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원경제지』 「섬용지」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를 통해 본 전통조경공간 설계 시공방법

        이정한,Lee, Jung-Han 한국전통조경학회 201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7 No.4

        본 연구는 과거 전통조경공간의 설계 및 시공과 오늘날 이를 유지 계승하기 위한 문화재수리 및 정비 등의 시공방법을 임원경제지 섬용지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를 토대로 서술방식, 전통조경 분야 관련 공정 추출, 시공방법을 상호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원경제지 섬용지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의 서술방식 및 전통조경 분야 관련 공정을 살펴본 결과 임원경제지 섬용지는 생활공간 전반의 시공방법을 집대성한 백과사전서로 구성요소별 시공방법의 사용처, 효과, 장·단점을 서술하고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여 전통조경공간 시공의 제도의 보급을 목적으로 삼았다.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는 문화재 수리의 공정 전반을 제시하였으며, 문화재 수리 현장에서 참고할 수 있는 일종의 지침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중 기초공사, 지붕공사, 조경공사, 담장공사 등이 전통조경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주요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전통조경공간 시공방법을 기초공사와 지붕공사, 조경공사, 담장공사 등의 공정으로 구분하여 분석해보면, 기초공사는 지반을 다지는 과정을 반복하는 방식이다. 지붕공사 중 기와지붕 조성은 서까래 위에 산자를 설치하고 기와를 쌓았으며, 초가지붕은 볏짚을 여러 다발로 묶어 차례로 지붕을 덮었다. 석판지붕은 기와 대신 얇고 넓은 돌을 사용하였으며, 너와지붕은 나무판자를, 굴피지붕은 건조시킨 굴피를 여러 겹으로 깔아 조성하였다. 조경공사는 주로 잡석다짐을 통한 포장기법과 여러 단을 조성하고 상부에 석물이나 화초나 관목 등을 식재하는 화계 시공이 주를 이루고 있고 담장공사는 쌓는 재료에 따라 흙을 다져 쌓은 토담, 돌과 진흙을 사용한 돌담, 기와로 무늬를 만든 영롱담, 널판을 벽면으로 사용하는 판장 시공 등이 도출되었다. 셋째, 임원경제지 섬용지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의 시공방법을 비교해보면, 임원경제지 섬용지는 전통공간의 신규 조성을 위한 시공방법의 표준화에 중점을 두고,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는 문화재 수리 현장의 다양성을 고려한 전반적인 시공 절차를 제공하여 시공의 범위 설정에 차이가 있다. 또한 과거 전통조경공간은 일상거주공간이었으나 오늘날에는 문화재로 지정된 곳으로서 기 구축된 시설의 유지관리 공정이 이루어지며, 관람환경 조성을 위한 시공방법이 추가되었다. 전통지식의 계승 차원에서 과거의 시공방식은 오늘날 문화재 수리에도 일정 부분 유사한 방법들이 확인되며, 일부 소재나 배합방식, 후대 추가된 시설의 구분, 효율적인 시공방식의 도입 등 전통기술을 재구성한 사례도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sign & construction methods of the traditional landscape space of the past and the repair and maintenance of cultural heritages to maintain it today. To this end, the method of narrative description, process extraction and construction related to traditional landscaping were compared to each other based on the 『Imwongyeongjeji』 「Seomyongji」 and 'Standard Specification for Repairing Cultural Heritag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o analyze at the description methods of the 『Imwongyeongjeji』 「Seomyongji」 and 'Standard Specification for Repairing Cultural Heritages' and related processes in the field of traditional landscaping. 『Imwongyeongjeji』 「Seomyongji」 was an encyclopedia of the overall construction method of the living space, describing the location, effect, an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component and presenting quantitative figures to institutionalize the construction of traditional landscaping spaces. 'Standard Specification for Repairing Cultural Heritages' presented the entire process of repairing cultural heritages, and it is becoming a kind of guide for reference at the site. Among them, foundation construction, roof construction, landscape construction, and fence construction were drawn as items that could be applied to traditional landscaping areas. Second, the traditional landscape space construction method was divided into the processes of foundation construction, roof construction, landscaping construction, and fence construction. Foundation construction is a way of repeating the process of land-tramping.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roof, the tile-roofed building was built on top of the rafters and roofed with tiles. And thatched roof was made to a number of rice straws bundles to cover the roof one after the other. Instead of tiles, the stone roof was made of thin and wide stones, and the wooden boards were used for the single roof and the bark roof were constructed with many layers of dried corrugations. Landscape construction mainly consists of the Paving technique through tramping rubble and the construction of terraced flower by planting stone, plants, and shrubs on the top. According to the building materials, the wall construction was derived from the earth-stacked earthen wall, stone walls using stone and clay, marble walls made of tile patterns, and the construction of a board wall using a wood board as a wall. Third, comparing the construction methods of the 『Imwongyeongjeji』 「Seomyongji」 and 'Standard Specification for Repairing Cultural Heritages', 『Imwongyeongjeji』 「Seomyongji」 focuses on standardizing the construction methods to create a new traditional spac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etting of the scope of the 『Imwongyeongjeji』 「Seomyongji」 and the construction because 'Standard Specification for Repairing Cultural Heritages' provides the overall construction procedure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the cultural heritages. In addition, the traditional landscape space used to be a residential space in the past, but today, the maintenance process of the already established facilities as designated cultural heritages has been carried out, and construction methods have been added to create viewing conditions. In terms of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knowledge, some similar methods were found in the repair of cultural assets today, and some cases were also confirmed in the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technologies such as application of some materials or mix, separation of added facilities and introduction of efficient construction methods.

      • KCI등재

        한(韓)ㆍ중(中) 문화교류를 통한 전통조경의 비교 연구

        펑홍쉬 ( Peng Hong-xu ),장징 ( Zhang Jing ),장치엔두어 ( Jiang Qian-duo ),노재현 ( Rho Jae-hyu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20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8 No.4

        전통조경은 선현(先賢)들이 현대사회에게 남긴 문화적 자산으로, 고대의 전통문화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대의 조경설계에도 새롭고 창의적인 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한ㆍ중 양국은 고대부터 문화교류를 통해 전통 조경문화의 계승과 보호 및 발전을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전통과 현대’ 및 '지역성과 국제성'이 서로 어우러져 발전하여 왔음은 익히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한ㆍ중 전통조경의 비교 연구를 목적으로 우선 양국 전통조경문화를 선행연구 문헌을 통해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양국의 문화적 배경을 종교사상, 전통문화, 자연관으로 나눠 해석하고 양국의 조경 역사와 원류관계를 조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ㆍ중 조경 사조(思潮)의 비교 및 전통조경의 발전과정, 한ㆍ중 조경의 예술적 공간과 경지(境地) 등 세 방향에서 분석 고찰하였으며, 양국의 전통조경의 조성 방식에 있어 차이점을 분석하고, ‘의경조성’ 및 ‘의경수법’을 구명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전통조경의 이론적 배경 및 조경의 경의성(景意性)에 대해 전통조경의 배치 및 주변 환경과 형식 그리고 전통조경의 색채 등을 명ㆍ청시대의 ‘이화원(頤和園)’과 조선 시대의 ‘경복궁(景福宮)’을 사례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ㆍ중 조경의 특징을 토대로 국제화를 위한 전통적인 조경문화의 계승과 혁신방안을 모색하였다. 한ㆍ중 조경사의 발전 추세에 따른 양국 간 문화교류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앞으로 양국 조경의 발전은 전통문화에 대한 국제 간 협력 및 지역 특색의 창조적 결합, 화이부동(和而不同)한 전통조경 환경의 조성, 다양한 문화의 다층적 상생이 양국의 우호증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raditional landscape is a cultural asset left by Seonhyeon to modern society, and it can not only understand the landscape culture of ancient tradition but also provides / provided a new creative material for modern landscape designs / designed. However, it is well known that Korea and China have a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and exchange of landscaping in a global background,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culture in a global background covers many dimensions, including protection, development and innovation, and that "traditional and modern" and "regionally and internationality" should be harmonized with each other. This study uses traditional Korean and Chinese landscaping buildings as research subjects to extract and organize related data through various channels, including basic literature research that understands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two countries. I interpreted the cultural backgrounds of the two countries by dividing them into religious ideas, traditional culture, and natural views, and highlighted the history of develop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Based on this, it analyzed the differences created by traditional landscaping between Korea and China, and also specifically analyzed the "creation of righteous army" and "the law of righteous army." In particular, this study sought to inherit and innovate traditional landscape culture fo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One Belt, One Roa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and China's landscap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elements and methods of Yihwawon of the Ming and Qing periods and Gyeongbokgung Palace of the Joseon Dynasty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landscaping and the significance of landscaping.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and exchange with landscap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presented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trend of Korea-China landscaping in the global environment. In the future, the development of landscap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expected to be key to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raditional culture, creative combination of local characteristics, creation of a harmonious landscape architecture environment, and co-prosperity of various cultures.

      • KCI등재

        문화재의 전통조경설계용역 발주실태 연구

        김민선 ( Kim¸ Min-seon ),김충식 ( Kim¸ Choong-sik ),이재용 ( Lee¸ Jae-yong ) 한국전통조경학회 202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9 No.3

        문화재 설계용역을 수급하기 위해서는 현행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 제5조(문화재수리 및 실측설계 제한)에 따라 건축사가 운영하는 문화재실측설계업자만 입찰에 참가할 수 있고, 전체 설계에서 일정 비율이나 금액의 전통조경설계가 포함된 경우 조경기술자가 제한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법의 실측설계 제한에 대한 문제점은 2010년 제정 당시부터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정부기관에서 발주한 1037건의 문화재실측설계용역을 분석하여 전통조경설계가 차지하는 규모(발주건수, 설계금액)를 파악하고, 주요 사례를 중심으로 전통조경설계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년간 문화재실측설계용역에서 전통조경설계의 발주건수는 연간 차이를 보였으나, 설계금액은 연평균 근사(近似)하게 나타나 매년 동일한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체 설계에서 3년간 조경기술자의 책임 또는 참여가 요구된 전통조경설계의 건수는 약 26%의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둘째, 전통조경설계는 건축사로 구성된 문화재실측설계업자가 대체할 수 없는 조경기술자의 전문지식과 경험이 요구되었다. 전문성은 공사의 종류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기반조성 공사를 위한 지형설계는 땅의 형상과 높낮이에 대한 이해, 토공량 계산, 유구정비기법 등에 관한 전문지식이 요구되었다. 식재공사를 위한 설계는 수목의 생육특성과 생육환경에 대한 기본지식과 과거 식생경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였다. 한편, 전통포장 및 전통조경구조물과 시설물공사를 위한 설계는 전통 재료와 가공 및 시공기법의 전문성을 필요로 하였다. 계곡, 하천 등 수체계 정비를 포함하는 생태조경공사를 위한 설계는 물길과 생태계의 변화, 유체(流體)의 원리, 유체의 유형별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었다. 이 밖에 문화재지정구역 또는 보호구역과 등록문화재 내 공원조성 및 주변정비를 목적으로 시행된 복합설계는 문화재공간의 특수성뿐만 아니라 시민들이 상시로 이용하는 공원의 기능을 충족해야 한다는 점에서 현대조경공간의 설계 능력이 겸비되어야 했다. 이처럼 전통조경설계는 전체 문화재 설계의 약 1/4을 차지하는 규모이며 설계에서 타 분야와 차별화된 전문성을 필요로 한다. 이는 현행 법령의 실측제한관련 조항을 개선하여 모든 전통조경설계를 조경기술자가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과 동시에 조경기술자가 직접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전통조경설계업체의 신설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scale that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has taken up by analyzing a total of 1037 services for design of cultural heritage that had been ordered by the government agencies from 2018 to 2020, and has draw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focusing on major ca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order cases for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has shown differences annually in the services of design of cultural heritage, but the design amount has been found to have the similar average annually, which confirmed that the same level has been maintained each year.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cases of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requiring responsibilities or participations of landscape engineers for 3 years in the entire design had a high proportion of approximately 26%. Second, the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has required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s of landscape engineers that could not be replaced by the business operator for design of cultural heritage consisting of architects. The expertise has been shown differently depending on types of construction. First, the topographical design for the work to build a foundation has required understanding of ground shapes and its elevations and professional knowledge on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the earth work and the remains maintenance technique etc. The plantation design has required basic knowledge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trees and the environment for growth and understanding of the vegetation landscape of the past. Meanwhile, the design for traditional pavement and traditional landscape structures and facilities has required the expertise on traditional material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modern ones and their processing and construction methods. The understanding of changes to water paths and ecosystem, the principles of fluid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fluid was essential for the design for the ecological landscape work including the maintenance of a water system such as rivers etc. As such, the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has a scale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one fourth of the entire cultural heritage design and requires the expertise differentiated from other fields. This improves the provisions of the current law on limiting the actual design, suggesting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company so that all traditional landscape designs can be carried out by landscape engineers.

      • KCI등재

        조경기사 필기시험 중 한국조경사 문제의 출제 경향

        소현수 ( Hyun Su So ),임의제 ( Eui Je Lim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0년간 축적된 국가기술자격검정 조경기사 필기시험 중 조경사 과목의 문항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조경사 문제의 출제 경향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제공한 출제기준은 조경사를 구성하는 다섯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에서 최근 ‘서양의 조경’에 대한 문항의 출제 비율이 낮아진 반면에 ‘한국의 조경’에 대한 문항의 출제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둘째, ‘한국의 조’에 대한 문항에서 약 30여 종의 전통수종과 11가지 유형의 전통조경 시설물이 포함되는 전통조경요소가 다루어졌다. 또한 역사서, 지리서, 실학서, 원예서, 문집 및 기타, 정원도 및 회화자료로 분류되는 전통조경 관련 기록물 25개가 제시되었다. 다음으로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궁원의 조영 시기와 관련된 왕, 별서의 조영자나 소유자, 기록물의 저자, 중국 문인으로 구성되는 인물들이 문항에 등장하였다. 셋째, ‘한국의 조경’에 대한 문항 중에서 선사시대와 발해시대에 해당하는 문제는 없었으며 조선시대에 집중 분포되었다. 이에 조선시대로 한정하여 고찰한 전통공간 사례지는 별서가 가장 많았고, 도성·궁궐, 주택, 누·정·대, 서원 순서였으며, 읍성과 사찰의 사례지는 낙안읍성과 용주사뿐이었다. 넷째, 조선시대 전통공간과 관련하여 사례지의 조성 시기, 조영자, 입지 특성, 건축 구조, 평면 형태, 정원 구성 요소에 대한 세부적 내용 파악이 요구되었다. 또한 한국조경사 교재 9권으로부터 문항에서 추출한 전통공간 사례지의 출현 여부를 검토한 결과 동춘당, 풍암정사, 십청정, 곡수대, 유상대, 심곡서원은 등장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통해서 보편성이 결여된 지엽적 사실에 대한 정보를 묻는 문제, 조경사 교재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정보와 대상지가 포함된 문제 등과 같은 한국조경사 기출문제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contemplates the tendency of the examination questions for History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The study targets the questions of ‘Landscape Architecture History’ which has been set in the written test for National Qualification Test of a landscape engineer for recent 10 years from 2005 to 2014 and derives analyzable items based on the guidelines of question-setting presented b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drawn as follows. First, among 5 areas composing Landscape History, the proportion of Korean Landscape questions is getting increased while that of Western ones is decreasing. Second, about 30 traditional trees and 11 types of traditional landscape elements including traditional facilities were shown in Korean Landscape questions. Besides, history, geographic, practical science, horticulture, anthology books and the 25 tradition landscape-related historic documents categorized as the garden painting data were found. And the kings from ancient era to Choseon Dynasty who were associated with the time of palace garden building, the builders or owners of the villas, the authors of the document and Chinese scholars also appeared. Third, there were no the questions of prehistoric times and Balhae Kingdom, whereas those of Choseon Dynasty were dominantly focused. Among the traditional sites of Choseon Dynasty, Byeolseo(villas) were set most, followed by Dosung or Gung-gweol(castle towns or palaces), houses, Nu·Jeong·Dea(pavilions) and Seowon(local schools) in order. Nak-an eupseong and Yong-ju sa were the only cases for a castle town and a temple each. Fourth, being associated with tradition spaces, the questions asked for understanding the detailed contents of time of sites` construction, builders, location features, building structures, ground plan types and the components s of garden. In addition,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raditional landscape sites were shown in the set questions in 9 Korean Landscape textbooks, Dongchundang, Pungamjeonsa, Simgogseowon did not appeare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tendency of the examination questions for History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the questions which ask minor facts without generality and which include difficult information and site uncomprehended in the textbook should be reconsidered.

      • 산업화 관점에서 본 한국 조경 태동의 특징과 정체성

        ( Se Hwan Cho ),( Yo Seob Kim ),( Joon Teack Rh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2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0 No.-

        본 연구는 한국에 조경이라는 전문용어가 처음 나타난 1970년부터 조경 태동의 산파 역할을 했던 청와대 조경담당 비서관이 존속했던 1980년까지 한국 조경의 태동기를 미국 조경 태동의 경우와 비교하여 고찰함으로써 한국 조경 태동의 정체성을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산업문명은 그 시대에 유사 이래 인류 역사에서 가장 진보된 문명으로 인식되고 있었고, 조경의 태동은 산업화와 산업문명의 켤레로서 출현한 근대화의 새로운 전문분야였다. 둘째, 한국 조경의 태동기의 정체성 파악은 미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산업화 관점에서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한국 조경 태동의 중심에는 산업화를 이루고 각별한 자연애호 사상을 가진 박정희 전 대통령(이하 박대통령)과 한국 최초의 조경가이자 대통령 조경·건설담당비서관이었던 오휘영의 역할이 있었다. 넷째, 한국 조경의 태동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 ``박대통령의 개발 독재’-``박정희 조경관’-``개발 환부에 대한 눈속임’-``화장술 조경’-``친일 행적 가리기용’ 등이 오늘날 한국 조경 문제의 근원이라는 부정적 시각은 ‘산업문명’-‘자연 개발’-‘국토 인프라 구축’-‘박대통령의 자연관’-‘국토 훼손 치유’-경제 원리-결과론적 후속 민주화-라는 새로운 관점의 긍정적 축으로 논의될 수 있었다. 다섯째, 미국 조경의 태동이 농업문명에서 산업문명으로의 전환과정에서 정원 또는 조원, 정원건축, 조경 간의 치열한 경쟁을 거쳐 조경으로 진화한 것처럼 한국 조경의 태동 국면에서도 농업화 사회에서 일제 강점기, 해방기를 거치며 산업화 사회로 전환되는 시대적 변화 과정에서 미약하지만 그 이전에 있어 왔던 조원과 경쟁을 거치며 정착되는 과정을 거쳤다. 여섯째, 한국 조경은 한국의 근세 역사에서 산업화를 통해 세계 문명국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태동되고 전개되어온 전문 분야인바, 오늘날 한국 조경의 문제는 동시대 지식창조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응하고자 하는 노력에서 그 해결책을 찾아야 할 것이 논의되었다.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fetal movement of 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from the year of 1970 that the word, Landscape Architecture, is emergent till the year of 1980 that the presidential secretary of Landscape Architecture that had lasted in government since year of 1972 by the comparison with the beginning of American Landscape Architecture.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The first, the industrial civilization has been recognized as the most evolved civilization at climax in the those days and the fetal move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s a new professional was the subjected to the industrial civilization. In America. The second, it also was analysed that identifying the fetal movement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would be discussed in the view of industrialization as like America. The third, there were two peoples, the one was the former president of Korea, Jung-Hee, Park(PresidentPark) who launched the radical industrialization, decided the decision of introduc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Korea and had deeply nature-loving world view, the other was Whee-Young, Oh, the former presidential secretary of Landscape Architecture who was the first Korean landscape architect educated in America. The forth, the negative point of views as like President Park`s the view of Landscape Architecture to deceive the citizens` eyes on the destructions of national nature`, ``the pursuing of decoration-oriented Landscape Architecture``, ``the introducing of Landscape Architecture to screen the past Japanese-friendly behavior of President Park, ``the peremptory introduc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by government that have been the roots of the all modern Korean problems`` etc. in a former research on the fetal movement in Korea in a series of negative image conceiving President Park the dictator could be retransfer to the positive points of view of ``introduction of industrialization civilization for nation wealth``, ``anavoidable nature development to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land infrastructure, ``the world view of nature-loving of President Park, ``the trying to restore and conserve the nature and national land``, ``the national economic success leading to the democratization`` in Korea, there after. The fifth, 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has been also settled down in self-organization process through the competition with the gardening based o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s of Korea as like America did during the transformation process from agricultural society to industrialization society in the varies professional names of Gardening, Landscape Gardening, Garden Architecture. The sixth, as the fetal movement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was introduced in the era of industrialization process to be the advanced world civilization country in modern history of Korea, the problems that the Korean Landscape Archi tecture is confronting now-a-days would be searched in a new way of trying to adapt to the new paradigm of the knowledge-creative society of 21st century.

      • 일본조원학회의 근대조경유산 보전 활동에 관한 연구

        ( Park Jin-wook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8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6 No.-

        연구는 우리나라 근대 조경유산 보전의 체계적인 활동을 위하여 일본 조원학회의 근대 조경유산 보전에 관한 활동을 문헌과 인터뷰 조사를 통해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한 것이다. 그 결과, 일본 조원학회의 근대조경유산 유산 보전활등은 크게 3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1989년부터 1997년까지에 학회에 조경유산 보전위원회(ランドスケ一プ遺産保全委員會)가 설치되는 등 학회 차원에서의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한 ‘시작단계’, 1998년부터 2009년까지 학회에 조경유산 연구 위원회(ランドスケ一プ遺産究委員會)를 설치하고 5회에 걸친 분과회를 실시하는 등 근대조경유산을 보전하기 위하여 본격적으로 다양한 학술활동을 한 ‘준비단계’, 마지막으로 2010년부터 지금까지 학회 90주년 기념사업으로 조경유산 인벤토리 작성 위원회(ランドスケ一プ遺産インベントリ一作成委員會)를 설치하고 각 지부가 중심이 되어 일본 전국의 조경유산을 조사하여 공표하고, 조경유산의 보전을 위하여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 ‘활동단계’이다. 준비단계에 해당하는 2001년부터 2006년까지는 학회 분과회 활동을 통해서 근대조경유산을 조경학이라는 학문적 관점, 법과 제도적 측면, 시대적 변화와 조경학의 변천 등을 다양한 관점에서 사례를 중심으로 심도 있게 다루었다. 그 결과 ‘근대 조경유산보전’이라는 관점에서 ‘조경유산’이라는 관점으로 확대되었다. 또한, 분과회 등의 학술활동을 통하여 근대에 태동한 조경학이라는 학문에 대한 근본적 고찰과 시대적 변화 속에서의 조경학의 사회적 역할 등을 다양한 시점에서 포괄적으로 재조명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며, 이를 기록하여 학회지에 남김으로서 후속세대에게 학문적 메시지를 전달하고 학문의 연속성을 확보하였다는 점은 우리에게 시사점을 준다. 더욱이, 이러한 학회차원의 활동이 외부 연구지원이 아닌 학회의 학술활동으로 이루어졌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The present study is intended to draw an implication from landscape heritage conservation activities of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JILA) via literature survey and interviews. In consequence, the modern landscape conservation activities of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First of all, the beginning phase was between 1989 and 1997. In the phase,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established the Landscape Heritage Conservation Committee, showing its first academic-society-level actions. Secondly, the preparatory phase was between 1998 and 2009. A variety of academic activities were conducted during the phase, and the activities included establishment of the Landscape Heritage Research Committee and five subcommittees. Lastly, the activity phase was initiated in 2010. The Landscape Heritage Inventory Composition Committee was established in the year and has been active since then, conducting researches on landscape heritage in Japan and publishing the results. The local branches of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seized the initiative when the researches were conducted, and it systematically performed the activities. Between 2001 and 2006, the preparatory phase, a variety of case studies were performed to deal with modern landscape heritage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academic, legal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s. Consequently, the concept of modern landscape heritage conservation was expanded to the concept of landscape heritage in terms of conservation activities. This shed new light on the rol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the society and led to a deeper consideration on the fundamentals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fact that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delivered academic messages and secured the sustainability through documentation and publication of the results of the activities without external financial support has a critical implication for us.

      • KCI등재

        AHP기법을 활용한 韓中(한중) 전통마을의 자원중요도 평가항목 비교

        임광순 ( Guang Chun Ren ),왕애하 ( Ai Xia Wang ),김태경 ( Tae Kyung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3

        본 연구는 전통마을 보전과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자원 평가기준 및 한국과 중국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전통마을 자원 중요도 차이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두 나라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전통마을 자원에 대하여 AHP기반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평가항목은 전통마을 자원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 도출을 목표로 3계층으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Level 1에서는 자연자원, Lavel 2에서는 환경자원, 역사자원, 시설자원, Lavel 3에서는 공기, 지형, 전통주택, 농업경관, 공동생활시설, 도농교류활동, 씨족활동 등의 인자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과 중국 두 그룹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한 인자는 동일하게 나타났다. 평가항목별 종합적인 중요도는 공기, 수질, 소음, 전통주택, 지형, 공동생활시설 등 인자가 한국과 중국 두 그룹에서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통마을은 문화자원요소들을 보전해야 한다는 필연성을 의무처럼 가지고 있지만 질 좋은 자연환경의 관리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과 중국 전통마을 자원의 중요도에 대한 비교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전통마을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자원별 순위와 배점을 산출함으로써 두 나라 전통마을 자원 평가 시 정량적인 데이터 결과를 각각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conducted the survey on the resources of traditional villages based on AHP in the subjects with the specialists in Korea and China to seek the resource evaluation standards to apply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villages, and the differences of the importance on the resources among the specialists in both countries. We classified three levels of evaluation items to aim the deductions of the importance and priority in the resources of traditional villages. Upon the analysis results, natural resources were important in the level 1; environmental, historical, facility resources were important in the level 2; and the factors such as air, topography, traditional houses, agricultural landscape, shared community facilities, interchang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family activities, and so on were important in the level 3. The factors that both Korean and Chinese groups evaluated as the most important ones were the same. In terms of overall importance by evaluation items, the factors such as air, water quality, noise, traditional houses, topography, shared community facilities, and so on were rated as relatively important in both Korean and Chinese groups. That is, the traditional villages have the necessity to preserve the cultural resources like their duties, however, it is required to control the natural environment with good quality preferentially. This study results can compare the importance on the resources of traditional village between Korea and China. Moreover, with calculation of the priority and scores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raditional villages, they are expected to be used as the tool to apply the quantitative data in the evaluation process of traditional village resources in both countries.

      • KCI등재

        고문헌을 제재(題材)로 한 전통경관연구의 경향분석

        김묘정 ( Kim Myo Jung ),정기호 ( Jung Ki Ho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는 최근 10년 동안 고문헌을 제재로 한 전통경관연구의 경향을 파악하여, 고문헌자료 활용에 있어 전통경관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전통경관연구의 경향분석을 위해 2002년부터 2012년까지의 한국전통조경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을 조사,분석하여 전통경관연구의 고문헌자료 활용을 고찰하였다. 고문헌을 통한 연구논문의 수량은 2009년까지 한해에 2~3편 정도인 것이 2010년부터 8편 이상으로 많아졌다. 고문헌 자료의 활용경향은 국역본을 사용하거나 개인문집의 일부를 번역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원문사용에 있어서도 간혹 번역문만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원문번역에 대한 고증부분이 미진한 점도 나타났다. 결과에 의해 전통경관연구의 방향을 아래와 같이 제안해 볼 수 있다. 원문의 효율적인 이해나 검증을 위해 원문과 번역본을 같이 제시하고, 번역의 출처도 명기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현황을 기록한 기문인 경우에는 조경 및 경관의 전문성이 갖추어진 번역 역시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고문헌 자료의 분석에 있어서도, 시문과 기문 등을 병행한 전통경관 분석은 풍부한 자료로 인해 경관의 위치 및 장소 추정이 용이하므로, 기문 등을 근거로 연구의 기초를 잡은 후, 보완적으로 시문을 활용하는 등의 연구접근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ndency of the research on the traditional scenery architecture based on the old literature for the last 10 years and to suggest direction of the research on the traditional scenery through utilization of the old literature. For the tendency analysis of the research on the traditional scenery, I investigated and analyzed research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between 2002 and 2012, and reviewed the utilization of the old literature about research on the traditional scenery. The number of the research papers through the old literature was two or three a year by 2009, but has increased to more than eight from 2010. The utilization tendency of the old literature was mostly to use the Korean translations or to use a collection of an individual`s works after partially translating. As some of the researches were carried out only through translations even when they used the original, historical evidence on the translation of the original was insufficient. I can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on the traditional scenery by the results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present both translation and the original and to specify the source of translation, for the efficient understanding and verification of the original. Professional transla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scenery also seems to be necessary for the records of the current state. For the analysis of the old literature, as the analysis of the traditional scenery both through poetry and records facilitates assumption of the location of landscape by the abundant data, it seems to be necessary to approach research, using poetry and prose complementarily, after preparing foundation of research based on the records.

      • KCI등재

        한국전통정원 해외조성을 위한 정원보급 유형 제안 -공공 공간에 적용될 정원을 대상으로-

        권진욱 ( Jin Wook Kwon ),박은영 ( Eun Yeong Park ),홍광표 ( Kwang Pyo Hong ),황민하 ( Min Ha Hwang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는 한국전통정원을 해외에 조성하기 위한 보급 및 활성화의 일환으로 한국문화 즉 전통정원의 정체성을 정립하며, 해외에 거주하는 한국인과 자국민들로 하여금 한국전통정원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는 보편적 실현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한국전통정원이 해외에 조성될 때 개별성을 가질 수 있는계획 및 설계에 대하여 최소한 지침을 마련하고, 계획가들이 고려하여야 할 방향성을 수립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해외에 조성되는 한국전통정원의 유형은 조성목적과 실현되는 공간의 규모에 따라 형식적 다양성을 지니기도 하는 데,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것은 한국적 경치에 어울리는 정서를 담아야 하고, 누구에게나 인지되고 이해 가능한 설계언어를 내포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한 한국전통정원을 해외에 보급하기 위한 공간 기본유형은 ‘전시(박람회)형’, ‘정원형’, ‘공원형’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본유형은 정원 조성 시 목적에 부합되는 특성별 프로토타입에 해당하며, 공간 규모적 측면을 고려할 때 전시(박람회)형의 모형을 구성의 최소단위로 설정하며, 도입 기본시설로는 ‘수목’, ‘정(정자)’, ‘방지(池)와 원도’, ‘화계’, ‘담장’ 등의 요소를 권장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한국전통정원의 해외 조성을 위한 계획 및 설계의 기초자료로써 활용의 의미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and develop a universal way for overseas Koreans and foreigners to have an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as part of efforts to distribute and promote the overseas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developing planning and design guidelines to ensure that traditional Korean gardens have individuality when they are established overseas and on establishing directional rules for planners. Although traditional Korean gardens may vary in form according to their purposes and spatial scale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y should incorporate emotions that are well-matched with Korean landscapes and that their design language should be easily recognizable and understandable to everyone. The basic spatial types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for overseas establishment, which are presented in this study, include the exhibition(fair) type, the garden type and the park type. These basic types serve as prototypes that correspond to the purposes of the gardens. In consideration of the spatial scale, the exhibition(fair) type is set as the minimum unit for composition, and suggested basic facilities include trees, a well, a pond and an island in the pond, flower beds and f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as basic information for planning and designing traditional Korean gardens for overseas establishment.

      • 국가정책 및 산업 동향을 통해 본 조경 산업의 전망과 인력양성 방안

        ( Kim Kyou-sub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20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8 No.-

        본 연구는 조경관련 산업 동향 및 인력양성 현황, 국가정책을 분석하고,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해 조경산업의 발전전망 모색과 관련 인력양성을 위한 방안을 도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조경산업 관련 국가정책은 한국판 뉴딜정책(그린뉴딜)의 중점사업으로 미세먼지 차단, 생태환경 보호, 공공녹지 제공, 첨단기술 적용 신산업 분야,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핵심기반 시설의 조성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 정책으로 조경산업은 탄소 흡수원 확보를 위한 대표적 수단이 되며, 4차 산업혁명에 부응한 드론 활용, 가상공간 시뮬레이션, 스마트 기술 적용 조경시설물 도입, 효율적 조경관리 서비스, 스마트 공원 조성 등이 추진되고 있었다. 둘째, 조경분야 산업동향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2015년 이후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세부적으로는 종합조경공사업이 회복추세에 있고, 설계분야와 조경관리 분야는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편, 조경직종 인력 양성은 국내 59개 학교의 조경학과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장에 필요한 실질적 교육이 사전에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확인된다. 조경기능사의 경우 타 분야에 비해 전문가의 충원이 미진한 실정이며, 전문자격 취득자의 연령이 점차 고령화되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셋째, 조경분야 산업은 국가기간산업으로서 조경산업이 확장되고 있어 긍정적 전망이 도출되었다. 조경건설업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조경산업의 시장확대, 미세먼지와 기후변화의 악화 등의 사회적 현상은 국가적 정책과 예산지원의 증대, 산업인력 수요의 증가로 이어질 것이다. 또한 4차 산업혁명 및 한국형 뉴딜정책의 확대 시행은 조경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조경 전문인력은 신기술 확대 및 관련 분야 전문가의 집중적 양성 및 현장 배치의 선순환적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현장 맞춤형 교육은 산학연 연계협동체계를 강화하고, 연령별 격차를 줄이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하며, 새로운 조경영역에 대한 발굴 및 교육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landscaping-related industries, manpower development status, and national policies, and sought the development prospects of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ies through gathering expert opinions, and drew measures to foster related manpower.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national policy related to the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is a major project of the Korean-style New Deal (Green New Deal), which can contribute to the protection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the provision of public green land, the new industries with advanced technology, and the creation of the core infrastructure needed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In addition, the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has become a representative means of securing carbon sinks, and in respons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rone utilization, virtual space simulation, introduction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facilities with smart technology, efficient landscape architecture management services, and smart parks were being promoted. Second, looking at industrial trends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overall, has been on the decline since 2015, but in detail, the comprehensive landscape architecture project is on the recovery trend, and the design and landscape architecture management sectors are gradually increasing. Meanwhile, training of landscape architecture manpower is conducted at 59 schools in Korea, but the problem is confirmed that practical training required for the field is not conducted in advance. In the case of the Craftsman Landscape Architecture, the number of experts is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fields, and the age of professional license acquisitor has been confirmed to be aging. Third, the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has a positive outlook as the landscape industry is expanding as a national key industry. The landscape architecture construction industry is showing steady growth, and social phenomena such as the expansion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s market, worsening fine dust and climate change will lead to increased national policy and budget support, and increased demand for industrial manpower. Furtherm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xpansion of the Korean-style New Deal is affecting the entire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new technologies, intensively train experts in related fields, and to have a virtuous cycle of field staffing in relation to landscape architecture manpower. In addition, measures to strengthen th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system, narrow the age gap, and discover and educate new landscape architecture field should be considered for on-site customize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