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예술치료교육의 개념과 방향에 대한 담론

        김성애(Sung Ae Kim)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15 예술과 인간 Vol.1 No.1

        예술치료교육이 한국인에게 왜 필요한가? 이 물음을 뒤집어 보면 예술치료교육이 한국인에게 꼭 필요하다는 말이다. 이 질문에는 에술치료교육이 가야 하는 방향이 이 시대의 한국인에게 꼭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한다는 요구도 들어 있다. 최근 들어 한국인은 여러 가지 고통과 충격의 도가니에 휘말려 있다. 세월호 침몰과 같은 각종 안전사고, 가난, 실직 등이 원인이 되어 세상을 등진 사람들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극심한 상실감을 앓고 있다. 또한 인터넷, 게임중독, 각종 통신 기기와의 만남으로 많은 한국인이 실존적 혼자상태에 놓였다. 여기에다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생물학적으로 다르다는 이유로 그들의 사회적인 불이익과 소외감은 항상 있어왔다. 그래서 예술치료교육은 일시적으로든지 만성적으로든지 사회로부터 배제되고 불편함을 감수하여 자신의 인생을 살아가야 하는 한국인을 건강하게 할 에너지로 작용해야 할 역학을 감당해야 한다. 예술치료교육이 한국인에게 필요한 또 다른 이유는 그 안에 창의적인 인간을 기를 수 있는 엔지가 있기 때문이다. 지금의 시대는 포스트모던 사회가 주류를 이룬다. 이 사회는 창의적인 인간을 필요로 한다. 예술치료교육은 한국인에게 창의력을 가져다준다. 예술치료교육이 이토록 중요할 진데, 예술치료교육의 개념이 어떻게 정의되어야 하며 그 실행 방향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담론할 필요가 있다. 치료는 교육이어야 하고 교육은 곧 예술이어야 한다. 그렇다면, 예술치료교육은 예술 그 자체이다. 그 예술은 치료와 교육의 개념적 차원에서의 예술이고, 치료와 교육의 실천 차원에서의 예술이다. 즉, 예술치료교육은 행동을 통한 예술적 표현이요, 창의적인 인간을 육성하는 교육적 목표를 가지는 것이요, 인간의 가능성을 의학적인 진단과 처방이 아닌 교육으로 치료적 결과를 얻는 것이다. 예술치료교육은 의학적인 치료가 아니라 예술 그 자체요, 교육적인 본질을 추구한다. 예술치료교육의 대상자들은 의학적인 손상이나 질병 등의 개념 차원으로 이해되고 지원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면 예술치료교육은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그 철학을 어떻게 소화할 것인가? 어떤 방안이 활용되어야 하는가? 등에 관한 해답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실제와 소통을 통해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가 당면한 과제가될 것이다. 위의 관점을 가진 예술치료교육과 그 운영자인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Why is the art therapy needed or Korean? Reverse this question, then the question will state that the art therapy is needs for Korean, The question also includes the demand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art therapy education should contain necessary contents for Korean people of the hour. Recently, People in Korea are in shock and racked with pain by a wide range of social problems such as safety concerns like ferry Sewol disaster, poverty and unemployment. The social problems directly-indirectly impact on people`s emotion that would be fallen into extreme sense of loss. In addition, using internet, doing internet game and using other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isolate people from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people with disabilities already have been isolated from communities and have been faced social disadvantages because of their biological differences. Thus, the art therapy education should take on a role in supporting positive energy for Korean people to overcome social disadvantages and exclusion from their society. One other reason that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needed for Korean is, there is energy which can raise creative human beings. This time, post-modern society is the mainstream society. The society needs creative people. The art therapy education develops people`s creativities. How important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Thus, the concept and the direction of the art therapy should be discussed. Therapy must be education and the education must be art. Accordingly,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art`s self. The art is not only the conceptual dimension of therapy and education but also the practical dimension of therapy and education. In other world,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the artistic presentation through actions, aims to raise creative human beings, and obtains therapeutic results by educations rather than medical diagnosis and prescription.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not medical therapy but the art`s self and it pursues educational essentiality. Thus, the subjects of the art therapy education should not be neither supported nor understood as medical disease and/or impairment. Then, how to practice the art therapy education? How to put its philosophy into practice? What kinds of methods will be used? Theses questions should be answered in future research and discussion on the art therapy education and these will be the tasks that the society of the art therapy education faced on.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예술교육자의 미적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듀이의 경험론을 중심으로

        이송하 ( Lee Song-ha ),유재봉 ( Yoo Jae-bo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2

        문화예술교육의 목적인 미적경험의 실현을 위해서는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예술교육자의 내적인 경험에 집중해서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에서 예술교육자가 겪는 미적경험의 의미구조와 형성 과정을 듀이의 경험론을 중심으로 탐구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예술교육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화예술교육에서 미적경험의 기본요소는 ‘예술교육자의 고유한 예술경험과 표현매체’와 ‘학습자와의 정서적 교감에 의한 교변작용’으로 나타났다. 미적경험의 형성과정은 ‘긴밀한 신뢰관계→예술적 상상력에 의한 경험 형성→성찰에 의한 경험의 성장’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목적인 계속적인 미적경험의 성장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예술교육자는 예술적 감각을 잃지 않도록 늘 성찰하는 존재여야 한다. In order to enhance aesthetic experience as an aim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ress on the internal experience of teaching arti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emantic structure and formation process of aesthetic experiences taken by teaching artist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rough hermeneutic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aesthetic experience was examined and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0 teaching artists. As a result, the basic elements of aesthetic experience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were "teaching artist’s unique art experiences and expression materials" and "the transaction by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learners". The process of forming aesthetic experiences can be concretized in 'close trust relationship → formation of experiences by artistic imagination → growth of experiences by reflection'. Through this, the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eaching artist for the growth of aesthetic experience with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시스템과 문화예술교육의 연계 방안

        양병찬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2009 모드니 예술 Vol.2 No.-

        ○ 우리들에게 문화예술은 고상해서 너무 어려운 것이라 생각하는 경향으로 인하여 돈 많고 여유 있는 특권층의 전유물로 여기는 고정관념 ○ 일반 서민들이 가지고 있는 문화예술에 대한 편치 않음은 어려서부터 생활 속에서 다양한 문화예술적 경험과 그에 관련된 교육을 받지 못했던 삶을 반영 ○ UNESCO 제4회 세계성인교육회의(1985년 3월 파리)에서의 학습권 선언에서 천명된 바와 같이 ‘배움’ 인간이 가진 고유한 권리로서 이를 통해 삶의 즐거움을 향유하고 자아실현을 성취함. 문화예술교육도 예외가 아니어서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3조 2항에 “모든 국민은 나이, 성별, 장애, 사회적 신분, 경제적 여건, 신체적 조건, 거주지역 등에 관계없이 자신의 관심과 적성에 따라 평생에 걸쳐 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되어야 한다고 규정 ○ 그러나 생존의 문제가 절실한 대중 서민들에게는 문화예술 활동이나 문화예술교육의 기회가 제한적으로 제공되었고, 이러한 문제를 정책에서도 심도 있게 다루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음 ○ 일상의 ‘생활세계’ 속에서 즉 매일 매일 우리 ‘마을’에서 문화예술적 경험이 가능하도록 아동․청소년․성인․노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이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을 보편화(universal화) 하자는 문화민주주의 관점이 요청됨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교육학 정립의 필요성

        정연희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2008 모드니 예술 Vol.1 No.-

        우리 정부는 2005년 12월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을 제정하여 문화예술교육지원정책을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동 법에 근거한 문화예술교육은 ‘미적ㆍ예술적 교육’을 통해 문화교육을 시행함을 의미한다. 즉, 문화예술교육은 미적ㆍ예술적 활동을 통해 ‘인간의 삶이 우리에게 필연적으로 강요하는 실제적 목적으로부터의 내적·절대적 자유’(이홍우, 2000, p.14)를 경험하고 그 경험을 바람직한 문화 공동체의 형성을 위한 참여와 실천으로 이끄는 교육인 것이다. 기존 문화정책의 기조가 ‘문화를 ‘대상화 가능한 결정체’로 간주하고 있는 반면 문화예술교육에서의 문화는 역동적으로 ‘자신의 존재성을 이루어가는 과정’으로서 정의된다.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교육 정책 실현을 위한 학교음악교육의 개선 과제

        태진미 ( Jin Mi Tae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0 예술교육연구 Vol.8 No.2

        문화예술교육의 본질적 가치에 입각한 문화시민 양성을 위한 교육정책은 모든 국민의 보편교육인 현행 학교문화예술교육을 정상화하고 활성화하는 측면에서 출발되어야 한다. 한편 현재 학교문화예술교육 관련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이라는 포괄적 접근에서 이루어져 세부 교과의 구체적인 문제점 도출 및 개선을 위한 실천적 접근에 많은 한계를 보이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본질적 가치와 정체성, 목표, 내용, 방법, 평가 등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문화예술교육 정책 실현을 위한 현행 학교음악교육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둘째, 문화예술교육 정책 실현을 위한 학교음악교육의 개선 과제가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문화예술교육이 단순히 또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추가되는 것이 아니라 정규교육에 기초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정규교육을 강화, 보완할 뿐만 아니라 이를 넘어 문화예술교육의 창조적 실현을 이루기 위한 상호 협력적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educational policy for training cultural citizen based on essential value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needs to be started in the aspect of normalizing and vitalizing the current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which is all people`s universal education. In the meantime, a research relevant to the current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performed in the comprehensive approach called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thereby showing many limitations to the practical approach for eliciting and improving specific problem about the detailed curriculum. It is the real situation of being imminent in a specific research on essential value, identity, goal, contents, method, and evaluation of music education as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aim, first, of clarifying what a problem is about the current school music education for realizing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y, and second, of suggesting what an improvement task is for school music education for realizing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y.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in suggesting a plan for vitalizing the mutually cooperative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creatively realizing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beyond this, as well as reinforcing and supplementing regular education, on the other hand, even with being based on regular education, not what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mply added as another curriculum.

      • KCI등재

        디지털 전환시대 미래 문해력으로 함께 그리는 예술교육*: 공간, 사람, 교육의 연결을 중심으로

        정옥희,김혜경 한국예술교육학회 2022 예술교육연구 Vol.20 No.4

        In the process of digitization, the future has two sides that are utopian and dystopian as the pres- ent to come. This study aims to examine posthuman human images, discuss the importance of restor- ing posthuman sensitivity and aesthetics, and examine the power of communication and connection of art to devise new predictive assumptions and future-oriented art education based on future literacy so that individuals do not become narrow due to existing culture, standards, and discourse through- out social culture. The research discusses why future literacy is necessary as the ability to imagine the future beyond the existing paradigm or detect and perceive phenomena that cannot be explained by existing educational models, and the importance of restoring aesthetics that enable space, people, and education through art. Based on this, as a methodical example of art education for future coex- istence, the direction of instruction based on challenge-based learning using digital from the per- spective of participation in art education and practice was presen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art ed- ucation has faithfully fulfilled the role of restoring humanity based on traditional humanism, but it needs an approach to apply a more expanded concept of art in terms of posthuman sensitivity by in- sighting the future with the confusion and open possibilities of digital transformation. Second, if the creation of a new future that breaks down the dependency between humans and technology with posthuman art becomes possible in the act and practice of art, art education practice should be im- plemented to recognize life as an expanded concept of the future and create an ecosystem beyond the boundaries of virtual creatures. Third, it is possible to practice art education for future coex- istence through communication and aesthetic recovery of art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by re- flecting various sensory perceptions and aesthetics of art creation with digital technology. 디지털화되어가는 과정에서 미래는 다가올 현재로서 유토피아적이면서 디스토피아적인 양면적 측면을 갖는다. 이 연구는 디지털 전환시대 휴먼, 트랜스휴먼, 포스트휴먼으로의 변화 과정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포스트휴먼적 인 간상을 정립하고 포스트휴먼 감수성과 심미성 회복의 중요성을 논의하고, 예술이 가진 소통과 연결의 힘을 고찰한 다. 사회문화 전반에서 기존의 문화, 기준, 담론으로 인해 개개인의 미래 예측 능력이 편협해지지 않도록 새로운 예측 가정을 고안하고 미래를 읽어낼 수 있는 미래 문해력을 기반으로 미래지향적 예술교육의 방안을 제안하기 위 한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디지털화된 교육 환경과 시스템을 하나의 미래 교육의 공간으로 보고, 이 공간 속에서 기존의 패러다임을 벗어나 미래를 상상하거나 기존 교육 모델로 설명이 불가한 현상들을 감지하고 지각하는 능력으 로서 미래 문해력의 의미를 살펴본다. 또한 포스트휴먼에 대한 이해, 포스트휴먼 감수성에 대한 성찰을 기반으로 예술을 통한 공간, 사람, 교육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심미성 회복의 중요성을 논의한다. 이를 기반으로 미래 공존 을 위한 예술교육의 방법적 사례로서 예술교육의 참여와 실천적 관점에서 디지털을 활용한 도전기반학습에 근거한 수업의 방향을 제시한다. 이 연구의 결과로서 미래 문해력을 기반으로 함께 그려볼 수 있는 예술교육의 방향을 요 약하면, 첫째, 그동안 전통적인 인간다움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예술교육은 예술이 가진 인간다움의 회복의 역할을 충실하게 이행해 왔지만, 디지털 전환의 시대가 가져올 혼란과 그 가능성의 측면에서 미래를 통찰함으로써 포스트 휴먼 차원에서 보다 확장된 개념의 예술을 적용한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포스트휴먼 예술로 인간과 기술의 종속 관계를 경계를 허무는 새로운 미래에 대한 창조들이 예술의 행위와 실천에서 가능해진다면, 이러한 창조적인 과정 에서 미래에 대해 보다 확장된 개념으로서의 생명을 인식하고 가상 생명체들이 군집하고 살아가는 경계를 넘어선 생태계를 만들 수 있는 예술교육 실천이 이루어져야한다. 셋째, 디지털 기술을 도입한 예술 창작의 다양한 감각적 지각과 심미성을 반영하여 미래 공존을 위한 교수·학습방안들을 고안하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전환시대 예술이 가 지는 소통, 심미성 회복의 역할을 통해 미래 공존을 위한 예술교육의 실천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예술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가능성 탐색

        김영연 ( Young Youn Kim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6 예술교육연구 Vol.14 No.2

        흔히 예술이 인성발달에 필요하다는 주장은 불충분한 근거 제시로 인하여 설득력을 잃기 쉽다. 관련하여 예술교육의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는 현실임에도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 예술교과가 차지하는 비율이줄어드는 현실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물질문명 중심의 현대사회에서 풍요로운 정서적 반응과 표출의 자유로움을 추구하는 예술교육이 과연 인성교육을 가능할 수 있을 지에 대해 탐색해 봄을 통하여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이고 인성교육과 예술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 검토를 기초로 인성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정립하고 예술과 예술교육의 특징과 가치를 재확인하여, 예술과 인성이 만나는 접점을 연구결과로 도출하였다. 탐색의 결과로 예술교육은 인간의 생활주변에서 발견될 수 있는 상징적 질서에 대한 이해와 반응 증진에 목적을 두고 학교 안팎의 일상생활에서 반복적이고 함축적인 행동을 통하여 자기조절과 인내, 타인에 대한 이해와 협동, 책임 등의 인성교육 목표에도달하게 하므로 예술교육은 인성을 키우고, 인성교육은 예술교육을 통하여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y possibility of the arts education as a means of character education. Related materials on arts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were reviewed in order to find out the clear concepts and components of the character. Virtue of arts and the purpose of arts education were examined, as well. From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the sharing perspectives between arts education process and character education components. For example, preservation of the inherent rules, repetitive practice and drills, which are significantly emphasized in the art education reality were the similar traits such as endurance, cooperation and responsibility, which are the components of character education. Therefore it is naturally said that arts education forms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온라인 예술교육 회화클래스 플랫폼 현황 및 참여자의 교육 참여후기 분석

        이은경 ( Lee Eunkyoung ),현은령 ( Hyun Eunryu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변화하는 사회상에 발맞추어 생겨나고 있는 온라인 예술교육 회화클래스 플랫폼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그 참여자들의 교육 참여후기를 수집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온라인 예술교육 화화클래스 플랫폼은‘온라인교육, 온·오프라인 혼용, 실습키트(Kit)배송’과 같이 세 가지의 형태로 운영되며, 대다수가 반응형 웹(Responsive Web) 사이트로 구축되고 있었다. 둘째, 온라인 예술교육 플랫폼 내 가장 많이 개설된 회화클래스는 수채화와 색연필 등을 이용한 것으로서, 숙련된 예술 활동보다는 보편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 플랫폼 대다수가 교육 참여후기 작성공간과 건의게시판을 따로 개설하여 플랫폼의 성격이 부정적으로 확산되는 요인을 차단하는 장치를 마련하고 있었다. 넷째, 교육 참여 후기작성은 개설된 클래스 수와 비례하지 않았으며, 수업의 질 만족도에 따라 빈도수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수집된 참여 후기 중 96.9%가 긍정적 의견이었다. 이는 후기 작성이 대가성이 없는 자율성이 기반하고 있으므로 참여자의 긍정적인 경험이 동기화되어 주로 작성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여섯째, 수집된 교육 참여후기는‘교육 참여에 대한 감상(87.7%), 수업개선 의견(5,1%), 추천의사(2.8%), 정보전달(2.5%), 재참여의사(1.6%), 기타(0.3%)’등의 일정한 패턴 6가지로 정리 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온라인 예술교육 회화클래스 플랫폼 교육 참여후기는 참여자의 내적동기화의 수준을 향상시키며, 제공되는 예술교육에 대한 주의력과 만족도를 높이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최근 COVID-19로 인해 비대면 수업의 제한되면서 예술교육 현장은 매우 위축되어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앞으로의 예술교육은 제공자의 입장에서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질 확보에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예술교육 참여자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 그들의 자발적 소통과 참여가 활발히 일어나도록 도와야한다. 이 같은 노력은 현대사회에서의 예술의 가치와 역할을 확산시켜 예술을 통해 대중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esent status of applying the painting class platform as the online art education that is emerging in line with the changing social aspect, collected and analyzed the education participation reviews in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can be arranged as follows. First, the online art education platform was operated in three types such as ‘online education, on·offline mixture, practice Kit delivery.’ Most of them were being implemented with the Responsive Web site. Second, the class, which was opened the most within the online art education platform, is the one of using watercolor and colored pencils, thereby having tended to pursue the universality rather than the skilled artistic activity. Third, the majority of platforms as the research subjects arranged the space of writing the education participation review and were encouraging its writing. Also, to minimize the negative contents, the separate opening in a bulletin board led to having been blocking a factor of being negatively spread a character of the platform. Fourth, it could be known that the participation review writing is not proportional to number of the opened classes, and that the frequency is shown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a class. Fifth, 96.9% of the collected participation reviews were positive opinions. This is interpreted to be because the participants’ positive experience is mainly synchronized to be drawn up as the review writing is based on autonomy without compensation. Sixth, the collected education participation reviews could be arranged with 6 consistent patterns such as ‘reviews of participate education(87.7%), the class improvement opinion(5.1%), the intention to recommend(2.8%), the information delivery(2.5%),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again(1.6%), others(0.3%).’ As the above, the participation reviews of the painting class education as the online art education could be expected the outcome that enhances the participants’ internal synchronization level and raises atten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offered art education. As a non-face-to-face class is restricted recently owing to COVID-19, the field of art education is in a very constrained situation. As examined in this study, the future art education needs to help them with voluntary communic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by listening to education participants’ stories, not focusing only on securing diversity and quality of a program from the position of a provider. This effort will expand the value and role of art in modern society, thereby being expected to likely become a method available for increas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public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진학계 고교를 위한 과학-예술융합 교육과정기준 개발 연구

        변자정 ( Byun Ja-jung ),홍후조 ( Hong Hoo-jo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6 예술교육연구 Vol.14 No.3

        이 연구는 그동안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았던 진학계 고등학교의 비예술전공자들의 보완적 예술교육에 관한 내용이며, 그 중에서도 가장 활발한 융합의 대상이 되고 있는 과학기술과 예술 간의 융합교육을 교육과정기준 개발의 시각에서 다루었다. 연구의 목적은 진학계 고교의 과학기술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과학기술 학습에 대해 보완적인 예술교육을 필요로 하는 학습자 집단에게 필요한 과학-예술융합교육의 목표, 내용과 방법, 교육과정 운영 기준을 제시하는 가교적인 교육과정기준 개발에 있었다. 연구자는 과학-예술융합 교육과정 기준 개발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과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과학-예술융합교육의 효과적인 실천을 위해 교육과정 내에서 융합교육에 대한 의미와 개념이 다양하고 폭넓게 자리 잡아야 한다. 둘째, 융합교육의 효과적인 실천을 위해서는 융합의 대상이 되는 교과교육 간의 핵심, 보완 영역을 구분하여 설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융합교육을 위한 총론과 각론 간의 연계적이고 보완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범교과적인 다양한 주제의 소총론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진학계비예술전공자 집단에게도 보완적이고 연계적인 과학-예술융합교육의 수요가 있으며, 교육계는 이에 관해 교육과정적으로 대답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본 연구의 교육과정기준 개발은 과학-예술의 융합이라는 독립적인 새로운 교과교육으로서 기준개발이 아닌 다양한 영역에서 범교과 학습이나 통합적인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준 개발이다. This study is about complementary arts education for non art students in academic high schools, which has not been researched sufficiently, and it covered particularly science/technology arts convergence education that is recently spotlighted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ment of curriculum stand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urriculum standards that present the goals, contents, methods, and curriculum operation standards of science arts convergence education required by learner groups in need of complementary arts education for their learn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among those majoring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academic high schools. From this research for developing science arts convergence curriculum standards, the researcher drew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for the effective execution of science arts convergence education, the meanings and concepts of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settled diversely and widely within the school curriculum. Second, for the effective execu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fine core and complementary domains of curricular education to be converged. Third, we need mini curriculum standards for various interdisciplinary themes that play articulating and complementary roles between generals and particulars for convergence education. Fourth, non art students in academic high schools are also in need of complementary and articulating science arts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circle of education needs to respond to the need through the curriculum. Fifth, the curriculum standard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not for a new independent curricular education of science arts convergence but applicable for interdisciplinary learning or integrated programs in various domains.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외국의 사례 고찰을 통한 역량 제고

        민경훈 ( Kyung Hoon Mi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3 예술교육연구 Vol.11 No.2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와 예술의 교육을 의미하는 용어로 문화교육과 예술교육을 합한 복합명사이다. 우리나라가 문화예술교육에 관하여 학문적으로 심도 있게 연구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이후이다. 이같이 역사가 짧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그간 정부가 추진해 온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글로벌시대에 창의 인성을 갖춘 문화국민으로서의 역량을 기르기에 적합한가라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진정한 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와 사회가 독립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상호 긴밀한 유기적 협력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이러한 국면에서 이 연구는 자국의 문화예술교육의 진흥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많은 투자와 정책지원을 아끼지 않는 여러 선진국들의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우수사례들을 살피고 논의함으로써,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이 국민의 행복과 삶의 질을 높이는 사회발전의 척도로서 핵심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시사점을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화예술교육의 성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부가 문화예술교육 성장을 위한 프로젝트에 예술이 생활이라는 개념을 수용하고, 수요를 창출하는 것이다. 또한 시민의 입장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이 일상생활과 괴리된, 즉 자신과 관계없는 것이라는 인식을 버리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이 학교와 사회에서 자연스럽게 정착되기 위해서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시민 모두가 문화예술교육이 우리 사회의 일상적 양상이고, 문화예술교육의 환경이 우리 주변의 일상생활이라는 인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Arts and cultural education`` is a compound noun for art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as a term that refers to education on arts and cultures. Korea began to study arts and cultural education in-d pth in the 19905. With such hort history of related studies, this study starts with the issue that the government policy o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so far i inadequate to cultivate the copetencies of cultural citizens with creative characters in today`s globalized world. ldeal arts and culhtral education requires establishment of a closely-knit collaborative system between schools and society, rather tian independent approaches. Thus, this tudy will examin and discuss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nd exc lent practices of advanced countries that implemented ubstantial investment and p Licy upport to improv their arts and cultural education. Ba d on the results, this study i intended to explore tile implications for Korea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that will help all citizens use their cor competencies at their best, while the education serves a a yard tick of social d veJopment that can boost th happines and quality of all citizens. To develop arts and cultural education, the government should accept arts as a part of life through projects for arts and cultural education development and create r lated demand. In addition, citizens should eliminate the notion that arts and cultural ducation has nothing to do with their day-ta-day lives and themselves. In conclusion, th govemm nt, local government, and all citizen hould perceive art and cultural education as a day-ta-day aspect of our society and the education environment as Cl part of our daily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