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사회학회와 사회학연구, 1964-2017년: 한국사회학회 발표 논문의 연구분야별 내용분석
설동훈,고재훈,유승환 한국사회학회 2018 韓國社會學 Vol.52 No.1
This paper reviews research outputs in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KSA) 1964- 2017, and identifies the topic trend in the research areas of sociology in Korea. To this end, we collected full text of all the available research papers published/presented at the KSA and analyzed those by dividing into three categories of time spans: 1964-1979, 1980-1999, and 2000-2017. The areas of sociology in Korea are divided into sixteen categories by referring to the Academic Research Area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Panels in Annual Meeting of the KSA. We conducted the analyses in two steps. First, using classical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we classified the total of 4,317 papers into one of the sixteen areas of sociology, and found the changing pattern of research areas. Second, we also applied computer-assisted content analysis‒Structural Topic Model(STM)‒to the text corpus of 4,317 papers, which is a large and structured set of texts. The results of the STM show that the number of topics is 71 in 1964-1979, 65 in 1980-1999, and 74 in 2000-2017. We presented each topic with three key words by each area of sociology. We also conducted text network analysis. Through the analysis of one-mode networks among topics in each area of sociology for each of the three eras, we presented links among the topics. In addition, since there are lots of cases in which a certain topic at a specific era appears simultaneously in several research areas of sociology, we also conducted two-mode network analysis. Through the analysis of two-mode networks among areas of sociology and topics, we found that specific clusters are composed of several areas of sociology in each era. This paper shows the growth, continuity and decline of sixteen areas of sociology, and the changes in research focus in each area of sociology in Korea during the period of 1964-2017. 이 연구는 1964-2017년 한국사회학회에서 출판·발표된 모든 논문의 전문 텍스트 내용을 분석하여 한국 사회학의 연구분야 변동의 양상을 포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분석 대상 시기는 1964- 1979년, 1980-1999년, 2000-2017년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고, 사회학의 세부 연구분야는 ‘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분야 분류 표’와 ‘한국사회학대회 정기사회학대회 세션 분류’ 등을 참조하여 16개로 나누었다. ‘고전적 계량 내용분석’에 의해 4,317편의 논문을 16개 연구분야 중 하나로 분류하여, 각 연구분야의 성장·지속·쇠퇴 형태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전체 논문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화된 텍스트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모델’ 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산출된 토픽의 개수는 1964-1979년 71개, 1980-1999년 65개, 2000- 2017년 74개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토픽들을 세 개의 핵심단어로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연구분야별 토픽의 시기에 따른 변동 분석을 통해, 각 연구분야의 성장·지속·쇠퇴의 방향을 확인하고, 각 분야에서 연구초점이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설명하였다. 연구분야별·시기별로 토픽들의 일원연결망 분석을 수행하여, 토픽들 간의 연결 방식을 파악하였다. 또한 특정 시기의 어느 한 토픽이 여러 연구분야에 등장하는 사례가 다수 발견되므로, 시기별로 ‘연구분야와 토픽 간 이원연결망’ 분석을 아울러 수행하였다. 이원연결망 분석을 통해, 공통의 토픽을 가진 연구분야들의 집락이 생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논문은 한국 사회학의 16개 연구분야의 성장·지속·쇠퇴 형태와 더불어, 각 분야에서 연구 초점의 변화 양상을 보여준다.
한국사회경제학회 30년의 회고와 전망: 이른바 86세대의 시각
류동민 한국사회경제학회 2018 사회경제평론 Vol.31 No.2
이 글은 이른바 86세대의 시각에서 한국사회경제학회의 지난 30년을 회고하고 전망한다. 한국사회경제학회가 진보라는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넓은 의미에서 주류경제학에 속하나 진보적ㆍ자유주의적 입장을 지닌 중견 및 소장 경제학자들과도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주장한다. This article looks back on the past 30 year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tical Economy from the perspective of so-called 86 generation. It is argued that KAPE should promote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radical economists and liberal economists who are critical of mainstream econom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