 장창(長鎗), 당파(鐺鈀), 장도(長刀)의 6기,『무예제보번역속집』에는 권(拳), 청룡언월도(靑龍偃月刀), 협도곤(夾刀棍), 왜검(倭劒)의 4기, 『무예도보통지』에는 장창(長槍), 죽장창(竹長槍), 기창(旗槍), 당파(鐺鈀), 기창(騎槍), 낭선(狼筅), 쌍수도(雙手刀), 예도(銳刀), 왜검(倭劒), 왜검교전 (倭劒交戰), 제독검(提督劒), 본국검(本國劒), 쌍검(雙劒), 마상쌍검(馬上雙 劒), 월도(月刀), 마상월도(馬上月刀), 협도(挾刀), 등패(藤牌), 권법(拳法), 곤방(棍棒), 편곤(鞭棍), 마상편곤(馬上鞭棍), 격구(擊毬), 마상재(馬上才)의 24기가 실려 있었다. 셋째, 무예서에 실려 있는 24기의 무기들은 창류, 도검류, 맨손과 봉 류, 마상류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무기명은 그 당시 국어 표기로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창류는 장창(댱창, 쟝창), 죽장창(쥭 장창), 기창(긔창), 당파, 낭선의 5가지이다. 도검류는 쌍수도(쟝도, 쌍슈 도), 예도, 왜검, 왜검교전, 제독검(졔독검), 본국검, 쌍검, 월도, 협도, 등 패의 10가지이다. 맨손과 봉류는 권법(권, 권법), 곤방(곤, 곤방), 편곤의 3 가지이다. 마상류는 기창(긔창), 마상쌍검(마샹쌍검), 마상월도(마샹월도), 마상편곤(마샹편곤), 격구, 마상재(마샹)의 6가지이다. 넷째, 무예서 언해에 등장하는 창류들은 장병기의 기능을 하는 것과 보군들이 군사훈련용으로 사용하는 무기들로 나눌 수 있다. 도검류들은 단병기의 기능을 하는데, 보군들이 군사훈련용으로 사용하는 무기들이다. 맨손과 봉류들은 신 체의 손과 발을 사용하고, 봉으로 치는 기능이 있으며, 보군들이 군사훈련용으로 사용하는 무기들이다. 마상류에는 도 검, 편곤의 단병기와 창의 장병기가 있는데 마군들이 군사훈련용으로 사용하는 무기들이다. 이외에 격구와 마상재는 놀이를 가미한 유희(遊 戱) 기예도 있었다. 다섯째, 한문 무예서와 무예서 언해본의 구성상의 차이를 살펴보면 한문본 문예서 『무예제보』와 『무예제보번역속집』에는 무기의 소개와 함께 본문에서 한문과 언해를 함께 표기하는 방식이었다면, 언해본이 실려있는 『무예도보통지』는 무기에 대한 설명을 한문본으로 정리하고, 별도의 언해본 1권을 제작하여 개별 보(譜)를 중심으로 실제의‘세(勢)’ 중심의 기법위주로 군사들이 실용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설명하였다는 점이다.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weapons names mentioned in 「Unhae」, a book of traditional martial arts annotated into Korean. Comprehensiv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are as follow. First, the annotated martial arts book is compiled to the order of Muyejaebo of year 1598, Muyejaebobunyuksokjib(A annotated attachment to Mooyejebo) of year 1610, Moojesinbo of year 1759, and Muyedobotongji of year 1790. Second, in the martial arts book are a total of 24 weapons with 4 types of spears, swords, bare hands & poles, and horseback weapons. Weapon names of 「Unhae」 taken into detailed analysis, spears are 5 types of Jangchang (long spears), Jukjangchang (long spears made of bamboo), Keechang (flagged spears), Dgangpa (skewered spears), and Nangseon (forked spears). Swords are 10 types of Ssangsoodo (two-handed swords), Yedo (pointed swords), Waegum (Japanese swords), Waegumkyojun (Japanese battle swords), Jedokgum (Admiral's swords), Bongukgum (native swords), Ssanggum (coupled swords), Woldo (moon swords), Hyupdo (narrow swords), Deungpae (swords made of rattan). Bare hands & poles are 3 types of Gwonbeop (fists), 7070 Gonbang (clubs), and Pyeon-gon (flailed clubs). Horseback weapons are 6 types of flagged spears, MasangSsanggum (coupled horseback spears), MasangWoldo (horseback moon swords), MasangPyeon-gon (horseback flailed clubs), Kyukgoo (striking poles), and Masangjae (horse postures). Third, spears of the martial arts book, 「Unhae」 had the function as long weapons and were used for military drills of the infantry. Swords had the function as short weapons, and were used for military drills of the infantry. Bare hands & poles had the function as short weapons and were used for military drills of the infantry. Horseback weapons composed of short and long weapons were used for military drills of the cavalry. In addition to these, Kyukgoo (striking poles), and Masangjae (horse postures) were martial arts to which entertaining elements were added. Fourth, the difference in its compiling is that Mooyejebo and A annotated attachment to Mooyejebo place both Chinese characters and Korean annotation in the context together with introduction of weapons while Moojedobo Tongji explains weapons in Chinese and compiles a separate copy of Korean annotation that explains mainly postures in each lineage of martial arts for soldiers to acquire practical skills.

      • KCI등재

        조선후기 {紀效新書節要}에 대한 검토

        곽낙현 동양고전학회 2011 東洋古典硏究 Vol.42 No.-

        이 논문의 목적은 조선후기 선조대에 간행된 {紀效新書節要}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紀效新書節要}는 {紀效新書}의 내용 가운데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을 발췌하여 조선의 군사상황에 맞게 필요한 내용만을 새롭게 간추렸다고 볼 수 있다. 둘째, {紀效新書節要}는 명나라에서 들여온 새로운 전술체계를 조선의 군사실정에 맞게 이해하고 정리한 무예서이다. 셋째, {紀效新書節要}는 {紀效新書}의 내용을 군사조련과 진법훈련의 목적에 맞추어 하나하나 재조합하여 조선의 책으로 다시 펴냈다는 사실 자체가 새로운 군사기술을 습득하고자 했던 조선의 적극적인 자세를 재확인시켜주었다. 넷째, 조선에서 간행된 {紀效新書節要}는 {紀效新書}의 요약서임에도 불구하고 조선의 단병전술체계에 시발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점에서 조선후기 무예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Gihyosinsejeoryo published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The conclusion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Gihyosinsejeoryo is accounted of a book extracted from the Gihyosinse and summarized according to military situation in Joseon. Second, the Gihyosinsejeoryo is considred a military book that is organized and understood of a new military strategy system in Myung Dynasty in China. Third, Gihyosinsejeoryo is reconfirmed as an active position of Joseon to acquire new military skills because it is republished as a book of Joseon recombined contents of Gihyosinse with the purpose of military training and battle formation. Forth, even though Gihyosinsejeoryo is the summary of Gihyosinse, it can be given important meaning in martial art history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because it played an ground role in military strategy system in Joseon dynasty.

      • KCI등재

        분무공신 오명항 왜검 도해 분석

        곽낙현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3

        이 연구의 목적은 분무공신 오명항의 도검 그림인 왜검도(倭劍圖)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을 종합적으로 도 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명항이 하사받은 왜검의 제조국은 일본이었다. 일본 무가(武家)들이 가장 선호하여 사용했던 잎사귀 종류의 고 다이몬지(五大紋章) 계열의 문양이다. 이를 통해 도검의 제작 주체가 무장 가문과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도검의 제작 시기는 무로마치 시기에 정착되어 에도시대 후기까지이다. 제작 연대는 1728년(영조 4)의 이전 시기 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도검의 외장은 1700년대 초반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셋째, 도검의 사용용도는 의장 및 의전 그리고 전투용이다. 도검 날의 만곡도는 일본도검인 타치(太刀)의 전형적인 형태 이다. 칼집에 늘어뜨린 끈은 허리에 묶어 차는 허리띠 용도이다. 넷째, 국왕이 신하에게 하사품으로 내려 준 도검이 조선식의 도검이 아닌 최상품의 왜검이었다는 사실도 밝힐 수 있었 다. 18세기 도검의 실제유물은 아니지만 그림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하면서 도검에 대한 문화교류가 활발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현재 우리나라는 도검무예를 수련하는 인구가 많지만 도검 유물에 대한 안목을 갖고 있는 수련자들은 많지 않다. 한류가 전 세계를 흔들고 있는 이 시기에 우리 선조들이 남긴 도검 유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icture of Waegum(sword) granted to Bummu Gongsin Oh Myeonghang.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ing in these. First, Japan is the manufacture of Waegum that is granted to Oh Myeonhang. It used the most preferred design related to leaves pattern in Godaimonji system. This shows that there might be strong connection between manufacture agent and samurai family. Second, regarding of manufacturing period, it was settled in Muromachi period and continued to late Edo perio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exterior of sword in early 16th century considering manufacturing time of Waegum(before 1728). Third, the purposes of Waegum is for honor guard, protocol, and using in battle. The curvature grade is a typical example of Japanese sword Tachi. The string hanging down sheath is like a role of a belt. Forth, It is defined that this royal gift is not korean style sword but the best Japanese product. And through the picture of Waegum, There seemed to have very active cultural exchange of swords. Finally, There is a huge population of sword martial art trainee but not many as ones with discerning of relics. Nowadays Korean wave shakes up the world. The systematic study of sword relics is urgently needed.

      • KCI등재

        『무예도보통지』등패(藤牌) 기법 분석

        곽낙현 동양고전학회 2015 東洋古典硏究 Vol.0 No.58

        이 연구의 목적은 명나라의 도검무예인 등패(藤牌)의 기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등패의 기예가 실려 있는 무예문헌은 명나라의 척계광(戚繼光)이 1566년(명종 21)에 편찬한 『기효신서( 紀效新書)』, 1621년(광해군 13) 모원의(茅元儀)가 편찬한 『무비지(武備志)』, 조선의 한교(韓嶠)가 1598년( 선조 31)에 편찬한 『무예제보(武藝諸譜)』, 1790년(정조 14)에 이덕무(李德懋)⋅박제가(朴齊家)⋅백동수(白東 脩) 등이 편찬한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등 4개이다. 둘째, 등패의 대표적 자세로는 처음에 시작하는 동작의 기수세(起手勢), 앞으로 뛰어 나가는 동작의 약보세(躍 步勢), 평지에 앉아서 방어하는 동작의 저평세(低平勢), 앞으로 한 번 나아가 휘두르는 동작의 금계반두세(金 鷄畔頭勢), 몸을 뒤집어 일어나는 동작의 곤패세(滾牌勢), 눈으로 자세히 살피는 동작의 선인지로세(仙人指路 勢), 적을 공격하기 좋은 지점에서 기다리는 것으로 낮은 자세로 앉아 있는 동작의 매복세(埋伏勢), 한 발을 들 어 발을 둘러싸고 검을 휘두르고 오른쪽으로 한 걸음 옮기는 동작의 사행세(斜行勢) 등 8개 동작이다. 셋째, 등패의 동작들을 공격과 방어의 기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격기법 자세로는 약보세, 금계반두세, 곤패세, 선인지로세, 사행세의 5개 동작이다. 방어기법 자세로는 기수세, 저평세, 매복세의 3개 동 작이다. 이를 통해 등패의 도검기법은 방어보다는 공격에 치중한 도검무예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ungpae in 『Meyedobotongji』. Conclusions are as following in these. First, There are 4 martial art books containing Deungpae techniques. 『Gihyo sinseo』, 『Mubiji』 in China and 『Muyejebo』, 『Meyedobotongji』 in Korea. Second, In the representative postures are Gisoose(Raising Hand Posture),Yakbose(Leaping Posture), Jeopyungse(Low Level Posture), Kumkye Bandoose(Half Headed Rooster Posture), Gonpaese(Biiling Shield Postre), Seonin Jirose(Saint Pointing the Way Posture), Maebokse(Ambushing Posture), and Sahaengse(Inclined Walking Posture) 8 in all. Third , The attacking techniques are Yakbose, KumKu Bandoose, GonpaeseSeonin Jirose and Sahaengse 5 in all. The defending techniques are Gisoose, Jeopyunse, and Maebokse 3 in all. According to this, Deunpae techniques are considered as a kind of attacking martial art rather than defending one.

      • KCI등재

        유네스코 국제무예센터의 현황과 과제

        곽낙현 동양고전학회 2019 東洋古典硏究 Vol.0 No.7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and challenges of the UNESCO International Centre of Martial Arts. The conclusions of thi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national Centre of Martial Arts for Youth Development and Engagement under the auspices of UNESCO was launched based of 37th UNESCO General Assembly Resolution on November 16, 2013 and Korean government and UNESCO agreement on December 1, 2015. Second, the purpose of the UNESCO International Martial Arts Center is to contribute to the collection, storage and dissemination of records on martial arts from around the world to support educational and academic activities of world martial arts, the opening of traditional martial arts for youths and the compilation of a glossary of terms, and the promotion of protection and victory of martial arts, a legacy of humanity. Third, the four different areas of function and purpose of the UNESCO International Centre of Martial Arts are as follows: 1.research and knowledge sharing, 2. capacity building, 3. development of a clearing house on martial arts. 4 cooperative promotion of the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Fourth, The total number of 28 consecutive and new projects will be implemented including ten in 2017, nine in 2018 and nine in 2019 in the UNESCO International Centre of Martial Arts. The yearly particular projects are as follows: In 2017, they include an international arts seminar, UNESCO Youth Martial Arts Forum, Young Professionals Martial Arts Research Project, World Martial Arts Research Service, Martial arts School, Youth Martial Arts Toolkit, Developing world martial art network, World Martial Arts Day, the Martial arts Silk road Project and International Youth Martial Arts Camp. In 2018, the program include Martial arts experts training program, Youth martial arts project, International martial arts seminar, Northeast Asian martial arts forum, International youth martial arts camp, World martial arts research service (five Asian countries), World martial arts data exhibition, Martial arts schools and Martial arts conference in Africa. In 2019, There will be Martial arts experts training programs, International Martial arts seminars, International youth martial arts camps, International youth martial arts camps, World martial arts research, Preparation for world martial arts data exhibitions, Martial arts schools, UNESCO policy and related projects development, Decision sharing and strengthening internal capabilities. Fifth, the strategic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the UNESCO International Dance Center are as follows. First, the midium and longterm plan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it needs to secure a research position that specializes in martial arts. Third, the specialized journal should be carried out. Forth, Standardized curriculum development for adolescents should be carried out. Fifth The development of martial arts content for teenagers should be carried out. Last, UNESCO International Centre of Martial Arts should strive to preserve and promote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sociated with martial arts.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should explore ways to find various intangible human heritage sites in Africa and exchange them for the listing of the world's intangible human heritage. 이 연구의 목적은 유네스코 국제무예센터의 현황 및 과제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네스코 후원 청소년 발달과 참여를 위한 국제무예센터는 2013년 11월 16일 제37차 유네스코총회 결의 및 2015년 12월 1일 대한민국 정부와 유네스코 간의 협정을 기반으로 출범하였다. 둘째, 유네스코 국제무예센터의 설립 목적은 세계무예의 교육·학술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전 세계 국가들로부터 무예에 관한 기록 자료를 수집·보관 및 전파하는 자료센터로서의 역할, 청소년 대상 전통무예 개설서 및 용어집 편찬, 인류무형 유산인 무예의 보호 진흥 및 전승 등에 기여하는 것이다. 셋째, 유네스코 국제무예센터의 4대 기능 및 목적 분야는 다음과 같다. ①연구 및 지식공유분야, ②역량강화 분야, ③무예관련 정보처리기관 분야, ④선진국/개도국 협력증진 분야 등이다. 넷째, 유네스코 국제무예센터에서는 4개 기능 및 목적에 부합하는 사업으로 2017년 10개, 2018년 9개, 2019년 9개 총28개 사업이 연속 및 신규로 시행 또는 추진 예정이다. 연도별 세부사업은 다음과 같다. 2017년에는 국제무예학술세미나, 유네스코 청소년 무예포럼, 젊은전문가 무예연구사업, 세계무예기초조사연구용역, 무예열린학교, 청소년무예툴킷사업, 세계무예네크워크구축사업, 세계청소년무예교류의 날, 무예실크로드사업, 국제청소년무예캠프 등이다. 2018년에는 무예전문가연수프로그램, 청소년무예툴킷사업, 국제무예학술세미나, 동북아무예포럼, 국제청소년무예캠프, 세계무예조사연구용역(아시아 5개국), 세계무예자료전시회, 무예열린학교, 아프리카지역 무예회의 등이다. 2019년에는 무예지도자연수프로그램, 국제무예학술세미나, 국제청소년무예캠프, 국제무예시범단, 세계무예조사, 세계무예자료전시 준비, 무예열린학교, 유네스코정책 및 연관사업개발, 의사결정 공유 및 내부역량 강화 등이 추진될 것이다. 다섯째, 유네스코 국제무예센터의 발전을 위한 전략과제는 다음과 같다. ①중장기 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②무예전문가인 연구직을 확보해야한다. ③전문학술지 발간 사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④청소년 대상 표준화된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⑤청소년 대상 무예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⑥여섯째, 유네스코 국제무예센터는 무예와 관련된 인류무형문화유산의 보존과 진흥에 힘써야한다. 특히 아프리카 지역의 다양한 인류무형유산들을 발굴하여 세계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할 수 있는 국제교류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