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업용수 수요량 분석을 위한 잠재증발산량 공간 분포 추정

        유승환,최진용,Yu, Seung-Hwan,Choe, Jin-Yong 한국관개배수위원회 2006 한국관개배수논문집 Vol.13 No.1

        Weather station based PET(Potential Evapotrarspiration) analysis has often been inadequate to meet the needs of regional-scale irrigation planning. A map of continuous PET surface would be better a solution for the spatial interpolation considering spatial variations. Using a normal PET data collected at the 54 meteorological stations in Korea, 10-days spatial distribution PET map was created using universal Kriging(UK). These estimation methods were evaluated by both visual assessments of the output maps and the quantitative comparison of error measures that were obtained from the cross validation. The universal Kriging method showed appropriate results in spatial interpolation from weather station based PET to spatial PET with low statistical errors.

      • KCI등재

        둑높이기 농업용저수지의 환경용수 방류기준 설정

        유승환,이상현,최진용,박태선,Yoo, Seung-Hwan,Lee, Sang-Hyun,Choi, Jin-Yong,Park, Tae-Seon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4 No.5

        The main purposes of the agricultural reservoir enlargement (ARE) project are to secure water supply reliability (WSR) for agriculture and to release environmental water during dry seasons. In this study, an operational rule that will simultaneously satisfy both the above issues was developed. Initial amount of water storage at the beginning of non-irrigation season (1st October) was divided into 3 stages, and the target level of water storage at the beginning of irrigation seasons (1st April) was set up. Required operational curves and release amounts were estimated based on the stages and target water level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is rule, the amount of water released for environmental purposes and WSRs were analyzed for three reservoirs (Unam, Jangchi and Topjeong). The ratio between annual amount of release and additional amount of water storage were 1.6, 1.85, and 4.1 for the Unam, Jangchi, Tapjeong reservoirs, respectively. Also, the WSRs of all reservoirs were found to become higher than when the design standard was applie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posed rule is more suitable for the enlarged agricultural reservoirs operation as it satisfies the WSRs while securing the environmental water release.

      • KCI등재

        변화하는 재현 체제와 소설의 자리-황석영의 <바리데기>에 나타난 서사무가 수용의 의미

        유승환 국문학회 2018 국문학연구 Vol.0 No.37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the meaning of accepting “Princess Bari” from the “Bari” of Hwang Sok-yong in the more macro-context of the long-term change of the representative-regime from the 1980s to the 2000s. The acceptance of narrative shamanist songs in Hwang Sok-yong's works such as “Bari” is often thought to be a project of the 2000s. However, it dates back to the 1980s in fact. Hwang Seok-young's interest in narrative shamanist songs in the 1980s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in the representative-regime that began in the 1980s, when the belief that the experience of others could be mediated by a single language and perspective of the narrator began to be questioned. There was a need for a new way to represent the experience of the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process of the representative-regime. In “Bari”, narrative spaces, which allows the experience of the other to be performed directly without mediation of narrator, can be created by structuring the narrative discourse by using shaman as narrative device. It can be regarded as an attempt to newly establish the place of the novel in crisis in the process of change of the representative-regime that has been continuing and deepening since the 1980s until now. 이 글은 황석영의 <바리데기>에 나타난 서사무가 <바리공주> 수용의 의미를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장기적으로 이루어진 재현 체제의 변화라는 보다 거시적인 맥락 속에서 도출하려 한다. <바리데기>등의 작품에 나타난 황석영의 서사무가 수용은 흔히 2000년대의 기획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1980년대까지 소급할 수 있다. 1980년대에 황석영이 보여준 서사무가에 대한 관심은 서술자의 단일한 언어와 시각으로 타자의 경험이 중개될 수 있다는 믿음이 의심되기 시작했던, 1980년대부터 시작된 재현 체제의 변동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재현 체제의 변동 과정에 따라 타자의 경험을 재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마련되어야 했던 바, <바리데기>에서는 서사무가의 무격 자체를 서술장치로 활용하여, 서술담론을 4중으로 구조화하는 방법을 통해, 타자의 파편적인 경험을 서술자의 중개를 거치지 않고 현전시킬 수 있는 서술의 공간을 마련한다. <바리데기>에 나타난 이러한 서사무가의 변용은 1980년대에 시작된 뒤 지금까지 지속․심화되고 있는 재현 체제의 변화 과정 속에서 위기에 처한 소설 양식의 자리를 새롭게 구축하기 위한 시도로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모국어의 심급들, 토대로서의 번역 - 유종호의 ‘토착어’와 백낙청의 ‘토속어’

        유승환 상허학회 2016 상허학보 Vol.47 No.-

        이 논문은 1960년대 후반 이후 이루어진 모국어의 재편을 위한 의식적인 실천 및 그와 관련하여 나타난 모국어를 호명하는 개념들의 발생 조건을 한국(남한) 사회가 접속하고 있는 문화권의 변화 및 그로 인한 번역 상황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검토하려고 한다. 1960년대는 모국어에 익숙한 소위 ‘한글 세대’에 의해 한국어에 기초한 새로운 감수성이 나타난 시기였다는 것은 우리에게 익숙한 문학사적 평가이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모국어 문학어의 선험적인 존재를 자명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종의 신화이다. 모국어라는 개념은 다른 외국어로의 번역을 염두에 둘 때에만 상상될 수 있는 유동적 개념이며, 또한 끊임없이 완성을 향한 도정에 있는 미완태로서만 상상되는 개념이기도 하다. 따라서 모국어 문학어 또한 끊임없이 상상되고, 창안되고, 재편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이 논문은 ‘토착어’, ‘토속어’와 같은 모국어 문학어의 존재 및 그 재편의 방향성을 동시에 지시함으로써 모국어 문학어의 심급을 지시하는 개념들의 발생과 분화가 해방 이후 변화된 번역 상황에 대한 인식과 그에 대한 대응 전략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을 유종호와 백낙청의 비평을 통해 확인하려 한다. ‘토착어론’을 중심으로 195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모국어에 대한 유종호 비평의 궤적은 모국어 개념이 재확립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토착어에 대한 유종호의 비평은 초기의 양가적 입장에서, 토착어가 한자어보다 효과적인 사유의 언어가 될 수 있다는 입장으로 돌아선다. 이러한 선회의 배후에는 번역의 원어가 일본어(한자어)에서 영어 등의 서구어로 교체되어 상상되는 상황, 즉 문화권의 이동에 따른 번역 상황의 변화에 대한 인식이 놓여 있다. 이 점에서 유종호의 토착어론은 번역 상황의 변화가 모국어의 재인식 및 재편을 위한 중요한 조건이었다는 점을 드러낸다. 한편 ‘토속어’에 대한 백낙청의 사유는 변화된 번역 상황에 대한 대응 전략의 차이가 모국어 문학어의 재편을 위한 모국어의 심급들을 지시하는 용어의 분화에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일본어-한자어의 매개를 거치지 않고, 일종의 ‘보편어’로서의 서구어 원어에 직접 소급하려는 새로운 번역의 감각은 보편어와 민족어로서의 모국어 사이의 번역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전망을 창출했으며, 서구과학의 보편어와의 관계에서 모국어를 통한 번역 가능성 혹은 불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은 근대한국사회와 그 문학의 성격을 가늠하는 중요한 방식이었다. 백낙청은 이러한 작업을 가장 성실히 수행한 비평가였으며, 동시에 ‘토속어’는, 보편어로의 환원 (불)가능성을 지닌 채 각각의 원어에 대응하는 대상의 실재성을 보증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작업에 있어 본질적인 중요성을 지닌 개념으로 자리매김된다. 이처럼 모국어의 심급들, 모국어 문학어의 존재와 가능성을 지시하는 개념들은 해방 이후 장기적으로 이루어진 번역 상황의 변화에 대한 인식에 기초하여 발생하고 또한 동일한 상황에 대한 대응 전략의 차이에 의해 분화된다. 모국어에 대한 유종호와 백낙청의 비평은 실제로 1960년대 후반 이후 모국어와 모국어 문학어의 재편으로 이어진다. 이때 이러한 모국어 문학어의 재편은 방언, 속어, 은어, 고어 등 모국어의 특정 심급들에 대한 의식적 수집과 활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언어의 의식적인... This study aims to study conscious practices to reorganize mother tongue and occurence of notions to call mother tongue in the late 1960s. This study suggests that change of cultural area to which Korea was connecting and change of translation-situation was a major condition of this phenomenon. It is a familliar appraisal that new sensibilities based on Korean was formed in the late 1960s by ‘Hangul generation’ who were used to mother tongue. However, this appraisal is a kind of myth, because it supposes transcendental being of the mother tongue. A concept of ‘mother tongue’ could only be imagined in relation with translation to other languages. And it was always imagined as an incomplete and a fluid concept. Thus, literary language based on mother tongue was also formed in the process of imaging, creating, reorganizing language. This study pay attention to a few concepts such as Yu Jong-ho’s ‘aboriginal language’ and Paik Nak-chung’s ‘local language’ which implied the degrees of mother tongue in the late 1960s. These concepts suggested the being of ‘pure’ mother tongue and directions of reorganizing mother tongue at once. And the occurence and differentiation of these concepts were based on consciosness about altered translation-situation after the liberation and counterstrategy of this situation. Yu Jong-ho’s criticism on aboriginal language started in the late 1950s. The transition of his perspective about aboriginal language showed re-establishing the concept of mother tongue. He had ambivalent viewpoint on aboriginal language in the initial stages. However, he changed his mind hencefoward and suggested aboriginal language could be more effective language of the reason than Sino-Korean words. Awareness of translation-situation which changed because of change of cultural area to which Korea was connecting placed behind this transition. In other words, he could assert superiority of aboriginal language because he thought not Japanese but English as an orginal language in changed translation-situation. Yu Jong-ho’s criticism on aboriginal language showed that the altered translation-situation was an important condition of reorganizing of mother tongue. Paik Nak-chung’s criticism on local language showed counterstrategy against altered translation-situation was an important element of differentiation of the concepts which called degrees of mother tongue. New sense of translation which discarded mediation of Japanese and Sino-Korean words and reach western Europe language as an original language created new perspective on possibilities of translation. Examination of possibilities of translation between mother tongue and universal language of modern science was an important way to estimat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society and its literature. Paik accomplished these works sincerely. ‘Local language’ was magnified as an essential concept in this process, because it was imagined as a concept which has (im)possibility of translation to universal language and guarantees substantiality of equivalents to each original language. Thus, concepts which called degrees of mother tongue and literary language based on it altered translation-situation and were diffentiated by counterstrategy to this situation. Yu and Paik’s critism on mother tongue led to actual reorganzing of literary language based on mother tongue in the late 1960s. Intentional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specific sections in mother tongue such as dialect, slang, argot, archaic words were important methods to reorganize mother tongue in late 1960s. However these practices did not intend to restore existence which these languages instruct, but intended to reconsturuct equivalents to universal concepts which modern west European science suggested in new translation-situation. Thus, ‘archiving of languages’ is a useful concept to explain reorganization of literary language in the late 1960s.

      • KCI등재

        손창섭의 4・19와 5・16

        유승환 구보학회 2022 구보학보 Vol.- No.32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Son Chang-seop’s novels through 4・19 and 5・16, targeting Son Chang-seop’s long novels “As time goes by”, “In each heart”, and “My name is a woman” written between 1959 and 1961. These 3 novels have a similar plot centered on the question of 'who will marry whom?' However, due to the relationship with 4・19 and 5・16, the combination and arrangement of structural elements are different. In this article, the plot structure of these novels was schematized and compared, and at the same time, the aspects of signs related to 4・19 were inserted or deleted. And this article derived the political unconsciousness of these novels through this. “As time goes by”, written before 4・19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 new political and social solidarity, but failed to lead it to a convincing ending. Contrary, “In Each Heart”, written after 4.19, was able to form a plot that placed the solidarity between the new generation elites and subalterns on the political front of 4.19 by utilizing political signs about 4.19. On the other hand, 5・16 that occurred during serialization in 「My Name is Woman」 left its mark on the flaws of the plot of the novel. It resolved the possibility of political and social solidarity through the sense of betrayal and separation events, and also returned Son Chang-seop’s novel to the previous ones. In the end, the expectation of a new political solidarity shown by 4・19 in Son Chang-seop’s novels of this period was betrayed by 5・16. This structure of expectation-betrayal was also a repetition of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the subaltern’s expectations for the nation-state and its betrayal, which was at the base of previous Son Chang-seop novels, in a different way. This experience corresponds to the process in which the political demands of subaltern raised through 4・19 are forgotten. Therefore, this experience gave birth to a new way of responding to the patriarchal nation-state newly encountered after 5・16, in Son Chang-seop’s novels as a narrative of a sub-subject. 이 글은 1959-1961년 사이에 발표된 손창섭 장편소설 「세월이 가면」, 「저마다 가슴 속에」, 「내 이름은 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4・19와 5・16을 경유하며 나타난 손창섭 소설의 변모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 세 편의 소설은 ‘누가 누구와 결혼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하는 유사한 플롯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연재기간 전후에 일어난 4・19 및 5・16과의 관계에 의해 이러한 구조적 요소들의 조합과 배열 방식이 달라진다. 따라서 이 글은 세 편의 소설의 플롯 구조를 도식화하여 비교하고, 동시에 작품 속에서 4・19와 관련한 기호가 삽입되거나 삭제되는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세 편의 소설의 구조에서 도출할 수 있는 손창섭 소설의 정치적 무의식을 검토하였다. 이때 4・19 이전에 창작된 「세월은 가면」이 새로운 정치적, 사회적 연대의 가능성을 탐색하면서도 끝내 이를 설득력있는 결말의 제시로 이끌어가지 못한 것과 달리, 4・19 이후에 쓰인 「저마다 가슴 속에」는 4・19 전후의 정치적 기호들을 활용함으로써 4・19의 정치적 전선 위에 하위주체와 신세대 엘리트들의 연대를 배치하는 플롯을 형성할 수 있었다. 한편 「내 이름은 여자」에서 연재 도중 일어난 5・16은 소설의 플롯이 가진 결함에 자신의 흔적을 남기며, 배반의 감각과 결별의 사건들을 통해 정치적 ・ 사회적 연대의 가능성을 해소시키며, 손창섭 소설의 내용과 형식을 이전의 것으로 회귀시킨다. 결국 이 시기 손창섭 소설에서 4・19에 의해 나타난 새로운 정치적 연대에 대한 기대는 5・16에 의해 배반되는데, 이러한 기대-배반의 구조는 이전의 손창섭 소설의 기저에 놓여 있었던, 국민국가에 대한 기대와 그 배반이라는 하위주체의 역사적 경험이 다른 방식으로 반복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경험은 4・19를 통해 제기되었던 하위주체의 정치적 요구가 잊혀지는 과정과 대응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험은 5・16 이후 새롭게 마주친 가부장적 국민국가에 대한 하위주체의 서사로서의 손창섭 소설의 새로운 응전 방식을 배태한다.

      • KCI등재

        시선의 권력과 식민지의 비가시성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악마」에 나타난 질병의 의미

        유승환 구보학회 2017 구보학보 Vol.0 No.16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of the diseases in “A Day of Novelist Gubo” and “The Demon” by Park, Tae-w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onial knowledge and power, and reads Park, Tae-won’s novel in the 1930s as novels that showed ‘impossibility of observation’. The concept of ‘Gohyeonhak’ and ‘Walker’, which influenced the study of Park, Tae-won novel at this time,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observers in the novel of Park, Tae-w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e that Gubo act properly as observer in “A Day of Novelist Gubo”. Gubo don’t have sensibilities necessary to for an observer, because he is a neurastheniac. However,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the term ‘neurasthenia’ was used as a term to conceal the misery and seditiousness of colonial Korea. Determining what was visible and invisible in colonial Korea was colonial knowledge-power backed by a colonial surveillance system. Gubo was bound to see and speak under the control of these colonial knowledge-power, and ultimately gubo confesses that he was forced to stay in an incompetent observer as a neurastheniac by appropriating the term of colonial knowledge-power. “The Demon” describes a situation that anxiety about gonorrhea leads to fear of sight loss. It is interesting that gonorrhea exists because it is visible for colonial knowledge-power represented modern medicine, but it is understood to be present but not visible to colonial natives. This shows that the colony can never acquire the colonial knowledge-power perspective that produces visibility. In these two works, the coloniy is invisible to colonial natives in a dual sense. In this respect, the restoration of ‘possibility of observation’ after “Scenes from Cheonggye Stream” needs to be discussed in relation to Park’s discovery of autonomous ‘knowing’ that is not dependent on colonial knowledge-power. 이 글은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악마」에 나타난 질병의 의미를 식민지 지식-권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검토하면서, 1930년대 박태원의 소설을 ‘관찰의 불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읽어내기 위한 시도이다. 이 시기 박태원 소설 연구에 큰 영향을 행사한 ‘고현학’과 ‘산책자’라는 개념은 박태원 소설에 있어 관찰자의 존재를 전제하지만, 실제로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 구보에 의한 관찰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 이유는 구보가 신경쇠약 환자로서 관찰자로서 필요한 감각적 능력을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때 식민지 조선에서 신경쇠약이라는 용어가 식민지의 비참함과 불온함을 은폐하기 위한 용어로 활용되고 있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식민지 조선에서 가시적인 것과 비가시적인 것을 결정하는 것은 식민지 감시 체계에 의해 뒷받침되는 식민지 지식-권력이다. 구보는 이러한 식민지 지식-권력의 통제 아래에서 보고 말할 수밖에 없으며, 결국 구보는 식민지 지식-권력의 용어를 전유하여, 자신이 신경쇠약 환자로 무능한 관찰자에 머무를 수밖에 없음을 고백한다. 「악마」는 임질에 대한 불안이 시력 상실에 대한 공포로 이어지는 상황을 그리고 있다. 이때 임질균이 근대 의학으로 대표되는 식민지 지식-권력에게 있어선 보이기 때문에 존재하는 것이지만, 식민지인에게는 존재하지만 보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는 점은 흥미롭다. 이 점은 가시성을 생산하는 식민지 지식-권력의 시선을 식민지인이 결코 획득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이 두 작품에서 식민지는 식민지인에게 이중적인 의미에서 비가시적인 것으로 드러난다. 이 점에서 「천변풍경」 이후 이루어진 ‘관찰 가능성’의 회복은 식민지 지식-권력에 종속되지 않는 자율적인 ‘앎’에 대한 박태원의 발견과 관련지어 논의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