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파워링 리더십과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 창의적 역할정체성 역할

        강경모,양영은,김수진,권기욱 리더십학회 2023 리더십연구 Vol.14 No.1

        This empirical study examined both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role ident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romotion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employee innovative behavior.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at explored empowering leadership, creative role identity, employee innovative behavior and promotion focus. It was confirmed that empowering leadership had a direct effect on employee innovative behavior and an indirect effect through the partially mediating variant of creative role identity. The study also confirmed that the lower an employee's promotion focus, the greater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creative role ident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because it verified the mechanism of identity perspective and expanded the literature on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employee innovative behavior. In particular, the creative role identity formed through leader's expectations, interactions, and employee's self-conceptualization of individual roles mediates the influence of empowering leadership on employee innovative behavior. At the same time, empowering leadership can influence employee innovative behavior differently depending on an employee's individual characteristic. Accordingly, continuous interaction for nurturing an employee's creative role identity rather than simple task instruction or delegation of authority is strongly recommended. Similarly, managers should demonstrate consistent interest in employee creative role identity as well as empowering leadership in order to encourage innovative behavior among employees. 본 연구는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직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창의적 역할정체성의 매개효과와 향상초점의 조절효과를 실증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임파워링 리더십, 창의적 역할정체성, 혁신행동, 향상초점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국내 기업체 근무자 4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직접적효과와 더불어 이러한 관계에서 창의적 역할정체성의 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원의 창의적 역할정체성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수로서 향상초점의 역할은 예측과는 달리 향상초점이 낮은 경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행동에 대한 향상초점의 조절된 매개효과도 향상초점이 낮은 경우만 유의미한 결과를보여, 간접효과가 다소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나 향후 연구에서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직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체성관점의 메커니즘을 검증하고 문헌을 확장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특히, 상사의 기대와상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사회적 역할에 대한 자기 개념화인 창의적 역할 정체성이 혁신행동에 대한 임파워링 리더십의 영향을 매개함을 밝혔다. 또한, 부분적으로는 개인 특성인 향상초점에 따라 임파워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다르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보여주어 창의적 역할정체성과 혁신행동에 대한 조절변수로서의 가능성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조직 내에서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관리자들에게 임파워링 리더십과 창의적 역할정체성에 대한 관심과 함께, 단순 업무 지시나 권한 위임이 아닌 창의적 역할정체성 형성과 제고를 위한 지속적 상호작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사회정체성 리더십이 조직동일시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정체성 지각의 매개효과

        장용선,조대환 한국경영교육학회 2019 경영교육연구 Vol.34 No.1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ocial identity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identity perception on the organization identification and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main variables this include social identity leadership, organizational identity perception, organization identific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Methodology]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310 samples from 41 organizations. This research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lso this research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to test hypotheses. [Findings]In this research results, social identity leadership has been shown to promote organizational identity perception. Social identity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 identific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rganizational identity perception has also been shown to be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ocial identity leadership and organization identific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mplications]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for the social identity theory, self-categorization theory, attraction-selection-attrition theory and social exchange theory. In relation to practical implications, it is important for managers to establish an organization with a clear identity by securing leaders who are faithful to social leadership. [연구목적]본 연구는 사회정체성 리더십이 조직정체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동일시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사회정체성 리더십과 조직동일시 및 조직시민행동 사이에서 조직정체성 지각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 실증분석을 위해 배포된 설문지 중 41개 회사 463 부가 회수되었다. 이 가운데 성실한 응답이라고 보기 어려운 153부를 제외한 41개 회사 310부를 연구의 최종 표본으로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연구결과 사회정체성 리더십은 추종자들의 조직정체성 지각을 촉진하고 조직동일시 및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정체성 리더십과 조직동일시 및 조직시민행동 사이에서 조직정체성 지각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결과는 사회정체성이론과 자아범주이론, 유인-선택-소멸이론과 사회적 교환이론에 대해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실무적 시사점과 관련하여 경영자들은 사회적 리더십에 충실한 리더를 확보하여 뚜렷한 정체성을 갖춘 조직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프랜차이즈 본부의 리더십이 가맹점의 조직동일시,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 조직 냉소주의의 조절효과

        김상덕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1 마케팅논집 Vol.19 No.1

        관계적 교환관계 내에서도 리더십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독립적인 유통경로 구성원들이 결합된 유통경로에서는 힘의 분배가 동등하게 이루어질 수 없고, 유통경로가 통합된 시스템으로서 효과적으로 기능하려면 리더십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리더와 구성원 간 관계가 하나의 조직처럼 연결되어 있는 프랜차이즈 시스템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시스템에서 본부가 행하는 리더십 스타일이 가맹점의 행동적 성과와 재무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있다. 특히, 본부의 리더십 스타일과 가맹점의 성과 간 관계에 조직 동일시와 조직 냉소주의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도 밝히고 있다. 220개의 국내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가설이 검정되었다. 가설검정 결과 프랜차이즈 본부의 거래적 리더십은 가맹점의 조직 동일시에 正의 영향을 미쳤으나 변혁적 리더십은 영향을 주지 않았고,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조직 동일시는 가맹점의 조직시민행동과 수익성 모두에 正의 영향을 미쳤다. 한편 가맹점의 조직 냉소주의가 작은 경우에 본부의 거래적 리더십이 가맹점의 조직 동일시에 正의 영향을 미쳤지만 조직 냉소주의가 큰 경우에는 리더십이 발휘되지 않았다. As exchange between buyers and sellers is changing from short-term relationship into long-term relationship, many marketing channels scholars have asserted that behavior of marketing channel members can increasingly be characterized by relational exchanges. However, it is important to point out that although the members of relational exchange may be perceived as strategic channel partners, even within these arrangements member asymmetries may exist which may create unequal distributions of power and dependence. Thus as all marketing channel members may not be equal, it is possible that a dominant channel leader may emerge. Therefore, leadership in marketing channels continues to be important. Channel leadership can be defined as the activities undertaken by the marketing channel leader to influence the marketing programs and strategies of channel members. Marketing channel's performance is influenced by leadership of channel leader. Although research on channel leadership can be broadly categorized, many researchers have been preoccupied with analyzing channel leadership by the power-influence approach measuring such as control, power, and power bases. Also they have examined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performances. Many marketing channel scholars have offered arguments to justify the application of leadership styles identified in alternative leadership theories to the inter-organizational context of marketing channels. They have suggested the usefulness of leadership styles as strategies to secure the compliance of channel members and have conceptually and empirically linked it to channel related phenomena such as manifest conflict, cooperation, channel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However, as no empirical studies have examined the use of leadership styles for motivating channel members, research on leadership style can be considered nascent. Thus it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use of leadership styles among channel memb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wo leadership styles on relationship performance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try to find out moderating and mediating variables existing in the relationship. To be concrete, this paper develops a model of the antecedents of two conceptually distinct forms of leadership performances such a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profitability, and tests the hypothesized differential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n them. An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xtent to which these relationships are mediated by organization identity of channel members, and are moderated by organizational cynicism of channel members. The reason why this study deals with franchise system is that there is very strong inter-dependence between a franchisor and franchisees. Their strong inter-dependence makes their relationship as the relationship between a superior and subordinates and creates an atmosphere that leadership occur without difficulty. For the purpose of empirical testing, 220 respondents of franchisees of franchise industry in Korea were surveyed and the analysis utili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indicated that transactional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 identity, and organization identity ha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profitability of franchisees. On the other h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no effect on organizational identity. In addition, organizational cynicism had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 identity.

      • KCI등재

        고전문학 리더십의 재발견과 그 인문학적 가치

        강진옥(Kang Jin ok) 한국고전연구학회 2016 한국고전연구 Vol.0 No.35

        문학은 인간의 삶을 예술적 형상을 통해 그려냄으로서 공감을 자아내면서 세계의 진실을 발견하게 한다. 문학의 형상적 인식이 제공하는 공감적 울림은 독자의 내면세계에 강력한 힘으로 작용하여 자연스럽게 인식의 전환을 초래한다. 작품 주인공의 행적이 보여준바 정체성 확인과정은 리더십의 관점에서는 리더로서의 성장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웅의 일생구조를 공유하는 신화 또는 소설 주인공들이 보여주는바 자기를 정립함으로써 리더로 성장하는 과정은 자신의 잠재력을 온전히 실현해내는 것에 다름 아니다. 리더십을 목적적 가치로 보는 이러한 관점은 리더십 교육과 함양을 개인적 성공을 위한 수단적 가치로 인식하는 일반적인 리더십 개발론과는 차별화된다. 삶의 단면을 그려내는 서사문학은 리더십 교육의 텍스트이자 현장이다. 다양한 인물형이 등장하여 삶과 인간관계의 다면적 양상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고소설은 일대기(一代記)적 서사 모형을 갖는 주동인물의 자기정립과정을 통해 리더십의 형성 및 성장과정을 보여준다. 이러한 고소설 주인공 세대의 리더십 형성과정은 우리에게 리더십 교육에서 선행되어야 할 가치가 ‘리더십 노하우를 어떻게 익힐 것인가’가 아닌, ‘어떻게 자기 정체성을 갖춘 인간으로 성장하는가’임을 말해주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삶의 정황에서 자기 존재를 온전하게 실현하도록 하는 인간중심적인 목적적 가치로서 우리가 추구해야 할 인문학적 리더십의 방향에 대해 시사하고 있다. Literary works usually deal with how characters find and understand themselves in society and reality. When we discuss leadership in literature, characters’ perception of selves should be considered before anything else because the process of leadership building is carried out in the character’s existence in reality in which leadership qualities are realized and evaluated. Literature is a field of humanities which explore humans. Literature tries to discover truth by describing human lives in artistic form thus inducing empathy. The empathy that literature fosters help readers change their perception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dentity of a protagonist shows a growing process as a leader. Many myths and novels tell about the lives of heros who realize their potential as a leader. This perspective that emphasizes leadership as an end value differ from the leadership discourse that views leadership education as a mean to acquire individual success. The narrative literature which depict the cross sections of human lives could be used as a text for leadership education. It shows various types of characters and their lives. Korean Classical Novels typically show the growth of characters and leadership of protagonists through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ir self identities. They also tell us the main goal of leadership education lies not in how to acquire the leadership skills but in how to grow as a human being with self identity. At the same time, it implies direction of humanistic leadership education. We should persue from humanistic perspective self realization as an end value of leadership education.

      • KCI등재

        신임관리자의 역할정체성, 리더십, 그리고 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을터 ( Eul Teo Lee ) 한국생산성학회 2014 生産性論集 Vol.28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ole identity, leadership type (task-oriented leadership or relations-oriented leadership), and non-followership of subordinates of first-time supervisors, as well as their stresses in the context of Korean culture. This study particularly analyzes situational influences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leadership type and the non-followership of subordinates by setting a low power position and new face-to-face relations as moderating variabl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has been introduced, and the hypothetical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assumed. A survey was performed on a total of 185 first-time supervisors (section chiefs) appointed to their current position within the past two yea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a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and AMOS.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role identities of the first-time supervisors,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ask-oriented leadership and relations-oriented leadership. The correlation was more pronounced in the relations-oriented leadership, which demonstrates that the role identity of a first-time supervisor puts the formation of kinship with subordinates first in the context of Korean culture. Second,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ask-oriented leadership and non-followership of subordinates. Additionally, the lower the power position of the first-time supervisor was, the more task-oriented leadership worsened the non-followership of the subordinates. Third, a positive correlation was seen between the non-followership of the subordinates and the leadership stresses of the first-time supervisor. The result shows that the first-time supervisors shall be under much stress should their subordinates not collaborate with them in their work nor respect them or implement their directed tasks, and that the first-time supervisors could themselves trigger their stress. In other words, given that leadership stress is caused by the non-followership of the subordinates, which is again triggered by the task-oriented leadership of the first-time supervisor, task-oriented leadership does not coincide well with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 Fourth, relations-oriented leadership failed to instigate the followership of subordinates, even if the first-time supervisor had a low power position and was not acquainted earlier with his or her subordinat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교 교장의 성역할 정체성과 수업지도력간의 관련성 분석

        한유경(Han, You-Ky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identity(feminine, masculine, androgynous, undifferentialted) of middle school principals and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as perceived by teachers on the principals' staffs. The study also examined whether female and male teachers differed in their perceptions of principal instructional leadership. Participants in the study included 59 middle school principals (33 male, 26 female) and 723 teachers (314 male, 409 female) by random sampling methods which represented all areas.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were assessed through the Principal Instructional Management Rating Scale(PIMRS), which consisted of 35 questions categorized into three dimensions. The principals' gender-role identity was determiend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the Bem Sex-Role Invertory (BSRI). The two factor analysis of variance(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gender-role identity of female middle school principals and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in the are of Defining the school mission on the PIMRS. Teacher sex significantly influence perceptions of principal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Female principals with androgynous gender-role identity were observed by male teachers to display significantly more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than other principals. Female teacher assessed highly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female principals with masculine gender-role identity. 최근 학교장의 수업 지도력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고 여교장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학교장 수업 지도력 효과를 규명함에 있어 성별 혹은 성역할과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연구는 극히 제한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이 논문은 중학교 교장들의 성별, 성역할 정체성(남성적, 여성적, 양성적, 차이없음)과 학교장들의 수업 지도력은 관련이 있는지, 그들의 수업 지도력 발휘 모습이 구성원의 성별에 따라 어떻게 평가받고 있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교장 및 교사를 대상으로 교장의 성역할 정체성과 교사의 수업지도력 인식수준을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교장의 성역할 정체성에 따른 교사의 수업 지도력 인식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수업 지도력(학교 임무 규정) 인식 수준은 남성적 교장이 미분화(차이없음) 교장에 비해 높게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교사의 성별에 따른 교장에 대한 수업 지도력 인식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교사들이 여교사에 비해 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장의 성역할 정체성과 교사의 성별에 따른 수업 지도력 인식 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중학교 남교장의 성역할 정체성과 중학교 교사들의 성별에 따른 수업 지도력 인식에는 차이가 없었다. 한편 여 교장의 성역할 정체성과 중학교 교사들의 성별에 따른 수업 지도력 인식 수준에서는 교사 성별, 여교장 성역할과 교사의 성별 상호작용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학교 남교사들이 여교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여교장의 수업 지도력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교사는 양성적 여교장에 대해 여교사에 비해 매우 높게 수업지도력을 인식하는 반면, 여교사는 남성적 여교장에 대해 남교사에 비해 높으 수업 지도력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도덕적 정체성의 매개효과-

        두주 ( Zhou Du ),조윤형 ( Yoon Hyung Cho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5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도덕적 정체성이 매개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검증하고자 한다. 여러 연구들에서 윤리적 리더십의 영향력이 규명되었으나 어떠한 과정으로 결과변수에 영향력이 나타나는 지를 규명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무척 중요하다. 조직시민행동은 Williams와 Anderson(1991)의 연구를 토대로 개인, 조직에 대한 조직시민행동으로 구분하였으며 도덕적 정체성은 Aquino & Reed Ⅱ(2002)의 연구에 기반하여 내재화와 상징화로 구분하였다. 연구가설의 설정은 주효과 가설과 매개효과 가설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덕적 정체성은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윤리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을 증가시키는 있으므로 조직시민행동의 중요한 선행변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무엇보다 윤리적 리더십 발휘가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을 높이는데 있어서 구성원들의 도덕적 정체성을 향상시키고 향상된 도덕적 정체성을 통해 조직시민행동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국 구성원들의 도덕적 정체성 형성이 중요하며 이러한 도덕적 정체성형성이 이루어져야만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study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thic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lso verify the mediating role of moral identity.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consists of OCBI and OCBO based on Williams & Anderson(1991). moral identity consists of internalization and symbolization based on Aquino & Reed Ⅱ(2002).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by a review of literature. we build up main effect and mediating effect hypotheses. To test the hypotheses, survey method was performed. A total of 317 employees who work in different organization or business units a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thical leadership have a positive, significant impact on OCB. and it was found that the moral identity had a significant partially mediating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OCB. Based on the results, ethical leadership is critical determinants of OCB. so that if some company want to increasing the employees’ OCB that must articulate the ethical leadership effort. and ethical leadership formulate employees’ moral identity, and then moral identity leading to OCB. that means we show process of ethical leadership impact on the OCB.

      • KCI등재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허정철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The Effects of a Self-leadership Program on Career PreparationActivity and Career Ident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Jeoungcheoul Heo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self-leadership program had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identity in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0 female college students attending to the K women’s university. They had pre and post tests after the program was given.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the self-leadership progra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results in social efforts to achieve goals, information collection activity and activity to get necessary tools as sub-variable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lso it had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self-understanding, career understanding and confidence in competency as sub-variables of career identity. The results above showed that the self-leadership progra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career identity in the subjects. In the future, to enha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career identity in female college students, local organizations should actively connect self-leadership program to community resources so that college students can be encouraged to acquire information needed for career and to be practically prepared for career. Colleges should support students to find their advantages, talents and career through diverse career education programs. Key Words: Self-leadership Program, Career Preparation Activity, Career Identity, Self-understanding, Career Understanding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허 정 철**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정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K여자대학교 6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진로준비행동의 하위 영역 가운데서 목표달성을 위한 사회적 노력, 정보수집활동, 필요한 도구를 갖추는 활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정체감 하위 요인 가운데 자신 이해, 직업 이해, 능력 자신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및 제언: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정체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으로 여대생들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자원들을 적극적으로 연계하여, 지역사회에 있는 기관들을 방문하여 진로에 필요한 정보들을 습득하고 실질적으로 진로준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그리고 대학에서는 다양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대학생들이 자신의 성격의 강점과 재능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돕고 자신과 맞는 진로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핵심어: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진로준비행동, 진로정체감, 자신 이해, 직업 이해 □ 접수일: 2022년 11월 6일, 수정일: 2022년 11월 22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본 연구는 2022학년도 광주여자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광주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Professor, Kwangju Women’s Univ., Email: jcheo@kwu.ac.kr)

      • KCI등재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및 조직정체성 강도의 조절 효과

        김희경,신호철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3

        비영리조직은 경제적 결과물보다는 공급자와 수혜자 간 상호작용의 질을 성과로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비영리조직 구성원들로부터 업무에 대한 열정과 헌신으로 일에 몰입하는 직무열의와 같은 직무태도가요구된다. 그러나 비영리조직의 근로조건은 열악하여 구성원들의 직무열의를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다. 본연구는 비영리조직의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황으로 인해 저하될 수 있는 구성원들의 직무열의를 개선시키기위한 방안으로 서번트 리더십에 주목하고 그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열의에대한 하위요인의 개념적 관계성 고찰과 사회교환이론을 기반으로, 서번트 리더십이 비영리조직 구성원들의직무열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둘째,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영향을미칠 때 구성원들의 긍정심리자본이 매개변수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는 지를 세 변수 간 개념적 관련성과 직무요구-자원 모델을 이론적 도구로 활용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셋째,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열의 관계성에서 조직정체성 강도의 조절효과를 사회정체성 이론과 사회매력 이론을 기반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데이터는 11개의 사회복지시설에서 종사하는 380명의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자들이 의도하였던 것처럼,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열의 사이에 정(+)적관계성이 검증되었다. 또한,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 간에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가 정(+)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구성원이 인식하는 높은 조직정체성 강도는 서번트 리더십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 수준을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열의의 관계성을 밝혀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서번트 리더십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직원의 직무열의를 향상시키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을 밝힌데 연구의의의가 있다. 직원이 지각하는 사회정체성 강도가 서번트 리더십과 상호작용하여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규명하여 서번트 리더십의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해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제안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Nonprofit organizations are more likely to assess the quality of interactions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beneficiaries rather than economic outcomes as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r this reason, members of the nonprofit organization are required to have a job attitude such as job engagement that involves passion and enthusiasm for the job. However, the working conditions of nonprofit organizations are relatively poor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job engagement of the members. This study focuses on servant leadership as a way to improve the job engagement of the members who may be undermined by the poor conditions of the nonprofit organization. First, the present study examines empirically whether servant leadership positively affects job engagement based on the conceptual relationship among sub-factors of the two variables and social exchange theory. Second,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whethe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lays a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job engagement by using conceptual relations between these three variables and job demand-resource model as a theoretical support. Third, this study also examines whether organizational identity strength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job engagement based on social identity theory and social attraction theory. The data of the stud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380 members of 11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results reveale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employees’ job engagement. In addition,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employees’ job engagement. The high level of organizational identity strength perceived by employees enhanced the employees’ job engagement through interaction with servant leader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that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employees’ job engagement. Thus,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ed that servant leadership plays a major role in enhancing employees’ job engagement. In addition, results show that servant leadership significantly mediated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employees in affecting their job engagement. Results also show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employees’ job engagement become stronger when the score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employees were hig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two variables by explaining how the servant leadership affects employees’ job engagement through this proces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review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조직구성원들이 경험하는 컴페션과 긍정 리더십이 집단적 자긍심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조직 정체성의 매개효과

        고성훈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18 專門經營人硏究 Vol.21 No.4

        This study suggests that compassion provided to members experiencing pain in the organization positively affects collective self esteem and job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passion experienced by members in organizations on positive organizational identity and secondly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positive organizational identity formed by organizatonal members on collective self-esteem. Thi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ositive organizational identity on job performance, and fourth,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organizational ident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and collective self-esteem. Fifth, we try to demonstrate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organizational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and job performance. Fin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and positive organizational ident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proved that the compassion experienced by the members in the organiz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ositive organizational identity, and positive organizational ident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llective self-esteem and job performance. In addition, the results of research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organizational ident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and collective self-esteem, and compassion and job performance were also proved to be significant, supporting the hypothesis. In addition, the positive effect of positive 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and positive organizational identity was also proved to be significant. Therefore, this study implies that the members who experience compassion in the organization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and increase collective self-esteem through positive organizational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