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미술교육내용 분석

        최선영,정수진 한국예술교육학회 2017 예술교육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by extracting art activities which included the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the art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s of nuri curriculum. Content of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were analyzed by dividing into the groups, life theme and artistic experiences.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groups, exploration,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nd then detail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culture, cooperation, prejudice, identity, equality, and diversity) in the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as shown in the teacher’s guidebook of nuri curriculum, diversity and culture related factors made up a high proportion, and the prejudice and equality did not appear. As a result of analyzing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ctivities by life themes according to contents system of artistic experiences,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showed high frequency of expression activities, appreciation and exploration were followed. Among the expressive activities, the frequency of drawing, plane decorating, and stereoscopic decorating activities was remarkably high, and sculpture, dolls and masks, printmaking, dyeing, and origami activities appeared. In appreciation activities, there are various art appreciation activities compared to the frequency of traditional art appreciation activiti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loration activities by age, but th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ctivities showed a lot of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at the age of 4 and 5 years compared to the age of 3. 본 연구의 목적은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미술활동 중 다문화 교육목표가 포함된 미술활동을 발췌하여 다문화 미술교육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다문화 미술활동 내용을 생활주제별, 예술경험 영역의 내용범주별로 분석하고, 다문화 미술활동을 탐색, 표현 감상으로 분류하여 세부내용을 분석하였다.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다문화 미술활동에서 문화, 협력, 편견, 정체성, 평등성, 다양성의 다문화 교육 관련 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다양성과 문화와 관련된 요소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편견과 평등성은 다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생활주제별 다문화 미술교육활동에 대해 예술경험 영역의 내용체계 별로 분석한 결과 다문화 미술활동은 표현활동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감상, 탐색 순이었다. 표현활동 중 그리기, 평면꾸미기, 입체꾸미기 활동의 빈도가 두드러지게 높았고, 조소, 인형과 가면, 판화, 염색, 종이접기 활동 등이 나타났다. 감상활동은 전통미술 감상의 빈도에 비해 다양한 미술 감상활동이 많이 나타났다. 연령별로 탐색활동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표현과 감상활동은 3세에 비해 4세와 5세에서 다문화 미술활동이 많이 나타났다. 이상에서 볼 때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다문화 관련 미술활동을 계획할 때 다문화 관련 요소를 생활주제에 따라 충분히 고려되어야 하며 표현활동뿐만 아니라 탐색활동과 감상활동을 다양하게 전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자료는 교사들이 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올바른 교육방법을 설정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문화예술 체험활동 ‘국경없는마을 RPG’ 참여 고등학생의 다문화경험에 관한 연구

        전영은,김영순 한국문화교육학회 2013 문화예술교육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ulticultural experience effects on the high school student multicultural awareness while participating Arts and Culture activities. To do this, we have collected data through ‘The borderless village RPG’ which is a multicultural program using videos, media, and so on. Also, in-depth interview with 12 high school students was conducted from 27. Oct. 2012 to 3. Mar. 201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ought not to change but they displayed a positive attitude to multiculture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particular, they showed admitted attitude toward the diversity of new culture and showed acceptable attitude with interest in multiculture. Second, they seem to have changes in multicultural awareness through mission based on multicultural spaces and food experiences. Third, participants thought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understanding people from different countries, and propose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method for high school student. As a result, the multicultural experience through Arts and Culture activities contributes to multicultural awareness and changes on attitude. Therefore, political supporting is essential in research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ctivities program through Arts and Culture utilization of various genres.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 체험활동을 통한 다문화경험이 참여 학생들의 다문화인식에 어떤 효과와 의미를 주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상과 미디어 등 문화예술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인 ‘국경없는마을 RPG’를 2012년 8월 11일부터 12월 15일까지 참여관찰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12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2012년 10월 27일부터 2013년 3월 3일까지 심층면접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참여 학생들은 당위가 아니라 체험에 기초한 다문화에 대한 긍정적 판단과 태도를 보였다. 특히 새로운 문화에 대한 다양성을 인정하는 소통적 태도와 다문화에 대해 관심을 갖고 수용적 태도를 보였다. 둘째, 참여 학생들은 미션 수행을 통해 다문화 공간과 음식 문화를 직접 체험함으로써 경험에 기초한 깊이 있는 다문화인식의 변화를 보였다. 셋째, 참여 학생들은 체험적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공감하였으며, 적절한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문화예술 체험활동을 통한 다문화경험이 다문화인식과 다문화에 대한 태도변화에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을 활용한 다문화교육연구와 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제안한다.

      • KCI등재

        비교과 교육을 통한 융합적 사고력 증진 방안 연구: 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인문학적 소양을 중심으로

        장상필,김지일 교육종합연구원 2015 교육종합연구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causing freshmen's convergence thinking skill. We assumed that freshmen's extracurricular activities would affect their convergence thinking skil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influence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on convergence thinking skill were examined indirectly as well as directly, with and without liberal arts knowledg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s a mediate factor. The results show that the indirect effects were proven to be stronger compared with the direct effects.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ppeared to encourage better improvement of liberal arts knowledge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hereas not to influence the convergence thinking skill improvement. And freshmen'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re proved to affect their convergence thinking skill via liberal arts knowledg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s a mediate factor. The direct effect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on convergence thinking skill were even more stronger especially with those who had higher levels of liberal arts knowledge tha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 KCI등재

        다문화교육에서 활용되는 문화예술 체험활동에 관한 문화인지론적 연구: 신체성을 중심으로

        전영은(Young Eun Jeon) 한국문화교육학회 201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3 No.6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교육에서 활용되는 문화예술 체험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문화인지과정에서 신체성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여 다문화교육에서 문화예술 체험활동이 갖는 의미를 밝히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문화예술이 신체를 활용한 감상과 표현이라는 점에 초점을 두고 Wulf의신체성 개념을 토대로 문화예술 체험활동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안산시 (사)국경없는마을 ‘국경없는마을 RPG’에서 15주 동안 문화예술 체험활동을 받은 고등학생 40명을 참여관찰하였으며,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다른 문화권의 문화예술이 가지고 있는 보편성과 특수성을 동시에 경험함으로써 다문화의 본질을몸으로 체험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의 감각기관들은 사회·문화적 경험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교육적이며 역사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의 감각기관들이 상호작용하면서 감각함으로 문화인지과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예술체험활동으로 다문화교육을 받기 전에 예술강사의 설명과 미션에 대한 안내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This study aims to signify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the activities’hereafter) in multicultural education. It analyzed the role of physicality in the cultural awareness process of participants in ‘the activities’. The study analyzed the case subjects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by Wulf’s concept of physicality. To explore th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observed 40 students who were involved in ‘the activities’ during the 15-week ‘Borderless Village RPG’ program. Semi-structur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elve case study participants. The following findings are the summaries of the study. First, the students were found to experience the essence of multi-culture when they were simultaneously exposed to the universality and distinctiveness of foreign cultures. Second, one’s sensory organs in the body were found to be adapted through social and cultural experiences where educational and historical features are embedded. Third, one’s sensory organs were found to interact cohesively with foreign cultures as recognized. Fourth, prior to engaging in ‘the activiti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guidelines provided by instructors’to the participants had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facilitating and enhancing learning processes of the participants.

      • KCI등재

        무도종목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사회적 지지와 긍정심리자본 및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김종탁,김상태 한국무예학회 2018 무예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 students who participate in martial-art sports activity. Through this process, the multi-cultural students tried to present necessary materials for adjusting to school adjustment. In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positive psychology capital and school life adaptation levels depending on social support levels. And I checked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level of positive psychology capital. In this study, social support directly influences school adjustment, and positive psychology has been verified by establishing a partial model that indirectly affects school adjustmen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ink between social support, positive psychology capital and school adjustment. Social support directly influences school adjustment and indirectly influences school adjustment by means of positive psychology capital. In order to raise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 through sports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level of social support for multi-cultural adolescent by understanding each other's culture and promoting cooperative relationships. It is believed that there will be a need to encourage martial-art sport activities that are effective in building positive mental training as well as strengthening muscles, improving cardiopulmonary capacity, and acquiring skills. 이 연구는 무도종목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사회적 지지와 긍정심리자본 및 학교생활적응 간에 어떠한 관계와 영향을 가지는지를 규명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학교생활에 바르게 적응하는데 필요한 자료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긍정심리자본은 학교생활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부분매개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한 결과, 사회적 지지와 긍정심리자본 및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하여 학교생활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학교생활 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스포츠 활동을 통해 다문화 시대 청소년들이 함께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상호 협력적인 관계를 증진함으로써 사회적으로 서로 지지할 수 있는 수준을 높여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근육을 강화시키고 심폐능력을 향상시키며, 기술을 습득하는 것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정신 수련을 쌓는데 효과적인 무도 종목 스포츠 활동을 장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한부모 다문화가정 아동의 시설적응을 위한 활동중심 미술치료 사례연구

        김현정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22 임상미술심리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한부모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활동중심 미술치료를 적용하여 시설 적응행동 변화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2학년 9세 남자 아동 1명이다. 연구대상에게 활동중심 미술치료를 주 1회, 회기당 50분, 총 24회기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연구방법은 행동관찰법에 의해 미술치료 회기별 언어・행동변화를 질적분석 하였다. 활동중심 미술치료에 따른 시설 적응행동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CBCL을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여 T점수를 비교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매 주 시설 부적응행동 체크리스트를 어머니와 시설 생활지도 교사에게 실시하여 회기별 총점의 변화와 하위영역의 사전과 사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활동중심 미술치료를 실시한 결과 회기별 언어・행동변화에서 초기에 집중하지 못하고 불안정한 모습에서 후기로 갈수록 집중시간이 길어지고 언어적 상호작용이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다. 척도에 의한 변화에서는 총 문제행동수준과 외현화 문제행동 수준이 준임상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내재화 문제행동은 정상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시설 부적응행동 체크리스트 에서도 각 영역의 부적응행동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활동중심 미술치료가 한부모 다문화가정 아동의 시설적응에 효과적인 것으로 말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다문화 미술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권이정,이미영,정근아 구성주의 유아교육학회 2019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through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have an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and multicultural perceptions of 4-year-old infants. For this purpose,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Daejeon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and 20 of the total 40 infant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In total,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10 times over a 10-week period, while comparison groups carried out art activities based on their life themes. The collected data analyzed the effects of experimental measures through t-verification. The study found that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conducted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through collaborative study by the cal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pro-social behavior and multicultural awareness than infants in the comparison group.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through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in this stud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o-social behavior and multicultural perceptions of infants.

      • KCI등재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다문화인식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전현경,전인옥 미래유아교육학회 202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rt activity us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awareness and creativity. Fifty children aged 4 years old form two different daycare centers located in Jeon-ju were selected a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fter 16 times of art activities us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were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creativity of the children, the study started a covarianc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art activities us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ideration, respect and openness of multiculturalism among the sub-areas of multicultural awareness of young children. Second, the art activities us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areas of children's creativity, such a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resistance to tit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n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are applied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select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suitable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 they have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rt creativity develop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다문화인식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에 있다.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두 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4세 유아 5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 유아에게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미술활동을 16회 실행한 후 유아의 다문화인식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미술활동은 유아의 다문화인식 하위 영역 중 다문화에 대한 배려, 수용, 존중, 개방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미술활동은 유아의 창의성 하위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미술활동은 유아의 다문화인식과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청소년의 문화예술활동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이영라,이숙종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9 다문화사회연구 Vol.12 No.3

        이 연구는 청소년의 문화예술활동이 자아탄력성과 공동체의식을 매개로하여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0을 활용하여 공분산 구조분석 및 소벨테스트를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문화예술활동은 개인적 정서인 자아탄력성, 사회적 정서인 공동체의식을 발달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공동체의식은 다문화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문화예술활동은 자아탄력성과 공동체의식을 매개로 하여 다문화수용성의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청소년이 다양한 문화예술활동을 경험하는 것이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발달시킴에 따라 이를 위한 사회적,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statistically analyzes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arts and culture activities on thei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s of their ego resiliency and sense of communit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applied to th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The data demonstrate three outcomes. First, adolescents’ arts and culture activities develop their ego resiliency, personal emotions, and sense of community. Second, developing adolescents' ego resiliency and sense of community has a positive effect on build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rd, the arts and culture activities of adolescents cultivat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rough ego resiliency and sense of community.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programs exposing adolescents to various arts and culture activities would aid them in developing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peers and fellow citizen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 KCI등재

        숲 체험 미술활동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강영미,신원섭,이상주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9 다문화교육연구 Vol.12 No.2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ollective art therapy using forest experience art activities on the ego-resilience of multicultural teenagers. For these purposes, 24 multicultural teenag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who got less than 190 points on the Korean Resilience Test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mong 41 multicultural teenagers attending five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O city. The program consisted of eight rounds from April 10 to June 5, 2018. Research showed that both groups that apply forest experience art activities and art groups that did not apply forest experience programs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interpersonal skills, self-regulating abilities and positiveness of ego-resilience than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forest experience art group had a positive effect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or control group. 본 연구는 숲 체험 미술활동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성을 비교 검증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연구대상은 O시에 소재하고 있는 5개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청소년 41명을 대상으로 한국형탄력성 검사에서 190점 이하를 받은 사람으로 프로그램 참가를 희망하는 다문화청소년 24명을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은 2018년 4월 10일부터 6월 5일까지 총 8회기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숲 체험 미술활동을 적용한 집단과 숲 체험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은 미술활동 집단 모두 통제집단보다 자아탄력성의 대인관계능력, 자기조절능력, 긍정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숲 체험 미술활동 집단이 비교집단이나 통제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