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립되고 불안한 미생들과 학문공동체로서의 학회

        최이숙(Yisook Choi),김세은(Sae-Eun Kim),김은영(Eun-Young Kim),한선(Seon Han),김미희(Mihee Ki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2 No.2

        이 연구는 2016년 여성커뮤니케이션 학회에서 진행한 여성신진연구자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여성신진연구자들의 연구/학회활동 상황 및 연구자로서의 자기 인식을 파악하고 학회구성원으로서 이들을 수용하기 위한 학회의 역할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 결과 절반에 가까운 여성신진연구자들은 전업 시간강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들의 불안정한 고용상태는 전반적인 연구 및 학회 활동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여성신진연구자들은 졸업 후 불확실한 미래를 몸으로 직접 체험하게 되면서 ‘아무 것도 아닌 존재’가 될지 모르는 불안감과 어디에도 소속되지 못했다는 고립감에 시달리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학회활동이 이들의 연구 및 인적 네트워크 형성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는 동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에는 경제적, 시간적, 정서적 차원에서 매우 부담스러운 것으로 인식하였다. 학회 활동에 대한 이들의 경험은 언론학 분야 학회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위계를 드러내는 동시에, 우리 학계가 연구자들을 지켜내고 보호하기 위해 어떠한 일을 할 수 있는가를 질문하게 만든다. 여성신진연구자들이 연구자로서의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실질적 지원과 함께 이들을 기존의 제도적 틀에 끼워 맞추기보다는 한 사람의 동료로서 존중하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활동 및 문화의 조성이 요청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female new researchers’ self-perceptions as a scholar and their activities in academic society. In order to do this, an onlin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Results indicated that nearly half of the female researchers have been working as a part-time instructor, and this unstable employment status has been a major obstacle to their research and academic activities. After their graduation, they were suffering from the anxiety that they might become ‘nothing but being’ and the sense of isolation that they could not belong anywhere. The female researchers thought that the activities of the academic society help to form their research and human networks, but they said that they have economic and emotional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Their experience with the activities of the society reveals various hierarchies that exist within the journalism societies and makes us question what we can do to protect the researchers.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female new researchers with financial support programs to encourage their academic activities. Results also show that we need to develop an academic culture that respects newcomers as a colleague.

      • KCI등재

        분단 서사와 민족주의

        이소현(So-Hyun Lee)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1 No.-

        이 연구는 분단 서사를 주제로 한 한국형 블록버스터에 나타난 여성의 재현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그에 내재한 민족주의적 담론의 문제점들을 파헤쳐 보고자 한다. 분단과 전쟁을 다룬 세 편의 한국형 블록버스터, ?태극기 휘날리며(2003)?, ?태풍(2005)?, ?웰컴 투 동막골(2005)?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어떻게 분단 서사의 대중화가 남성 주체 중심의 문화적 획일화 내러티브를 재생산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의 초점은 젠더화된 상상, 내러티브 속에서 여성의 위치, 그리고 남성 중심적 담론의 의미 작용에 맞춰져 있다.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들을 전 지구적 미디어 환경과 지역 영화 문화와의 관계 속에 놓고, 민족/국가와 민족 영화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려는 것이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민족주의적 분단 서사 속에 여성은 남성 주체의 행동에 동기를 부여하거나 남성 정체성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영화적 장치로 기능하며, 여성의 육체는 민족/국가의 비극을 형상화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대중화 전략은 가족 서사와 민족주의적 담론의 결합을 가져왔으며, 이 속에서 여성은 내러티브의 주변부에 자리매김하고 남성 주체의 보조자로서 기능한다. 문화적 다양성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압도적 시장 지배는 전체 문화의 발전을 저해할 위험성을 보인다. 90년대 후반 경제 위기 이후 거세어진 민족주의적 감성은 국내 문화 상품을 보호하자는 움직임으로 이어졌으나, 문제는 그 수혜자가 몇 개의 대자본 영화라는 점이다. 더 나아가, 한국형 블록버스터가 재현하는 민족주의적 담론 속에 자리한 한국 여성은 역사적 정체성의 부재 속에 보조적 구실을 할 뿐, 어떤 대안적 이미지나 담론을 제공하지 못한다. 가부장적 민족주의의 획일화 담론이 민족 영화의 바탕을 이뤄야 할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적 평등의 논리를 저해하는 이러한 현실을 고려할 때,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여성 재현 양상은 그 영화들이 표상하는 “민족”이라는 개념에 대한 문제의식을 제기할 뿐 아니라 주류문화 속 여성의 주변화를 재인식시킨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atics of nationalist discourses, looking at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Korean national blockbusters. It frames Korean national blockbusters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lobal media environments and the local film culture in order to reconsider the concept of national cinema. A close look at three Korean national blockbusters, Taegukgi: The Brotherhood of War (2003), Typhoon (2005), and Welcome to Dongmakgol (2005), illustrates how the homogenizing nationalist discourses are reproduced within the cinematic narratives of the national division and the Korean War. The focus is on the gendered imagination, the espousal of patriarchal ideology, and the extent to which the Korean national blockbusters exploit the notion of national cinema in commercial terms. Based on the analysis, the male-centered nationalist narratives position the female characters as cinematic devices that allow the male protagonists to get motivated or transform their masculine identities. Also, the women"s bodies are often employed as the trope for the nation, often symbolizing the tragic history. Within the nationalist, patriarchal discourses in the Korean national blockbusters, the Korean women are portrayed as marginalized figures with little agency, which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representative female stereotypes in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whore and mother. The nationalist representation of Korean women in the Korean national blockbusters demonstrates the interweaving influence of the male-centered discourses such as nationalism, militarism, and Confucian patriarchy, drawing attention to the ways in which the big-budget films" domination of the market suppresses the development of cultural diversities and social differences. More importantly, the Korean national blockbusters" dependence on nationalism and other hegemonic discourses raises questions about the true meaning of the national, illustrating the contradiction inherent in the cultural negotiation between the global and the local.

      • KCI등재

        소수 민족 이주여성의 재현

        양정혜(Jung Hye Yang)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7 미디어, 젠더 & 문화 Vol.7 No.-

        이 논문은 최근 한국사회에 증가하고 있는 결혼이주 외국인 여성들을 대중매체가 어떤 방식으로 재현해 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KINDS 검색을 통해 2004년 1월 1일부터 2007년 1월 1일까지부터 3년 기간 동안 한겨레신문과 조선일보 기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신문 뉴스가 재현하는 이주여성의 의미는 한국 주류사회가 원하는 이주 여성의 모습을 기준으로 하여 구성되는 양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주여성들은 한국사회의 규범과 생활방식에 적극적으로 적응하여야 하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관주도의 교육을 필요로 하는 이방인들로서 그려진다. 뉴스는 이주여성들이 겪는 혼란과 좌절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제시하기보다는 각종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에 초점을 두어 이주여성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해결방식은 주로 교육프로그램의 도입과 언어 및 문화적 동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인데 이러한 지원이 필요한 이유는 그렇지 않을 경우 장차 주류 한국사회 유지에 위협이 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뉴스 재현에서 이주여성들에게 일관성 있게 부여되는 의미는 동화될 필요가 있는 대상, 혼란을 겪는 대상, 따라서 누군가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대상이다. 이주여성의 재현에서 일관성 있게 배제되는 부분은 이주여성들의 목소리와 시각이다. 자신들의 삶에 대한 의미규정과 해결책이지만 이들 여성들은 말할 기회를 가지지 못하며, 이주여성들의 이해관계와 사회적 요구는 한국 주류사회의 관점에서 규정된다. 이주여성들 내부에도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각기 다른 관심사가 존재하지만 필리핀, 베트남, 중국 등의 출신지와는 상관없이 이주여성들은 한국사회와 대비되는 동질적이면서 집합적인 타자로 제시된다. This paper examines how news coverage represent the interracially married women to Korean men who became increasingly visible in Korean society since 1990s. These women are subalterns who are largely excluded from the mainstream society and who do not have a position from which to speak about themselves. Their identity as a member of Korean society is constituted within the system of Korean media representation. The paper analyzed one liberal, and one conservative newspaper coverage of interracially married women for three-year rime period. The result shows that the news actively construct the meaning of these women from the interest and need of the mainstream Korean society. Specifically, interracially married women are represented as confused and helpless subjects who need to adjust themselves to the values and lifestyle of the mainstream Korean society. The news media depict educational programs sponsored by the Korean government as the solution to the frustration and hardships these women suffer. In this process, their diverse ethnicity, educational and cultural background are largely ignored. They are treated collectively as the interracially married women to Korean men regardless of where they are from. The way media represent these women well demonstrate how the media construct the meaning of the other. Always, their meaning is shaped from the stand point of us, the members of the mainstream society.

      • KCI등재후보

        1960~1970년대 여성지에 나타난 근대적 주거공간 및 주거문화 담론에 관한 연구

        김종희(Jong Hee Kim),김영찬(Young Chan Ki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8 미디어, 젠더 & 문화 Vol.10 No.-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한국 사회에서 여성지가 ‘근대화’ 담론 생산에 어떠한 방식으로 동참했고 여성 독자들의 근대성 경험과 수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문제는 그간 학계에서 충분히 논의되지 않았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1960~1970년대 근대화 시기에 여성지가 생성해낸 근대적 주거공간 및 주거문화 담론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도시적 삶에서 주거공간 및 주거문화는 특히 중산층 여성들에게 삶의 특정한 의미를 제공하고 그들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끼친다. 한편 여성지는 근대적 주거공간 및 주거문화를 특정한 방식으로 재현하고 담론화함으로써 여성지를 읽는 독자들의 경험 세계와 정체성 형성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글은 1960~1970년대를 배경으로, ‘근대화’라는 국가주의적 지배 담론과 교묘한 방식으로 접합된 여성지의 근대적 주거공간 및 주거문화 담론에 대한 고찰을 통해, 당시 여성들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끼치고 있었던 ‘근대성’에 대해 ‘역사적으로’, 그리고 보다 중요하게는 ‘성찰적으로’ 접근해보고자 한다. 이 연구가 분석 대상으로 삼은 여성지는 『주부생활』, 『여성동아』, 『여원』이며, 주거공간과 주거문화에 관한 다양한 기사, 전문가들의 칼럼과 기고문은 물론 삽화, 광고 등 상징적인 재현의 이미지들을 중심으로 담론 분석을 시도했다. 이 글은 학문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문화연구 진영에서는 거의 불모지 상태로 남아 있는 근현대 여성지 연구를 활성화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으리라 본다. This work aims to investigate how Korean women's magazines of the 1960's through the 1970's played significant roles in forming and disseminating 'modernization discourses' and how they eventually- influenced the ways in which women of the times experienced and made sense of modernity.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women's magazines which not only propagated the ruling ideas/ideologies of the modernization/(sub)urbanization of the nation but also produced specific cultural discourses on modern(ized) living spaces and modern lifestyles, this paper attempts to historically and reflexively tackles the serious question of modernity which critically affected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self-identities of Korean women in their everyday life settings. Employed was discourse analysis across a variety of cultural texts including articles, investigative reports, columns, advertisements, and illustrations -mainly photographs and cartoons- published in three key women's magazines of the 1960's and the 1970's.

      • KCI등재

        전략적 여성혐오와 그 모순

        엄진(Jin U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1 No.2

        이 연구는 인터넷 커뮤니티 ‘일간베스트 저장소(이하 일베)’의 여성관련 게시물을 분석한 것이다. 일베의 여성혐오 담론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이 어떤 방식으로 여성을 통제하고 자신들이 원하는 젠더관계를 만들고자 하는지 읽어내고자 했다. 일베의 지배적인 담론은 현재 신자유주의 한국사회의 여성과 남성을 둘러싼 규범에 대한 ‘부당함’을 느끼며 ‘평등’과 ‘일관성’을 주장하지만 이들의 주장 역시 ‘이중적’이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동등’한 부담을 주장하지만 성적 관계에 있어서는 여성을 동등한 주체로 보지 않고 성적 대상화하며 전통적 성 역할, 성 차별적 고정관념에 매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일베에서는 여성에 대한 성적 유린과 강간, 폭력뿐 아니라 여성을 비난하는 내용의 만화를 제작해 유포하거나 긍정적 여성상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이데올로기 작업이 행해진다. 이는 때로 오프라인 현실의 운동이나 모임과도 연계된다. 실제로 여성혐오가 만연한 현실에서, 일베는 상종 못 할 예외적 존재들로 여겨지지만 겉으로 ‘일베 회원’이 아니라고 부정하기만 하면 면죄부를 얻고 그 핵심적 사고방식은 유효하게 존재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여성에 대한 실질적 차별이 교묘하게 ‘절대적 평등’의 담론으로 포장되어 동의를 얻기도 한다. 그러나 일베의 여성혐오는 매끄럽게만 진행되지 않는다. 일베의 정체성과 특징을 구성하는 ‘일부심(팩트주의와 원칙주의)’, ‘패륜’, ‘여성혐오’의 핵심적 주장들은 서로 충돌하며 모순과 내부의 갈등을 만들어 내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일베의 여성혐오가 갖는 전략과 기획이 측면과 이것이 정치적 효과를 갖게 되는 방식을 드러냄으로서 이에 대한 비판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posts about women in the internet community site, Ilgan Best Jeojangso(Daily Best Storage, hereafter Ilbe). The Ilbe users have discontents on the current recognition and norms around women and men in the neoliberal Korean society. Their abhorrence against women has an aspect of planning and strategy to control women and to justify discrimination with ingenious ways in order to fix them. In particular, this study, furthering from the previous studies considering the Ilbe users’ hatred for women as expression of aggression based on crisis of masculinity and sense of inferiority, analyzes how their utterances intervene in and affect gender relations in the reality. This planning, however, has not been smoothly done and they have been creating internal conflicts with their own contradiction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o try to reveal their limits, contradictions, and problems in thoughts as well as practice.

      • KCI등재

        전문직 여성에 대한 언론보도 프레임 연구

        허명숙(Myung Sook Hur)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7 미디어, 젠더 & 문화 Vol.7 No.-

        본 연구는 전문직 여성관련 보도에 대한 프레임 분석을 통해 전문직 여성관련 보도의 시각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05년과 2006년 각 1월부터 3월까지 각 3개월씩 6개월간의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에 실린 전문직 여성관련 보도에 대한 내용을 통해 전반적인 특성을 비교분석했고, 이를 바탕으로 프레임 분석에서 언론보도 시각을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은 전문직 여성관련 보도에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프레임을 보여주었다. 부정적인 프레임은 전체 564건 가운데 93건(16.5%)로, 외형상으로는 전문직 여성관련 보도가 과거에 비해 성 평등한 관점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신문별로는 한겨레신문의 긍정적 프레임이 조선일보보다 11.9% 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한겨레신문이 전문직 여성 보도에서 균형을 잡으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는 한겨레신문이 비교적 친여성적이고 조선일보가 보수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는 점에 비추어볼 때, 한겨레신문의 전문직 여성관련 보도의 진취적 또는 긍정적인 프레임이 조선일보보다 크게 두드러지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한겨레신문이 조선일보보다 여성성을 부각하는 기사가 더 많아 진보적 성향의 한겨레신문 기자들이나 데스크의 인식이 여성문제에 관한 한 아직도 전근대적인 면이 남아있지 않나 하는 의심을 갖게 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press expresses female professionals by analyzing articles' frame. The analysis involves articles on female professionals in Chosun-Ilbo and Hankyoreh-Sinmun from January to March in 2005 and 2006. Both newspapers used positive frames in general. Only 16.5% accounts for negative frames. The figure shows that newspapers start to see female professionals from a sexually-equal viewpoint, compared to the past.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Chosun-Ilbo and Hankyoreh-Sinmun existed. In contrast to articles in Chosun-Ilbo which consistently shows a conservative tendency on female professionals, articles in Hankyoreh-Sinmun demonstrates inconsistent patterns of reporting frames. This reflects that objective and balanced standpoints on female professionals have not set up completely. Even though the number of articles that focuses on females' challenges and efforts to succeed increased, the percentage of positive frame decreased in 2006. Hankyoreh-Sinmun is known as a liberal inclination, but when it comes to articles on female professionals, it does not stand on a liberal side. It can be concluded thar an inclination in articles on female professionals does not agree with an inclination in general articles. Since six-month-period articles, in total, are selected in this study, it is difficult to reveal the reason newspapers show inconsistent tendency. Thus, more articles need to be collected to investigate to gain noteworthy results.

      • KCI등재
      • KCI등재

        여성 방송인의 시대별 위상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김태희(Tae-Hee Kim),나미수(Mi-Su Na)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2 No.-

        본 연구는 국내 방송환경의 변화에 따라 지역방송의 여성 아나운서의 위상이 어떻게 달라져 왔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북지역 방송사에서 196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 아나운서로 종사하거나, 종사했던 사람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각 시대에 아나운서로 활동했던 사람들의 생생한 경험을 당시의 맥락 속에서 해석함으로써 이들이 인식하고 있는 여성 아나운서의 위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여성 아나운서의 위상은 우리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방송제도와 방송산업의 성장, 아나운서직의 사회경제적 지위변화, 그리고 여성인력 수요와 고용형태의 변화 등에 따라 시기적으로 차별화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즉 여성 아나운서의 위상은 80년대가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80년대 민주화운동과 서울올림픽 등은 여성 아나운서의 진입과 역할을 확대시킨 계기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90년대 민영방송의 등장과 방송 독과점시대가 지나면서 여성 아나운서의 계약직화 등으로 설자리가 점점 축소되어 갔다. 2000년대 이후에는 다매체, 다채널로 방송의 상업화가 심화되고 무한경쟁시대를 맞이하면서, 지역방송의 여성 아나운서는 계약직 혹은 프리랜서가 주를 이루면서 고용불안정이 높아지고 그 위상도 더욱 취약해진 상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여성 아나운서의 수요와 신분의 안정성과는 별도로 방송사 조직 내에서 젠더관계에 따른 위치와 역할변화도 나타나고 있었다. 60, 70년대에는 남녀 공사영역 분리라는 성 고정관념으로 결혼과 동시에 일을 그만두게 되는 여성 아나운서의 ‘결혼퇴직제’가 관행이 되었다. 또한 시대를 막론하고 여성 아나운서의 업무는 남성 아나운서의 보조적ㆍ장식적 역할에 불과하거나, 진행과는 무관한 주변적인 일을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방송사 내 차별적인 성별분업이 존재하고 있었다. 즉 방송환경의 변화에 따라 여성 아나운서의 양적 확산이 있었다 하더라도, 남성중심의 언론계, 방송계 문화에 따른 성차별적 고정관념과 관행에는 본질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has intended to explore the change of status of female announcers with the changes of the Korean broadcasting history. In order to sketch the change of status of female announcers in each period, this research has limited the time span to cover from 1960 to post-2000 present time. The approach adopted in this study was in-depth interview method with male and female announcers who worked during the period to map out the perception of status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each period. The findings show that the status of female announcers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broadcasting industry, socio-economic status of announcers and the demand and employment policy of female workforce. First, in the period of 1960∼70, when radio broadcasting had its heyday and the TV broadcasting industry started to grow, an increased number of women made their way into broadcasting sectors. The early 1980s, so called ‘the media privilege era’, strengthened the mindset of privilege on the part of journalists. Moreover, the 87 pro-democracy movement overthrew ‘marriage retirement system’, and opened up the way for married female announcers to continue to work. In the 1990s, the entrance of a new private broadcasting company became the basis for the shift of permanent employment of female announcer position to contract-based one. And this was strengthened even more after ‘IMF’ when the Korean finance was in crisis. The broadcasting sectors have met an era of multimedia and multichannel after 2000. The commercialization of broadcasting stirred up boundless competition and led to accelerate the instability of employment of female announcers in regional broadcasting companies. In conclusion, the most important reasons for low perception of the status of female announcers in regional broadcasting companies were the culture of man-centered media and broadcast sectors with prevalent paternalism, the prejudices derived from them, management crises of regional broadcast companies,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broadcast that focuses too much on audience rating.

      • KCI등재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 기반 여성과학기술인 이슈 및 정책 연구

        윤빛나리(Bitnari Yun),안세정(Sejung Ahn)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4 No.1

        과학기술분야 여성인력에 대한 사회적 논의는 2002년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제정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해당 법은 과학기술 분야 여성인력의 지위 개선 및 양성평등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서 시작되었으나 법률 및 관련 지원정책의 제도화 과정에서 정책의 초점은 본래의 목적을 벗어나 과학기술 분야의 여성인력 육성으로 변형되었고, 그 결과 여성과기인 지원정책의 공감대형성 여부 및 실효성은 장시간 검토 및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과기인 관련 뉴스기사를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하여 여성과기인 관련 주요 이슈를 도출하고, 해당 이슈가 실제 지원정책을 통하여 어떻게 관찰되고 있는지 시기별로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과기인 관련 주요 이슈는 ‘인재육성/R&D지원’, ‘일자리 창출/정부정책’, ‘여성친화적 환경 조성’의 세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한편, 시기별 이슈-정책 내용을 분석한 결과, 지원정책으로의 제도화 여부가 이슈 형성 및 확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지원정책 뿐만 아니라 당시의 특수한 사회적 사건이 이슈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과기인 관련 이슈와 지원정책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이슈가 향후 여성과학기술인 관련 정책 수립에 있어 정책수요로 발전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Social discussions on women in Science and Technology(S&T) have spread in earnest in 2002 with the enactment of the “Act on Fostering and Supporting Women in Science and Technology.” However, i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ing the laws and related support policies, the focus of policies has been changed from improving women’s status and gender equality in S&T to fostering human resources in the fiel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support policies has been under discu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jor issues regarding women in S&T in Korea using text mining targeting news data and examine how the issues were observed through related support policies by peri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 issues related to women in S&T were divided into three main areas: ‘Human resource development/R&D support’, ‘Job creation/Government policy’, and ‘Women-friendly working environment furtherance.’ Also, it was identified that institutionalization into support policy is a major influential factor on issues formation and diffusion, and the specific social events also affect issues form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sues and support policies related to women in S&T, and revealed that the issues could be developed as future policy dem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