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ChatGPT & 생성형 이미지) 서비스 기반의 PTSD 치유 공간디자인 연구

        장한,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신체적·정신적인 외상 경험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심리·정서적 반응이 일어나는 심리 장애다. PTSD 환자들은 재현적 역행, 회피 행동, 음성적인 경험 증상, 부정적인 변화, 정신적 활성화 등의 증상을 보이며 일상생활에서 기능적인 장애를 겪을 수 있다. 현재, PTSD 치료는 정신 의학 전문가들에게 맡겨져 있지만,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개입 또한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PTSD 환자의 향상된 치유를 위해 인공 지능을 활용한 공간디자인의 프로그램과 특성을 도출하여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첫째, PTSD를 위한 치유 공간을 디자인하기 위해 PTSD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 연구를 통해 키워드를 도출한다. 둘째, 인공 지능 AI(ChatGPT & Midjourney)의 이론적 고찰을 한 뒤, 이를 학습시켜 선행 연구를 통해 도출된 키워드를 프롬프트로 제작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한 다음 사례를 대입하여 분석모형(안)을 제시하고 이를 분석하여 최적의 이미지로 유도한다. 셋째, 생성된 이미지의 타당성과 효율성을 증명하기 위해 FGI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고, 설문을 통해 이미지의 적합성과 현실 가능성을 주장한다. (결과) 인공 지능 AI를 사례를 활용한 반복 학습으로 적극 활용하여 생성된 최종 이미지를 FGI를 통해 분석한 결과, 공간 디자이너로 구성된 그룹 A와 심리 상담사 그룹으로 구성된 그룹 B 모두 타당성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으나, 나머지 부분에서 모두 보통 이상의 높은 점수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두 그룹의 점수를 비교분석 한 결과, 디자이너 그룹보다 심리 전문가그룹에서 전체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인공 지능 AI를 활용하여 생성한 이미지가 치유 공간으로 적합하다는 주장한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는 ChatGPT와 Midjourney를 통한 AI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활용으로 PTSD 환자들을 위한 치유 공간을 디자인한 결과 인공 지능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프롬프트를 생성하면, 결과 도출 과정에서 상호 작용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습된 AI가 효과적인 이미지를 도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AI 기술의 창의적이고 다양한 활용을 강조하며, 특히 심리 디자인 분야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주장한다. 이로써, AI는 새로운 차원에서 환자들의 복원력을 지원하며, 정신 건강 치료의 미래에 새로운 가능성을 시사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manifests following significant traumatic events, leading to sever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sturbances. Symptoms include re-experiencing traumatic events, avoidance of trauma-related stimuli, negative alterations in cognition and mood, and heightened arousal and reactivity. These symptoms often result in substantial impairments in daily functioning. Despite PTSD treatments traditionally residing within the psychiatric domain, there is an emerging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ng environmental interventions. This study aims to leverage the capabiliti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conceptualize space design that significantly aids in the healing process of PTSD sufferers, thereby providing innovative directions in therapeutic environmental design. (Method) This research unfolds in three pivotal stages: Initially, it involves extracting pertinent keywords from theoretical reviews and prior research on PTSD, with the aim of outlining essential components for the design of healing spaces. Secondly, the study delves into the exploration of AI tools, specifically ChatGPT and Midjourney, for their potential in creating therapeutic environments. By harnessing these technologies, the study aims to generate visual prompts derived from the identified keywords and subsequently produce images that encapsulate the conceptualized healing spaces. Lastly, the study's methodology encompasses the validation of these AI-generated image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professionals and surveys aimed at gauging their practical applicability and relevance in real-world therapeutic settings. (Results) Through iterative learning and application of AI in case studies, the research produced a series of images evaluated for their therapeutic potential. Despite receiving lower scores in terms of validity from the groups of space designers and psychological counselors, the images were highly rated in other aspects, reflecting their potential utility in healing spaces. The comparative analysis further revealed that psychological experts found more value in the AI-generated designs than did the space designers, indicating a significant alignment with therapeutic needs. (Conclusions) The study highlights the promising intersection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rapeutic space design for PTSD recovery. By effectively utilizing AI tools like ChatGPT and Midjourney, the research demonstrates that it is feasible to create visually and psychologically supportive environments tailored to the needs of PTSD sufferers. The findings advocate for the innovative application of AI in the realm of mental health, suggesting that AI can play a crucial role in advancing therapeutic space design and potentially transforming the landscape of mental health treatment. Through this approach, AI not only facilitates the creation of healing spaces but also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technology with psychological insights to foster environments conducive to recovery and well-being.

      • KCI등재

        신체적 피해와 형사 처벌이 교통사고 가해자의 PTSD에 미치는 영향 : 성차를 중심으로

        정미숙,최보영 한국교통연구원 2017 交通硏究 Vol.24 No.1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measure the PTSD value of car accident offenders by gender.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physical injury and criminal penalty using the diagnostic criteria of PTSD presented in DSM-5. Assessment via PTSD checklist (PCL-5) on participants (N=428) indicated no gender differences by total PTSD value. However, PTSD value of female offenders was more severe than of male offende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est results indicate male offenders were affected positively by physical injury of others and negatively by criminal penalty. Female offenders were affected positively by others' physical injury.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detailed diagnosis DSM-5 was similar in regression analysis by gender. The criteria method "negative cognitions and mood" indicates severity of physical injury on offenders affected both male and female offenders. Male offenders experienced the intrusion symptoms as if they encountered traffic accidents again, whereas PTSD of female offenders resulted in heightened arousal and reactivity. The study concludes with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교통사고 가해운전자의 PTSD(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정도를 남녀별로 측정하고, 피해자와 가해운전자 본인의 신체적 피해와 형사처벌이 PTSD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것이다. 또한 DSM-5의 PTSD 진단기준에 따른 신체적 피해와 형사처벌이 남녀의 PTSD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총 428명의 교통사고 가해운전자를 대상으로 PCL-5 척도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전체 PTSD 정도에 따른 성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남성보다 여성의 PTSD 정도가 다소 높았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남성의 경우 피해자의 신체적 피해는 정적으로, 형사처벌은 부적으로 PTSD 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다. 여성의 경우에는 피해자의 신체적 피해가 PTSD 정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단기준에 따른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성별에 따른 다중회귀분석 결과와 동일하였지만, ‘인지와 감정에서의 부정적인 변화’ 기준에서는 자신의 신체적 피해가 추가적으로 PTSD 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남성은 교통사고를 다시 경험하는 듯한 침습을, 여성은 지나치게 경계하거나 놀라는 과각성이 PTSD 정도에 가장 큰 설명력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언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PTSD에 대한 마음챙김 명상의 적용가능성

        윤병수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6 No.3

        This paper attempted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mindfulness meditation to PTSD. First, the application mechanism of mindfuln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chanism were examined and the results applied to PTSD were examined. The mechanism of meditation that can be applied to PTSD is attention control, perception of the current moment, and non-critical attitude. This mechanism is thought to have an effect on the treatment of PTSD by acting organically. However, since the research on this is in its infancy, there are few studies,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confirming the applicability as studies based on psychological measurement So we looked at the brain effects of PTSD and meditation on an additional brain science basis. PTSD brain was found to decrease the volume of hippocampus, anterior cingulate cortex, amygdala, and prefrontal cortex, whereas the brain effect of meditation resulted in activation and volume increase of hippocampus, anterior cingulate cortex, and prefrontal cortex.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brain effect of meditation can reduce abnormal brain loss due to PTSD. Finally, the results of psychometric and brain science-based results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PTSD. 본 논문은 PTSD에 대한 전통적인 치료방법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마음챙김 명상의 적용 가능성을 행동과학적 검토와 더불어 뇌과학적 기반을 검토하고자 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00년 이후 PTSD에 대한 명상문헌들을 검색하여 과학적 기반을 갖춘 연구들을 자료로 사용하였다. 먼저, 마음챙김의 적용기제와 기제의 특성을 확인하고 PTSD에 적용한 결과들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이에 대한 연구는 초보단계이기 때문에 연구들이 적은 관계로 심리적 측정기반의 연구로는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그래서 추가적으로 뇌과학적 기반에서 PTSD의 뇌와 명상의 뇌 효과를 검토했다. 검토 결과에 의하면, PTSD에 적용할 수 있는 명상의 기제는 크게 주의조절, 현재 순간의 인식, 비판단적 태도이다. 이러한 기제는 PTSD치료에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PTSD의 치료에 효과를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PTSD의 뇌는 해마, 전측대상피질, 편도체, 전전두피질의 부피가 감소된 반면에 명상의 뇌효과는 PTSD와 상반되게 해마, 전측대상피질, 전전두피질의 활성화와 부피 증가를 초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명상의 뇌 효과는 PTSD에 의한 뇌의 비정상적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심리측정 기반의 결과와 뇌과학 기반의 결과로 PTSD에 적용 가능성을 논하고 현재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했다.

      • KCI등재

        PTSD 위험군 초등학생의 PTSD 증상 감소와 PTG 증진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이혜미,김유미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9 초등상담연구 Vol.18 No.2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develop and then verify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reducing PTSD symptom while enhancing PTG in PTSD risk group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program development model, we developed a program consisting of 8 sessions, 40 minutes per one session.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were 34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PTSD risk group in Seoul. After collecting participants, this work assigned participants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ccording to a convenient assignment. Subsequently, the same PTSD and PTG tests were administered to participants in three times, namely, both shortly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three weeks later. Finally, to measure the change of scores of PTSD and PTG, this study performed 2 (group; experiment, control) × 3 (measurement timing; pre-test, post-test, follow-up test) mixed analysis of variance, follow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for the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action effects of group and measurement tim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TSD and PTG and each sub-factors. Specific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oth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ost-test and the follow-up. The results means that the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in decreasing PTSD symptoms while increasing PTG and its therapeutic effect is maintained. In consequence, this research implies that the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for ameliorating PTSD symptoms and PTG of PTSD risk elementary school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PTSD 위험군 초등학생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 감소와 외상 후 성장(PTG) 증진을 위한 신경언어프로그래밍(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려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상담 및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1회기 40분씩 총 8회기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참가자들은 서울특별시 관내 5∼6학년 PTSD 위험군 초등학생 34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참가자들을 모집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편의 배정(convenient assignment)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PTSD와 PTG 검사를 참가자들에게 3회, 즉 실험 직전과 직후 및 프로그램 종료 3주 후에 투입하였다. 마지막으로, PTSD와 PTG 점수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 및 통제 집단 간 동질성 검증에 이어 2(집단간; 실험, 통제) × 3(측정시기: 사전, 사후, 추후) 혼합설계 분산분석(mixed analysis of variance)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PTSD와 PTG 및 각 하위요인에서 집단(실험, 통제)과 측정시기(사전, 사후, 추후)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실험 및 통제 집단 간의 차이와 사전 및 사후 검사 간의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반면, 사후 및 추후 검사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PTSD 증상 감소 및 PTG 증진에 효과적이며 그 치료효과가 유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PTSD 위험군 초등학생의 PTSD 증상 및 PTG 개선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PTSD 환자의 피해 사고 및 피해 사고에 기여하는 심리학적 요인

        이승윤,문영경,이소라,최하연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3 정신신체의학 Vol.31 No.2

        연구목적본 연구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중 Clinician-Administered PTSD Scale (CAPS)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MMPI-2)를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피해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방 법2013년 5월부터 2020년 4월까지 중앙보훈병원에서 CAPS와 MMPI-2를 시행한 116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검토하였다. CAPS 점수를 기준으로 하여 환자들은 PTSD군(n=63, 연령: 58.16±17.84)과 외상 노출이 있는 비PTSD군(n=53, 연령: 67.34±12.05)으로 나뉘었다. 피해사고, CAPS 및 MMPI-2의 척도들 간의 상관 관계를 확인한 후 임상적으로 관련된 위험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선형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PTSD 군은 외상 노출이 있는 비PTSD 군에 비해 MMPI-2에서 정신분열증, 피해 사고, 역기능적 부정적 정서, 기태적 경험, 정신증, 부정적 정서성/신경증, 불안, 우울, 분노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피해 사고와CAPS, MMPI-2의 상관 관계를 보았을 때, 피해 사고와 MMPI-2 항목들 간에는 통제 결여 항목을 제외하고강한 관련성을 보였다. PTSD 군에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역기능적 부정적 정서 및 분노 척도가 피해 사고의 위험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결 론PTSD 군은 외상 노출이 있는 비 PTSD 군에 비해 피해 사고가 높게 나타나고, 역기능적 부정적 정서 및 분노척도가 피해 사고의 위험 요인일 수 있어 이에 대해 평가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s: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ideas of persecution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patients who underwent Clinician-Administered PTSD Scale (CAPS) and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MMPI-2). Methods:We retrospectively reviewed 116 patients who underwent CAPS and MMPI 2 between May 2013 and April 2020 at Veteran Health Service Medical Center. Based on the CAPS score,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PTSD group (n=63, age: 58.16±17.84) and the trauma exposed without PTSD group (n=53, age: 67.34±12.05). After checking the correlation between Ideas of persecution, CAPS, and MMPI-2 scales,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clinically relevant symptoms. Results:The PTSD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izophrenia, Ideas of persecution, Dysfunctional negative emotions, Aberrant Experiences, Psychoticism, Negative Emotionality/Neuroticism, Anxiety, Depression, and Anger scales compared to the trauma-exposed without PTSD group. When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Idea of persecution, CAPS and MMPI-2 scales, there was a strong association with most of the scales in MMPI-2 and Idea of persecution except Disconstraint.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in PTSD group identified that risk factors for Idea of persecution were Dysfunctional negative emotions and Anger scale. Conclusions:The PTSD group had increased idea of persecution compared to the trauma exposed without PTSD group. Dysfunctional negative emotions and anger may be risk factors for idea of persecution in trauma exposed population.

      • KCI등재

        산재법상 산재후유장애에 대한 업무상 판단과 대책

        이달휴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법학논고 Vol.0 No.51

        Workers’ compensation act is social insurance that provides cash benefits and(or) medical care for workers who are injured or become ill as a direct result of their job. The problem occurs when physical trauma produce mental injury to injured workers. In other words the problem is if Workers’ compensation law protects injured workers suffering from PTSD from stress or mental pressure after curing their injury. It is difficult for judge the occupational nature of PTSD as the PTSD happens to injured workers out of the multi cause regardless of age after industrial accidents, after a lapse of long period from industrial accidents. The other problem is how the PTSD is judged. The Korean workers’ compensation law have the rule of additional injury and disease compensation pension, compensation for re-medical treatment and general causation between diseases and work for protecting the injured workers. The inferior court intends to solve the work connected of PTSD by applying the rule of additional injury and disease compensation pension. This application of the rule to PTSD is wrong because when PTSD happens to the workers who saw colleague injured. this rule is no more applied. Therefore, PTSD could be protected according to the judgement of work related disease based on the general rule that prescribes the proximate causal relation between disease and work. In America, PTSD of the worker is divided into three forms that are cases in which observable physical trauma causes mental injury, cases in which mental stress or stimulus causes observable physical trauma and cases in which mental stress or stimulus so-called purely mental injuries, that is, injuries unaccompanied by any observable or apparent physical trauma according to the cause of PTSD, PTSD of the injured worker is protected by workers’ compensation system, if PTSD happens out of physical trauma decided as the work related injury. Above all, we try to prevent the PTSD from the physical trauma. The best method is to consider and educate the injured workers for prevention of PTSD.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근로자는 노동을 통하여 생활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노동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근로자에게 예기치 않은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중 하나가 산업재해이다. 이러한 산업재해는 일순간 발생하고 그러한 발생에 의하여 근로자와 그 가족은 무한한 고통과 불행을 당하게 된다. 이러한 산업재해의 하나가 PTSD(Post-traumatic Stress Disorder)이다. 즉 산재법상 산재후유장애인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산재후유장애에 대하여 산재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즉 업무상 장해에 해당되는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위해서 PTSD의 개념, 증상, 원인 및 특징을 알 필요가 있다. 산재후유장애는 외상을 직접적으로 당한 근로자뿐만 아니라 그러한 외상을 당하는 근로자를옆에서 지켜본 동료근로자도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고, 이를 개념에 포함시켜야 한다. 왜냐하면 이에 따라 산재법상 업무상 판단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선진국인 미국에서는 산재후유장애를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즉 미국의 Louisiana 주에서 산재법상 PTSD를 3가지 종류로 나누어 외상과 산재후유장애 사이에 인과관계가 인정되면 산재법상 보호를 하며, 다만 주에 따라서 인과관계의 정도를 달리하고 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한국판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체크리스트-민간인용(PTSD Checklist Civilian Version)의 신뢰도 및타당도 연구 :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오송인,이소희,원성두,유소영,김현정,김혜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4 신경정신의학 Vol.53 No.6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stress disorder (PTSD) Checklist civilian version (PCL-C) by evaluating its reliability and validity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population. Methods A total of 69 North Korean defect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were recruitedfrom the psychiatric outpatient or inpatient ward. We categorized the participants intotwo groups according to the Clinician-Administered PTSD Scale (CAPS) diagnosis of PTSD(PTSD, n=32 ; Non-PTSD, n=37). All Subjects completed psychometric assessments, includingthe PCL-C,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PTS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Results Findings provided support for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PCL-C. The PCL-C showed good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 α=0.93), and a significantlypositive correlation with CAPS and MMPI-PTSD (r=0.47, r=0.61, respectively). The optimal cutoffpoint of PCL-C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was at a total score of 56 with sensitivity andspecificity of 0.88, and 0.50, respectively. Conclusion Overall, the Korean version of the PCL-C appears to be a valid and reliable measureof PTSD symptoms among the North Korean defectors.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임상적 함의를 갖는다. 즉, PTSD 선별에서 PDS 또는 DTS에 비해 장점을 지닌 PCL-C를 북한이탈주민에게 사용할 목적으로 표준화하고 절단점을 제시한 본 연구가 PTSD를 지녔을 가능성이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효율적 선별에 기여할 수있을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한국어판 PCL-C가 PTSD를지닌 북한이탈주민의 증상 및 치료 반응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증상의 추이에 따라 적절하게 개입할 가능성을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性暴力被害者への支援とPTSDの治療

        나카지마, 사토미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3 이화젠더법학 Vol.5 No.2

        性暴力が被害者に與える精神的影響は非常に深刻である。いくつかの硏究で は,性暴力被害者のPTSDの生涯有病率は50%以上であることが報告されている。また,PTSDだけでなく,うつ病やパニック障害,アルコ-ルや藥物關連障害などの他 の精神障害も被害を受けていない女性に比べ有病率が高いとされている。さらに,精神障害だけではなく,被害體驗によって世界に對する安全感や信賴感が失われ,無力感や自己否定感,屈辱感,恥辱感を强く感じることで,社會生活や關人關係の問題を抱えることも多い。このような性暴力被害者への支援は,PTSD等精神障害の予防·治療だけでなく,對人關係,社會生活への支障を輕減し,被害者自身の力を回復する上で重要である。日本では,2004年に犯罪被害者等基本法が成立して以降,司法制度や犯罪被害者給付金等における被害者の支援は進んできたが,警察に屆け出ることが少ない性暴力被害者への支援はなかなか進んでこなかった。2011年の第2次基本計畵以降,被害者の要望に應えて産婦人科における治療の公費負擔の充實やワンストップ支援センタ-の設置などが國のモデル事業として實施されるようになってきている。 また,現在PTSDの治療では,國際トラウマティック·ストレス學會やイギリスなどでガイドラインが作成されトラウマに焦点を當てた認知行動療法(trauma focus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F-CBT)が有效であることがほぼ一致した見解となっているが,このような治療は習得に時間がかかることや,保險診療では困難であることなどからなかなか普及しない現狀がある。性暴力被害者のPTSD治療や支援の普及のためには,急性期から被害者に關わる機關.救命救急,産婦人科,警察,弁護士,被害者支援團體.と精神科·心理專門機關の緊密なネットワ-クが重要である。 성폭력이 피해자에게 미치는 정신적 영향은 매우 심각하다 몇 몇 연구에서는 성폭력 피해자의 PTSD의 평생 유병률은 50% 이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PTSD뿐 아니라 우울증과 공황장애 알코올이나 약물 관련 장애등의 다른 정신장애도 피해를 받지 않은 여성보다 유병률이 높다고 여겨지고 있다 또한 정신장애 뿐만 아니라 피해 경험에 의해 세계에 대한 안전감과 신뢰감을 잃고 무력감과 자기부정감 굴욕감 치욕감을 강하게 느끼고 사회생활과 대인관계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성폭력 피해지원은 PTSD 등 정신장애의 예방 치료뿐 아니라 대인관계 사회생활에 지장을 완화하고 피해자의 자신감을 회복하는데 중요하다 일본에서는 2004년에 범죄피해자등 기본법이 제정된 이후 사법제도나 범죄피해자 보조금 등의 피해자의 지원은 진행되었지만 경찰에 신고하는 것이 적은 성폭력피해지원은 좀처럼 진행되지 않았다 2011년의 제2차 기본계획 이후 피해자의 요청에 따라 산부인과에서 치료의 공비 부담의 충실화나 원스톱 지원 센터의 설치 등이 국가시범사업으로 실시되고 있다 또 현재 PTSD의 치료에서는 국제 트라우마틱·스트레스학회나 영국 등에서 가이드라인이 작성된 트라우마에 초점을 맞춘 인지행동요법trauma focus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F-CBT)이 유효하다는 것이 거의 일치하는 견해인데 이러한 치료는 습득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점이나 보험진료로가 어렵다는 점 등에서 좀처럼 보급되지 않는 상황이다 성폭력피해자의 PTSD 치료나 지원을 확대하기위해서는 급성기의 피해자에게 유관기관- 응급구조, 산부인과, 경찰, 변호사, 피해자 지원 단체 등 - 과 정신과 심리전문기관의 긴밀한 네트워크가 중요하다.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분석(LPA)를 통한 성인 외상 경험자의 PTSD 증상의 유형과 특성 분석

        김예원,이덕희,정하영,이동훈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1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the subclasses that differed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 severity;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gender, age, education, monthly income, religion), psycho-social (prior experience of counseling, prior psychiatric treatment, recent suicidal ide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variables (depression, anxiety, somatization) for classification among latent classe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posttraumatic growth (PTG) level among classes. Data were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three-step estimation approach to identify the PTSD symptom severity, on a nationwide sample of trauma exposed South Korean adults (n = 642). Three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Normal, Partial PTSD, and Complete PTSD. Korean adults’ recent experience of suicide ideation and anxiety were found to be useful in distinguishing between Normal and PTSD Risk classes, while gender, age, counseling experience, recent suicidal ideation, anxiety and somatization were useful in distinguishing between Normal and Complete PTSD. Counseling experience was shown to be useful in distinguishing Partial and Complete PTSD. The mean levels of PTG and its sub-factors were varied among class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외상 사건을 경험한 국내 성인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수준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집단을 분류하고, 각 집단의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성별, 연령, 학력, 월 평균 소득, 종교유무), 심리사회적 특성 변인(심리상담 경험, 정신과 약물치료 경험, 최근 자살 사고 경험), 심리적 디스트레스 변인(우울, 불안, 신체화)을 탐색하며, 각 집단에 따른 외상 후 성장의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성인 642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과 3단계 추정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총 3개의 잠재집단이 추출되었으며, 집단별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의 특징을 바탕으로 정상집단, 부분 PTSD 집단, 완전 PTSD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국내 성인의 최근 자살 사고 경험과 불안은 정상집단과 PTSD 위험 집단을 구분하는데 각기 유용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연령, 심리상담 경험, 최근 자살사고 경험, 불안, 신체화는 정상집단과 완전 PTSD 집단을 구분하는데 유용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상담 경험이 부분 PTSD 집단과 완전 PTSD 집단을 구분하는데 유용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상 후 성장의 평균과 하위변인이 각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PTSD의 보편성에 대한 타당성 고찰: PTSD 창출에 기여한 반전 운동가 겸 정신의학자들의 연구활동 및 결과물을 중심으로

        서길완(Gilwan Seoh) 한국비평이론학회 2018 비평과이론 Vol.23 No.3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는 1980년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DSM)제 3 판에서 처음 공식적으로 인정을 받은 정신질환이다. DSM에 포함된 PTSD 개념은 전 세계 정신의학 영역과 대중문화 담론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지금은 전 세계 사람들의 공통어법과 사회적 통념의 일부가 되었다. 그런데 PTSD 의 보편성에 대한 사람들의 신뢰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최근 역사에서 발생한 세계 여러 나라의 대재난적 사건들에 PTSD가 적용될 때 많은 다양한 부작용과 역효과가 발생하고 있다. 이 같은 문제들은 우리에게 PTSD를 사회, 문화를 비롯한 다양한 맥락과 상관없이 보편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중요한 화두를 던진다. 본 논문은 PTSD가 처음 만들어지는 시점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PTSD의 보편성이 획득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이 문제에 대한 답의 실마리를 찾는다. 본 논문은 PTSD가 오늘날과 같이 객관적 과학의 진리로 자리매김하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한 반전운동가 겸 정신의학자들의 연구활동 및 연구결과물을 면밀히 살펴본다. 특히 DSM에 포함시키는 과정에서 이들 정신의학자들이 PTSD의 객관 적인 과학의 지위와 보편성을 입증하기 위해서 제시한 객관적 과학의 논거와 증거를 면밀히 분석한다. 그 작업을 통해 그들이 제시한 의과학적인 증거가 객관적인 질병실체로서의 PTSD, 즉 그 질병의 보편성을 입증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설명한다. 이들이 제시한 결과물들에는 베트남 재향군인들의 자전적인 이야기에서 얻은 주관적인 경험자료, 그리고 베트남전 후 재향군에게 나타나는 이상반응이 보편적인 외상 후 스트레스 반응임을 입증하기에 너무 협소한 범위의 임상적인 관찰을 통해 얻은 결과물, 그리고 DSM 제 3판에서 배제하려고 했던 병인론과 증상 형성 과정에서 개입되는 주관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그럼에도 그런 증상반응들은 PTSD라는 하나의 통일된 질병 명으로 DSM에 등재된후에 객관적 의과학의 산물이라는 인식이 굳어져서 다른 모든 맥락과 상관없이 적용되고 있다. 결론적으 로, PTSD의 탄생기원을 통해 PTSD의 보편성을 검토하는 작업은 그 장애에 대한 보편적인 적용이 적절한지를 냉철하게 생각하고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계기를 마련 해준다.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is a mental disorder that was officially recognized in 1980 in the third edition of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DSM). The definition of PTSD included in the DSM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ield of psychiatry and public discussion throughout the world, becoming part of social convention and the common lexicon among people around the world. However, despite the general public’s trust in the universality of PTSD, there have been various unexpected effects and backlash whenever PTSD has been applied in catastrophic events that have occurred in relatively recent times in various countries. Such problems present us with an important topic of discussion about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universally apply the term PTSD regardless of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is article discusses ways to solve these problems by reflecting on when PTSD was first defined and by examining the process by which PTSD gained its universality. This article diligently analyzes the research outcomes of psychiatrists who are also anti-war activists. They have played a determining role in establishing PTSD as an objective scientific fact today. They presented the objective scientific basis and evidence in validating the universality and objective scientific standing of PTSD during its inclusion in the DSM. This article explains that the medical basis and evidence presented by them are not sufficient for proving PTSD as an actual disorder, meaning the universality of that disorder. In conclusion, the task of evaluating the universality of PTSD through the source of its origination allows the opportunity to critically review and choose whether the universal application of this disorder is appropri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