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교육의 실제

        권이정,김나림 한국육아지원학회 2018 육아지원연구 Vol.13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parent perception and practice of hist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Data were collected from 308 couples (total 616 parents) of children ages 3-5 by using ‘the Questionnaire of Parent Perception and Practice of History Education’, and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implem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parent perception, the participating parents showed a lower knowledge level compared to their high interest in history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The need of hist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as highly recognized, and ages 6-7 were selected as the most appropriate time to start history education. Developing historical knowledge and the qualities of a citizen were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purpose, and field trips or using real objects were selected as the ideal ways of history education. Second, in terms of the actual practice, most parents indicated that they frequently implemented history education in daily routines for enhancing children’s interest in Korean history and culture.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period to talk about, and internet contents were frequently utilized by the parents. Most parents had no experience of parent education regarding history education, but they hope to have parent education in the fut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propriate parent education for childhood history education needs to be provided. 본 연구는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실제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J시에 거주하는 만 3-5세 부모 308쌍(616명)이었으며, 연구도구로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제작한 ‘역사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적률상관계수를 산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역사교육에 대한 인식의 측면에서 부모들은 대부분 역사교육에 관심은 많으나 지식은 그보다 낮았다. 또한 유아역사교육은 매우 필요하며, 만 6-7세 이후부터 역사교육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인식하였다. 역사교육의 목적으로는 역사적 지식 습득과 책임 있는 국민으로서 필요한 자질 육성을 중요시 하였고, 답사나 실물교육 등의 방법을 통해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둘째, 역사교육의 실제 측면에서 부모들은 우리나라의 역사나 문화에 대해 관심을 갖도록 하기 위해 생활 속에서 자주 역사교육을 진행하며, 일제 강점기 이후의 역사교육이 중요하고 자주 이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인터넷 콘텐츠를 참고 및 활용하여 역사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대부분 부모교육을 경험한 적은 없으나 부모교육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유아역사교육을 위한 적절한 부모 교육이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부모의 역사의식이 유아의 역사의식에 미치는 영향

        권이정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1 No.1

        This study determined the effect of parents' historical consciousness on that of their children. To this end, 129 children aged 4 and 5 and 129 pairs of parents were selected from Cities G and J.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study participants, Lee Bong-ja(2008) and Ramdhani, Naim, and Sumardi’s(2019) historical consciousness test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for children, and Ramdhani et al.’s(2019) and Jang Eun-kyung’s(2004) historical consciousness tests were modified for par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momentum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standar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 The results indicated both parents and children had a moderate level of historical awareness, but among the lower variables, the mother's perception of historical usefulness and the child's understanding of historical events were slightly higher, and the child's perception of historical usefulness was slightly lower. Parents' and children’s historical consciousn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father's historic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mother's historical facts among parents' historical consciousness were major variables explaining children's historical consciousness. This study present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 method that can enhance the impact of parents' historical consciousness on that of their children. 본 연구는 부모의 역사의식이 유아의 역사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G시와 J시의 만 4, 5세 유아 129명과 그 유아들의 부모 129쌍을 선정하였다. 유아들의 역사의식을 조사하기 위해서 이봉자(1998)의 유아역사의식 검사지와 Ramdhani, Naim, 그리고 Sumardi(2019)의 역사의식 검사지를 수정보완하여 만든 유아역사의식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부모들의 역사의식은 Ramdhani 등(2019)과 장은경(2004)의 역사의식 검사지를 수정하여 만든 성인역사의식 검사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을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단계적 표준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와 유아는 모두 보통수준의 역사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하위변인 중 어머니의 역사적 유용성에 대한 인식과 유아의 역사적 사건에 대한 이해는 약간 높은 수준으로 유아의 역사적 유용성에 대한 인식은 약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역사의식과 유아의 역사의식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모의 역사의식 중 아버지의 역사적 지식과 어머니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이해는 유아의 역사의식을 설명하는 주요한 변인이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역사의식에 미치는 부모의 역사의식을 제고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유ㆍ초등 특수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권이정,박현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5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단설 및 병설유치원, 일반학교 특수학급, 그리고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특수교사 144명을 대상으로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에 대해 알아보고, 관점에 따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조사 결과 특수교사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은 배려중심으로 나타났고, 관점에 따라 다문화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려중심 관점 집단의 교사들이 인간관계 강조 관점 집단의 교사들 보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다문화교육 구현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beliefs about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ir attitudes with respect to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144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at public kindergartens and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at general school special classroom, and at special schools, were chosen for this study. The survey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The TMAS (Teacher Multicultural Attitude Survey), and teachers' beliefs about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used to evaluat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multicultural-related variables. To analyze the data, frequency measurements, percentiles, one-way ANOVA, and LSD were used. Through this study, these findings were made: 1)Teachers most perceive caring-centeredness as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2)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belief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attitudes with respect to multicultural education. The attitudes about a multicultural curriculum show meaningful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ers' beliefs about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with respect to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어린이집 원장의 기관유형에 따른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

        권이정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directors of child-care center about parental education according to types of child-care centers. The subjects were 147 directors of child-care centers who reside in Chungbuk, Sejong, and Jeonbuk.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 and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method and ANOVA method and Tukey test was also used for the pos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the director about the necessity of the parental educa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child-care cent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the directors in relation to subjects of parental education, the execution method, and evaluation area of parent education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을 대상으로 기관유형에 따른 부모교육 인식의 차이를 알아본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충북, 세종, 전북에 거주하는 어린이집 원장 147명이며 자료조사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을 이용하였으며 원장의 인식과 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ANOVA 및 사후검증으로는 Tukey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기관 유형에 따라 어린이집 원장의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부모교육의 주제, 부모교육의 운영방법, 부모교육의 평가 영역에서는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원장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다문화교육에 대한 예비유아특수교사와 현직유아특수교사의 인식, 태도 및 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권이정,박현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5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5 No.1

        This study aims to exam whether in-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 have difference on theirperception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teaching efficacy. The survey method was used to gather data and 73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who were studying inChungcheongnam-do and 84 in-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whowere working in Chungcheongnam-do were involved in this study. Anindependent variable t-test was used to analyze data. Throughout this study,these findings were found: 1)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towardmulticultural education between two groups. 2) There is a difference in the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between two groups. 3) There is adifference in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between two groups. 4) There is adifference in the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efficacy between two groups by their experiences with child(ren) who haveforeign par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uture direction of theteacher education curriculum for each teacher group was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충청, 대전권 소재 대학교 및 병설유치원 특수학급 등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특수교육과 학생 73명과 현직유아특수교사 84명을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에 대한인식과 태도 및 교수효능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조사는 설문지를통해 이루어졌으며 분석에는 t-test와 배경변인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F-test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에는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태도와 교수효능감에 있어서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 유아접촉 경험 유무에 따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와 교수효능감에서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다문화교육 구현을 위한 교사양성교육과정 개발 및 교사연수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의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평가 차이

        권이정,박현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6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충청, 대전권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5세 학급 담당 교사와 부모를 대상으로 유아의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평가에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18명의 교사와 201명의 부모가 연구에 참여하였고, 조사에 사용된 도구는 K-ADHDDS로 과잉행동, 충동성, 부주의 등 세 가지 하위영역으로 이루어졌다. 데이터 분석에는 t-test와 상관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전체 유아의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평가에 있어서 부모와 교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유아의 성별에 따라서 부모와 교사의 평가에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ADHD성향지수가 임상의 범위에 속하는 유아만을 따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교사와 부모의 평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과잉행동, 충동성, 부주의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평가 차이를 각각의 하위문항별로 제시하였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kindergarten teachers and parents have any meaningful differences in reference to their perceptions towards child’ behavioral problems-hyper-activity, impulsiveness, and inattention. 201 parents of 201 children and their 18 teachers who live in Chungchung-do and Daeje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K-ADHDDS which is composed of 3 sections—hyper-activity, impulsiveness, and inattention-- was used to evaluate children and a t-test and correlation were used to analyse data. Throughout this study, these findings were observed: 1) There is a distinc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of parents and teachers on children’s hyper-activity, impulsiveness, and inattention. 2)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of parents and teachers on children’s hyper-activity, impulsiveness, and inattention in reference to a child’s gender. 3)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towards behavioral problem of a child who has been identified as a problematic child among the two groups. However, some differences are found when it was analysed by each question. The differences of evaluation on children’s hyper-activity, impulsiveness, and inattention between two groups were analysed based on each ques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each session and the study’s thesis.

      • KCI등재후보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다문화 미술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권이정,이미영,정근아 구성주의 유아교육학회 2019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through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have an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and multicultural perceptions of 4-year-old infants. For this purpose,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Daejeon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and 20 of the total 40 infant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In total,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10 times over a 10-week period, while comparison groups carried out art activities based on their life themes. The collected data analyzed the effects of experimental measures through t-verification. The study found that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conducted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through collaborative study by the cal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pro-social behavior and multicultural awareness than infants in the comparison group.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through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in this stud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o-social behavior and multicultural perceptions of inf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