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위원회와 교육의원 제도에 관한 연구

        장윤이,고명석 교육종합연구원 2012 교육종합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교육정책의 형성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분석하기 위해 기존의 교육정책이 외부환경적 요인 및 행위자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큰 틀에서의 교육제도는 일제강점기, 미군정, 권위주의 시기의 정치적 결정, 민주화 과정 등의 정치적 환경, 소득수준 증가 및 교육수요의 확대라는 외부환경적 요인의 변화, 행위자의 변화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2006년 도입된 교육의원제도를 2014년 일몰시키기로 결정한 2010년의 국회 정책결정과정은 역사적 흐름의 측면에서도 매우 이해하기 힘든 결정이라는 것이 드러난다. 후속적인 교육위원회의 구성이 결정되지 않은 채 폐지가 먼저 이루어 졌다는 점, 일방적인 정치적 판단에만 의해 폐지가 결정되었다는 점, 교육의원이 정치권의 영역으로 포함될 개연성이 높아졌다는 점 등 큰 문제점이 있는 정책결정과정 이었다. 지금까지 교육정책에 대한 연구는 실질적인 효과를 분석하기보다 교육의 정치적 중립 등 관념적인 이념의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제는 제도가 실질적으로 어떤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는지 관심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교육계는 교육의원제도와 관련한 제도변화 전후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보완책을 제시하는 등, 합리적인 교육의원제도 정착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KCI등재

        문민정부의 교육개혁과 평생교육정책 공과 분석

        최운실(Choi Un-shil) 교육종합연구원 2006 교육종합연구 Vol.4 No.2

        본고에서는 오늘날 평생교육 발전 기폭제로서의 문민정부 5.31교육개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 31교육개혁의 배경과 골격 그리고 사회적 파급 영향 등을 분석하였다. 문민정부 대선 공약에서부터 당시 교육개혁위원회의 4차에 걸친 교육개혁정책 및 평생교육개혁정책 추진전략 등을 심층 분석하였다. 당시 평생교육 개혁정책의 특징으로는 평생교육정책의 새로운 비전 제시, 평생교육 추진체제 공고화, 미래 평생교육을 주도할 평생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의 수립, 평생교육 법제 인프라조성, 평생교육 결과 인증체제로서의 학점은행제 도입 등을 지적하였다. 이와 같은 배경과 특징을 지니는 5. 31교육개혁으로 촉발된 문민정부의 평생교육정책 공과로는 사회 전역에 평생학습마인드의 확산 정착, 평생교육의 양적 성장을 통한 기회 제공 및 참여 확대, 평생교육 추진체제와 법제 인프라 구축, 평생학습 평가인정시스템 구축 등을 분석,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의 이면에는 평생교육 정책 추진의 문제점과 딜렘마가 상존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평생교육정책의 맥이 면면히 이어지지 못한 채 단절된 부분이 많다는 점, 우후죽순격의 양적 확대와 그로인한 질적 수준의 취약성과 부실의 문제, 평생교육 양극화와 편포 현상, 낮은 참여율과 참여기반의 저조함 등을 분석하였다. 정책공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볼 때, 문민정부의 5.31교육개혁과 평생 교육개혁정책 추진은 학습국가 코리아의 평생교육 인프라 조성과 토대 형성 그리고 평생교육 성장 촉매를 위한 결정적 단초를 제공했음을 결론으로 지적하고 있다. The article analysed the 5.31 education reform of the Civilian Government, a catalyst for today s life-long learning. To this end, first, it analysed the background of 5.31 education reform, its structure and its social implication. Also, it tried in-depth analysis starting from the election campaign to four-time education reform policies by the education reform committee to life-long learning policies. The features of then life-long learning reform policy were as follows: to present a new vision of life-long policy; to establish the life-long learning system; to make a mid/long-term development plan of life-long learning to lead a future life-long education; to build legal infra-structure for life-long learning; to introduce credit-bank system to recognize the result of learning. With this background and features, the life-long learning policy of Kim Young Sam s government spurred by 5.31 education reform showed such accomplishments: to educate people about life-long education; to present opportunities through outward growth of life-long learning and expand participation; to establish life-long learning system and legal infrastructure; to establish evaluation accreditation system. However, behind the growth are dilemmas and unresolved problems of the policy: the life-long learning policy failed to be conducted in an organized way; its quality growth did not follow the quantity growth; the education is polarized; the participation rate is low. In conclusion, 5.31 education reform and life-long learning reform policy served as foundation for establishing life-long learning infrastructure and the expansion of the education.

      • KCI등재

        싱가포르 지리교육과정의 내용과 특성 연구

        이경한(Kyeong Han Yi),김민준(Min Jun Kim) 교육종합연구원 2022 교육종합연구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싱가포르 지리교육과정의 내용과 특색을 중등학교와 후기중등학교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싱가포르 지리교육과정의 교육목표 중 지식과 이해는 자연지리, 인문지리의 내용을 중심으로, 기능은 탐구기반 지리조사를 강조하는 자료의 조사, 분석, 해석, 추론하기를 중점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치와 태도는 자연환경의 보호, 감성, 책임감, 도덕성, 참여 등을 강조하였다. 싱가포르 지리교육과정은 핵심 지리개념을 공간, 장소, 스케일, 환경으로 제시하고, 이 개념들을 자연과 인문 과정, 환경 다양성과 문화 다양성, 상호의존, 체계로 심화시키고 있다. 지리교육과정은 공간과 장소를 다중스케일 측면에서 살펴보고, 여기에 존재하는 자연적, 인문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이들이 만들어지는 과정, 더 나아가 이 모든 것들이 하나의 체계 속에서 상호의존하고 있음을 인식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싱가포르 지리교육과정의 주요 주제는 자연지리, 인문지리와 지리조사로 조직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지리교육과정은 지속가능성이라는 화두를 중심으로 싱가포르의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의 인식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싱가포르 지리교육과정은 지속가능발전을 생태주의의 핵심내용으로 제시한 후, 학생들을 환경정의를 삶 속에서 실천하는 미래시민으로 기르고자 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characters of secondary and post-secondary geography curriculum in Singapore. An education objectives of geography curriculum are consisted with knowledge and understanding, skills, and value and attitud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geography curriculum are mainly organised with physical and human geography. In skills inquiry of geography especially based on investigation, analysis, interpretation, inference etc. is emphasized. And in value and attitude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feeling, responsibility, morality, participation etc. are emphasized. Singapore geography curriculum has key geographical concepts, based on space, place, scale, environment in secondary, and then deepen to physical and human processes, environment and cultural diversity, interdependence, and system in upper secondary and post-secondary. Singapore geography curriculum emphasizes that it intends for students to view space and place with multi-scaling firstly, and then to respect physical and human diversity in there, and investigate the process of physical and human phenomena, and to consider their interdependence in system. Themes of geography curriculum are consisted of physical geography, human geography and geographical investigations. Mostly Singapore geography curriculum emphasizes physical and human environment with sustainability which based on eco-centris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eography curriculum is to develop future citizens for environmental justice.

      • KCI등재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운영 현황 및 개선 방안 탐색 - 중학교 문서분석과 교사인식을 중심으로 -

        김대현(Dae Hyun Kim),권다남(Da Nam Kwon) 교육종합연구원 2023 교육종합연구 Vol.21 No.1

        이 연구는 마을학습 교육과정이 현행 학교계획서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교사의 인식을 통해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중학교의 학교교육계획서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마을학습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계획서에 반영된 마을학습 교육과정은 주로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하여 운영되고 있다. 둘째, 중학교 교사들은 마을학습 교육과정이 학교와 지역사회의 공동체 형성을 위해 필요하며 학교와 마을의 소통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구나 동보다는 시 단위 그리고 마을의 시설을 활용한 마을학습 교육과정에 높은 인식을 보였고, 교육의 제반 영역에서 운영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교사의 업무 부담 가중과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 과다를 마을학습 교육과정 운영의 가장 큰 저해 요인으로 꼽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중심 마을학습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 교과와 연결된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고 교사에게 업무 부담을 줄여 주며 개발한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홍보하고, 학교 중심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사역량 강화 연수 및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운영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is reflected in the current school plan, and to explore the operational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through teachers' perception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school education plans of middle school and explore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reflected in the school education plan was operated mainly by utilizing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the local community. Second,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middle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was necessary for community formation between the school and the local community and that communication between school and village education was necessary. In addition, regarding the content, high awareness was shown on the contents of the city unit and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using the village's facilities, and it was recognized that it was appropriate to operate in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area for the operation method and time. And as for the factors hindering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the increased work burden of teachers and excessive learning contents of the current curriculum were found to hinder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the mos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operation of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First, the diversification and publicity of the local village learning curriculum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 teacher capacity building training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o develop and operate a school-centered village learning curriculum should be activated.

      • KCI등재

        마을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이도영(Do Yeong Lee) 교육종합연구원 2023 교육종합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G시 마을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 사례를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탐색하였다. 연구자는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1차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후 서면 자료와 홈페이지 등을 통해 확보한 자료들을 토대로 면담 질문을 구성하고 2차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마을교육공동체 기반 진로교육은 오랜 시간 형성된 마을공동체 구성원 간의 교류와 신뢰를 바탕으로 시작되었다. 마을 구성원의 신뢰와 헌신이라는 무형의 자원을 토대로 마을 상권의 주민들이 진로교육의 주요 구성원으로 참여하였고, 마을 내 비영리단체의 인적, 물적 지원과 지자체와의 연계를 통해 운영되었다. 꾸준한 협의와 새로운 아이템 발굴을 통해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맞춤화를 지향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 결과 해당 마을의 어른, 청년, 그리고 청소년들은 공동체성을 경험하고, 동반성장과 마을상생으로 드러났다. 또한, 청년들이 마을에 정착하는 사례들과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통해 마을의 잠재력 향상이라는 성과로 드러났다. 마을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에 관한 향후 실천 방향으로는 마을교육공동체의 특성에 맞는 보다 안정적인 지원체계가 구축되어야 하고, 특히 교육활동에서 요구되는 전문성과 관련된 지원이 필요하며, 성인을 위한 마을 진로교육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마을교육공동체 간, 그리고 마을 교육과정 간의 네트워크 플랫폼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plored its implementation cases, focusing on the youth career education program operated by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n G city. The researcher collected the first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then organized the second interview questions based on written data and data obtained through the website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four analysis area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areer education based on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egan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of members based on trust among members of the village community, and infrastructure was established through human and material support based on trust, and participation of members was activated. As a result,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was diversified into a personalized, customized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led to the growth of the entire village in practical and potential aspects, including start-ups in the village. Accordingly, a support syste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direction of practice, and support related to the expertise required in educational activities is needed.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network platform between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ies and the village curriculum.

      • KCI등재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와 가정과교육의 방향

        왕석순(Wang Seok-Soon) 교육종합연구원 2006 교육종합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가정과교육이 21세기의 보다 전망있는 교과로 거듭나기 위하여, 지향해야 할 새로운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함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우선, 가정과 교육과정 문서를 중심으로 가정과교육의 성격과 목표, 교육내용의 변화를 고찰, 분석하였다. 둘째, 외국의 교육과정 문서를 수집, 분석하여, 동시대의 가정과교육 방향 정립을 위한 지표의 하나로 활용하였다. 세째, 가정과교육이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의 교육에서 중요한 교과로 다루어져야 하는 당위성과 필요성을 교육의 본질적 측면의 요구, 사회 및 가정생활 변화에 따른 요구, 인간발달적 측면의 요구와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이상의 고찰과 논의의 결과, 첫째, 가정과 교육은 기존의 의․식․주 등의 가정적 자원인 대상에 대한 교육에서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주체에 대한 교육, 즉 인간육성의 교육으로 그 무게 중심이 옮겨져야 할 것이다. 둘째, 가정과교육은 보통교육에서 교양교육과 직업교육으로 이원화가 전제되어야 하고, 이러한 이원화를 전제로 할 때 보통교육에서는 인간육성이라는 측면이 강화되어 개인 및 가족이 생활을 통하여 부딪치는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갈 수 있는 “살아가는 능력”을 기르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생태학적인 패러다임의 적극적 도입을 통하여 개인과 가족의 복지향상을 위한 가족복지 및 지역사회와의 관련성을 강화하는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의 3가지 방향을 도출하였다.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study the new course that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take in order to be reborn as a more competitive subject matter in the 21st century. To this end, the nature/objective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changes in teaching content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based on Home economics education national curriculum data. Second, overseas national curriculum data were gathered and analyzed to identify and set up the route that the contemporary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follow. Third, the reasons (needs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why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be treated as an important realm in the 21st century characterized by a knowledge-based society were discussed, with respect to the intrinsic nature of education, changes in social and home life, and human development. Such research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shift its focus from home resources such as food, clothing, and housing to humans themselves in order to reinforce human-centered education. Second,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be dichotomized into general and vocational education in the common educational environment. Based on this premise, human-centered education can be strengthened in the general education where learners must be able to develop the capability to resolve daily life issues and ultimately sustain human life. Third, by actively introducing the ecological paradigm, the curricula should stress the needs for a link to family welfare and communities to enhance individual and family welfare.

      • KCI등재

        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및 대안 모색

        이경한(Yi Kyeong Han) 교육종합연구원 2006 교육종합연구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전주시의 각종 기관에서 제공하는 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해보고, 이를 토대로 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의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전주의 멋을 역사경관에서 체험할 수 있으나, 전주시의 주요역사경관에 대한 체험 교육이 부족하다. 전주시가 전통도시임은 역사경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역사경관을 체험할 수 있는 교육기회가 매우 적다. 다음으로 전주의 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이 맛, 멋과 소리가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즉, 이 세 전통문화요소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프로그램이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전주시가 조선 왕조 탄생도시라는 점을 강조하지만, 이를 체험할 수 있는 문화 프로그램이 부족하다. 그리고 전주의 근대문화 교육프로그램이 부족하다. 전주의 근대문화로는 카톨릭 성지 문화, 전봉준 장군을 위시한 동학농민군의 전주성 입성, 근대영화의 본산임을 보여주는 교육프로그램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볼 때, 전주시 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이 더욱 풍요롭게 정교화되기 위해서는 유의할 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전통문화교육기관간의 역할분담이 필요하다. 둘째, 맛의 체험 프로그램을 비빔밥 중심에서 벗어나 전주의 정체성을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음식 프로그램으로 확대시키고 정교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소리 체험의 장과 소리를 담고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전주의 맛과 멋과 소리를 묶어서 체험할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전주의 왕조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전주의 독특한 근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하다. 일곱째, 전주의 전통문화교육을 학교교육과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I analyzed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program(TCEP) in Jeonju City, and suggested it s alternatives. And this study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major institutes of its education are culture institutes. And while culture institutes manage the education programs periodically and ordinarily, museums offer events programs for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t will be necessary to take sharing among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stitutes. Second, most of TCEP is focused on jeonju s zest. Relatively Jeonju s food and sound is little focused in TCEP. But Most people of jeonju and other regions cognize Jeonju s major culture as food and sound. So also TCEP will be more focused on food and sound cultures of Jeonju. Third, there are few experience education programs for Jeonju s historical landscape and royal city. And Jeonju s TCEP of zest, food and sound is offered separately. So to reenforce Jeonju s image on traditional culture, these programs will be wedded. Last, jeonju has many modern cultures, the catholic sacred land culture, revolution culture of Chosun Dynasty, and hometown of modern films. But there are few programs for modern culture in Jeonju. So, I think, modern culture and royal culture programs will be developed and offered more.

      • KCI등재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 내용분석에 관한 연구

        양경화,이난 교육종합연구원 2023 교육종합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의 내용분석을 통해 그 성격을 파악하고 향후 다문화교육 현장에 맞는 실제적인 방법을 찾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 6가지 추진과제를 살펴보았다.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 6가지 추진과제를 다문화교육 현장의 실행과정에서 다문화학생 맞춤형 교육지원과 문화다양성 교육 및 다문화 교육 지원체제 3영역으로 통합하여 정리 및 분석하였다.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을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 [다문화학생 맞춤형 교육지원] 정책은 보수적 성격이 강하며, [문화다양성 교육] 정책은 수용적 성격이 강하며, [다문화교육 지원체계] 정책은 변화・개혁적 성격이 강하며, 보수적 성격 4건, 수용적 성격 3건, 변화・개혁적 성격 3건으로 구분할 수 있다.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은 보수적, 수용적 및 변화・개혁적 성격을 갖추고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보수적 성격에 집중되고, 변화・개혁적 성격은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다문화교육정책의 실제 학교 교육과정 속에는 타문화 이해, 평등, 상호이해와 존중 등의 명시적 안내만 있을 뿐 구체적인 정책들이 없으며, 다문화 관련 부처의 연결고리 부재로 인해 정책이 중첩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교육영역에서 실제적이며 구체적이면서도 변화・개혁적 성격의 다문화교육정책이 구성되어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어야 하며, 관련 부처의 연결을 시스템적으로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of J Regional Education Office, currently in operation, and sought practical approaches suitable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ield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the study examined the six key initiatives of J Regional Education Office'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These six initiative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integrating them into three areas: tailored education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nd support syste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ield. The analysis of J Regional Education Office'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ntegration revealed that the "Tailored Education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policy exhibited a conservative nature, th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olicy displayed an accommodating nature, and the "Support Syste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demonstrated a change and reform-oriented nature. In total, there were four conservative, three accommodating, and three change and reform-oriented initiatives. While J Regional Education Office'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encompassed elements of conservatism, accommodation, and change and reform, it generally emphasized conservatism, and the change and reform aspects often remained more formal than substantive. Additionally, within the actual school curricula, there were explicit guidelines such as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quality, mutual understanding, and respect, but specific policies were lacking. The absence of inter-agency connections related to multicultural affairs led to issues of policy overlap. To establish a multicultural society in South Korea,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concrete, and change-oriented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 the education sector. Moreover, there is a necessity to establish a systematic inter-agency connection.

      • KCI등재

        전환시대, 미래교육의 방향 탐색: OECD2030과 유네스코2050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정윤경 교육종합연구원 2023 교육종합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미래교육의 방향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육의 미래를 구상하는 OECD2030과 유네스코2050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미래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연구 주제는 전환시대의 특징과 이에 따라 교육은 어떻게 전환되고 변혁해가야 하는가이다. 이를 탐색하기 위한 연구 내용은 두 보고서 내용 중 교육목적, 미래교육 구상을 위한 비전,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강조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미래교육 보고서(1차 자료)와 이를 다룬 관련 자료(2차 자료)를 분석하는 문헌분석이다. 분석 준거는 미래교육의 방향과 직접 관련되는 교육목적, 그리고 미래교육 구상을 위해 두 보고서가 제시하는 핵심 비전(핵심어) 그리고 교육과정의 강조점이라는 세 가지 준거에서 두 보고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환시대의 변화는 이제 더 이상 고립된 개인의 번영과 성장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가정한다. 두 보고서 모두 이런 인식을 공유하고 상호관계성에 기초한 인간과 세계 이해 속에서 개별 주체의 성공과 번영 너머를 탐색한다. 둘째, OECD2030의 행위주체성 개념은 협력적 행위주체성 개념으로 보완하지만, 개인에게 많은 짐을 부과하는 점에서 신자유주의적 주체의 한계를 갖는다. 유네스코2050의 공동재 개념은 교육을 모든 이의 권리로 인식하고, 모두가 참여하는 교육을 강조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인 교육 공공성의 의미를 시사한다. 셋째, 전환시대 교육과정은 과거와 미래 사이에서 균형잡기와 통합이 강조돼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To this end,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was explored, focusing on the analysis of OECD 2030 and UNESCO 2050 reports that envision the future of education. The research topic w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era and how education should be transformed accordingly. The research contents to explore thi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cusing on the educational purpose, vision for future education initiatives, and the emphasis of the curriculum to realize it among the two reports. The research method was literature analysis, which analyzes the future education report (primary data) and related data (secondary data). Two contents were analyzed in three criteria: educational goals directly related to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and the emphasis of the core vision (key words) curriculum for planning future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is assumed that changes in the transition era are now limited to the prosperity and growth of isolated individuals. Both reports would share this perception and explore beyond the success and prosperity of individual subjects in human and global understanding based on inter-relationships. Second, the OECD2030 concept of agency was complemented by the concept of co-agency, but it had limitations of neoliberal subject in that it imposes a lot of burden on individuals. The concept of common goods in UNESCO 2050 suggested the meaning of more active educational publicity by recognizing education as a right of everyone and emphasizing education in which everyone participates. Third, the curriculum of the transition era should emphasize balance and integration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 KCI등재

        혁신학교의 IB 프로그램 공교육 도입에 대한 교사의 경험 사례 분석

        양성관,이현정 교육종합연구원 2023 교육종합연구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혁신학교에서 교사들이 경험한 행위주체성, 동료성, 및 교사 정체성과 관련된 특징들이 IB 관심 학교 도입 및 운영 과정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교육청의 IB 관심학교 2개교에서 혁신학교 근무 경험이 있는 교사 5명을 선정하여 초점 집단 및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 교사들은 혁신학교 경험에 비추어 자신의 교육적 신념에 따라 미래의 교육적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현재 주어진 IB 공교육 도입이라는 문화적, 구조적, 물질적 자원을 활용하여 새로운 교육과정 모델 창출을 위해 능동적, 주체적으로 대응했다. 둘째, 교사들은 IB 관심 학교 운영에서 교사들은 학교의 집단적 학습으로 IB의 비전과 사명이 그들 학교의 비전과 사명에 어떻게 연결되는지 검토하고 수정하며 학교의 교육 목표를 설정하였다. 교사들은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해 학교 교육과정을 내실화해보자는 목표를 실천하였다.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서 외부 강사 연수, 인증학교 수업 참관, 학교 비전과 목표 설정, 프레임워크 실행 등을 운영하면서 학교 집단의 전문성이 증진되었다. IB 관심 학교 교사들은 혁신학교에서 고민하고 실천해온 교육의 방향과 관점에서 IB 정책은 학교 교육이 지향해야 할 변화 방향과 교육의 본질을 찾아가는 과정 중의 하나로 인식하였다. 그 과정에서 교사들은 교육과정과 수업, 평가의 전문가로서 교사의 정체성을 재정립하였다. In this study, we sought to explore how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agency, collegiality, and teacher identity experienced by teachers in innovative schools affect the process of introducing and operating IB schools of interest. For this purpose, five teachers with experience working in innovative schools were selected from two IB schools of interest in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and focus group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novative school teachers actively and subjectively utilize the cultural, structural, and material resources of the currently given IB public education introduction to create a new curriculum model in order to achieve future educational goals according to their own educational beliefs in light of their innovative school experience. was responding. Second, in operating an IB-interested school, teachers review and revise how the vision and mission of the IB are connected to the vision and mission of our school through the school's collective learning, and in the process of setting the school's educational goals. Teachers were putting into practice the goal of improving the school curriculum through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e expertise of the school group was improving as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perated external instructor training, observed certified school classes, set school vision and goals, and implemented frameworks. Teachers at schools interested in IB recognized the IB policy as one of the processes of finding the direction of change and the essence of education that school education should pursue, based on the direction and perspective of education that innovation schools have thought about and practiced. In the process, teachers were redefining their identity as experts in curriculum, instruction, and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