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RISS
RISS 처음 방문 이세요?
고객센터
RISS 활용도 분석
최신/인기 학술자료
해외자료신청(E-DDS)
RISS API 센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소라,김수정,김건희 덕성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1 자연과학 논문집 Vol.7 N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crease the value as an useful food resources of Adenophora remotiflora. The contents of dietary fiber was 0.25 g/100 g(dry basis) and tannin was 155.2 ppm. The minerals in Adenophora remotiflora identified calcium(31.63 ㎎/㎏), potassium(149.51 ㎎/㎏), magnessium(14.15 ㎎/㎏), iron(1.40 ㎎/㎏), and sodium(1.46 ㎎/㎏). We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denophora remotiflora 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20℃ and 4℃. In color, L and a values gradually increassed at both storage temperature, the b values were decreased slightly at both 4℃ and 20℃. The results of pH decreased from 5.43 to 3.60∼4.60 at 20℃ and 4℃. However, tirtaratable acidity increased from 0.96% to 2.29∼3.98%. Also vitamin C and reducing sugar contents decreased during storage at both temperatures. In sensory evaluation, overall acceptability of Adenophora remotiflora kimchi showed lower scores as storage times increased.
에너지저장,변환 : 2P-411 ; 양자점 감응 태양전지; 전자전달체의 효과에 대한 연구
이소라,최성호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0
최근 친환경적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태양전지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현재까지 연구되어 온 태양전지들은 제작 단가가 높고 복잡한 생산 공정을 갖는 단점이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양자점을 이용한 태양전지가 개발되고 있다. 양자점 감응 태양전지는 생산 단가가 저렴하며 생산 공정이 간단하나 낮은 효율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효율 향상을 위한 전자 전달 물질로 다양한 기능기를 도입한 양자점 감응 태양전지의 제작이다. 본 연구에서는, ITO 전극 표면에 다양한 전자전달체, electron transfer mediator (TiO2, thiolated phenyl group, polythiophene, etc)을 도입 후, CdSe QDs을 self-assembling 방법을 사용하여 전자전달체의 표면에 고정화 시켰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QDs은 합성하여 사용하였는데, QDs 합성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TEM, UV, PL로 특성평가하였다. 한편, 제작된 태양전지의 표면 분석을 위해 AFM, SEM, OM, Contact angle, XPS로 특성평가 하였다. 또한 simulator를 이용하여 제작된 양자점 감응 태양전지의 효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자전달물질은 태양전지의 효율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특수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효과 연구
이소라,백은희 한국발달장애학회 2010 발달장애연구 Vol.14 No.1
'스콜라' 이용 시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7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special school.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ings:1. Does the self-determination program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s on autonomy section report scores of the Arc's self-determination scale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2. Does the self-determination program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s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section report scores of the Arc's self-determination scale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Eight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have been selected as an pre-post test group of experiment. The results have been analyzed with t-test using SPSS for window 17.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self-determination program had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results of the autonomy section the Arc's self-determination scale from pre-post test results. Secondly, the program had significant differences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section of the Arc's self-determination scale from pre-post test results. The study proved effectiveness of self-determination program enhancing autonomy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self-determination. Follow-up research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various self-determination programs with larger sample size would be necessary. 이 연구는 자기결정을 구성하는 4가지 요소 중 선택과 결정을 통한 자율성 증진이 심리적 역량을 강화하여 자기결정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라는 가설 하에, 중등부 지적장애 학생에게 자기결정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자기결정의 자율성과 심리적 역량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8명으로, 사전․사후의 준 실험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선택과 결정을 통한 자기결정능력 향상 프로그램 중재가 중등부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 검사의 자율성과 심리적 역량 점수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1P-64 : Development of cubosome with nanostructure for drug delivery by capsulation
이소라,최성호 한국공업화학회 2014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4 No.1
최근 기존 의약품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능 및 효과를 극대화시켜 필요한 양의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한 제형인 약물 전달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약물 전달 시스템의 한 종류인 리포좀은 인지질이 화학적으로 불안정하여 산화적 분해가 일어나 장기간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가격이 고가이며 정제가 매우 까다로운 반면에, 큐보좀은 국내에는 거의 찾아보기 힘든 기술로 제약이나 의약품 분야에서 경피흡수 기술로 응용되고 있다. 따라서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가격이 저렴한 합성 양친매성 물질을 이용한 약물 전달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아데노신은 상처치유, 미백, 주름 개선 등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아주 낮은 농도로 사용되어 그 자체만으로는 피부 침투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아데노신을 진피층까지 침투시킬 수 있는 다양한 약물 전달 시스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캡슐레이션 기술을 이용하여 아데노신을 봉입시킨 W/O형 나노입자의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성공적으로 제조된 큐보좀은 DLS, XRD, cryo-TEM을 통해 확인하였다. 추후에, enhancer cell을 이용하여 아데노신을 봉입시킨 큐보좀의 피부 흡수성을 평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