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복지실천의 임파워먼트 접근에서 온정주의의 침투와 공존

        박선영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3 미래사회복지연구 Vol.4 No.1

        1990년대 이후 임파워먼트 접근은 빈곤, 심신질환 및 장애, 폭력 등의 복합적 어려움을 겪는 클 라이언트들을 위한 인간과 인권 중심의 사회복지실천을 대표하는 방법으로서 대두되었다. 사회 복지실천가들은 오랫동안 실천가가 주도하여 변화를 일으키는 온정주의에 익숙해 왔다. 온정주 의는 클라이언트가 자력으로 자기 및 사회기능을 향상시켜 삶의 변화를 꾀하는 임파워먼트 접근 에 배리됨에도 불구하고 실제 현장에서 실천가들이 보다 쉽게 취하여 딜레마를 유발하게 된다. 이 연구는 사회복지실천가들이 임파워먼트 접근을 하면서도 온정주의를 취하여 긴장과 갈등을 경험하는 현황,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속에 팽배해 온 온정주의와 그 배경을 고찰하고 대응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온정주의의 개념, 휴먼서비스 전문직인 사회복지실천의 속 성으로서 온정적 특성, 그리고 사회복지실천에서 임파워먼트 접근의 원리와 대비되는 온정주의 의 특성과 사회복지사들이 갈등을 겪는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사회복지실천의 역사를 통해 뿌리깊은 온정주의를 파악하고 이와 연관되는 의료모델과 이분법적 사고가 온정주의의 횡 행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셋째, 현재 사회복지실천에서 임파워먼트 모델과 온정주의가 아 닌 온정성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끝으로 사회복지실천의 고유 속성으로서 온정성 을 임파워먼트 접근과 조화롭게 하는 방안으로서 온정성의 재개념화, 사회복지실천가의 발견적 훈련을 통한 복합적 인지기능의 향상, 그리고 재귀적 자기성찰의 방법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거시적 지역사회실천과 실천통합적 연구의 모색: 포괄적 지역사회실천·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이론기반 평가

        김가율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4 미래사회복지연구 Vol.5 No.1

        한국의 지역사회복지실천은 지역사회 수준의 변화를 목표로 하는 거시적 성격보다는 지역사회의 자원과 시스템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구성원 개인과 가족을 돕는 미시적 성격의 실천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본 논문은 거시적 수준의 지역사회 변화를 위한 실천과연구에 대한 논의를 촉진하기 위한 목적에서 ‘포괄적 지역사회실천(CCIs)’, 그리고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CBPR)와 변화이론기반 평가연구에 대한 논의를 소개하였다. ‘포괄적 지역사회실천’은 살아서 움직이고 변화하는 지역사회의 특성을 있는 그대로 수용한다. 따라서 실천의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포괄적이며 다층적이고 진화적인 특징을 지닌다. 지역사회 기반연구와 이론기반 평가연구 방법은 전통적 연구 방식이 ‘포괄적 지역사회실천’의 이러한 특성을 적절히 반영할 수 없다는 비판에서 대안적으로 제시되고 있는연구 접근법이다. 이러한 방식의 지역사회실천과 연구방법이 한국의 현장에서 어떻게활용될 수 있을까에 대해서는 한층 더 심화된 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사회복지실천론과 현장실습 교과목의 연계 모색 : 종합사회복지관 실습에 참여한 사회복지학전공 학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장수미,김경미,이지수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9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0 No.2

        사회복지학전공 학생들은 실습을 통해 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현장에 적용시켜보며 사회복지사로서 자신의 가능성을 탐색하게 되므로 실습은 사회복지사로 성장하는데 기본적인 토대를 제공한다. 실천교육을 위한 대표적인 기초과목인 사회복지실천론은 실습 전에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선수과목으로서 성공적인 실습을 위해 매우 중요한 교과목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론과 현장실습 교과목의 연계를 위해 실천론수업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되었다. 이에 대한답을 구하기 위해 서울지역 6개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실습을 완료한 사회복지학전공 학생 10명에 대해 6명, 4명으로 구분하여 각 1회씩 총 2차례의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고, thematic analysis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실습에서사회복지실천론의 적용, 실습을 통해 실천론 내용의 이해가 깊어짐, 사회복지실천론 수업과 현장의 간극, 사회복지실천론 교과목의 개선과 변화의 방향(사례를 통한 수업진행과 피드백, 현장의 흐름을 반영, 자기인식 및 자아성찰 추가, 가치갈등에 대한 해결연습등)의 4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주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과 실천의 통합을 위해사회복지실천론 수업에서 보완되어야 할 점, 실천론과 현장실습 교과목의 연계를 위한논의와 제언, 연구의 한계점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회복지 실천과 지식 : 우리 시대의 대안

        고미영(Me Young, Ko)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20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1 No.1

        본 논문에서는 사회복지 실천의 본질을 사회복지 지식체계와의 관계 속에서 논하면서 우리 시대의 지식에 대한 대안적 사고를 탐색하였다. 먼저 사회복지 실천과 지식체계의 관계가 시대에 따라 변화해 온 것을 살펴보고, 이 둘이 상호 영향을 주었음을 지적하였다. 특히 사회적 차원에서 지식에 대한 담론이 어떻게 사회복지 실천의 내용과 범위를 규정하거나 제한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사회복지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논쟁을 통해 지식을 결과물로 다루는 인식론과 과정으로서의 지식을 다루는 인식론을 탐구하였다. 이에 실천 과정을 지식으로 구성하는 실천지를 사회복지 실천과 잘 어울리는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 시대의 실천을 위한 지식으로 포스트모던의 구성주의가 지닌 한계를 넘어서는 비판적 실재론을 소개하였다. 비판적 실재론은 문제가 발생하는 사회·구조적인 기제를 탐구하도록 하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구상하도록 하여 사회복지사들이 실천 과정에서의 방향과 행위에 대한 대안적 지식을 구성하도록 해준다. 사회복지사는 현실적 문제에 부딪히면서 사람들과 사회의 변화를 촉구하기 위해서 일상적 실천 행위의 실제적인 검증과 동시에 창의적 실천을 구성해야 한다. 따라서 담화적이고 직관적인 지식을 실천을 위한 지식의 대안으로 제시하면서, 반영성을 지식 구성과 실천에서 활용하도록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 knowledge and practice and to explore alternative thoughts about social work knowledge.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 knowledge and practice is reviewed following the historical change. Then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two subjects was emphasized as the perspectives of the time and discourse about knowledge defined the nature and the range of social work practice. Different epistemological positions called for different attitudes toward knowledge and its application. Social work knowledge has been heavily influenced by the epistemological position which views knowledge as a product. The other ways of knowing have been ignored and not recommended in social work academia. In this paper, knowledge as a process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epistemology for social work. Aristotle’s Phronesis is recommended for the proper knowledge for social work practice. This paper suggests critical realism as an alternative theory that overcomes the weakness found in constructivism in solving problems such as poverty,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and abuse found in the real world. Critical realism guides social workers to find the causal mechanism of the problem in a social structure. Critical realism strongly suggests social workers to practice reflexively and to find a creative solution. Also, discursive and intuitive knowledge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knowledge for social work in our times.

      • KCI등재

        코로나(COVID-19) 시기의 사회복지관 비대면 서비스 IPA 연구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최윤정(Choi, Yun-Jung),권혜민(Kwon, Hye-Min)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21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대면 위주의 활동을 해오던 사회복지관들이 코로나(COVID-19)로 인해 서비스 제공 환경이 갑작스럽게 변화됨에 따라, 서비스 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 사회복지 주요 사업별 수행 수준과 해당 사업이 비대면 서비스 체계에서 가지는 중요성에 대한 의견을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더불어, 코로나 시기에 특화된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비대면 서비스로의 변화에 사회복지 현장이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부산지역 사회복지관(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총 55개소의 종사자 109명이 응답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해 충분히 준비되지 못한 상황에서 사업의 필요성에 비해 ‘전면 비대면’ 혹은 ‘중단’ 의 형식으로 수행될 수밖에 없었던 사회복지 현장의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가운데 기관 유형에 따른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도 함께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관의 변화 노력과 지원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confirmed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the service provision process as social welfare centers, which had provided mostly in-person services, suddenly changed their service provision environment due to the COVID-19 outbreak. To this end, opinions on the performance of major social welfare projects and the importance of such projects in the contactless service era were analyzed using the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IPA) technique. In addition, analysis of contactless services specialized in the COVID-19 period revealed social welfare field workers actively respond to the change toward contactless services and seek ways to provide better service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Data from 109 workers from 55 social welfare centers in Busan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s, elderly welfare centers, and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field workers faced difficulties carrying out completely contactless work or completely halting work in situations where there was insufficient preparation, although they had much to do in an emergency.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depending on the organization type was also examined. Based on study results, there is need for efforts to change and support social welfare centers.

      • KCI등재

        사회적경제교육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사회적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창남(Park, Chang Nam)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8 미래사회복지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경제교육이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사회적기업가정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A대학 사회복지학부에서 2017년 2학기 동안 진행된 사회적경제교육 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기업가정신을 사전-중간-사후 측정을 하였고, 대응표본 t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경제교육이 대학생들의 사회적 가치 지향성과 기업가정신의 증가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가치 지향성을 구성하는 변수 중 공감, 돕기는 교육 이후에 유의미하게 증 가한 반면, 공동체의식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가정신을 구성하는 변수들, 즉 진취성, 혁신성, 위험감수성은 모두 교육 이후에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반기의 교육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사회적경제교육 이전과 교육중간 시점에서 사전사후 분석을 한 결과, 사회적경제교육이 사회적 가치 지향성과 기업가정신의 증가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후반기의 교육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사회적 경제교육 교육중간과 종료시점에서 사전사후 분석을 한 결과, 사회적경제교육이 사회적 가치 지향성과 기업가정신의 증가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전반기와 비교해서 특히 기업가정신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새로운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economy education on the social entrepreneurship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For this purpose, social entrepreneurship was measured pre-, intermediate-, and post-test by the students who took courses related to social economy education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17 at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University of 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economy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of social welfare majo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of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entrepreneurship. Second, among the variables that constitute social value orientation, empathy and hel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ducation, while community consciousness was not. All of the variables that constitute entrepreneurship, proactiveness, innovation, and risk-taking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education. Third, in order to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first half, pre-post analysis was carried out at the beginning of social economy education and the middle point of education. As a result, social economy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entrepreneurship. Fourth,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education in the latter half of the period, pre-post analysis were conducted at the middle and the end of social economy education. As a result, social economy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entrepreneurship. The increase in entrepreneurship was prominent.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new research are suggested.

      • KCI등재

        장애인복지 분야의 질적 연구 동향 분석

        장숙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9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질적 연구에 있어 향후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등재지로서 장애인복지 분야에 특화되어 장애인복지 관련 주제들을 총체적으로 다루는 대표적 학술지인『재활복지』와『한국장애인복지학』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했다. 그리고 이들 학술지의창간년도부터 2018년도까지 수록된 총 1,050편의 연구들을 전수 조사했으며,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된 총 111편의 논문을 분석목록에 포함하였다. 이에 연구자는각 학술지별 질적 연구의 출현 빈도, 연도별 출현빈도를 파악했으며 연구주제·연구대상· 연구방법·질적연구 특성의 네 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하위범주를 구성한 분석틀을 활용하여 관련 항목들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복지 분야에서 질적 연구가 갖는 유용성에 관해 적극적인 공감대를 형성하고, 질적 연구에 적합한연구 주제와 대상자 선정을 고려하며, 연구대상자의 특성과 상황에 최적화된 자료수집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연구대상자가 경험한 세계를 이해할 때 발생되는 오류를 감소시키고, 연구자들의 사전준비도 및 참여자와의 접촉 수준을 높여 질적 연구의 독특성을 갖추며, 철저한 엄격성·윤리성 확보를 통해 연구의 질적 수준 향상을 도모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가 장애인복지 분야에서 질적 연구의 유용성 및 구체적 적용 방법에 관한논의의 확대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빈곤 한부모여성을 위한 임파워먼트 접근 실천 사례연구

        심정원,조지혜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3 미래사회복지연구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빈곤 한부모여성을 위한 임파워먼트 접근 사회복지실천에 대해 선행연구 검토와 실천사례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빈곤 한부모여성 임파워먼트 실천 방법 과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며, 실천현장을 통해 입증된 결과들이 연구를 통해 증명되고 그 결과가 축적되는 증거기반 실천 및 연구에 기여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12년까지 이화 여자대학교 성산종합사회복지관에서 진행한 임파워먼트 접근 실천을 사업계획서 및 사업평가서 등의 사업자료와 현장연구보고서 등의 문헌자료를 이용하여 임파워먼트 수준에 따라 연도별 특 성을 파악하고 성과내용을 분류하였다. 이어 개인적, 대인적, 정치․사회적 임파워먼트 수준을 근거로 시간과 과정의 흐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빈곤 한부모여성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주 요내용이 개인적, 대인적, 사회․정치적 단계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각 단계가 분절적으로 이루 어진 것이 아니라 유기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에 따른 임파워 먼트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최근 사회복지실천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임 파워먼트 개념과 관련하여 빈곤 한부모여성을 위한 임파워먼트 접근의 실천에 따른 사회복지적 의미와 과제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여성 사회복지사의 간접차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이상아(Lee, Sang A),정원미(Jung,Won Mi)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8 미래사회복지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 현장에서 나타나는 간접차별의 작동원리에 관심을 가지고 여성 사회복지사들은 어떠한 간접차별을 경험하며, 이것이 근로 환경에서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게 되는지, 그 간접차별로 나타난 결과는 무엇인지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인권 연구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간접차별 연구와 사회복지사 차별의 경험을 주목한 연구들을 검토하였고 다음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사회복지 영역에서 나타나는 차별의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사례 내 분석을 통해 각 사례의 기본적인 특성, 여성 사회복지사로서의 직장 진입과정, 현재 업무,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 영역에 따른 개인의 직접적 혹은 간접적 성차별 경험들을 도출하였다. 사례 간 분석 결과는 10개의 하위 범주와 3개의 핵심 범주로 분류되었다. 3개의 핵심 범주는 ‘간접 차별’ 과정에 따라 범주화하였고 세부적으로 ‘차별 발생 배경’, ‘간접차별 상황’, ‘간접차별 인식’이었다.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 기관장과 상급자의 양성평등 교육 확대 필요성과 사회복지 종사자의 간접차별 문제에 대한 인식제고와 같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orking principle of indirect discrimination” in the social welfare field. Specifically, it focuses on the experience of some kind of indirect discrimination among women social workers, how they appear i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what the result of indirect discrimination are. This study identified the mechanism of discrimination in the social welfare field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ies. The inter-case analysis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10 sub categories and 3 core categories. The three core categori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were elaborated as “discrimination background“, “direct discrimination“, and “indirect discrimination“. This study suggested a policy proposal on the necessity of expanding gender equality education for senior officials and the heads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addition to this, the social welfare sector and worker recognized the indirect discrimination, increased the sensitivity to it, and suggested practical implications such as raising awareness on indirect discrimination problems.

      • KCI등재

        사회복지 재난교육을 위한 탐색적 연구

        강창현,문순영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9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재난사회복지실천을 사회복지의 전문분야로 확장하기 위하여 인적자원 개발에 필요한 교육과정을 탐색하여 보았다. 문헌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재난 관련한 한국의사회복지 대학교육 및 사회복지사들의 교육 실태를 살펴보고, 해외 사회복지사들 재난참여경험과 재난 교육사례를 검토하여 향후 우리나라 사회복지영역에서 재난사회복지인적자원개발에 필요한 교육내용들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현재 우리의 사회복지 대학교육 과정에서 재난 관련 교과목이나 교육내용은 찾아보기 어려웠으며, 현장 사회복지사 교육 중 정신보건영역에서 정신보건사회복지사를위한 심리적 응급처치 교육이 비교적 최근들어 제공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도 소수만이 참여하고 있고, 내용도 재난의 복합적인 상황과 문제를 해결하고 대처할 수 있는 통합적인 내용이 아닌 심리지원에 집중되고 있었다. 향후 재난사회복지 실천을 위하여 필요한 교육내용은 재난 구호 법령 및 정책, 구호 행동, 의사소통 및 위험관리, 신체 및 정신보건, 주택 지원 및 경제적 지원, 재난피해자 옹호 및 사회적 지원 재조정, 문화적 반응성, 재난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 사정 도구와 기술, 재난에서의 레질리언스 개념과 측정 지수 등이다. 그리고 이론과 현장경험으로 교육이 구성되어야 하지만 재난 현장경험의 제공이 쉽지 않기 때문에 간접경험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매체와 사례들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