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건화된 동기조작의 전이 훈련이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맨드에 미치는 효과

        정미숙,이정해,이성봉 한국행동분석학회 2017 행동분석․지원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조건화된 동기조작의 전이 훈련이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맨드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언어발달이 1년 이상 지연된 아동 1명을 대상으로 행동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조건화된 동기조작의 전이 훈련은 아동에게 선행자극을 제시한 후 정반응하면 맨드한 물건을 지급하고, 오반응하면 에코익 촉구를 제공하여 맨드한 물건을 지급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중재를 위해 조건화된 동기조작의 전이 훈련이 가능한 퍼즐 맞추기, 페그 꽂기, 구슬 꿰기 과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과제에 조건화된 동기조작의 전이 훈련을 적용하여 맨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아동의 맨드는 중재 기간 동안 3가지 과제 모두에서 증가하였고, 유지 기간에도 에코익 촉구 없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조건화된 동기조작 전이 훈련이 발달장애 아동의 맨드 발화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Transitive Conditioned Motivating Operation(CMO-T) training to mand in a child with language delays over a year. A multiple-probe design across behaviors was used for the study. The authors designed the setting for examination which is applicable to CMO-T training. Once antecedent stimulus was presented, when the participant’s response was correct, he was provided by the object he manded. However, when he showed incorrect response, echoic prompts were provided, then he got the object he manded when he used echoic-mand. Three tasks for the intervention were chosen for CMO-T training; puzzles, pegs and threading beads. The authors examined alteration in the participant’s mand by applying CMO-T training to the tasks they have chosen for the interven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mand showed an increase in all three tasks during intervention phase, and he could use mand without any prompts during maintenance phase. It is significant that the result data of this study suggests detailed CMO-T training for establishing mand skills.

      • 자아개념의 고양을 위한 부모의 역할

        정미숙 한국교육학회 대구·경북지회 1995 교육학논총 Vol.14 No.-

        Each human's behavior is determined by his of her self-concept. Such self-concept is affected by home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et, and social environment. Home environment, especially, has effect on the formation of the student's self-concept and help students to enhance self-concept. From the review of research about the home environmental variables, lots of empirical evidences that childern's self-concept wer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parental child-rearing behaviors than the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home, such as father's occupation, level of education of parents, income etc. were found. The concrete parents' role for enhancing self-concept in the students are as follows 1. Parent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praise themselves. 2. Parents should help students to evaluate themselves realistically. 3. Parents should not ignore or threaten student, but encourage them on teaching and guiding. Conclusively, parents who have tremendous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student's self-concept should guide and help students to be more successful both in school and in society.

      • KCI등재

        공인회계사의 직무만족, 직무몰입과 성격유형 관련 연구 – 아유르베다 성격유형을 중심으로-

        정미숙,이재경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of CPA using the Ayurveda personality type. The distribution of Ayurveda personality types in the surveyed public accountants was 53.2%, followed by KAPHA type and VATA type. PITTA-type goal achievement, achievement-oriented characteristics. In the job satisfaction, KAPHA type, which emphasizes stability, and PITTA type, which is passionate in job involve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mean score. The Ayurveda personality type is useful for analyzing th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ersonality type, so it is possible to classify personality type according to occupation. Therefore, Ayurveda personality type analysis is useful for job guidance as well as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in career choice. In conclusion, the choice of job that matches the personality type positively affects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본 연구는 공인회계사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이 성격유형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아유르베다 성격유형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인 공인회계사의 아유르베다 성격유형 분포는 불체질인 삣따유형이 가장 많은 53.2%이고 다음으로 물체질인 까파유형, 공기체질인 바따유형의 순이었다. 삣따유형의 목표달성, 성취지향적 특성을 반영한 결과이다. 직무만족에서는 안정감을 중요시하는 까파유형, 직무몰입은 열정적인 삣따유형이 높은 평균점수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아유르베다 성격유형은 정신적 성향만이 아니라 신체적 특질도 파악하여 분류하므로 실제적인 심리적, 행동적 성격유형 분석에 유용하며 직업에 따른 적합한 성격유형 분류도 가능하다. 따라서 아유르베다 성격유형 분석을 통해 자신의 성격유형을 파악한 후 직업이나 진로를 선택하면 직무만족 뿐만 아니라 직무몰입도 더욱 높아진다. 결론적으로 자신의 성격유형과 맞는 직업선택은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복식부기회계제도의 성과에 관한 연구 : 부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정미숙,윤금상 한국정부회계학회 2009 정부회계연구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정부회계정보를 이용하는 시민단체 및 지방의회의원들이 발생주의 및 복식부기회계제도의 도입 이후 산출되는 정보를 더 유용한 정보로 인식하는 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Davis(1989)의 기술수용모형(TAM)과 DeLone and McLean(2002, 2003)의 모델을 이용하여 최종 종속변수를 시민의 신뢰도와 회계정보유용성으로, 매개변수를 외부정보이용자의 인식의 변화로, 독립변수를 복식부기회계 도입이전․�이후의 회계정보의 차이로 설정하였다. 부천시의 시민단체 및 시의회의원을 표본으로 추출하고 구조방정식모델(SEM)을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단식부기 및 복식부기의 회계정보 차이는 외부정보이용자인 시민이나 시의원등의 의사결정이나 정책결정에 변화를 가져온다. 둘째, 외부정보이용자의 인식변화는 시민의 신뢰도에 높은 영향을 미쳤으나, 회계정보의 공개방법이나 재무성과 등의 정보유용성 측면에서는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new accrual basis accounting information is useful to the external users such as citizens and local assembly members of Bucheon Municipal Government.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and Information Success Model are utilized to identify variable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new syste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re adop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This study measures the performance of the new accounting system in terms of its usefulness and reliability. The independent variable is the information difference between the old and new accounting system, and the intermittent variable is the change in external users' perception of the new accounting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information difference between the old and new accounting systems significantly affects decision making of external users. Second, the change in external users' perception of the accounting system significantly enhances the reliability of new information, while it does not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usefulness of new information.

      • KCI등재
      • KCI등재

        교통사고 가해운전자의 PTSD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교통법규위반과 형사처벌의 효과를 중심으로

        정미숙,박길수,정금숙,최보영 한국법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법 Vol.8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PTSD value for car accident offenders(N=274) that can be experienced after MVAs. This study is progressed to analysis of the degree of PTSD and degree for car accident offenders through criminal penalties and type of violations of traffic regulations using PCL-5(PTSD Checklist). In order to predict the PTSD of offende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mographic variables, car accident variables, traffic law violation related variables, criminal penalties related variables as independent variables, PTSD degree as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the average PTSD of offenders was 21.48 points and the probable PTSD group accounted for 15.7% of the participan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TSD among violations of traffic regulations, but the violation of pedestrian protection duty was the highest with 32.64 points. According to the type of criminal penalties, the degree of PTSD was significantly higher the case without sentenced criminal penalties than no criminal penalty.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predictors of the PTSD of the offenders were as follows: the severity of the physical damage of the victim, the type of criminal penalties, gender(female) and insurance to cover criminal penalty. And power of this regression model was 21.3%.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교통사고 가해운전자 총 274명을 대상으로 교통사고 후 경험할 수 있는 PTSD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이다. 교통사고 가해운전자 전체의 PTSD정도를 PCL-5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교통법규위반 항목과 형사처벌의 종류에 따른 PTSD정도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 교통사고 관련 변인, 교통법규위반 관련 변인, 형사처벌 관련 변인을 독립변인으로, PTSD정도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PTSD 예측 모델을 구하였다. PTSD정도 측정 결과, 전체 교통사고 가해운전자의 PTSD정도는 평균 21.48점이며 잠재적 PTSD집단이 연구대상자의 15.7%에 해당하였다. 교통법규위반 별 PTSD 정도 차이 측정 결과 법규위반별 PTSD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보행자보호의무위반 항목이 32.64점으로 가장 높았다. 형사처벌의 종류에 따른 PTSD 정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형사처벌이 아직 선고되지 않은 경우가 가장 높은 PTSD정도를 보였다. 연구에 관련된 변인과 PTSD의 정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교통사고 가해운전자의 PTSD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의 변인으로는 피해자의 신체적 피해 심각도, 형사처벌의 종류, 성별, 운전자보험 유무로 조사되었으며 본 회귀모델식의 총 설명량은 21.3%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언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영화 <버닝> 에서 볼 수 있는 결핍의 이중성과 동시성

        정미숙 한국연기예술학회 2019 연기예술연구 Vol.16 No.3

        이 연구는 영화 <버닝> 속 인물의 결핍에 관한 시네마 리터러시에 주목한다. 세 인물이 실존적 인물로 서 현실과 관계 맺고 있는 결핍이 어떻게 이중적이고 동시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 다. 특히 가난과 부자, 현실과 이상, 몸과 정신,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에서 느끼는 인간의 근원적인 결핍에 대한 세 인물의 유기적 관계에 주목할 것이다. 이 영화에서 결핍은 종수와 벤의 관계에 있어서 현대사회 젊은 세대의 양축으로서 동전의 양면과 같은 존재다. 두 사람은 종수의 글쓰기 행위를 통해서 하나로서 전체를 이루고 있다. 해미는 현대 여성의 실존적, 존재적 시선이 아니라 물질적, 실증적 시선으 로 대상화된다. 이러한 주제적 의미가 영화 속 메타포들로 구성됨으로써 자본이 경쟁력인 현대 사회에서 삶의 의미와 가치를 상실한 분노와 무기력과 구원에 대한 허무주의적 태도로 전개된다. 또한 이들의 관 계는 인과론과 관계없이 우연에 의해 그들의 결핍이 사회적, 역사적으로 확장한다. 한편 영화 속에서 결 핍은 문학적 메타포로 채워진다. 영화에서 결핍과 관련되는 메타포는 판토마임, 우물, 비닐하우스, 글쓰 기이다. 네 가지 메타포는 결핍에 대한 상징으로써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현재의 공간 속에서 현실과 이 상, 몸과 정신, 실증과 사유의 이중성으로 실현될 수 없는 것이다. 이들 결핍의 이중성은 우연에 의한 실 증과 사유의 경계에서 현실적이고 이상적인 사건이 동시성으로 의미맥락을 생산한다. 이 지점에서 칼 융 의 동시성이론을 차용하여 영화읽기를 마무리하면서 해미가 찾고자 했던 그레이트 헝거를 실현할 수 없 는 현대 여성들의 실존적 상실과 허무에 대한 후속 연구를 남겨두고자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inema literacy that represents the deficiencies in characters in the movie Burning. The aim is to study how the three nonfictional characters build bonds with the reality and the deficiency therewithin has twofold and simultaneous meanings. Specifically, the study will focus on the clos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characters in relation with the fundamental deficiencies of human beings that are represented through the poor and the rich, reality and ideality, body and spirit, and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In the movie, deficiency is depicted like a double-sided coi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ngsoo and Ben, who symbolizes the two ends of the young generations. Such thematic meanings forms metaphors through the movie to represent the anger of losing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in the capitalistic and competitive modern society as well as the nihilistic view on the lethargy and salvation therein. Furthermore, the deficiency expands socially and historically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characters solely by coincidence with no causal links. Meanwhile, throughout the movie, the theme of deficiency is depicted through literature metaphors, such as pantomime, well, greenhouse and writing. The four metaphors symbolize the deficiency that cannot be actualized with the duality of the reality and ideality, the body and spirit, and the proof and reason, in social and historic space and time. The duality in the deficiency of characters produce semantic context of simultaneity of realistic and idealistic events on the boundary between the proof and reason by coincidences. The movie analysis is concluded with a reference to the theory of synchronicity of Carl Jung, leaving the necessity for further analysis on the loss of actual existence and nihilism of the modern women who are unable to actualize the great hunger that Haemi seeks for in the movie.

      • KCI등재후보

        밀양백중놀이 중 북춤에 관한 연구 -오북줌 무보화를 중심으로-

        정미숙 영남춤학회 2019 영남춤학회誌 Vol.7 No.1

        「밀양백중놀이 중 북춤에 관한 연구」는 노동현장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생성되어 민간인의 생활 속에 깊이 뿌리 내려 오랫동안 성장하고 발달해 온 민속놀이중에서 그 고유성을 비교적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밀양백중놀이의 오북춤을 채록화하여 보존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당시만 하더라도 춤을 기록화는 매우 시급하였고,예능보유자인 하보경옹의연세가 고령이어서 원형을 정리하여 보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오북춤은 영남지 방의 농악 중 설북놀이가 독자적으로 발전되어 I960년 고)하보경옹에의해 재구성되어 5명이 군무로 추었다. 구조적 완결성이나 동작의 다양성 등에있어 매우 단조롭지만 밀양오북춤의 독특한 춤사위는 독창성과 예술성이 뛰어나민속춤으로서의 보존과 전승의 가치가 충분했다. 오북춤에 내재된 독특한 미적특성과 아울러 서민적이면서 차원 높은 예술성을 지닌 북춤에 대해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며 더 나아가 전통예술로써 원형을 보존하고 전승하기 위해 무보를 충실하게 정리해 보았다. 이 연구는 오북춤의 대가로 1대 예능보유자였던 고)하보경옹(당시83세)이 생존해 있을 때, 그의 춤을 본(本)으로 하여 춤의 전개 방식,춤의 공간구성,춤사위를 분석하였고 구체화하여 무보로 기록화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오늘날과같이 무형문화재의 원형과 변형의 논란이 제기되는 현실에서 다시 한 번 더 우리춤의 원형을 확인해 볼 수 있어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A STUDY ON O-BUK-CHOOM IN MIL-YANG-BAEK-JOONG-NO-RI Jeoung, Mi-Sook (Korea University) As a result of recording the dance scene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data and folklore data in order to preserve O-Buk-Chum in Mil-Yang-Baek-Joong-No-Ri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Mil-Yang-Baek-Joong-No-Ri was derived from Kong-Bae-Ki Cham-No-Ri, a popular Du-ReKoog in Du-Re, ancient agricultural unit. Secondly, O-Buk-Chum, which was originated in Seol-Buk No-Ri of Youngnam province. And It was reconstructed in 1960 by Bogyeong Ha. Thirdly, O-Buk-chum is a dance of origins that blessed the earth god, which was attributed to the Five element theory (The five primary substance; Metal, wood, water, fire and earth). Fourthly, It has a distinctive form as a group performance. Fifthly, the structure of dance is relatively monotonous, but it has a distinctive move that can only be seen in the Mil-Yang-O-Buk-Chum. Lastly, the structure of the space leading to the movement line have a simple format mainly using the prototype, which is the primary form of the dance. The movement of dance, the structural completeness as a group choreography, and a variety of movements are relatively simple, but the creativity and distinctiveness of Mil—Yang— O-Buk-Chum are considered to be worthy of the preservation.

      • 반(反)성장의 성장 : 오정희 소설「새」와 「視點」

        정미숙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000 牛岩斯黎 Vol.10 No.-

        오정희의 『새』는 장편이기보다 중편에 가깝다. 그러나 여자 아이의 성 장 문제를 완결의 형식으로 서술하고 있기 때문에 장편이라고 보아도 크게 무리는 없다. 이 소설은 초기의 오정회가 써왔던 유년에 대한 회상 에서 탈피하여 본격적인 여성 성장소설의 의도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 인다. 따라서 아이가 시점의 주체가 되어 자기 이야기를 전개하기 때문 에 아이의 눈에 비친 어른들의 세계와 이에 접한 아이의 경험과 내면이 잘 서술되어 있다. 그런데 이 소설이 보인 성장의 과정은 오정회의 대부 분의 소설들처럼 세상의 상식을 벗어나 있다. 다시 말해서 이 소설은 성 장소설의 일반적인 형태처럼 아이가 가족과 더불어 부모와 형제를 모방 하면서 동일시와 대립, 갈등을 통하여 마침내 성년이 되는 과정과 무관 하다. 이 소설은 일반적인 관점의 성장소설에 대한 반담론이라고 해도 될 것이다. 어머니의 가출과 아버지의 방황으로 이 소설의 주인공에게는 모방의 전범들이 처음부터 부재한다. 따라서 성장 소설에 필요한 가족 서사는 파괴되고 없다. 이러한 점에서 이 소설은 성장과 관련한 기존의 틀, 예를 들어 외디푸스 콤플렉스와 엘렉트라 콤플렉스 등으로 서술되는 가족 로 망스를 무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틀이 파괴된 조건 속에서 주인공은 훼 손된 세계가 아닌 내면으로부터 자기의 정체를 찾아낸다. 이처럼 이 소설은 얼핏 불우한 아이의 눈에 비친 세상 읽기로 보일 수도 있으나 이는 표층 시점에서 그러하고 작가가 지향하는 심층 시점 은 아이가 세상과의 단절을 통하여 내면의 진정한 자기 정체를 찾는 과 정을 서술하는 것이다. 표층의 여러 사건들에 던지는 아이의 시선은 시 간의 경과에 따라 내면적 자기 발견에 이르는 과정으로 발전한다. 따라 서 기존의 통념과 다르게 반성장을 통해 성장에 이르는 것이 된다.

      • KCI등재

        신경숙 『깊은 슬픔』의 ‘불안’ 연구

        정미숙 현대문학이론학회 2018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5

        이 논문은 신경숙의 소설 『깊은 슬픔』의 ‘불안’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주인물 ‘은 서’를 끝내 죽음으로 몰고 간 원인을 ‘불안’이라는 정동으로 파악하고, 이를 자기 서사와 관련하여 해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불안’을 장을 달리하여 ‘불안의 기원’ ‘불안의 전이’, 그리고 ‘불안의 종언’이라는 여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밝혀보고자 한다. ‘불안’의 기원, 가족 서사의 폭력성: 라깡은 불안을 일으키는 것은 정확히 그러한 분리의 결여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은서’의 불안은 어린 시절 어머니의 부재와 부모의 긴장과 갈등이 던지는 가족 서사의 폭력성에 기인한다. 은서에 한정되지 않고 작중인물 대부분이 가족 서사가 던지는 치명적인 결여, 폭력에 영향을 받는데, 이것은 은서의 상처이자 작중인물들의 삶의 행로를 바꾼 사건이다. ‘불안’의 전이, 삼각 구도의 대체사랑: 가족 서사의 폭력성에 기인한 결여는 이를 벌충할 동기간과 또래 사랑으로 대체된다. ‘은서-완-세’ ‘은서-화연-세’의 삼각 구도로 지속한다. 그러나 대체된 이들의 사랑은 진정한 이해에 이르지 못하고 어긋난다. 어머 니에 대한 고착이 성숙하고 건강한 만남과 사랑과 이르는 데에 장애로 작동한다. ‘불안’의 종언, ‘행동화’와 치유 (불)가능성: 소설은 은서의 자살로 끝난다. 은서의 자살은 지속된 ‘불안에서 달아난 것이다. 그러나 완전한 패배라고 보기는 어렵다. 그녀의 ‘행동화’는 분명한 깨달음을 얻고 난 이후의 선택으로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 자기 서사가 글로 남아 작품 서사가 되었을 때 치유 불가능성과 가능성을 정하는 것은 남은 자의 몫이다. 이제 성찰의 새로운 장은 우리에게 넘겨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