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구조적 토픽 모델링(Structural Topic Modeling) 기반한국 지방재정 연구동향 분석

        엄태호,홍기혜,이태천 한국행정학회 2023 韓國行政學報 Vol.57 No.4

        This study started from the recognition that there was not only a lack of previous studies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local public finance, but also a lack of methodological discussion in public administration. To complement this, we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in local public finance using Structural Topic Modeling (ST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 19 topics were identified, and the rate of traditional local public finance topics was high overall, but trending downward. On the other hand, research on more specific and targeted topics showed a gradually increasing trend. 2) The topics that had been recently increasing were local debt, decentralization, fiscal soundness, and local education finance. Since these topics were related to the disappearance of local governments due to population decline, this is expected to be a subject of intense research interest in the future. 3) Regression analysis with publication time and the ruling parties as an explanatory variable confirmed a time-series linear relationship for eight topics and showed a variation according to the ruling parties in five topics. 4)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which indicated that certain topics might co-occur in a paper, provided useful information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local public finance research.

      • KCI등재

        한국조사연구학회 발표 논문 내용분석, 1999∼2019년: 학문분야‧방법론‧연구대상‧ 데이터분석기법의 지속과 변동

        설동훈,고재훈,유승환,이기재 한국조사연구학회 2020 조사연구 Vol.21 No.1

        This paper reviews research outputs in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KASR) 1999-2019, and identifies the topic trend in survey research in Korea. To this end, we collected full text of all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presented in its official journal, conference proceedings, and tutorial lectures of the KASR. We conducted the analyses in two steps. First, using classical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we catorized the total of 1,190 papers in four dimensions: disciplines, methodologies, research objects, and techniques of data analysis. Second, we also applied computer-assisted content analysis-Structural Topic Model (STM)-to the text corpus of 1,145 papers, which is a large and structured set of texts. The results of the STM analysis revealed 87 topics in 1999-2019. We conducted Spearman rank-order correlation analysis using data of the weights of the 87 topics by each year, and divided into three distinctive periods: 1999-2004, 2005-2012, and 2013-2019. We presented each topic with five key words by the three periods in the four dimensions. We discussed continuation and change in the focus topics at each dimension and identified the trajectory of survey research in Korea. We identified the growth, continuation, and decline patterns of each topic: (1) the diversity of disciplines has increased, (2) in terms of methodology, more papers have been published/ presented applying statistical analysis rather than research on the method itself, (3) in terms of research objects, mor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society than on statistics itself, and (4) in terms of data analysis techniques, advanced statistical techniques have been more increased. 이 논문은 한국조사연구학회가 창립된 1999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조사연구학회에서 출판‧발표된 모든 논문의 전체 텍스트 내용을 분석하여 국내 조사연구의 변동 양상을 포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조사연구≫ 게재 논문, 정기학술대회 발표 논문, 특별심포지엄 및 세미나 자료집 수록 논문을 빠짐없이 수집하였고 두 단계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 ‘고전적 계량 내용분석’을 통해, 학문분야‧방법론‧연구대상‧데이터분석기법의 네 차원에서 총 1,190개의 논문을 분류하였다. 둘째,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화된 텍스트 분석’의 하나인 ‘구조적 토픽모델’(Structural Topic Model: STM)을 1,145개 논문의 말뭉치(text corpus)에 적용하였다. 1999∼2019년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87개 토픽을 발견하였고, 연도별 각 토픽의 비중을 데이터로 삼아 스피어만(Spearman) 순위상관관계 분석을 진행하여 그 순위가 유사한 연도들을 묶어 1999∼2004년, 2005∼2012년, 2013∼2019년의 세 시기로 구분했다. 토픽을 다섯 개의 핵심단어로 요약하여, 네 차원별로 세 시기씩 제시하였다. 학문분야‧방법론‧연구대상‧데이터분석기법의 네 차원에서 연구 초점의 지속과 변동을 설명하였고, 각 토픽의 성장‧지속‧쇠퇴 형태 분석을 통해, 국내 조사연구의 발전 궤적을 파악하였다. 첫째, 학문분야의 다양성이 증가해왔다. 둘째, 방법론에서는 조사방법 자체에 관한 연구보다는 통계 분석기법을 적용한 논문이 증가해 왔다. 셋째, 연구대상에서는, 최근으로 올수록 연구방법 자체에 관한 연구보다는 통계적 분석을 적용하는 논문이 더 많이 발표되고 있다. 넷째, 데이터분석기법에서는 고급통계기법을 사용한 논문이 점점 늘고 있다.

      • KCI우수등재

        한국과 미국의 동맹관념 변화에 관한 연구: 구조토픽모델(STM)을 중심으로

        성기은,신성균 한국국제정치학회 2023 國際政治論叢 Vol.63 No.3

        6.25 전쟁 휴전 직후 한국과 미국은 동맹 관계를 형성하고, 70년 동안 이 관계를 관리하며 유지해 왔다. 본 연구는 탈냉전기 국제체제 및 동맹 구성국의 상대적 힘의 변화라는 동맹 관계 유지에 부정적인 조건에도 불구하고 동맹이 유지되는 현상에 의문을 갖고 동맹 유지 및 동맹 변화의 원인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했다. 구조의 변화가 객체의 관념에 영향을 준다는 구성주의 프레임을 한미동맹의 변화에 적용했다. 담론분석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양국이 공유하는 동맹 관념이 담겨있는 문서의 맥락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추적했다. ‘한미안보협의회의’ 공동선언문 53건의 문서에 나타난 텍스트 정보를 활용하여 자연어 분석의 한 종류인 ‘구조토픽모델(STM: Structural Topic Model)’ 분석을 통해 냉전기와 탈냉전기 양국이 공유하는 동맹 관념에 구조적 차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분석의 결과 냉전기에는 ‘동맹 관계의 유지’라는 맥락이 가장 중요한 동맹 관념이었고, 탈냉전기에는 ‘협력의 장기적강화’라는 맥락이 가장 중요한 관념임을 발견했다. 관계 유지에 불리한 물질적 조건 에도 불구하고 동맹 구성국이 공유하는 관념의 변화가 동맹 관계에서 파생하는 군사적 권위와 자원 배분의 변화를 이끌었으며, 이를 통해 관계가 유지 및 강화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auses of the enduring alliance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which celebrates its 70th anniversary in 2023. Despite significant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order and relative capabilities of the two countries, the alliance has persisted. This study explores why the alliance has endured, focusing on shared ideational factor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Applying a constructivist framework, we hypothesize that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have influenced the two countries’ ideas about the alliance, which in turn have led to changes in military authority and resource allocation. To test this hypothesis, we analyze 53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SCM) documents, which contain agreed resolutions generated by annual con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Using the Structural Topic Model(STM), we find that while the main ideational theme during the Cold War era was “maintaining the alliance,” in the post-Cold War era, it has become “strengthening long-term cooperation.”

      • KCI우수등재

        한국사회학회와 사회학연구, 1964-2017년: 한국사회학회 발표 논문의 연구분야별 내용분석

        설동훈,고재훈,유승환 한국사회학회 2018 韓國社會學 Vol.52 No.1

        This paper reviews research outputs in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KSA) 1964- 2017, and identifies the topic trend in the research areas of sociology in Korea. To this end, we collected full text of all the available research papers published/presented at the KSA and analyzed those by dividing into three categories of time spans: 1964-1979, 1980-1999, and 2000-2017. The areas of sociology in Korea are divided into sixteen categories by referring to the Academic Research Area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Panels in Annual Meeting of the KSA. We conducted the analyses in two steps. First, using classical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we classified the total of 4,317 papers into one of the sixteen areas of sociology, and found the changing pattern of research areas. Second, we also applied computer-assisted content analysis‒Structural Topic Model(STM)‒to the text corpus of 4,317 papers, which is a large and structured set of texts. The results of the STM show that the number of topics is 71 in 1964-1979, 65 in 1980-1999, and 74 in 2000-2017. We presented each topic with three key words by each area of sociology. We also conducted text network analysis. Through the analysis of one-mode networks among topics in each area of sociology for each of the three eras, we presented links among the topics. In addition, since there are lots of cases in which a certain topic at a specific era appears simultaneously in several research areas of sociology, we also conducted two-mode network analysis. Through the analysis of two-mode networks among areas of sociology and topics, we found that specific clusters are composed of several areas of sociology in each era. This paper shows the growth, continuity and decline of sixteen areas of sociology, and the changes in research focus in each area of sociology in Korea during the period of 1964-2017. 이 연구는 1964-2017년 한국사회학회에서 출판·발표된 모든 논문의 전문 텍스트 내용을 분석하여 한국 사회학의 연구분야 변동의 양상을 포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분석 대상 시기는 1964- 1979년, 1980-1999년, 2000-2017년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고, 사회학의 세부 연구분야는 ‘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분야 분류 표’와 ‘한국사회학대회 정기사회학대회 세션 분류’ 등을 참조하여 16개로 나누었다. ‘고전적 계량 내용분석’에 의해 4,317편의 논문을 16개 연구분야 중 하나로 분류하여, 각 연구분야의 성장·지속·쇠퇴 형태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전체 논문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화된 텍스트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모델’ 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산출된 토픽의 개수는 1964-1979년 71개, 1980-1999년 65개, 2000- 2017년 74개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토픽들을 세 개의 핵심단어로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연구분야별 토픽의 시기에 따른 변동 분석을 통해, 각 연구분야의 성장·지속·쇠퇴의 방향을 확인하고, 각 분야에서 연구초점이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설명하였다. 연구분야별·시기별로 토픽들의 일원연결망 분석을 수행하여, 토픽들 간의 연결 방식을 파악하였다. 또한 특정 시기의 어느 한 토픽이 여러 연구분야에 등장하는 사례가 다수 발견되므로, 시기별로 ‘연구분야와 토픽 간 이원연결망’ 분석을 아울러 수행하였다. 이원연결망 분석을 통해, 공통의 토픽을 가진 연구분야들의 집락이 생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논문은 한국 사회학의 16개 연구분야의 성장·지속·쇠퇴 형태와 더불어, 각 분야에서 연구 초점의 변화 양상을 보여준다.

      • KCI등재

        구조적 토픽 모형을 활용한 언론의 사회적기업 관련 담론 분석

        강현희,백영민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2022 사회적기업연구 Vol.15 No.2

        This study analyzed the discourse on social enterprises described in media through the media reports that affect the public perception of social enterprises, and sought ways to raise public awareness of social enterprises. To this end, articles about social enterprises produced by daily newspapers and economic newspaper for 25 years from 1997 to 2021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topic modeling (STM). The optimal number of latent topics based on data was 37. The results of STM showed that media focused on introducing discourse referring to the activities of funding sources, such as major conglomerates and local governments, and also played a role in constructing discourse on creating a social enterprise ecosystem. In addition, we conducted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s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opic prevalence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related to social enterprises. Regarding discourse on activities of funding sources, the topic prevalence for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s a whole showed an increasing trend, while the topic prevalence for social enterprise showed a decreasing trend. Topics representing the discourse on social enterprise ecosystem creation appeared steadily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Furthermore, we identified that topic prevalence of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was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most topic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public organizations are mentioned in the articles, topics of discourse on ecosystem creation and discourse on activities of public funding sources appeared. On the other hand, when private organizations appeared in the articles, topics of discourse on activities of private funding sources appeare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media discourse on social enterprises, implications to raise awareness related to social enterprises and limitations of research were presented and future research topics were proposed. 본 연구는 일반인들의 사회적기업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언론보도기사 분석을 통해 국내 언론에서 묘사되는 사회적기업 담론을 분석하는 한편, 이에 기초해 사회적기업에 대한 인식 제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요 종합일간지와 경제지가 1997년부터 2021년까지 25년간 생산한 사회적기업 관련 기사를 구조적 토픽 모형(STM)을 활용해 최초로 분석하였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최적의 잠재토픽 개수는 총37개, 유의미한 토픽 개수는 34개로 나타났다. STM 분석 결과, 국내 언론은 무엇보다 대기업, 지자체 등사회적기업 지원 주체의 활동을 언급하는 담론을 소개하는데 집중하였으며, 아울러 사회적기업 생태계 조성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는 역할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기업 관련 제도화 과정에 따라잠재토픽의 등장 확률을 분석한 결과, ʻ지원 주체 중심ʼ 담론 중 지원 대상이 사회적경제조직 전체인 잠재토픽들은 증가 추세를 보인 반면, 사회적기업 지원에 대한 잠재토픽들은 감소 추세를 나타냈다.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제도 구축·개선 등 ʻ생태계 조성 중심ʼ 담론을 대표하는 잠재토픽들은 시기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고 꾸준하게 등장하였다. 기사에 등장하는 조직 유형별 잠재토픽 등장 확률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토픽에서 공공 조직과 민간 조직의 발현 확률은 반대 방향이었다. 그리고 공공 조직이 기사에 등장할 때는 생태계 조성 담론과 공공의 지원 주체 중심 담론에 대한 잠재토픽이, 민간 조직이 언급될때는 민간의 지원 주체 중심 담론을 나타내는 잠재토픽이 주로 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 담론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사회적기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 방안, 현 지원 정책 개선 등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고 후속 연구 주제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미래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방향에 대한 중학교 구성원의 요구: 구조적 토픽 모델링을 중심으로

        김혜숙,신안나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3 중등교육연구 Vol.71 No.3

        본 연구는 중학교 미래 교육과정의 구성 및 운영 방향에 대한 학교 구성원인 교사, 학생, 학부모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학교 교사 1,534명, 학생 6,878명, 학부모 12,894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개방형 설문조사 응답에 대해 키워드 분석과 구조적 토픽 모형(Structural topic model: STM)을 적용하여 교육 주체별 요구사항의 주요 내용을 확인하고 집단별 차이를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서, 첫째, 키워드 빈도분석 결과, 세 집단에서는 모두 ‘인성’, ‘교과’, ‘수업’ 등이 공통으로 강조되었으나, 교사 집단은 ‘자유학기’, ‘정보’, 학생 집단은 ‘진로’, ‘평가’, 학부모 집단은 ‘교사’, ‘평가’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부각되었다. 둘째, 전체 집단에 대한 토픽 분석 결과, 토픽 출현율 순으로 제시하면 ① 기본 소양(19.8%), ② 입시제도 및 공교육(19.2%), ③ 온라인 및 대면 수업(17.8%), ④ 진로 및 교과 연계(14.9%), ⑤ 학생 평가(14.3%), ⑥ 창의 및 디지털 교육(14.0%) 순으로 6가지 토픽이 도출되었다. 셋째, 집단별로 토픽 출현율을 분석한 결과, 교사 집단에서는 ‘창의 및 디지털 교육’, ‘입시제도 및 공교육’이, 학생 집단에서는 ‘진로 및 교과 연계’, ‘학생 평가’가, 학부모 집단에서는 ‘기본 소양’, ‘입시제도 및 공교육’ 토픽이 가장 빈번히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토픽을 토대로 교육과정의 변화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eds of educational stakeholders regarding the future middle school curriculum. Keyword analysis and the Structural Topic Model (STM) were applied to the data gathered from an open survey with 1,534 teachers, 6,878 students, and 12,894 parents in order to examine the main needs issues for each stakeholder group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keyword frequency analysis, the three groups commonly emphasized “personality”, “subject”, and “class”. However, the teacher group showed a relatively higher emphasis on “Free Semester” and “information”, while the student group focused more on “career” and “evaluation”. The parent group emphasized “teacher” and “evaluation”. Second, six topics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STM, according to the topic appearance rate order: ① basic competency (19.8%), ② college entrance exam system and public education (19.2%), ③ online and offline classes (17.8%), ④ career and connecting with subjects (14.9%), ⑤ student evaluation (14.3%), and ⑥ creativity and digital education (14.0%). Third, when comparing the topic distribution among groups, the teacher group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topics related to “creativity and digital education” and “college entrance exam system and public education”. The student group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topics related to “career and connecting with subjects” and “student evaluation”. On the other hand, the parent group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topics related to “basic competency” and “college entrance exam system and public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direction of curriculum changes was discussed to meet the needs of stakeholders in the school.

      • KCI등재

        젠더의 정치화: 20대 대선 기간 젠더 보도는 정치권의 전략인가, 남녀별 연대의 결과인가

        이지화,안도현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3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8 No.3

        2022년 3월 9일 치러진 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20대가 ‘캐스팅보트(Casting Vote)’라 할 정도로 이들 세대 간 성별을 가르는 젠더 쟁점이 중요한 의제로 부각되었다. 또한, 젠더 쟁점은 사회적 담론을 지속 생산하며 세대 간의 균열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아래 본 연구는 20대 대선 기간 동안 젠더 이슈가 어떻게 작동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대선 기간 ‘젠더’ 관련 보도를 수집하고 키워드를 확인한 후, 젠더 이슈 언론 보도의 토픽을 구조적 주제 모형(STM)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어 젠더 관련 보도가 보수와 진보라는 정파성에 따른 차이는 없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총 1,592개의 젠더 관련 기사가 수집되었으며 총 36,362 개의 키워드가 사용되고 있었다. 상위 키워드는 여성, 후보, 국민, 대선 등의 정치적 단어가 사용되었다. 토픽 모델링을 통해 도출된 토픽은 ‘젠더 갈등’, ‘대통령 선거’, ‘정부 정책’, ‘사건사고 등 범죄’로 총 4가지로 구성되었다. 이어 각 토픽에 따른 언론 보도의 정파성에 대한 차이를 살펴본 결과 ‘대통령 선거’와 ‘사건사고 등 범죄’ 등 두 주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대통령 선거 관련 의제에서 젠더 이슈는 정치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대선 전후로 젠더가 정치화된 근본적인 이유를 살펴보고 함의와 개선점을 논의하였다.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held on March 9, 2022, put gender issues at the forefront of the agenda, with the 20's said to be the ‘casting vote’ between the generations. Gender issues also continue to produce social discourse and create generational divide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examines how gender issues were operationalized during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First, we collected coverage of ‘gender’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identified keywords, and identified the topics of the gender issue media coverage through a structural topic models (STM) analysis. We then examined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gender- related coverage based on partisan affiliation between conservatives and liberals. As a result, a total of 1,592 gender-related articles were collected, with a total of 36,362 keywords used. The top keywords were political words such as women, candidate, people, and presidential election. In addition, four topics were derived through topic modeling: ‘Gender conflict', ‘Presidential election', ‘Government policy', and ‘Crime, including accidents and incidents'. We then examined the differences in partisanship of media coverage according to each topic, and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wo topics: ‘Presidential election' and ‘Crime, including accidents and incident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politicization of gender issues within the presidential election agenda. Throughout our study, we delve into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is politicization, both preceding and follow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present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ostering constructive discourse.

      • KCI등재

        구조적 토픽 모델링 기반 스마트 시티 연구 동향 분석

        박한샘(Hansaem Park),김동현(Dong-Hyun Kim),장성주(Seongju Chang)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9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9

        In this paper, the 12,400 datasets of smart city-related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SCOPU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Structural Topic Modeling (STM). As a result, 15 topics (“Machine Learning”, “Network Performance”, “Waste Disposal”, “Air Quality”, “Energy Management”, “Intelligent Context Recognition”, “Big Data Analytics”, “Cloud Computing”, “IoT & Security”, “Social Media”, “Sustainable Urban Planning”, “Intelligent Traffic System”, “Healthcare”, “GIS”, “Disaster Management”) were derived. In order for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each topic, we used the topic proportion of topics to classify hot/cold topics. Research fields such as machine learning and IoT are represented by hot topic. On the other hands, social media and GIS related topics are included in a cold topic.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urrent research trends related to smart city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es and policy makings.

      • KCI등재

        기업 루머 이슈에서 등장하는 토픽 변화 및 위기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담론 경쟁

        노준형(Noh, Junhyeong),백영민(Baek, Young Mi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9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1 No.1

        본 연구는 기업 루머 상황에서 등장하는 토픽이 채널종류에 따라, 그리고 위기 커뮤니케이션 단계별로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17년 8월 9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실제 기업 위기 사례인 깨끗한나라 생리대 유해성 논란 이슈와 관련된 보도기사 및 트위터 게시물에 대해 텍스트마이닝 기법, 구체적으로 예측변수 효과를 통계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구조적 토픽 모형(STM, structural topic model; Roberts et al., 2016)을 적용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예측변수는 ‘사건의 진행 단계’와 ‘채널의 종류’였다. ‘사건의 진행 단계’는 이슈 흐름 변화에 영향을 미친 특정 사건을 기준으로 급성, 만성, 해결 등 3단계로 나누었으며 ‘채널의 종류’는 언론사와 트위터로 구분했다. 연구 결과, 토픽들은 각 시기별 주요 사건과 이슈를 잘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슈 확산 초기인 급성 단계는 깨끗한나라 생리대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에 초점이 맞춰진 토픽들이 주로 등장한 반면, 만성 단계는 여성환경연대 실험 공정성에 의문을 제기한 이슈 흐름 변화가 반영된 토픽이 주로 등장하였다. 깨끗한나라의 공격적 위기 커뮤니케이션이 시작된 해결단계에는 새로운 토픽들이 추가 등장하면서 급성 단계 커뮤니케이션 상황과 다른 토픽들이 등장하였다. 또한 언론사와 트위터 등 채널의 종류에 따라 등장하는 토픽 변화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PR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바라본 기업 위기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논의했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topics change under the corporate rumor situation by the type of channel and by the crisis communication stage. To address this research question, we discussed social controversies over sanitary pad produced by Kleannara from August 9 to December 31, 2017. Newspaper articles and Twits related to this issue were analyzed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specifically structural topic model (STM; Roberts et al. 2016), which can statistically test predictive variables effects. The predictive variables used in the analysis were ‘stage’ and ‘channel’. ‘Stage’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acute’, ‘chronic’, and ‘resolution’ based on the specific event that affected the flow massively, while ‘channel’ was classified as institutional media and Twitter.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topics well reflected the major events and issues of each period. At the acute crisis stage which is the issue spreading stage, topics mainly focused on the anxiety about the sanitary pad. Howerver the topics of the chronic crisis stage showed a change in issue flow by raising the questions on the fairness issue of the experimentation conducted by Korean Women’s Environmental Network. At the crisis resolution stage, when Kleannara started its aggressive crisis communication, new topics were added and they appeared totally different from the acute crisis stage. In addition, we could find the topic change that appeared depending on the kind of channel such as institutional media and Twitt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is study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crisis commun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R communication.

      • KCI등재

        구조적 토픽 모형을 활용한 기초학력 관련 담론 및 정책 동향 분석

        최지은,유진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4 敎員敎育 Vol.40 No.1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discourse and policy trends in basic academic achievement by analyzing texts associated with the subject. Exploring main topics and their changes in response to the dynamics of basic academ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ies will provide insights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relating policies. Methods: Structural Topic Modeling (STM) was employed to extract topics in analyzing academic journal articles, Ministry of Education press releases, and media articles. The topic prevalence was estimated and statistically tested in relation to the phases of the basic academ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y, namely growth period, transition period, and confusion period. These policy phases served as metadata for the analysis. Results: Seven topics were extracted from academic journal articles, including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the characteristics of underachievers, and basic academic achievement policies. Another seven topics emerged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press releases, including basic academic achievement improvement programs, customized support for educational welfare, and online class and learning loss support. In media articles, nine topics were identified, including basic academic achievement improvement programs, support for linking specialized institutions, and controversies over how to conduct diagnostic evaluation. The prevalence of these topics changed over the policy phases.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research on learner characteristics and vulnerable groups should be continued and expanded. It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long-term policies, fostering social consensus to strengthen the diagnosis of basic academic achievement, and providingsupport to enhance teachers’ expertise on basic academic achievemen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학력 관련 텍스트에 나타난 주요 토픽과 기초학력보장정책의 흐름에 따른 토픽 변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기초학력과 관련된 담론 및 정책의 동향을 탐색하고, 추후 기초학력 정책의 수립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구조적 토픽 모형(STM)을 활용하여 전문학술자료, 교육부 보도자료, 언론 기사에 나타난 주요 토픽을 추출하였으며, 기초학력보장정책의 시기(성장기, 전환기, 혼란기)를 메타데이터로 투입하여 시기별 토픽 발현 확률을 추정하고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전문학술자료에서 7개(학업성취도평가, 학습부진학생 특성, 기초학력보장정책 연구 등), 교육부 보도자료에서 7개(기초학력 향상 프로그램, 교육복지 연계 맞춤형 지원, 온라인수업 및 학습결손 지원 등), 언론 기사에서 9개(기초학력 향상 프로그램, 전문기관 연계 지원, 진단평가 시행방식 논란 등)의 토픽을 추출하였으며, 정책의 시기에 따라 발현 확률이 변화하는 토픽을 확인하고 비교하였다. 결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 특성 및 학업 취약계층 연구 확대, 장기적인 정책 수립, 기초학력 진단 강화를 위한 사회적 합의의 필요성, 기초학력 관련 교사의 전문성 신장 지원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