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영문학 비평 이론의 지형도: 인용문헌 연결망 분석과 <비평과 이론>의 20년(1996-2015)

        김용수(Yongsoo Kim) 한국비평이론학회 2022 비평과이론 Vol.27 No.1

        학술지 <비평과 이론>은 1996년 창간한 이래 지난 20여 년 동안 서구의 문학 비평이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소개하여 한국 학계의 문학 연구를 자극하고 비평 이론 논의를 심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다. 영미권 인문학계를 풍미하던 후기구조주의 경향의 이론들에 대한 한국 학계의 적극적 관심, 그리고 이를 활용하여 새로운 문학 연구의 철학적 기반이나 방법론을 얻으려는 욕구의 폭발적 증가 등에 능동적으로 부응하여 다양한 문학 이론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생산적 토론을 활성화할 수 있는 학술장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고 할 만하다. 이들 이론이 한국 인문학계에서 어떻게 소화되었고 학술 담론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으며 나아가서 문화 전반에 어떤 파급 효과를 일으켰는지 등의 문제는 지식사회학적 입장에서 중요한 질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비평과 이론>이 구체적으로 어떤 이론을 얼마만큼 다루었는지, 그들 간의 상호 관계는 어떠했는지,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양상이 어떻게 변모했는지 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긴요한 일이다. <비평과 이론>에 담긴 이론의 전체상, 개별 이론의 특징과 그들 사이의 관계, 그 시계열적 추이를 이해하는 것이 이러한 지성사 작업의 작지만 중요한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이 글은 􋺷비평과 이론􋺸에 실린 논문들의 인용문헌 저자들 간 연결망을 분석하고 시각화하여 하나의 학술지가 품고 있는 이론의 전체 지형과 변화 양상을 드러낸다. The Journal of Criticism and Theory was launched in 1996 by a group of Korean English literary scholars who were deeply invested in literary theory. It was an attempt to introduce new literary theories and to facilitate discussion on them, accommodating growing interest in post-structuralist theories and fulfilling the increasing need to get new literary methodologies. In fact, The Journal of Criticism and Theory has helped forge a dynamic discursive field of literary theory in Korean academia, covering a wide range of topics from postcolonialism to deconstruction to film theory for more than 20 years since its inception. It will be crucial, particular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ology of knowledge, to ask such a question as how these “new” theories have shaped the academic discourses and affected Korean culture at large. In this context, it is equally important to understand which theories to what extent The Journal of Criticism and Theory has covered, how they are interrelated, and how their overall contour has changed over time. This sort of research will be a small, but significant first step for an intellectual historical work on literary discourses. This paper draws a topological map of literary theory in The Journal of Criticism and Theory through citation network analysis and visualization to grasp the general constellation of the literary fiel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theories, and their temporal transformation.

      • KCI등재

        빅데이터 시대의 비평이론

        이택광(Taek-Gwang Lee) 한국비평이론학회 2022 비평과이론 Vol.27 No.3

        이 논문은 신자유주의와 세계화, 그리고 그에 따른 빅데이터 자본주의의 출현에 대응하기 위한 비평이론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후 비평이론의 전개에서 프랑스철학이 갖는 위상을 점검하고, 비평이론이 곧 ‘비평의 욕망,’ 또는 ‘욕망하는 비평’의 문제라는 점을 규명할 것이다. 이런 ‘비평의 욕망’은 정세와 무관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1980년대 CIA보고서가 명확하게 보여준다. 프랑스 철학은 글로벌 자본주의의 가속화에 대응하기 위한 신좌파의 이론을 만들어내고자 했지만, 불가항력적인 정치경제적 조건의 변화는 지식인의 퇴거와 이론의 쇠퇴로 이어졌다. 이런 급속한 변화의 기저에 놓인 것은 인지 자본주의의 출현과 이를 더 정교화한 감시 자본주의의 등장이다. 이 논문은 이런 맥락에서 인지 자본주의와 감시 자본주의의 관계를 밝히고, 이런 조건에서 비평이론의 역할이 무엇인지 묻고자 한다. 결국 비평이론은 정치적인 문제이기에, 비평의 욕망은 감시 자본주의의 빅데이터 경제를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을 넘어, 그에 대응하는 대안의 현행화를 도모하는 지적 운동일 수밖에 없음을 강조할 것이다. This essay discusses the rise of neoliberalism and globalization and its effects on the reconstruction of critical theory. This consideration will be about how the desire for critical theory, or the desiring critique, could intervene in the cognitive or surveillance capitalism phase based on big data technology. For this purpose, I will clarify the fact that the revival of critical theory should be the reconsideration of French philosophy (or French theory) and its political foundation since the 1950s. The vital link between critical theory and political conjunctures is revealed in the CIA’s report on French philosophy in the 1980s. The failure of radical French philosophy led to the decline of intellectuals and the reification of critical theory. I will relate this situation to the advent of cognitive or surveillance capitalism and its changed mode of accumulation. My conclusion will focus on the role of critical theory in understanding the function of big data capitalism and imposing its political implication on the celebration of technological advances.

      • KCI등재

        1970년대 초 한국소설의 미군기지(촌) 재현 양상 연구

        오창은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2 No.-

        In the early 1970s, Korean novelists actively wrote about the U.S. Army bases (villages). They narrated U.S. Army bases (villages) so as to conduct cultural politics pointing to the center from the recent-modern peripheral areas. In the 1970s, KATUSA within the U.S. Army bases and women in the U.S. Army base villages represented the recent modern peripherals of Korea, and showed the recent-modern negative ideologies of Korea which was then at the bottom of the world system. Korean male novelists, when they looked at the women, showed strong desire for equality as recent-modern ideology as well as revealing anxiety and sense inferiority of intellectuals. Noteworthy Korean novels about the U.S. Army bases (villages) include Jo Jeong-rae’s 「Tiger Major」(1973), Sin Sang-ung’s 「Diary of Wrath」(1972), and Jo Hae-il’s 「America」(1972). Jo Jeong-rae, in「Tiger Major」, illustrated Korean troops who had equal competence and rights with American soldiers by presenting Korean army officers and KATUSA within the U.S. Army bases. Jo Jeong-rae tried to romantically overcome their sense of inferiority and inequality through the theory of excellent ability and the theory of heroic leaders. Sin Sang-ung, in 「Diary of Wrath」, criticized Koreans’ inner colonialist perception and U.S. military’s occupation unit viewpoint. Sin Sang-ung responded to U.S. military stationing in Korea which disgraced the equalitarian world view as recent-modern universality with the emotion of ‘anger and wrath.’ Jo Hae-il, in「America」(1972), attempted to overcome Korean males’ helplessness feeling about women in the Army bases with sympathy. Jo Hae-il, in describing the situations of residents in Army base villages, defined them as surviving cowards. They endured the hidden darkness of Korean modernization by taking on the share of suffering. Jo Jeong-rae, Sin Sang-ung, Jo Hae-il, etc. were young writers who were born in the second half of 1930s to early 1940s. They underwent April 19 Revolution and June 3 Korea-Japan Talks Opposition, thus allowing themselves to be inclined to be nationalist democratic. Relatively autonomous print media such as 『Hanyang』, 『Sanghwang』, and『Sedae』were published, offering a wider range of stage for writers to publish works critical of recent-modern system and Korean reality. In this context, the writers in the 1970s began to see the stationing of U.S. Army bases as the intrusion on recent-modern equality. They also saw the history of Korea as the history of disgrace, reinforcing their relative and objective preception of U.S. This movement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explosive spread of anti-America perception in Korea in the 1980s. Intellectual writers in the 1970s illustrated the U.S. Army bases (villages) in a bid to reconstruct the relationship between U.S. as the central nation and Korea as the peripheral nation. This enabled them to own the center again from the peripheral area and thus to fully describe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exclusivity and violence of the recent-modern system. In particular, the writers’ illustration of the U.S. Army bases (villages) in the 1970s led to the reinforcement of national emotion, then prompting intellectual writers to reinforce the relative objection and subjection of the U.S. and the U.S. Army. 1970년대초 한국 작가들은 미군기지(촌)을 서사화함으로써 근대의 주변에서 중심을 가리키는 문화정치를 수행했다. 1970년대 미군기지 내의 카투사 및 미군기지촌 여성들은 한국 근대의 주변부성을 현시할 뿐만 아니라, 세계체제의 하위체제에 위치한 한국 근대의 부정적 이데올로기를 내파하는 존재들이었다. 이들을 바라보는 한국 남성 작가들의 시선은 지식인의 불안의식과 열등감, 그리고 근대 이데올로기로서의 평등권에 대한 강한 열망을 드러냈다. 미군기지(촌)을 형상화한 주목할 만한 소설로 조정래의 「타이거 메이져」(1973), 신상웅의 「분노의 일기」(1972), 조해일의 「아메리카」(1972)를 꼽을 수 있다. 조정래는 「타이거 메이져」에서 한국군 장교와 카투사를 내세워 미군과 대등한 능력과 권리를 지닌 한국군을 형상화했다. 조정래는 열등감과 실재하는 불평등을 ‘실력론’과 ‘영웅적 지도자론’을 통해 낭만적으로 극복하려 했다. 신상웅은 「분노의 일기」에서 한국인의 내면에 자리한 식민주의적 인식과 미군의 점령군적 관점을 동시에 비판했다. 신상웅은 근대적 보편성으로서 평등주의적 세계관이 한국 내 미군 주둔으로 인해 짓밟히는 상황에 대해 ‘화와 분노’의 감정으로 대응했다. 조해일은 「아메리카」(1972)에서 기지촌 여성의 상황에 대해 한국 남성으로서 느끼는 ‘무력감’을 ‘공감’으로 변화시키려는 시도를 했다. 조해일은 기지촌 거주민의 상황을 ‘살아남은 자의 비겁함’으로 규정했고, 그들은 ‘고난의 몫’을 감당함으로써 ‘한국 근대화’의 은폐된 어둠을 견뎌내고 있다고 했다. 조정래·신상웅·조해일 등은 1930년대 후반과 40년대초에 출생한 젊은 작가들이었다. 이들은 4·19혁명과 6·3 한일회담반대투쟁을 경험함으로써 민족주의적 성향을 갖고 있었다. 매체 환경적 측면에서는 『한양』, 『상황』, 『세대』 등과 같은 잡지들이 간행됨으로써, 작가들이 근대체제와 한국현실을 비판하는 작품을 발표할 수 있는 장이 넓어졌다. 이러한 맥락에서 1970년대 작가들은 미군기지 주둔을 근대적 평등권의 침해로 바라보기 시작했고, 한국의 역사를 ‘오욕의 역사’로 바라봄으로써 ‘미국에 대한 상대적이면서도 객관적인 인식’을 강화해나갔다. 이것이 1980년대 한국내 반미인식의 폭발적 환산의 출발점이 되었다. 1970년대 지식인 작가들은 미군 기지(촌)을 형상화함으로써 중심국인 미국과 주변국인 한국의 관계를 재구성하려 했다. 이는 주변에서 중심을 다시 사유함으로써, 근대체제의 ‘배제와 폭력’의 작동양상을 묘파하는 효과를 낳기도 했다. 특히, 1970년대 작가들의 미군 기지(촌) 형상화는 민족적 정서의 강화로 이어져, 지식인 작가들의 ‘미국과 미군’의 상대적 객관화와 주체성의 강화로 이어졌다.

      • KCI등재

        Textual Instability and the Intention Debates in Modern Textual Criticism

        전범수(Bumsoo Jon) 한국비평이론학회 2020 비평과이론 Vol.25 No.3

        현대 원문 비평(혹은 본문 비평)과 문학 텍스트 편집 이론들을 지배하는 단일한 비평 기준이나 척도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영미권에서는 대표적으로 월터 W. 그렉과 프레드슨 바워스를 거치면서 정립된 절충주의적 편집 원칙들과 저자의 “최종 의도”라는 개념이 대체로 우위를 점하고 있다. 이 원칙들에 따라 여러 원문 비평가들과 텍스트 편집자들은 현대문학 작품의 여러 인쇄본들상의 차이와 오류를 분류하고 궁극적으로는 이른바 “정본” 텍스트를 저자의 “의도대로” 재구성하려고 노력해왔고 이로써 독자들의 작품 해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렉과 바워스의 전통적인 텍스트 이론에 기반한 의도 개념과 절충주의적 편집 원칙들은 20세기 후반 이후 영미문학이론 및 비평계에서 논란이 되었다. 문학 텍스트의 존재론적인 정의를 둘러싸고 벌어진 문학 이론가들과 원문 편집자들 간의 논쟁을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본 논문은 현대 원문 비평에서 주목할 만한 이론적 쟁점을 밝힌다. 먼저 전통적인 원문 비평 및 편집 이론들이 목표로 삼는 것은, 본문 내부적으로는 의미상 모순이 없는 한편, 교정이나 인쇄, 출판 등의 저자 외부 요인으로부터는 철저히 탈맥락화된 텍스트이며, 저자의 승인을 거친 여러 판본과 문서들을 편집자가 판단하여 하나로 종합한 단일 텍스트이다. 그러나 최근 이론들로부터는 다른 주장을 읽을 수 있다. 한편으로는, 불완전하고 때로는 논리적 모순까지도 용인하는 다중적인 텍스트,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미처 실현되지 못한 의도, 수정된 의도, 그리고 저자 이외에 작품의 편집, 교정, 인쇄 및 출판 과정에 참여한 다른 의도들까지도 원문 연구 및 비평이 고려해야 할 문제라는 주장이다. 원문 비평가들과 텍스트 편집자들은 모더니즘적인 정의에 기반한 문학 텍스트—순전히 문자 이외에는 어떤 요소도 배제된 “텍스트 그 자체”—뿐만 아니라, 문학 텍스트의 생산과 전파 과정, 그리고 원문의 불확정성 내지 역사적 변동을 통해 드러나는 텍스트의 사회-경제적 의미와 단서들까지도 학자 및 독자들의 새로운 요구에 따라 그들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디지털 매체와 온라인 환경은 어느 때보다 이를 수월하게 한다. There is no single important criterion in modern textual criticism and scholarly editing, but the final intentions principles of Greg-Bowers eclecticism prevail in the field, helping many textual editors and critics reconstruct texts as they were “intended” by the authors. Greg-Bowers copy-text principles and eclectic editing involve the traditional category of personal, authorial intention, which serves, in traditional views, as the ultimate criterion for resolving editorial cruxes and, in interpretation, as the concept of literary meaning. In recent decades, that category of textual authority and that concept of literary meaning have generally been revised or replaced in the field, but the arguments continue. This essay addresses a changing intellectual climate concerning the ontological assumptions of the text in modern Anglo-American textual criticism. Instead of referring to a single, uniform, decontextualized, authorial text as the primary aim of textual criticism and scholarly editing, the changing intellectual climate points to multiple, uneven, fluctuating, even contradictory, texts on the one hand, and unfulfilled, revised, even non-authorial, intentions as what textual critics and editors need to address on the other hand. The ongoing dialogue in textual scholarship obliges critics and editors to provide students with clues as to the textual tradition and instability of a literary work and perhaps view it through its socio-corporeal existence, rather than as the purely verbal modernist “text itself.”

      • KCI등재후보

        Nature, Postmodernism, and Writing : L'Ecriture Naturelle Engendered

        김연만(Yeonman Kim) 한국비평이론학회 2005 비평과이론 Vol.10 No.1

        포스트모더니즘과 생태비평이 작금의 문학 비평에 있어서 중요한 두 문예 사조임을 볼 때, ‘포스트모던 생태비평’ 혹은 ‘생태비평적 포스트모더니즘’이란 기치하에 두 이론 간의 교차점을 생각해 보는 것은 유익한 생각거리를 제공해 준다. 본 논문은 포스트모더니즘과 생태비평 간의 이론적 상호전용 가능성을 찾아보고자하는 시도에서 출발하여, 심층생태학, 생태여성주의, 포스트모더니즘, 계몽주의 사상, 구조주의 및 후기구조주의 등과 같은 여러 관련 이론들을 비교·검토하는 과정을 거쳐, 언뜻 특별한 상관성이 없어 보이는 듯한 포스트모더니즘과 생태비평이론 간의 교차로가 이 둘을 아우르는 새로운 형태의 글쓰기에서 발견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서구 문화에 오랫동안 팽배해왔던 논리를 글쓰기의 제일 중요한 요소로 여기는 이성주의적 글쓰기 전통은 오늘날 인습적 계몽주의를 바탕으로 한 로고스중심주의(logocentrism)에 기인한다는 이유로 후기구조주의 학자를 비롯한 일련의 포스트모더니즘 사상가에게 많은 비판을 받는다. 헬렌 식수(Hélène Cixous)와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와 같은 일군의 프랑스 비평가들에 의해 제시된 해방적 글쓰기의 한 유형인 ‘여성적 글쓰기(écriture féminine)’는 그러한 이성중심적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담론의 좋은 예시가 된다. 이러한 여성적 글쓰기 이론에 생태비평적 요소를 가미하고, 아물러 도가의 ‘자연(自然)’에 대한 정의 및 제반 관련 사상을 차용함으로써, 지나친 로고스중심 주의식 글쓰기에 대한 비판을 생태비평적 관점에서 발전시켜 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자연적 글쓰기(écriture naturelle)’라 칭할 수 있는 인습적인 형식과 이성의 틀에서 벋어난 자연성이 보다 부각된 형태의 글쓰기가 서구 수사학 전통과 그 영향 하에 있는 문화권에 필요하다. 자연적 글쓰기는 지나친 이성중심주의적 계몽주의를 비판하는 포스트모더니즘과 자연성이 결여된 현대 문명을 애통해 하는 생태비평의 기조 사상을 동시에 담을 수 있다. 이에 자연적 글쓰기는 서구의 인습적인 선형적 글쓰기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서 이성중심적 사고 및 글쓰기 체계에 자연성을 불어넣어주는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문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한국어 교사 양성과정의 교과과정 개선방안

        신윤경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4 No.-

        Recently,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came up in conversation and there have been extensive discussions. And, it’s very clear that Korean literatur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one of the best teaching materials not only as a tool for communication but for individual growth. To strengthen the Korean literature statu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revitalize its usage actively,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eachers. Because, diverse and creative Korean literature classes can be possible depending on capability and flexibility of teachers as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ot a national level standard education course. Therefore, it’s the fastest way to review the courses for prospective teachers and generate better alternatives. First, I reviewed Korean literature classes in the degree and non-degree education programs for prospective teachers. The review results show that current classes in 4 categories are lack of systematic educational contents and classes in the category, which are designed to provide literature education theory, are rarely offered. Also, diverse study materials should have been developed and wide range of prospective teachers’ capability also should have been consider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literature education theory as soon as possible and standardize systematic class curriculums by subjects in the category 3 and 4. Additionally, study material reflecting the above direction should be developed and there should be a separate education course for foreign prospective teachers. To realize all of the above, cooperation and active knowledge exchange with experts is very much required. 최근 문학의 위상이 화제로 떠오르고 여러 가지 논의가 오가지만,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은 단순한 의사소통을 넘어서 개인적 성장까지 이룰 수 있는 최고의 자료임은 확실하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의 위상을 좀 더 공고히 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들에게 집중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한국어 교육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아니라서 교사의 역량과 융통성에 따라 수업의 다양성을 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들을 양성하는 교육과정의 내용을 점검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고도 빠른 길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한국어 교사를 양성하는 학위·비학위 과정의 문학 수업을 점검했다. 현재 4영역에 개설되는 수업은 체계적인 교육 내용이 마련되지 않았고, 실제 문학 교육론 수업을 할 수 있는 3영역의 과목은 개설이 드물었다. 또한, 학습자 편차의 문제와 적절하고 다양한 교재 개발이 미흡하다는 점도 있었다. 이에 문학 교육론의 이론적 체계를 시급히 마련하고, 3,4 영역의 과목별 교육 내용을 규범화해야 한다. 또한, 이런 내용이 반영된 교재가 개발되어야 하고,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이 따로 개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앞으로 전문가들의 협조와 의견 공유가 절실하다.

      • KCI등재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여성결혼이민자의 타자성 - 『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를 중심으로 -

        김미정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3 No.-

        A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 increases sharply, migrated female emerged as a staple part of our society. Therefore, the difficulty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have about sociocultural adaptation became remarkable social issue, and necessities for social unification and foreigner protection are arising. In this situation, Korean language has an equal effectiveness with their mother language as a language of life rather than just second language. So, this leads to a focal focu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specially on the role of its base-material, the textbook. However, reminding the textbook not only has function of language acquisition but also includes indigenous culture, ideological connotation and more of the country, text for foreigner needs ti be approached discreetly on its range of leverage because it embedded implicitly with one group's indigenous culture and social operational mechanism at the bottom. Textbook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had been generally reedited from 2010, and made positive changes from skill-integrated text to skill-separated text and from uni-culture to inter-culture, but there was no change on marginalization of migrant women in the aspect of sociocultural area and gender in both texts before reediting and after. This paper, hence, looked into “Korean language with the marriage immigrant”, which was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analyzed ‘othernes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 which is implied in textbook. First, I could figure out migrant women's social status and self-identity through their activity space and interlocutor while analyzing their otherness. Since their activity space is narrow-ranged such as countryside and neighbor area and even worse to house mostly, I found out that they, indeed, was being socially and economically othered in Korean society. Moreover, I witnessed they were left as gendered others as being forced to take patriarchal system repeatedly by their mother-in-law, who is a bearer of Korean culture, and other surroundings. To solv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changing perception of the neighbors and surroundings about female married immigrants would be the first and foremost task in the aspect of social safety net. Therefore, if possible, the textbook and continuous program which their husbands, kids, and parents-in-law can participate together and/or their neighbors can associate, need to be developed. In addition, the textbook has to be composed in a way deviating from compelling them to assimilate into unreciprocated Korean culture, but respecting culture and history of other nations, and simultaneously expanding intercultural exchang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pread the non- dichotomy gender conception of occupation along with various textbook which enables them to get vocational education for feeling settled, improving their self-esteem, and having stable economic life in Korea. When immigrants of our society secure their economic power through labor and find their social identity with recognition of people nearby by strengthening these practical alternatives, multicultural social integration would be made, and these immigrants' competence would be exhibited its new social power as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assets. 국제결혼이 급증하면서 이주여성이 우리 사회의 주요한 일원으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기에 여성결혼이민자들이 겪는 사회·문화적 적응의 어려움이 문제화 되면서 외국인의 보호와 사회통합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중에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한국어는 제 2의 언어라기보다 생존의 언어로서 모국어와 등가의 효용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한국어 교육이 중요시되고 그 기본기재인 한국어 교재가 담당하는 역할은 어느 것보다도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한국어 교재는 단순히 언어학습의 기능만을 갖는 것이 아니고 그 나라의 문화 및 사상 등을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기저에 한 집단의 고유문화와 사회의 작동 기제가 암암리에 투영되어 있어서 파급 효과가 크므로 조심스럽게 접근해야한다.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교재는 2010년을 기점으로 전면적 개편이 이뤄져 통합적 텍스트에서 영역 강화적 텍스트로, 동일문화에서 상호문화로의 비교적 긍정적인 변화가 파악되었지만 개편 이전이나 이후 모두 사회·문화적, 젠더적인 면에서 이주민여성을 주변화하는 내용에는 커다란 변화가 없었다. 이에 본고는 국립국어원에서 출간한 『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를 살펴보면서 교재에 함의되어 있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타자성을 분석해 보았다. 먼저 여성결혼이민자가 활동하는 공간 및 대화 상대자를 통해서 그들의 사회적 위상 및 정체성을 가늠할 수 있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행동반경은 농촌 및 그 주변지역이고 더 나아가 집안을 위주로 한 제한적 공간으로서 그들이 한국사회에서 사회적 ·경제적으로 소외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런가하면 한국 문화의 담지자 및 전수자의 역할을 맡고 있는 시어머니 및 주위 환경에 의해 한국식 가부장적 문화가 반복적으로 주입되면서 여성결혼이민자가 젠더적으로 타자화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혼여성이민자에 대한 주변 및 이웃의 인식을 전환하는 것이 사회안전망 차원에서도 중요한 과제이므로 가능하다면 남편과 아이, 시부모가 공동으로 참여하거나 이웃과의 연계활동도 할 수 있는 교재와 지속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 교재는 한국의 일방적인 문화에 동화를 강요하는 방식을 벗어나 상대국가의 문화와 역사를 존중하면서 상호 문화교류를 확대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여성결혼이주민들이 정착감과 자존감을 높일 수 있고 한국에서의 안정된 경제생활을 위해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교재와 더불어 젠더 분업적이지 않은 직업 관념의 확산도 필수적이다. 이러한 실천적 대안이 강화됨으로써 우리 사회의 이주민들이 노동을 통해 경제력을 확보하고 주변 사람들의 인정을 통해 사회적 정체성을 확보할 때 다문화적 사회통합은 가까워질 것이고 이민자의 역량은 국가경쟁력이자 자산으로 새로운 사회적 힘을 발휘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블렌디드 러닝을 위한 한국학 교수요목 설계에 관한 연구

        진대연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4 No.-

        The range of Korean studies education is so wide that it can be called education on ‘everything related to Korea’, and the scope of contents that can be dealt with accordingly is also diverse. However,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re very important because classes considered as the core of educational activities must be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syllabus and lesson plans for efficiency. And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or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inevitably reflected in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the direction of Korean studies education should be in rela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uture and to share some specific issues. In particular, as educational contents, Korean studies should be approached as regional studies from international perspectives rather than national studies from domestic perspectives.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of Korean studies can start from the awareness of the needs for hybrid methods in which learners’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relatively) are bound to have a greater proportion than teachers’ control or guidance. In this paper, the paradigm shift in contents and methods for Korean studies education is discussed (Chapter 2), the results of needs analysis for designing syllabus of Korean studies are presented (Chapter 3), and a series of syllabus development processes of Korean studies for blended learning are illustrated (Chapter 4). Each chapter of this paper consists of the contents conducted by literature review, cultural domain analysis,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methods. Since the development of a syllabus or curriculum cannot be accomplish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is paper aims only to share the processes so far and the remaining steps are left as a future task. 한국학 교육은 ‘한국과 관련된 모든 것’에 대한 교육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폭이 넓고 그에 따라 다룰 수 있는 내용의 범위도 다양하다. 그런데 교육 행위의 핵심으로 간주되는 수업은 효율성을 전제로 교수요목과 수업계획을 설계해야 하므로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에는 교수자 또는 교육기관의 관점이 반영될 수밖에 없다. 이 글은 앞으로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한국학 교육의 방향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살피고 몇 가지 구체적인 사안을 공유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교육 내용으로서 한국학은 국내적 시각의 국학이 아니라 국제적 시각의 지역학으로 접근해야 하며, 학습자 중심의 한국학 교육을 위해서는 교수자의 통제나 지도보다는 학습자의 참여와 활동이 (상대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할 수밖에 없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교육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본론에서는 한국학 교육 내용과 방법의 패러다임 전환(Ⅱ장)에 대해 논의하고 한국학 교수요목 설계를 위한 요구 조사(Ⅲ장) 결과를 제시한 후 블렌디드 러닝을 위한 한국학 교수요목 개발 과정(Ⅳ장)을 소개하였다. 본론은 장별로 각각 문헌 고찰, 문화 영역 분석, 수업 컨설팅 방법에 따라 수행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교수요목 또는 교육과정의 개발이 단시간에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을 전제로 이 글에서는 그간의 과정을 공유하는 것에 의의를 두며 남아 있는 단계를 마저 수행하는 것은 차후의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 KCI등재

        이상의 육친(肉親) 시편과 수필에 내포된 ‘연민’의 복합적 성격

        엄경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6 No.-

        This discussion has tried to investigate concretely a reality of Lee Sang’s tragic life by illuminating a complexity and its cause of his pity for his blood relatives who drowned his inner life in pains. After he was separated as a four-year-old boy from his blood parents in the year of 1913 when he became the eldest adopted son of the main family of his blood father’s elder brother, he returned at last to his blood relatives’ home in Hoyjadong when he was twenty four years old in the year of 1933. This biographical event served as a momentum as to generate his senses of alienation and lack against his blood relatives. And the ill-fated lives of his blood relatives was to be a painful string endlessly inspiring pity into him Moreover, his pity for his blood relatives contained a bunch of very complex emotions. His works not only described incoherently appearances of his blood father and mother but also entangled complexly his emotions of pity, anger, resentment, and mortification against his blood parents. These were owing to an incomplete situation of existence without satisfying simultaneously the analogousness and contiguousness between himself and his blood relatives. At the start point of a condition of existence where the analogousness and contiguousness could not be satisfied simultaneously, it was the biographical event that he became the eldest adopted son of his blood father’s elder brother. In that case, How did he himself accept that event? It is to be found in his essays and poetry that a sign shows that he recognized himself as ‘an abandoned child.’ A sense of alienation of the abandoned and an urgent anxiety about the abandoners(blood relatives) were simultaneously alternating into his self-recognition as an abandoned child. The simultaneity of these tow was to be an emotion for which he felt his blood relatives. His pity for his blood relatives appeared with making a contradiction in a bunch of emotions as anger, mortification, sadness, and guilt. This complexity of pity functioned as a substantial element with making his inner life to be understood in terms that it implied his fundamental condition of existence. 본 논의는 이상의 내면을 고통으로 물들였던 육친에 대한 연민의 복합성과 그원인을 밝힘으로써 그의 비극적 삶의 실체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상은 그가 4세(1913년)되던 해에 백부의 종손양자가 되어 친부모와 헤어졌다가1933년 그의 나이 24세에 자신의 본가인 효자동으로 돌아온다. 이러한 전기적사건은 소외감과 결핍감을 낳는 계기가 된다. 한편 육친이 처해있던 불우한 삶은그의 내면에 끊임없는 연민을 불러일으키는 고통의 끈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상의 육친에 대한 연민은 매우 복잡한 감정의 다발을 함께 내포하고 있다. 그의 작품에 서술된 친부와 친모의 모습은 일관성을 갖지 않는다. 감정적으로는이상의 육친(肉親) 시편과 수필에 내포된 ‘연민’의 복합적 성격 323일반논문 _ 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제56집(16권 3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2. 9. 부모에 대한 연민과 분노, 원망, 억울함이 복합적으로 뒤엉켜 있다. 이는 육친과의 유사성과 인접성이 동시에 충족되지 않는 불완전한 존재상황으로부터 기인한다. 유사성과 인접성의 세계가 동시에 충족될 수 없었던 존재조건의 시초에는 양자 입적이라는 전기적 사건이 놓여있다. 그렇다면 백부에게로의 양자 입적을 이상 자신은 어떻게 받아들였을까? 이상의 수필과 시에서 이상이 자신을 ‘기아(棄兒)’로 인식한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기아로서의 자기인식에는 버림받은 자의소외감과 버린 자(육친)에 대한 절박한 염려가 동시에 갈마들고 있다. 이 둘의 동시성이 이상이 가졌던 육친에 대한 감정이라 할 수 있다. 이상의 육친에 대한 연민은 분노와 억울함, 슬픔, 죄의식 등과 같은 감정의 다발 속에서 모순을 빚은 채드러난다. 이 같은 연민의 복합성은 이상의 근본적인 존재조건을 함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내면을 이해할 수 있는 본질적 요인으로 기능한다.

      • KCI등재

        김열규의 『한국문학사』 기술의 특수성

        류정월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100 No.-

        이 논문은 김열규의 『한국문학사』(탐구당, 1983)가 가지는 한국문학 연구서로서의 특징과 성과를 살펴본다. 『한국문학사』는 시대와 장르를 넘나들면서 하나의 텍스트와 다른 텍스트의 연결고리를 추적하는, 일종의 상호텍스트성의 궤적을 만든다. 이 논문에서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후기구조주의적 관점에 따라 ‘김열규’를 욕망하고 행동하는 주체이자, 기호체계에 귀속될 수밖에 없는 주체로 전제하며, 그러한 관점에서 새롭게 열리는 길이 어떤 것인지 살펴봄으로써 『한국문학사』의 특수성을 논하고자 한다. 이는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지는데, 하나는 『한국문학사』에서 이루어지는 시학적이며 구조적인 측면을, 다른 하나는 각 텍스트가 연계되는 다소 무질서해 보이는 리좀적 측면을 살피는 것이다. 『한국문학사』를 이루는 세 장은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연계되는데, 그 개별 텍스트(가령 <단군신화>) 분석에서 특히 시학적이며 구조적 시각은 두드러진다. 텍스트 세부를 다양한 이론들을 통해 읽어냄으로써 참신하고도 풍부한 논의를 생산한다. 또한 『삼국유사』가 현대 텍스트에까지 잇달아 있는 맥락을 밝히고자 한다는 점에서 통합의 의지를 드러내기도 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한국문학사』는 『삼국유사』뿐 아니라 현대문학 및 문화 콘텐츠들로 대상을 확대하면서 주 텍스트와 부 텍스트의 경계를 흐리게 한다. 이 텍스트에서 저 텍스트로, ‘그리고-그리고-그리고’로 무수히 확장되는 수평적 연결망은 마치 리좀과 유사하다. 마지막으로 본 논의는 이러한 두 측면의 관계를 밝히면서 결국 문학 작품의 유기성을 전제하는 통합과 종합의 의지가 리좀적 방향으로 견인된다고 본다. 『한국문학사』는 단순히 강의실 밖으로의 공간적 탈주 혹은 고전에서 현대로의 시간적 탈주뿐 아니라, 한국문학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요청하는 인식적 탈주를 감행하면서 결국 『한국문학사』는 한국문학을 봉쇄가 불가능한 대상으로 재영토화한다. 『한국문학사』는 ‘문학사 아닌’-‘새로운 문학사’의 사이에 있는 텍스트이며, 그 담론적 저자로서 김열규는 탈주선을 그리는, 당대로서는 유표화된 유목적 주체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