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지지가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이지연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s mediators in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social support and adolesc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4 subfactors of parent's social support, namely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informative support and instrumental support,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bfactors of adolesc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namely determinacy, confidence, preparation and independence, except purpose. But, the analysis for independent effects of parent's social support revealed that only informative support out of 4 subfactors of parent's social support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bfactors of adolesc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Second, all subfactors of parent's social support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bfactors of adolesc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namely occupational information, goal setting, futurama, problem-solving and self-evaluation. But, the analysis for independent effects of parent's social support revealed that the informative and evaluative supports out of 4 subfactors of parent's social support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bfactors of adolesc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inally, it was revealed that the adolesc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lay a role as mediator in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social support and adolesc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This study provides the importance of family-school connection and the direction of career counselor's intervention in career counseling. 본 연구에서는 진로결정에 중요한 시기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사회적 지지유형과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지각된 부모의 지지와 진로태도성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변인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지지 하위변인 정서지지, 평가지지, 정보지지, 물질지지는 목적성을 제외한 모든 진로태도성숙 하위변인 결정성, 확신성, 준비성 및 독립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부모지지 각 하위변인들의 독립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한 분석에서, 부모지지 하위변인들 중 정보지지가 진로태도성숙과 더욱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지지유형 정서지지, 평가지지, 정보지지, 물질지지는 모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문제해결 및 자기평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대한 부모지지 각 하위변인들의 독립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한 분석에서, 평가지지와 정보지지만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 지지유형 중 정보지지와 진로태도성숙 간의 관계에서만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나머지 정서지지, 평가지지, 물질지지와 진로태도성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진로교육에 있어 가정과 학교의 연계의 중요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학교 진로상담자에게 학생의 진로상담에 대한 개입의 방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위와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였고,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을 기초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장애아동의 재활승마 참가와 학부모의 사회적지지, 양육효능감의 관계

        고유빈(Yoo Bin Koh),채재성(Jea Sung Chae) 한국사회체육학회 2014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57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hippotherapy, parental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In addition, the study subjects were 360 male and femal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used a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South Korea. A questionnaire survey wasconducted on them directly for sampling, and 312 parents were sued as a final study subject after excludingthe unreliable data. Therefor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fter statistically validating and analyzing the response resultsby the study procedures and methods: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according to demographic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hippotherapy and their parents. As aresult, the disable children``s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participation period, participation frequency andparticipation time and the parents`` age, educational background, profession and income level have a partially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Second, the social support of the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hippotherapy has a significanteffect on parenting-efficacy. To be more specific, evaluaivte and informative support, evaluative support ,informative support, informative, evaluative and materi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of the parents of disable dchildren who participated in hippotherapy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eaching ability, healthy parentingability, general parenting efficacy, discipline ability and communication, respectively.In particular, a path analysis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of the parentsof disable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hippotherapy. As a result, all sub-variables of social support such asemotional, evaluative, material and informative support has a sta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arenting efficac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concept of social support of eth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hippotherapy is possible to fi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 that these parental social support canprovide an opportunity to increase the parenting efficacy which is an important emotion in parenting childrenwith disabilities.

      • 부모의 효의식이 자녀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최은주 ( Choi Eun Ju ),곽종형 ( Kwak Jong Hyung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0 사회복지경영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효의식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부모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자녀의 어린이집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가 갖는 효의식이 자녀의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자녀의 어린이집 적응에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효의 본질, 효의 인식, 효의 실천을 더욱 긍정적으로 발전시켜갈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고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자녀의 어린이집 적응이 향상되도록 해야겠다. 둘째, 부모의 효의식이 사회적 지지, 부모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사회적 지지, 부모효능감을 더욱 긍정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 유익한 자료가 일반화 되어야 하겠다. 셋째, 부모의 사회적 지지, 부모효능감이 자녀의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부모효능감을 탐색하는 것은 의미가 있으며, 사회적 지지와 부모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며, 사회적 지지와 부모효능감의 긍정적 변화에 중요한 요인을 찾아 사회적 지지와 부모효능감을 증진하도록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parental efficacy on the effect of parents' hyo consciousness on the adaptation of the day care center, and to provide the data to find alternatives to improve the adjustment of the child care center. The conclusion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hyo consciousness influenced their children's adjustment to day care. It is necessary to create conditions and actively support the development of hyo to directly develop the nature of hyo, the recognition of hyo, and the practice of hyo,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the adaptation of children's children's homes. Second, parents' hyo consciousness influenced social support and parental efficacy. In-depth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more positively the parents' social support and parental efficacy. Third, parents' social support and parental efficacy influenced their children's adaptation to the day care center. Exploring the social support and parental efficacy of parents is meaningful, needs an alternative to improve social support and parental efficacy, and promotes social support and parental efficacy by finding factors that are important for positive change in social support and parental efficacy. It is necessary to study to make it work. Fourth, parents 'social support and parental efficacy set as mediators had an effect of mediators between parents' hyo consciousness and children's adaptation to daycare centers. Although parents 'hyo consciousness directly affects children's adaptation to children's homes, parents' hyo consciousness indirectly affects social support and parental 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parental efficacy indirectly affects children's home adjustment. Therefore, efforts to positively mediate effects are need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first, the scope of the study should be broadened nationwide so that more general and objective research results can be obtained. Second, in order to raise children's adaptation to daycare centers, various factors need to be verified and analyzed. Third,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is a cross-sectional study. To supplement this, it is necessary to follow up the changes through the longitudinal research method.

      • KCI등재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들의 사회적 지지, 갈등, 고립경험에 관한 연구

        이동훈,이춘화,신지영,강민수,서은경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5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social experiences of the bereaved parents of the Sewol Ferry Disaster.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at 2 years following the Sewol Ferry Disaster.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of Krippendorff(2004). The social experiences of bereaved parents had two aspects, (1) Social support, (2) Social conflict and isolation. The results were classified by 4 dimensions(acquaintances, workplace, community, society). In ‘acquaintances’ Social support had 2 categories(‘emotional support from acquaintances’, ‘4/16 Sewol Families becoming a 'social family’), and Social conflict and isolation had 4 categories(‘cutting off from close relationships’, ‘wounds from people who do not have sympathy for bereaved parents’, ‘receiving blame from acquaintances and friends’, ‘conflict with relatives and friends over their financial compensation’). In ‘workplace’ Social support had 2 categories(‘emotional support from colleagues’, ‘allowing parents flexible working hours’) and Social conflict and isolation had 4 categories(‘loss of motivation and meaning of work’, ‘alienation from colleagues’, ‘social isolation resulting from quitting jobs’, ‘failure of re-employment due to career break’). In ‘community’ Social support had 2 categories(‘emotional and instrumental support from community’, ‘support from bereaved friends’) and Social conflict and isolation had 4 categories(‘getting a cold shoulder from community’, ‘social withdrawal’, ‘receiving blame from community members’ ‘disappointment from the school’). In ‘society’ Social support had 4 categories(’power of the yellow ribbon’, ‘perceiving support from social gatherings and memorial events’, ‘realizing the value of people who join the Sewol truth seeking movement’, ‘sympathy and support from people who have similar experiences’ and Social conflict and isolation had 4 categories(‘distrust towards a country without a social safety net’, ‘families' grief not accepted from society’, ‘victim blaming from society’, ‘suspension of national victim support serv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discussion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세월호 재난 이후 2년 시점에서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들의 사회적 경험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심층면담자료는 Krippendorff(2004)의 내용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들의 사회적 경험은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갈등 및 고립의 차원으로 분류되었다. 사회적 지지와 갈등 및 고립의 경험은 각각 ‘근린(近隣) 차원’ ‘직장 차원’, ‘지역 차원’ ‘국가 및 사회 차원’ 4가지 차원으로 분석되었다. 근린(近隣) 차원에서의 사회적 지지 경험은 ‘곁을 지키며 버텨주는 친지들’, ‘사회적 가족'이 된 세월호 유가족’ 2가지 범주이며, 사회적 갈등 및 고립 경험은 ‘지인들로부터 괴리감을 경험하고 교류를 단절함’, ‘자녀 잃은 부모의 마음을 공감하지 못하는 사람들로부터 상처받음’, ‘세월호 재난과 유가족의 진상규명활동을 비난하는 지인들에게 상처받고 원망함’, ‘보상금에 관심 갖는 친지와의 갈등’ 4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직장 차원에서의 사회적 지지 경험은 ‘직장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동료들이 도움을 줌’, ‘유가족 활동을 위해 근무시간 조정을 배려해줌’ 2가지 범주이며, 사회적 갈등 및 고립 경험은 ‘직장과 일에 대한 동기와 의미의 상실’, ‘직장동료들로부터의 고립’ ‘직장생활의 중단으로 인한 사회적 고립’, ‘경력단절로 인한 재취업의 좌절’ 4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지역 차원에서의 사회적 지지 경험은 ‘지역의 심리적, 물질적 후원자들’, ‘사별 자녀의 친구와 학부모가 보내는 관심과 지지’ 2가지 범주이며, 사회적 갈등 및 고립경험은 ‘안산지역의 냉대어린 분위기’, ‘주민들의 부정적인 시선으로 인한 사회적 위축’,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비난과 외면에 부딪힘’, ‘학교에 대한 실망과 분노’ 4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국가 및 사회차원에서의 사회적 지지 경험은 ‘나와 사람들을 연결해주는 노란리본의 힘을 실감함’, ‘집회와 간담회에 참석하는 사람들의 존재로 힘과 지지를 얻음’, ‘진상규명활동에 동참해주는 사람들의 소중함을 실감함’, ‘비슷한 사별경험을 한 사람들의 공감과 지지’ 4가지 범주이며, 사회적 갈등 및 고립 경험은 ‘사회적 안전망이 부재한 국가에 대한 불신이 생겨남’, ‘내 가족의 슬픔이 사회로부터 수용되지 않는다는 생각에 울분이 생김’, ‘도처에서 경험하는 유가족을 향한 비난’, ‘국가의 피해자 지원의 축소와 중단’ 4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애여성의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정호,김문근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23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장애여성의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경상북도여성장애인복지관 사례관리 등록 대상 중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장애여성 1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고, 이들의 일반적 특성,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우울 등을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6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변량분석, pearson’s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여성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우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은 정적 상관관계, 사회적 지지와 우울,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는 각각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순회귀분석 결과 장애여성 양육스트레스는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한 매개효과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는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의 한계로 남아 있던 장애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상황에서 장애여성의 사회적 지지 지각을 강화함으로써 우울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on depression in women with disabiliti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140 women with disabilities residing in the Gyeongbuk region who were raising their childre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status were also assessed. Data analysi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varianc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for Windows, version 26.0.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n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women with disabilities showed that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herea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s well as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were negatively correlated. Second, th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parenting stress directly influenced depression in women with disabilities.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among women with disabilities, thus addressing a gap in previous research. Additionally,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as it suggests that improving social support perception in situations of high parenting stress in women with disabilities can alleviate depression.

      • KCI등재

        부모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양육스트레스가 자녀 학대와 자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사회적 지지 인식에 따른 완충효과

        이주연,최은영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保健社會硏究 Vol.42 No.1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ffects of parental experiences of childhood abuse and parental stress on offspring abuse and depression, as well as to examine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the offspring abuse and child’s depressio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selected from 2018 Childhood Life Experiences Survey, with a sample of 1,515 parent-child dyads. Descriptiv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al experiences of childhood abus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parental stress and offspring abuse, parental stress itself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to offspring abuse and depression, and finally child’s current experience of abus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ir depression. The direct effects of parental experiences of childhood abuse and parental stress on offspring abuse and child’s depression were moderated by the offspring’s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For the offspring with the low- and the medium-level of social support, the child abuse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depression, whereas for those with the high-level of social support i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ression. Moreover, for children with low-level of social support, the effects of parental stress on offspring abuse and child’s depression were much stronger than those with medium- or high-level of social support.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child abuse can transmit through generations and have an adverse influence on depression in offspring in Korea, as has been confirmed in many other countries, which informs the validity of the social learning theory and family systems theory too. There is a need for family-centered and social interventions to break the cycle of abuse and to reduce depression in abused children. 본 연구는 부모의 아동기 학대경험, 양육스트레스가 현재의 자녀 학대와 자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러한 영향이 아동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집단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가족 내 학대의 세대 간 연속성을 약화시키고 학대피해아동의 심리정서적 건강을 도모하기 위한 개입의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8년도 ‘아동기 생애경험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측정모형ㆍ구조모형분석, 매개효과분석, 다중집단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 부모의 절반 이상이 아동기에 학대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아동기 학대경험, 양육스트레스, 자녀 학대피해, 자녀 우울 간에 직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부모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양육스트레스는 자녀 학대와 자녀 우울에 위험요인으로 그 영향은 아동이 인지한 사회적 지지에 따른 집단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자녀의 학대피해가 자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특히 사회적 지지가 중간 이하인 집단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아동학대와 아동 우울의 위험요인을 완화하기 위한 가족 중심의 개입과 보호요인 강화를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강화 등의 개입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과 양육소진의 관계: 사회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현지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9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association of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al burnout among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for collecting data from 198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utilizing the SPSS 22.0 and PROCESS Macro 3.5. The results of the study as the following. First, parenting str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parental burnout, while it was negatively related to parenting 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addition, parenting efficacy was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support, while parental burnout was negatively related to parenting efficacy and social support. Second, mothers’ parenting stress had a direct impact on parental burnout and it also had an indirect impact on parental burnout through parenting efficacy, which showed that parenting efficacy had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al burnout.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support ha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the impact of the parenting stress on the parental burnout through parenting efficacy. Finally,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three levels (low, average, high) in social support. Based on these finding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preventing the parental burnout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regarding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possible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were provided. 이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소진 간의 관계에서 사회지지가 매개변인인 양육효능감의 저하를 완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유아 어머니 19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PROCESS Macro 3.5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양육소진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양육효능감과 사회지지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양육효능감은 사회지지와 정적 관계를, 양육소진과는 부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지지는 양육소진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양육스트레스는 양육소진에 유의한 직접적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양육효능감을 경유하여 양육소진에 유의한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양육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와 양육소진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을 통해 양육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사회지지의 수준에 따라 완충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지지의 3가지 수준에서 그 효과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발달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소진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사회지지의 적용에 관한 논의와 향후 연구에 관한 함의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시설보호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관희,조성제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11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adolescent in Institutional Care adolescents their well-being. These children have experienced many stressful events and are placed in institutional care with unfinished conflicts. The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163 adolescents in institutional care facilitie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using the SPSS program.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adolescents on adolescent’s well-being wa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affected by all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such as parental support, teacher support, and friend support. In particular, as for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er support was most effective on the adolescent well-being which was followed by parent support and friend support.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adolescents such as teacher support, parental support, and friend support, the higher the adolescent's sense of well-being appears.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basic data for finding ways to promote youth's well-being by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youth's social support on their well-being. 본 연구는 시설보호 청소년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시설보호 청소년들은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해결되지 않은 갈등을 지닌 채 시설에 입소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시설보호 청소년이 경험하는 시회적 지지 관계에 주목하여, 청소년 보호기관에 입소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청소년보호기관에 입소한 163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수집되었다.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부모의 지지, 교사의 지지, 친구의 지지 등 사회적 지지의 모든 하위요인에 의해 긍정적이고,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특히, 사회적 지지 중에 교사의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부모의 지지, 친구의 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지지, 부모의 지지, 친구의 지지와 같이 청소년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행복감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안녕감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료된다.

      • KCI등재

        유아의 인지,사회,정서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맞벌이 부부의 환경 변인에 관한 연구

        김연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6

        본 연구는 유아기의 자녀를 둔 맞벌이부부 114쌍을 대상으로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양육행동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관계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인들과 유아의 인지, 사회, 정서 발달과의 인과관계를 연구모형을 통해 알아보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연구결과, 아버지의 경우, 유아의 인지능력과 정서지능에 대해 사회적 지지, 양육행동, 의사소통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사회적 능력에 대해서는 양육행동이 직접적인, 사회적 지지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경우는 유아의 인지능력에 대해 사회적 지지, 양육행동, 의사소통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능력에 대해서는 사회적 지지와 양육행동, 의사소통이 모두 직접적인 영향과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에 대해서는 의사소통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와 양육행동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dentifies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ollowing variables in dual-income families:1) parents' social support, 2) parenting behaviors and communication patterns of dual-income couples with their children in terms of how these variables are related to young children's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e subjects include 114 children ranging from three to five years of age and atte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centers and the dual -income parents of those infants. In this study, 1) a father's social support had an effect on parenting behavior but 2) did not influence communication; 3) a father's social support, parenting behavior and communication did not affect the child's cognitive ability or emotional intelligence. However, it was found that 4) parenting behavior had a direct effect on the children's social skills while 5) social support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m. In case of mothers in dual income families, it was found 6) that the mother's social support had an impact on both parenting behavior and communication. In addition, 7) the variables of social support, parenting behavior and communication did not influence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though 8) all the variables affected social skill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As for emotional intelligence 9) communication had a direct impact on it and 10)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behavior had an indirect one.

      • KCI등재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우울증상, 가족관계, 사회적 지지 및 양육행동의 관계

        여종일(Yuh, Jongil)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16

        본 연구는 우울증상, 가족관계, 사회적 지지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살펴보며,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이들 변인들의 설명력 및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77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온정 · 수용적 양육행동은 우울증상과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가족관계 및 사회적 지지와는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어머니의 허용 · 방임적 양육행동과 거부 · 제재적 양육태도는 우울증상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가족관계 및 사회적 지지와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기능적 가족관계 및 사회적 지지는 어머니의 온정 · 수용적 양육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우울증상과 낮은 사회적 지지는 어머니의 허용 · 방임적 양육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우울증상, 역기능적 가족관계, 낮은 사회적 지지는 어머니의 거부 · 제재적 양육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허용 · 방임적 양육행동에 대한 우울증상과 가족관계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서, 어머니의 우울증상이 높을수록 허용 · 방임적 양육행동이 높은 경향은 역기능적 가족관계를 가진 집단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우울증상과 양육행동과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가족관계 및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가족관계 및 사회적 지지를 부모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의 주요 구성요소로 활용할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how depressive symptoms, family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were associated with parenting behaviors among mothers with preschoolers. Specifically, the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how depressive symptoms, family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explained parenting behaviors and whether family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played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parenting behaviors. Mothers of two hundred and seventy-seven preschoolers completed measures of depressive symptoms, family relationships,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behaviors. Correlation analyses showed that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warm/acceptive parenting and positively related to permissive/neglectful parenting and rejective/controlling parenting. On the other hand, family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warm/acceptive parenting and negatively related to permissive/neglectful parenting and rejective/controlling parenting.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family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predicted warm/acceptive parenting.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predicted permissive/neglectful parenting and rejective/controlling parenting. Moreover,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permissive/neglectful parenting.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t role of family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in families with maternal depression and suggest the promotion of family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in parent education and couns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