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에트 초기 중앙아시아 여성 정책과 정체성

        이현숙(Lee Hyunsuk)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3 아시아여성연구 Vol.52 No.1

        1917년 러시아 사회주의 혁명의 성공 이후 중앙아시아에서 행해진 ‘소비에트화’(Sovietization)는 이 지역을 현대화하려는 시도였다. 소비에트 정부의 중앙아시아 통제 정책은 이 지역의 이슬람 전통이나 관습, 혹은 이 지역 주민들에 대한 영향을 제거 하거나 축소하고 이를 대신하여 소비에트 문화를 창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소비에트 초기 중앙아시아 여성 정책은 이중적인 면을 지니고 실행되었다. 소비에트 정부는 여성의 권리 신장을 위해 사회주의 법을 도입했지만 중앙아시아에는 이슬람법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소비에트 정부의 중앙아시아 여성 정책의 주요 목표가 여성의 노동력의 사회화였다면 이는 여성으로 하여금 이중 부담의 짐을 지게 하였다. 한편 소비에트 정부가 중앙아시아에서 행한 급진 정책의 하나인 후줌(Khudjum)은 여성을 베일로부터 해방시키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지만 많은 중앙아시아 여성들은 이를 문화에 대한 침입으로 간주하고 저항하였다. 이렇게 소비에트 정부의 중앙아시아 정책은 이중적 성격으로 진행되었고, 이는 중앙아시아 여성들로 하여금 소비에트 문화와 무슬림의 전통이 공존하는 독특한 정체성을 갖게 하였다. The Sovietization that took place in Central Asia after the socialist revolution of 1917 was an attempt at modernizing Muslim regions. Where the objective of alleviating the strong Islamic influence among the people in the region, Soviet government"s polices were aimed at destroying traditional Muslim cultures and creating Soviet counterparts. Soviet government"s policies for Muslim women in Central Asia during the Soviet era created ambivalent tension. Although the Soviet government"s intended objective of eliminating or reducing the influence of Muslim Asia law, which had traditional authority in Central Asia, to advocate women"s rights. Soviet laws came to be associated with the public domain while customary laws persisted in private. One of the major objectives of Soviet polices for women was to secure female labor, and the government forced the double burden for women to maintain traditional family work while participating in social labor simultaneously. One of Soviet governmen"s most radical policies for women in Central Asia was Khudjum, which banned women from wearing the veil. However, peoples of Central Asia regarded such policies as intrusion of their culture and vehemently resisted against the campaign. In this way women in Central Asia have unique identity in which traditional Muslim and new Soviet cultures coexisted.

      • KCI등재

        일본에서의 아시아 이주여성에 대한 사회 담론과 정책적 대응

        이지영(Lee, Ji-young)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2 아시아여성연구 Vol.51 No.2

        본 글은 일본에서의 인신매매 아시아 이주여성에 대한 사회 담론과 일본의 정책적 대응을 고찰한 것이다. 인신매매는 일본으로의 아시아 여성 이주의 한 유형으로 세계적인 경제 구조, 계급, 인종, 젠더가 교차하는 곳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며 이주 여성의 취약한 권력관계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일본 내 인신매매 아시아 이주여성에 대한 담론은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개인의 자발성에 근거한 개인책임론이고 둘째는 이주여성의 취약성을 중시한 피해자 보호 담론이며, 셋째는 이들 여성을 인신매매 피해자로 규정하면서도 시혜적 차원이 아닌 인권보장 차원에서 이들의 보호와 권한 강화를 주장하는 담론이다. 특히, 여성 · 인권 NGO에 의해 형성되고 제기된 인권보장 차원에서의 담론은 인신매매의 실태와 이주 여성이 처한 인권침해의 상황을 가시화하고 인신매매의 문제를 국가의 정책적 대응이 필요한 이슈로서 아젠더화해왔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일본정부의 정책적 대응을 이끌어낸 것은 일본을 인신매매 목적지국이나 특별감시대상국으로 지정하는 등 일본에 대해 강화되고 있는 국제사회의 비판이었다. 일본은 이러한 국제사회의 비판을 해소하기 위해 인신매매대책을 수립하지만 인권차원에서 피해 여성들을 보호하고 그들의 권한을 강화하기 보다는 치안유지 차원에서 출입국관리를 강화함으로써 일본으로의 이주 자체를 통제하는 방향으로 추진하였다. 그러나 일본으로서의 아시아 여성의 인신매매는 더욱 교묘해지고 잠재화되고 있고, 여성의 성적착취에서를 목적으로 한 인신매매에서 노동착취를 목적으로 하는 인신매매로 그 양태가 변화되고 있어 국제이주를 양적으로 통제하는 출입국관리만으로는 인신매매를 근절시킬 수 없고 피해자를 줄여나갈 수 없음이 드러나고 있다. 인신매매의 문제는 인권차원에서 접근해야하며 인신매매대책은 국가에 의해서 배타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피해자 인권보호의 실질적 경험을 축적하고 담론을 형성 발전시켜온 여성 · 인권 NGO 등 다양한 사회 행위자와의 거버넌스 하에 추진되어야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social discourses and policies on Asian female migrants in Japan, focusing on human trafficking. Human trafficking is a type of women"s migration to Japan from Asia, and it occurs by multi causes that are global economic structure, class, ethnicity, and gender. We found that various social discourses on Asian female migrants have been structured in Japan. First, A discourse focusing on the autonomy of woman in migration process, which stresses individual responsibility for human trafficking. Another discourse pays attention to the vulnerabilities of female migrants to human trafficking, that regards them as victims and asserts protection for them. The last is the discourse on women"s human rights that insists on the programs for Asian female migrants" empowerment. The discourses of "victims" protection" and "migrant women"s human rights" have constructed by anti-trafficking movements NGOs, that have supported Asian female migrants. These discourses have contributed to visualized seriousness of human trafficking in Japan, but failed to inducing government"s response by polices on anti-human trafficking. It is international blames on Japan as a destination country of human trafficking that made Japanese government start to establish polices on prevention and prosecution of human trafficking. However, the Japanese programs lacks of gender perspectives, which have not been effective for prevention and prosecution of human trafficking. Now Japan is required to consent to NGOs" discourse and close cooperation to NGOs in governance human trafficking.

      • KCI등재

        인도의 성인지 예산 제도화와 여성의 참여

        배유경(Yoo-kyung Ba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0 아시아여성연구 Vol.49 No.1

        본 논문의 주요관심은 인도의 성인지 예산 제도화 과정과 그 과정에서 지역 여성 단체의 참여와 기여를 살펴보는 것이다. 1995년 북경여성대회의 성주류화 행동강령 채택 이후 인도 정부는 국제기구의 지원에 힘입어 2004-05예산부터 성인지 예산을 본격적으로 도입하였으며, 이는 남아시아에서 가장 선진적인 사례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인도는 비효율적인 행정시스템과 인종, 종교, 카스트, 지역, 언어 등의 사회문화적 다양성으로 인해 법ㆍ정책 수준과 실질적인 지역 수준에서 시행되는 사업 사이에는 큰 괴리가 존재한다. 1970년대부터 지역을 중심으로 결성된 자율적인 여성조직들은 지역의 특수성에 기초한 다양한 이슈의 풀뿌리 운동을 전개하여 왔다. 인도의 성인지 예산분석가들에 의하면, 정부가 성인지 예산을 현실화하는 과정에서 여성조직의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강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크게 세 가지 연구 과제를 다루고 있다. 우선 인도의 성인지 예산도입 배경과 제도화 과정을 연방정부 수준에서 살펴본다. 두 번째로 세 개 지역에서 여성단체들이 성인지적 관점으로 접근한 지방정부 예산 분석 내용과 지역 수준에서 예산 실행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성인지 예산 제도화 과정에서 여성조직 참여의 의의와 한계점을 정리해 본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인도의 성인지 예산은 연방정부와 지방정부에서 전담부서를 설치하여 적극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전체 예산에서 여성예산의 비중은 아직 미미하며, 단계별 시행 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여성사업에 대한 지역 여성단체의 참여가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지역편차가 존재하였다. 앞으로 성인지 예산의 안착을 위해서는 연방정부 뿐 아니라 지방정부와 지역 여성단체의 올바른 거버넌스 정립이 시급한 과제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gender budgeting in India and the participation and contribution of grass roots-level women's organizations. The government of India has initiated the gender budgeting in union budget 2004-05 since the adoption of Gender Mainstreaming strategies in making policies from Beijing Platform for Action in 1995. The Indian case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advanced one in South Asia. However, India has many obstacles in Gender Mainstreaming due to an inefficient administration system and the diversity in race, religion, caste, region, and language. In the 1970s and 1980s, autonomous community-based women's organizations led women's movements on region-specific issues. The gender budgeting analysts in India argued that national and local policies cannot be effectively implemented without stimuli from grass-roots women's organizations. This paper concerns, first, the background of the initiation of gender budgeting and the institutional process at the union government level, second, three cases of women's organizations' gender budget analyse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and practical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gender budget, and, finally, the meaning of women's participation in gender budgeting and their limitations. While gender budget cells has expanded a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since 2004-05 budget, the proportion of gender budget is still very small and there were local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women's participation. It is impending to build up a governance among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y-based women's organization in order to secure gender budgeting in the future.

      • KCI등재

        지방대 학문후속세대의 여성학하기: 전남대 여성연구소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추주희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2 아시아여성연구 Vol.61 No.2

        이 연구는 2008~2021년까지 지역 대학에서 여성학을 공부하고 연구한 학문후속세대의 경험을 중심으로 지역에서 여성학하기의 노력과 전략들 및 한계들을 성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 여성연구소에 활동하였거나 실무 간사로 활동했던 젠더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필자와의 경험을 함께 나누고 기억하는방식의 자아문화기술지를 활용하였다. 지방대 여성연구소는 학문적 제도적 공간의 안정성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고립과 배제가 정당화되는 공간으로 작동하였다. 지지적인페미니스트 학자의 부재, 페미니스트 학술 커뮤니티의 불연속성 속에서 여성연구소안에서의 여성학하기와 실천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옹호하는 많은 페미니즘적 원칙들이 먹혀들지 않는 상황 속에서 느끼는 회의적인 감정은 안정적이고 일상적인 연대와 연합이 없는, 조직된 집단적 노력이 불가능한 대학의 구조적 상황에서 비롯되었다. 페미니즘에 대한 대중담론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학문공동체의 위기와 지역 대학의 여성학 및 젠더 연구의 정체를 극복하기 위해서 현재의 게토화된 학문 구조와 대학체계에 대한 비판과 성찰이 필요하다.

      • KCI등재

        상향식 공천제와 여성의 대표성

        김민정(Kim, Min-jeoung)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2 아시아여성연구 Vol.51 No.1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해서는 정당 내 공천에서 보다 많은 여성들을 공천해야 한다는 전제하에 본 논문은 다양한 공천 방식 가운데 19대 총선을 앞두고 논의되고 있는 상향식 공천제가 여성후보들에게 유리한가를 논의하였다. 또한 상향식 공천제가 여성후보들에게 미치는 영향만을 논의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상향식 공천제 도입의 정당성인 민주적인 공천방식이라는 측면에 대해서 이의를 제기하고 그 제도의 평가를 정당정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그 결과 상향식 공천제는 정당의 민주화를 위해서 도입되었지만 오히려 정당 내 소수 엘리트들 사이의 카르텔화를 촉진시켰고 당의 중간급 활동가들을 급속히 약화시켰으며 당원과 정당지도부와의 관계를 원자화, 단순화시킴으로써 정당민주주의에 부정적인 요소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후보들의 조건에 따라 유·불리가 극명하게 나누어짐으로서 공천과정의 공정성을 훼손시키는 측면이 있다. 이는 여성과 같은 신인 혹은 지명도가 약한 후보들에게 원천적으로 불리하다. 17대 총선과 19대 총선에서 부분적으로 실시되었던 상향식 공천제의 결과를 여성후보 확대라는 관점에서 살펴보면 여성에게 상당히 불리했던 제도였다. 이러한 점에서 살펴볼 때 상향식 공천제는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에는 부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To enhance women" political participation, we have argued to have more women candidates and the party should select more women as party candidate. In the same time, these days we discuss the democratization of candidate selection process, that"s why the primary election of Korean style is discussed. This paper wants to ask if the primary election of Korean style is really democratic and more fair than the previous system. Many scholars show that the primary election makes the party more cartellized, undermining the middle rank of party, atom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y members and the party leaders. Additionally, this system works differently to each candidate, favorable to established politicians and disadvantaged to new comer such as female candidat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17th general election, in which the primary election was partly introduced, female candidates had difficulty in going through the primary election regardless of party. In this sense, the primary election would not be desirable for the democratization of party and could distort the game of election.

      • KCI등재

        초국적 삶의 주체로서 결혼이주여성의 전환경험과 미디어 행위자네트워크의 역할

        김연희(Yeun Hee Kim),이교일(Kyo Il L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7 아시아여성연구 Vol.56 No.1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으로 이주와 새로운 사회에서 정착하는 초국적 이동의 과정에서 미디어테크놀로지와의 다양한 관계를 통해 삶의 주체로 거듭나는 현상에 주목하였다. 이 연구는 일상의 삶에 테크놀로지가 깊이 침투되어 있는 현대 사회의 현상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ctor Network Theory: ANT)을 분석의 개념적 틀로 적용하였고, 연구방법으로는 중국 출신 결혼이주여성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결혼이주여성들이 이주 전에 관계한 미디어테크놀로지는 텔레비전이 주된 행위자였고, 한국 정착 후에는 컴퓨터, 인터넷, 스마트폰, 사이버 러닝 등 좀 더 다양한 행위자들과 관계하였다. 텔레비전 행위자네트워크는 상당히 일방향적 관계를 통해서 초국적 이주를 결정하였지만 한국 정착과정에서 이들 여성들은 좀 더 다변화된 미디어테크놀로지와 관계를 맺게 되었고, 이를 통해 결혼이주여성들은 시⋅공간적 전환의 경험을 하고 삶의 능동적 주체로서의 정체성을 만들어 가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혼이주여성의 미디어테크놀로지 행위자네트워크라는 블랙박스를 해체함으로써,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전환과정에서 관계한 거시, 중위, 미시 수준의 다양한 인간⋅비인간 행위자들과 그들 간의 상호작용의 역할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연구와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life experiences of marriage migrant women created through their interactions with media technologies in their migration and post-migration adjustment processes and how they became empowered to become autonomous agents in their own lives. This study applied Actor Network Theory, which has proved to be useful in understanding how contemporary daily life experiences intertwine heavily with modern technologies, as an analytical framework. This study collected data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marriage migrants from China.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clude that television was the main media technology the interviewees consumed prior to migration. Once in Korea, the media technologies these women used were more diverse as they learned to make use of computers, Internet, smartphones, SNS, and cyber learning. While the interviewees made the decision to immigrate based on lopsided information fed to them by television programming in their homeland, upon arriving in Korea, they were able to develop networks through more diversified media technologies, which opened up transformative spatiotemporal experiences for these women and helped them to develop identities as autonomous subjects in their lives. Disassembling the black box of marriage migrant women’s media technology actor network revealed the complexity of numerous human and non-human actors at macro, meso, and micro levels interacting with each other and the consequences the interactions among these actors had on these women’s decisions to migrate and invent their new identities and life paths.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t the end.

      • KCI등재

        여성의 자기계발과 페미니즘의 불안한 결속: ‘82년생 김지영’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엄혜진(Yum, Hae Ji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1 아시아여성연구 Vol.60 No.1

        본 논문은 『82년생 김지영』의 재현 전략 및 수용 과정이 여성 자기계발 담론의 소설적(영화적) 표현이라는 점을 제안하고, 자기계발을 성공뿐 아니라 생존의 일반 양식으로 삼게 된 청년 세대 여성들의 페미니즘 기획과 부합할 수 있었던 역동을 구체적으로 탐색한다. ‘82년생 김지영’은 오늘날 자기계발하는 여성 주체의 규범적 표상이자, 여성 자아 정체성 기획이 처한 새로운 곤란과 위기를 나타낸다. 1990년대 이후 여성도 남성처럼 살 수 있다고 격려해왔던 성공 담론의 한계 효용 속에서 좌절과 실패로 고통받는 여성들에게 공감과 위로의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여성 자기계발 담론을 갱신했다. ‘82년생 김지영’이 페미니즘의 기호로 부상할 수 있었던 과정에는 청년 세대 여성들이 구축한 페미니즘 담론장의 특성이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었다. 여성혐오의 피해자라는 동질적 정체성을 확인하고, 미러링(거울보기)을 통해 이를 공고히 하는 공감 정치의 실천이 ‘82년생 김지영’이라는 여성 자기계발 담론의 세계와 안정적으로 만나 폭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여성의 보다 나은 삶과 주체적 삶을 공통의 가치로 삼는다는 점에서 여성의 자기계발과 페미니즘은 모호한 경계를 공유하며 경합해 왔다. ‘82년생 김지영’ 신드롬은 자기계발과 페미니즘 사이에 상쟁하는 이 긴장 속에서 형성된 불안한 결속을 나타낸다. In this article I tried to suggest that the representative strategy and acceptance process of Kim Jiyoung, Born 1982 are the novelistic(and cinematic) expression of women’s self-help. And at the same time, by virtue of critical discursive analysis (CDA) I searched the dynamics through which the novel has been successfully in harmony with the feminist schemes of young women who embodied self-help as an general modes of success as well as survival. “Kim Jiyoung, Born 1982” is the normative icon of self-helping female subjects, and represents the new difficulties and crisis that face women’s self-identity scheme. In the process that has made Kim Jiyoung, Born 1982 as a feminist icon, the features of the discursive field of feminism built by young women have been closely linked. The features are activism based on misogyny discourse and personalized politics of sympathy. Although these trends spreaded socially the idea that the discriminations experienced by contemporary women are cummulative but also new, they, rather than resisting the system itself that values most competition based on the norm of market, tried to secure the rights of equal participation into self-help. The practice of the politics of sympathy, which confirms the homogeneous identity as the victims of unequal field of competition, and of the widespread misogyny, and strengthens itself through mirroring, has met with the world of women’s self-help of “Kim Jiyoung, Born 1982”. And this encounter has made great explosion.

      • KCI등재

        20대 여성의 새로운 노동정체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신경아(Shin, Kyung-ah)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7 아시아여성연구 Vol.56 No.2

        이 연구는 청년여성들의 노동 경험에 대한 자전적 에세이 분석을 통해 이들이 지닌 노동정체성과 그 변화를 살펴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할 자료는 인터넷 여성주의 저널 『일다』에 게재된 〈20대 여성 ‘일’을 논하다〉에 포함된 30편의 에세이들이다. 자전적 에세이를 쓴 여성들은 ‘n포세대’라고 불리는 20대들이다. 이들 중에는 아르바이트와 임시직을 전전하며 살아가는 불안정 노동자 ‘프레카리아트’도 있고, 자신의 꿈과 고달픈 밥벌이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 가난한 예술가도 있다. 이들은 자본주의 노동시장과 성차별적 노동조직 안에서 실망하고 분노하지만, 좌절보다는 저항에 가까운 서사를 보여준다. ‘슈퍼 을’의 위치에서 ‘어린 여자’로 취급당하며 불안한 미래를 고민하지만, 노동중심 사회에서 형성되는 위계적 인간관계를 날카롭게 비판한다. 더 나아가 타율적 노동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본주의 노동시장을 떠나거나 생계유지 방편으로서의 일을 줄이고 자신이 원하는 일을 늘려간다. 이런 과정에서 20대 여성들은 돈벌이를 위한 일이 아니라 삶의 의미를 구현하는 수단으로서 일을 새롭게 정의해 간다. 이같은 분석결과는 20대 여성들이 ‘탈노동, 탈자본주의적 삶의 지향’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런 지향들은 ‘새로운 노동정체성의 출현’을 예고하는 증거라고 해석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ork identity of young women through analysis of their autobiographical essays on work experiences. The data comprise thirty essays included in the "Women in their 20s talk about work" article published in the online feminist journal Ilda. Among the women who wrote the autobiographical essays, some are precarious workers who work part time and temporarily; others are poor artists who suffer conflicts between their dreams and livelihood. They express disappointment and resentment against patriarchal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capitalist labor market, but their feelings are closer to resistance than to frustration. They have been treated as ‘young women’ in the position of ‘super ul", and are worried about an uneasy future; nevertheless, they sharply criticize the hierarchical human relationship formed in labor-oriented society. Furthermore, they move away from the capitalist labor market in order to escape from alienating work, reduce working time as a means of sustenance, and increase time for doing what they want. Those who are more advanced define work as a means of realizing the meaning of life rather than making money.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 that women in their 20s have a strong aspiration for ‘post-industrial, life-orientated livings". Furthermore, such orientations can be interpreted as evidence for the emergence of a new work-identity.

      • KCI등재

        여성운동과 정부, 그리고 여성정책의 동학

        권수현(Kwon Soo-hyu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1 아시아여성연구 Vol.50 No.1

        여성운동은 여성정책의 동학(dynamics)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행위자이다. 그런데 여성정책이 국가정책의 한 부분이라는 점에서 정부 또한 여성정책의 동학을 결정하는 중요행위자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민주주의 하에서 정부는 주기적 선거에 따라 교체되기 때문에 여성정책의 방향과 내용은 여성운동이 갖고 있는 역량(ability of women’s movement)의 크기와 함께 정부 당파성(government partisanship)에 따라 변화한다고 할 수 있다. 두 행위자의 관계에 따라 민주화 이후 한국 여성정책의 동학을 분석해 보면, 여성운동의 역량이 강하고 정부의 당파성이 보수적일 때(김영삼 정부)는 여성의 이해가 제한적으로 반영된 여성정책이 형성되었고, 여성운동의 역량이 강하고 정부 당파성이 진보적일 때(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는 젠더정체성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여성정책이 변화했다. 한편, 여성운동의 역량이 약하고 정부 당파성이 보수적일 때(이명박 정부)는 여성정책이 후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비교정치학적 접근을 사용한 분석방법은 여성정책 동학의 일반적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여성운동이 실질적 전략ㆍ전술을 수립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Women’s movements are the main actors in affecting women’s policies. Governments, however, are also important actors because women’s policies are one part of policy areas in governments. Because governments are changed by periodic elections, the dynamics of women’s policies are affected and determined not only by the changes of the ability of women’s movements but also by the turnover of government partisanship. A case of South Korea will prove the dynamics of women’s policies occurred by interactions between women’s movements and government partisanship.

      • KCI등재

        ‘다시 일터로 돌아온 여성’을 통해 살펴 본 여성의 삶과 학습의 일상성

        박수정(Park Soo Jung)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5 아시아여성연구 Vol.54 No.1

        본 연구는 결혼으로 말미암아 임신, 출산, 육아 등의 이유로 일자리에서 떠나야만 했던 여성들의 일터 재진입 과정에 나타난 일상의 학습경험을 현상학의 관점으로 분석한 것이다.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대학진학률 및 경제활동 참가율이 20대에는 남녀 간 비슷한 비율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30대를 기점으로 남녀 간 격차를 보이는 것을 시작으로, 경제활동을 마무리하는 60대까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를 통해 ‘30대 여성’에게 이른바 ‘경력단절’ 현상이 나타남을 살펴볼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여성만의 경력단절’현상을 가부장적 사회구조 속의 ‘모순적 여성의 삶’이라 문제를 제기하고, 가부장적 생산구조가 장악하고 있는 ‘일터’에 다시 돌아온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여, 재진입에 성공하기까지의 과정을 현상학적 관점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들의 삶의 맥락에서 일터 떠나기와 다시 되돌아오기의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고, 성공적인 일터 재진입의 촉매제로 일상의 학습경험이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학력’ 변인이 일터 재진입 과정 및 일자리의 질 제고에 있어 중요한 변수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터 재진입에 있어 일자리 ‘질’에 대한 기준점이 되는 학력이 ‘대학졸업’임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여성이 일련의 생의 과업 속에서 자신의 일터를 떠나게 되고, 다시 일자리에 회귀해 나가는 과정을 살피며 그것에 내재한 일상의 학습경험과 함께 성인학습의 의미와 의의, 그리고 영역에 대한 이해의 변폭을 확장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s women whose career have been interrupted due to pregnancy, child labor, and child-care and their everyday learning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o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phenomenology. According to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university enrollment as well as economic contribution share similar rate between men and women in their 20’s. However the gap gradually widens in the age of 30’s and it continues to show little difference until the age of 60’s the time when one retires from economic activity. Thus it is identified go through career-break from their 30’s of women. This research poses a problematic phenomenon of career-break of women due to ‘ironic life of women’ in the patriarchal society and investigates how they finally returned to work in such infrastructure from the phenomenology perspectiv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 great addition to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leaving and returning to work in the context of their lives and realizing the importance of everyday learning experience as a facilitator in returning process to work. Furthermore, the research confirms that ‘academic background’ plays as a crucial variable in returning process as well as the quality of career. Thus, we have successfully explored the process of leaving the workplace and overcoming various obstacles, eventually attending the significance of their experiences as well as reconstructing the true meaning of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