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ink Aloud 훈련조건과 선행지식이 독해의 Think Aloud 반응과 교재처리에 미치는 효과

        문선모(文善模),남경임(南景任)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실험 참가자로 하여 Think-Aloud 훈련조건과 선행지식이 설명적 교재의 독해 시에 처리과정을 관찰 할 수 있는 과정측도로서 Think-Aloud 반응과 교채처리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검증한 것이다. 훈련은 글을 읽는 중에 생각나는 것을 입으로 중얼거리면서 읽도록 하는 Think-Aloud만의 조건과 일반적인 독해방략들을 추가 처치하여 Think-Aloud하도록 하는 두 조건으로 이루어졌다. 훈련 프로그램은 직접수업법에 근거하여 지식습득단계, 연습단계, 및 검사단계로 구성되었다. 독립변인은 Think-Aloud 훈련조건(Think-Aloud +독해방략 ?Think-Aloud만), 선행지식 수준(상위?하위) 및 Think-Aloud 반응유형(시연?정교화?조직화?이해점검?예측?교재반응)이며, 실험요인의 배치는 2 × 2 × (6)의 요인설계로 하였다. Think-Aloud 훈련조건과 선행지식 수준은 피험자간 변인이고, Think-Aloud 반응유형은 피험자내 변인이었다. 종속변인은 Think-Aloud 반응유형별 사용빈도, 주요점 회상점수, 글 전체 및 단락 중심내용 파악점수, 그리고 교재이해 점수이었다. 이상의 독립변인들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검증되었다. 그 결과 중학생들은 설명적 교재를 읽을 때 Think-Aloud 반응으로 이해점검과 정교화를 많이 사용한 반면에 시연, 조직화, 교재반응 및 예측 반응의 사용은 아주 적었다. 특히 선행지식이 많은 학생은 적은 학생보다 정교화 반응을 훨씬 많이 사용하였다. Think-Aloud 훈련조건 간에 Think-Aloud 반응의 사용빈도, 주요점 회상량 및 교재이해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Think-Aloud에 대한 이해 부족과 연습회수의 부족에 기인한 듯하였다. 그러나 독해방략을 추가하여 Think-Aloud를 훈련한 조건이 단지 Think-Aloud만 훈련한 조건보다 글의 주제에 대한 선행 지식이 적은 학생들의 글 전체 중심내용 파악을 촉진시켰다. 이는 독해방략을 추가한 것은 선행지식의 낮음을 보상한 것으로 해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aining conditions of think-aloud and prior knowledge on think-aloud responses in reading comprehension and expository text processing. For the purpose two training conditions of think-aloud were treated: (1) Think-aloud only during reading and (2) Think-aloud with application of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ies during reading. The think-aloud training procedure was based on the traditional direct instruction including explanation, guided practice and independent practice. A mixed, between-subjects, within-subjects, design was used in the experiment. Two between-subjects factors were think-aloud training conditions (think-aloud onlyㆍthink-aloud with application of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ies) and levels of prior knowledge (highㆍlow). One within-subjects factor was types of think-aloud responses (rehearsalㆍelaborationㆍorganizationㆍpredictionㆍtext responseㆍcomprehension monitoring). The criterion variables were the frequencies of think-aloud responses used in the subject"s think-aloud protocol and the scores of main point recall, main idea comprehension, and text comprehension. All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junior high school students selected randomly on the basis of levels of prior knowledge. One expository text used as stimulus material was less familiar and composed of 6 paragraphs, 22 sentences, and 253 words.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ile thinking aloud during reading the expository text, junior high school students produced comprehension monitoring comments dominantly in their protocols. In particular, students with high prior knowledge produced more elaboration responses than students with low prior knowledge. These results appeared regardless of training conditions of think-aloud. Second, thinking aloud with application of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ies improved the comprehension of main ideas in the text for students with low prior knowledge. This facilitative effect may be due to that the application of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ies compensated with less prior knowledge of students. Third, two conditions of think-aloud training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main idea recall, main idea comprehension for paragraph, and text comprehension.

      • KCI등재

        생각회피훈련을 이용한 생각억제와 생각대체 전략의 효과비교

        신영은 ( Young-eun Shin ),민윤기 ( Yoonki Min ),이영창 ( Young-chang Lee ) 한국감성과학회 2021 감성과학 Vol.24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tentional thought avoidance(i.e., thought suppression and thought substitution) using “Think and No Think” task. Two syllable words were selected, and recall test was performed with a single subject group. recall accuracy of them was measured in two recall conditions(cue recall and target recall) and four training conditions(thought, thought suppression, thought substitution, and baseline). The results showed that recall accuracy in cue recall condition was better than in target recall condition, regardless of training conditions, and recall accuracy in thought condition was better than in other training conditions, regardless of recall conditions. Also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recall and training conditions: For thought suppress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recall conditions, whereas for thought substitution, recall accuracy in cue recall condition was better than in target condi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ought avoidance strategies, including both thought suppression and thought substitution, are effective in avoiding the specific thought intentionally, and thought suppression and thought substitution could be applied by different mechanism.

      • KCI등재

        철학 사고실험의 노브 설정 문제와 철학실천

        이호영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6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n alternative to the knob's setting problem, which has been raised as a criticism of philosophical thought experiments. Philosophers use thought experiments as a basis for their argument or theory. However, they are not strictly concerned about the knob setting of the thought experiment. They are unconstrainedly using it as an intuitive pump based on their imagination and theoretical bias. Intuitive pumps are not suitable for use as a theoretical basis. Therefore, critics say that philosophical thought experiments are unreliable. On the other hand, I think the knob's setting is an advantage when thought experiments are used in philosophical practice. In philosophical practice, it is important that thought experiments lead to philosophical thought. Therefore, I will analyze on the basis of the case where the knob changes in the thought experiment were made in the philosophical practicality. In Chapter 2, I will introduce Hoon Choi's three-step structure of thought experiment. In the Trolley dilemma, I note that the replacement of virtual situations changes its evaluation and its conclusions. In Chapter 3, I deal with the problem of knob's setting within the structure of thought experiments, and criticism of philosophical thought experiments. In Chapter 4, I will apply and review the Knob's setting method in the thought experiment of philosophical counseling to the case of Marinoff. As a result, the problem of knob’s setting may be a criticism of philosophical thought experiments, but it can be useful in thought experiments for philosophical practice. 이 논문의 목적은 철학 사고실험에 대한 비판으로 제기된 노브 설정 문제에대해 철학실천의 관점에서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철학자들은 사고실험을자신의 주장이나 특정 이론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활용한다. 하지만 비판자들은 철학자들이 사고실험의 노브를 엄밀하게 설정하지 않으며 자신들의 상상력과 이론적 편향에 따라 무제약적으로 이용한다고 말한다. 이렇게 노브를 남용하는 사고실험들은 이론적 근거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따라서 철학자들의 이런 방만한 태도는 철학의 사고실험을 신뢰할 수 없게 만든다. 이런 비판에 대해, 논자는 철학실천에서 사고실험이 사용될 때는 이러한 노브 설정이문제점으로 간주되기 보다는 장점이 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철학실천의사고실험은 이론적인 근거로 활용되는 것보다는 내담자들이 철학적으로 사유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역할이 더 중요하다. 이를 밝히기 위해서 논자는 철학실천에서 사고실험의 노브 변화가 유용하게 기능한 사례를 들여다 볼 것이다. 제2장에서는 최훈의 사고실험 3단계 구조를 소개하고, 트롤리 딜레마 사고실험 통해 가상 상황의 변화에 따라 그것의 평가와 결론이 바뀌는 문제를 지적한다. 제3장에서는 사고실험 구조 안에서 벌어지는 가상 상황의 구체적인내용인 노브 설정과 철학 사고실험에 대한 비판을 다룬다. 제4장에서는 매리노프 상담 사례를 사고실험으로 간주하여 노브 설정 방법을 적용하고 검토하여 철학실천에서 노브 설정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밝힐 것이다. 결론적으로, 노브 설정 문제가 철학 사고실험의 비판으로 제기될 수 있지만, 철학실천을 위한 사고실험에서는 유용할 수 있으며 권장할 만하다 것이 논자의 최종적인 견해이다.

      • KCI등재후보

        강박사고 유형 간 사고-행위융합, 중화행동, 사고억제 결함의 차이

        이세용,이인혜 한국임상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5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firm the differences in thought-action fusion(TAF), neutralizing actions and deficiency of thought suppression among the types of obsession. To this end, Padua Inventory-Washington State University Revision(PI-WSUR), Thought-Action Fusion Scale-Revised(TAFS-R), Copying for Intrusive Thoughts Questionnaire(CITQ) and Thought Suppression Inventory(TSI) were conducted with 471 college students, an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groups of high obsession experienced more of morality TAF, likelihood-other TAF and likelihood-self TAF, which are the three elements of TAF, than the groups of low obsession. They also experienced more of intrusive thoughts and attempted thought suppression among the three elements of thought suppression, which are intrusive thoughts, successful suppression and attempted thought suppression. When autogenous obsession groups and reactive obsession groups were divided, the results different than expected were obtained in the differences in TAF, neutralizing actions and deficiency of thought suppression. In detail, the groups with high autogenous obsession experienced more of likelihood TAF than the groups with low autogenous obsession. The groups with high reactive obsession experienced more of morality TAF than the groups with low reactive obsession. In regards to neutralizing actions, reactive obsession groups(low autogenous-high reactive groups) used avoidant neutralizing actions the most when it came to autogenous obsessive conditions, and autogenous obsession groups(high autogenous-low reactive groups) came after the reactive obsession groups when using avoidant neutralizing actions. The groups with high autogenous obsession showed no significant effects in the rest of the conditions. The groups with high reactive obsession used more of direct neutralizing actions than the groups with low reactive obsession when it came to autogenous obsessive conditions. With regards to reactive obsessive conditions, they more used both avoidant and direct neutralizing actions. Lastly, intrusive thoughts in thought suppression occurred the most in the groups of high obsession(high autogenous-high reactive groups). If groups had high autogenous obsession or high reactive obsession, they experienced more of attempted thought suppression than the lower groups. When it came to successful suppression, the groups with high autogenous obsession experienced more difficulties in suppression compared to the groups with low autogenous obs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meanings and suggestions that the study provides as well as the direction of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강박사고 유형 간에 사고행위융합(Thought-Action Fusion: 이하 TAF), 중화행동, 그리고 사고억제 결함에서 차이를 확인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471명을 대상으로 파두아 강박증상 질문지-워싱턴 주립대학 개정판(PI-WSUR), 사고행위융합 척도(TAFS-R), 침투사고 대처과정 질문지(CITQ), 그리고 사고억제 척도(TSI)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박사고 고집단이 저집단보다 TAF의 세 요인인 도덕성TAF, 가능성TAF-타인, 그리고 가능성TAF-자기를 모두 더 많이 경험하였고, 사고억제의 세 요인인 침투적 사고, 성공적 억제, 억제시도 중 침투적 사고와 억제시도를 더 높게 경험하였다. 반면에 자생성 강박사고 집단과 반응성 강박사고 집단으로 구분했을 때 TAF, 중화행동, 사고억제 결함의 차이에서는 예상과는 다른 결과가 나왔다. 세부적으로, 자생성 강박사고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가능성TAF를 더 높게 경험하였고, 반응성 강박사고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도덕성TAF를 더 높게 경험하였다. 다음으로 중화행동에서는 반응성 강박사고 집단(저자생-고반응 집단)이 자생성 강박조건에서 회피적 중화행동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자생성 강박사고 집단(고자생-저반응 집단)은 그 다음으로 회피적 중화행동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자생성 강박사고가 높은 집단은 나머지 조건에서 유의미한 중화행동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그리고 반응성 강박사고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자생성 강박조건에서 직면적 중화행동을 더 많이 사용하였고, 반응성 강박조건에서는 회피와 직면적 중화행동을 모두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고억제에서 침투적 사고는 강박사고 고집단(고자생-고반응 집단)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자생성 혹은 반응성 강박사고가 높으면 각각의 낮은 집단보다 억제시도를 더 많이 경험하였다. 성공적 억제는 자생성 강박사고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억제의 어려움을 더 많이 경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儒敎思想의 관점에서 보는 世界平和

        김익수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7 No.-

        Without understanding the filial piety, “the declaration of human education,” it is fundamentally impossible to discuss the thought of peace that human beings are seeking for. It is important to realize and pay attention to that the concept of filial piety began with the “Five Teachings of Hanin” by the Hanin of the Korea’s ancient Hanguk era. Therefore, it is clear to know Korea is the suzerain nation of the filial piety that is the essence of the thought of peace by studying ancient history of Korea. That is, it must be reassessed that the concept of filial piety was not started from Confucianism as we knew. The thought of Hongikingan(man beneficial to all) of Emperor of Hwanung of Baedalguk era that was developed and enriched by Dangun Wang’gum clearly include the thought of world peace. The frame is also the thought of Korea’s filial piety. Confucianism rooted to the Korea’s thought of Han and Confucius compiled it and completed as a world thought. Korea received and developed Confucianism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Benevolence, the main thought of Confucius, contains the thought of human peace. Confucianism of Korea consolidated through institutional education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settled as the Korea’s three major thoughts with Buddhism and Taoism. Neo‐Confucianism was introduced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and reached its peak with Toegye and Yulgok during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The thoughts of these two major Neo‐Confucian scholars Toegye(1501‐1570) and Yulguk(1536‐1584) clearly included the thought of world peace. This is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Another objective is to hope the thought of Korea’s filial piety will be globalized as the thought of world peace human beings are seeking for although the studies of Toegye and Yulgok already became the international studies. 인류가 희구(希求)하는 평화(平和)사상은 “인류교육의 헌장(憲章)”이라고 할 수 있는 효(孝)를 이해하지 않고는 근본적으로 논의가 되지 않는다.그런데 효(孝)는 상고(上古)의 우리의 한국(桓國)시대의 한인(桓因)의 가르침인 “한인오훈(桓因五訓)”에서 비롯되었음을 이해하고 주목해야 한다.따라서 상고사를 연구해야 인류의 평화사상의 중핵(中核)인 효가 우리가 종주국(宗主國)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우리의 인식이 유교에서 효가 비롯되었다는 인식은 반드시 재고해야 한다. 이른바 배달국시대의 한웅천왕(桓雄天王)의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사상은 단군왕검께서 더욱 발전확충시켰지만 분명히 가장 큰세계평화사상이 내포되어 있다. 그런데 골격(骨格)은 역시 우리의 효(孝)사상이다. 유교는 우리의 한사상(韓思想)이 묘맥(苗脈)이지만 공자가 집성하여 세계적인 유교사상으로 형성되었다. 우리나라도 삼국시대에 수용하여 발전시켰다.여하튼 공자의 중심사상인 인(仁)속에는 인류평화사상이 내포되어 있다.한국의 유교사상은 삼국시대에 학교교육을 통해 확고해졌으며 불교, 도교(道敎)와 함께 한국의 3대 사상으로 정착되었다. 고려말에 전래된 송대의 성리학(性理學)은 조선조 중기의 퇴계, 율곡에 의하여 크게 발전하였는데 역시 양대 유학자(儒學者)인 퇴계(1501-1570)와 율곡(1536-1584)의 사상 속에는 평화사상이 분명하게 내포되어 있다. 이를 연구하려는 것이 본연구의 목적이다. 또 하나의 의도는 “퇴계,율곡의 학(學)”이 이미 국제학으로 전 세계에 널리 전개되고 있지만 그 보다 원대한 “한국의 효사상”이 안류가 희원(希願)하는 평화사상이라고 볼 수 있는 바 조속히 세계화(世界化)되기를 기원한다.이 일이 성취될때에 한국이 전세계의 도덕종주국이 될 것이 확실하게 전망된다.

      • KCI등재

        사고실험 - 상상의 작용과 한도에 대해

        황희숙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6 No.-

        The use of thought experiments has a long history in many disciplines including science. In the field of philosophy, thought experiments have frequently appeared in the pre-existing literature on the contemporary Analytic Philosophy. A thought experiment refers to a synthetic environment where the designer of the experiment-with his or her intuition and imagination-tests common-sense knowledge. It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ual tool for testing the validity of the common understanding of an issue or a phenomenon. However, we are not certain about the usefulness or efficacy of a thought experiment in knowledge production. The design of a thought experiment is meant to lure readers into believing as intended by the experiment itself. Thus, regardless of the purpose of a thought experiment, many readers who encounter the experiment could feel deceived. In this paper, to analyze the logic of thought experiments and to seek the source of uneasiness the readers and critics may feel about thought experiments, I draw lessons from three renowned thought-experiments: Thomson’s ‘ailing violinist’, Putnam’s ‘brain in a vat’, and Searle’s ‘Chinese room’. Imaginative thought experiments are usually constructed around a gap between the reality and the knowledge/information at hand. From the three experiments, several lessons can be learned. First, the evidence of the existence of a gap provided via thought experiments can serve as arguments for counterfactual situations. At the same time, the credibility and efficacy of the thought experiments can be damaged as soon as the thought-experiments are carried out with inappropriate and/or murky directions regarding the procedures of the experiment or the background of the study. According to D. R. Hofstadter and D. C. Dennett(1981), the ‘knob setting’ in a thought experiment can be altered in the middle of a simulation of the experimental condition, and then the implications of the thought experiment change altogether, indicating that an entirely different conclusion can be deduced from thought experiment. Lastly, some pre-suppositions and bias of the experiment designers play a considerable role in the validity and the chances of success of a thought experiment; thus, it is recommended that the experiment-designers refrain from exercising too much of their imagination in order to avoid contaminating the design of the experiment and/or wrongly accepting preconceived/misguided conclusions. 과학을 비롯한 여러 학문분야에서 사고실험(thought experiments)의 사용은 오랜 역사가 있다. 특히 현대 분석철학의 문헌들 속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사고실험들은 반사실적인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직관과 상상이 상식적 지식과 결합하여 작동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사고실험은 논변 구성자에게 필요한 결론을 유도해 내기 위한 개념 분석적 장치다. 그런데 과연 철학의 사고실험들이 지식의 생산에 기여하며 불가피하고도 유익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특정한 사고실험이 제시되었을 때, 이를 대면하고 있는 우리가 그 논변의 유도방향에 대해 어떤 무력감이나 속임수의 느낌을 받는다면, 이는 주목해야할 현상일 것이다. 필자는 이에, 사고실험의 적절성 문제를 유명한 사고실험 세 가지 즉, 톰슨의 ‘병든 바이올리니스트’, 퍼트남의 ‘통속의 뇌’, 설의 ‘중국어 방’ 사고실험을 놓고 논의한다. 사고실험에 대해 느끼는 불편함의 원인은 무엇일까? ‘상상적인 사고실험’들은 실재에 대한 판단 및 정보가 틈새를 보이는 상황에서 구축되어 제시되는 바, 가상적 상황에 대한 논변이다. 그런데 사고실험에서 유관한 배경적 조건들에 대해 부적절하거나 불확실한 바가 있거나, 임의적으로 기술된 요소가 있다면 그 사고실험은 의구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사고실험의 추론이 실제 철학적 문제들에 어떤 적실성과 유효성을 가질 수 있는지를 따져보아야 한다. 호프스태터가 보여주듯이 사고실험의 시뮬레이션 속에 포함된 여러 요소들의 설정을 바꿈으로써 즉 ‘노브 설정(knob setting)’을 달리함으로써 구성자의 결론과는 다른 결론이 나올 수도 있다. 이렇듯 사고실험의 시나리오에는 철학자의 상상과 이론적 편향이 들어있으며, 그 상상이라는 도구는 오직 제한적으로만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 글의 주장이다.

      • KCI등재후보

        디자인사고 팀 구성원의 마인드셋 평가 방향성에 관한 연구 용어정의, 용어구조와 디자인사고 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류선주(Ryu, Sun Joo),나 건(Nah, Ken)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19 한국디자인리서치 Vol.4 No.3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팀 활동이다. 팀 브라운(tim brown)은 디자인사고 팀의 티자형(t-shaped) 인재를 강조하였다. 1) 데이비드 켈리(david kelly)는 디자인 사고에서 다학제 팀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2) 톰 켈리(tom kelley)는 혁신은 궁극적으로 팀 스포츠라 하였다. 3) 디자인사고에서 팀 구성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음에도 팀 구성을 위한 디자인 사고 속성에 대한 연구나 속성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디자인사고의 마인드셋(mindset)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첫 번째로 선행 연구 분석, 전문가 인터뷰, 대학생 설문조사를 통하여 디자인사고의 속성을 분석하고 대표적 마인드셋 다섯 가지 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공감능력(empathy), 협동심(collaboration), 실험정신(experimentation), 통합사고력 (integrative thinking), 열린 사고(open mind). 두 번째로, 도출된 마인드셋의 정의와 사고구조, 디자인사고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각각의 평가방향을 제시하였다. 공감능력 평가에서는 인지적 공감능력과 감정적 공감능력에 대한 평가도 포함되어야 하며 협동심 평가에서는 응낙(conformation), 팀워크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함께 평가하여야 한다. 실험정신 평가에서는 시도(try-out)의 속성과 새로운 시도시의 마음가짐(호기심, 열정, 그리고 새로운 시도를 환영할 수 있는 마음가짐)도 평가되어야 한다. 통합적 사고 평가에서는 모호성을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ability to embrace ambiguity), 종합할 수 있는 능력(ability to synthesize), 시스템 사고능력(ability to think systematically)의 평가가 포함되어야 하며 열린 사고 평가에는 적응프로세스(accommodation process) 4) 의 속성들이 포함되어야 한다. Design Thinking is a team activity by people from diverse backgrounds. Tim Brown emphasized t-shaped talent, David kelly stressed the importance of multidisciplinary teams in design thinking, and Tom kelly noted that innovation is ultimately team sports. The importance of team composition has been emphasized but the study of design thinking attribute and method for evaluating attributes for the team composition has been insufficient.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derived 5 required mindsets for design thinking by analyzing the nature of design thinking through previous studies, expert interviews, and university student surveys. Those 5 mindsets are empathy, collaboration, experimentation, integrated thinking, and open mind in order of importance.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suggested evaluation guideline for each mindset through studying definition of each term, term structure and relationship to design thinking. Empathy assessment should include evaluating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Collaboration evaluation should include assessing attributes of conformation and teamwork. In order to evaluate spirit of the experiment, nature of the try-out and the attitudes of curiosity, enthusiasm, and welcome-mind must be evaluated. Evaluation of integrative thinking should include assessment of the ability to embrace ambiguity, the ability to synthesize, and the ability to think systematically. Open mind evaluation should include attributes of the accommodation process.

      • KCI등재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 개발

        김선연 ( Sunyun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3

        최근 예술 및 경영 분야뿐만 아니라 교육에서도 디자인 씽킹은 집단 창의성의 향상과 창의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방법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 씽킹의 핵심아이디어를 반영한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여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의 단계와 구체적인 활동들을 반영한 최종 모형을 개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은 수업의 단계와 마찬가지로 도입, 전개, 정리의 3단계로 구분하고 도입 단계에 집단 이해-공감-정의, 전개 단계에 발상-선정, 정리 단계에 생각 시각화-검토-프로토타입-파일럿 테스트로 세분화하였다. 이때 정리 단계는 대학의 다양한 전공의 수업을 고려하여 정리 1(생각 시각화-검토), 정리 2(프로토타입-파일럿 테스트)로 분리하여, 도입부터 정리 1단계까지를 기본 단계, 정리 2단계까지를 심화 단계로 하였다. 둘째,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9단계별 총 36개의 핵심적인 활동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된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단계, 활동들, 그리고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9단계, 총 38개 활동)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기존 디자인 씽킹 모델 단계와의 관련성에 대해, 개인 창의성 사고과정 및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과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의 대표적 시사점은 첫째, 각 단계에서 요구되는 구체적인 활동들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수업에서 적용하기 용이하다는 것, 둘째, 기본과 심화 단계로 분리하여 대학의 다양한 전공과 상황에 유연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 마지막으로 집단 협력학습에서 집단 창의성 증진을 위한 방법적 절차와 실용적 전략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Recently, design thinking is paid attention as a way to increase group creativity and creative thinking not only in the field of art and business but also education. This study, thus, was to develop a thinking process model for group creativity that reflects the central ideas of design thinking. For this, the study conducted delphi survey with 15 experts and completed a final model, which includes steps of thinking processes and related concrete activities.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creativity thinking process model, like instruction, was divided into 3 steps including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arrangement; concretely, introduction step includes group understanding-empathy-definition, development step includes ideation-selection, and arrangement step includes thinking visualization-review-prototype-pilot test. As considering varied fields of college class, the model was classified into 2 stages including basic stage (from introduction step to arrangement 1 step) and deep one (from introduction step to arrangement 2 step), in which the arrangement step 1 includes thinking visualization-review and the arrangement step 2 includes prototype-pilot test. Second, through experts' validity verification, the study identified 9 steps including a total of 36 key activities. Finally, the study developed a group creativity thinking process model through expert delphi survey and experts' opin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both ab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n individual creativity thinking process and creative problem-solving model and about the relations of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he study presents some implications of the group creativity thinking model. Included were easy of applying the model to a class since the model systematically presents concrete activities required in each step; flexible of applying the model to a college class that has varied fields and situations since the model presents basic and deep steps; presenting methodological procedures and practical strategies to increase group creativity in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 KCI등재

        열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직관적 사고의 특징 - 발현의 맥락 및 논리적 사고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박준형 ( Joonhyeong Park ),송진웅 ( Jinwoong S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이 열 현상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직관적 사고의 특징을 `발현의 맥락`과 `직관적사고와 논리적 사고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학생 9명에게 열 현상과 관련된 문제를 제시하고,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고를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설명 기저에 있는 사고의 맥락을 총체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임상면담 기법을 활용하여 학생의 사고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직관적 사고의 특징을 `발현 과정의 특징`과 `발현의 촉진` 측면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직관적 사고의 발현 과정에서 학생들은 직관적 사고를 통해 해결방법을 먼저 떠올리고 논리적으로 해결방법을 정당화하였으며, 문제 상황과 관련된 구체물과 추상적개념을 직관적으로 연결 짓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초등학생들은 충분하지 않은 정보 속에서 직관적인 예감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갔다. 둘째, 직관적 사고는 의도적인 사고 전략을 통해 발현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전략으로 그림으로 그려보기, 다른 관점이나 반대로 생각해 보기, 방법을 통합하기가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직관적 사고에 대한 본 연구결과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하였던 학생들의 직관적 사고를 드러내어 탐색하고, 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을 새로운 관점에서 조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겠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문제해결 상황에서의 과학학습에서 나타난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eatures of elementary students` intuitive thinking emerged during problem solving activities as it related to thermal phenomena, focusing on when intuitive thinking appears and how it is related to logical thinking. For this, we presented a problem related to thermal phenomena to nine 5th-grade students, and examined how students` thinking emerged in the activities. We conducted clinical interviews to investigate the thinking process of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made their own solutions and justified it later during the emergence process of intuitive thinking. It was also found that students connected concrete materials and abstract concepts intuitively. They solved the problem by making predictions even when information is insufficient. Second, it was shown that intuitive thinking can emerge through the intended strategies such as drawing a mental image, thinking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and integrating methods. These results, which are related to the students` intuitive thinking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and will be the basis for helping students in the context of discovery of their problem solving activities.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추상적 사고 수준별 시간관과 성장 마인드세트 차이 분석

        김정윤,박찬정,현정석,이경은 대한사고개발학회 2014 사고개발 Vol.10 No.1

        There are many types of thinking abilities for living 21st Century. Since creative problem solving became one of the biggest issues in schools, the research about various kinds of thinking abilities such as creative thinking, critical thinking, logical thinking, and abstract thinking has been proposed recently. This paper focuses on abstract thinking among the various types of thinking. Due to the advent of IT, IT becomes an indispensable technology for human beings. Also, due to these phenomena, abstract thinking ability plays a key role in Computational thinking which begins to emerge with 3R (Read, wRite, and aRithmetic). In addition, since abstract thinking is reported to help problem solv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paper propose an efficient way to improve abstract thinking ability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abstract thinking ability. To achieve this purpose, we adopt time perspectives and the mind set focused on future change as the influential factors. For our paper, we surveyed 375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hen we used Behavior Identification Form for measuring their abstract thinking levels. Finally, we propose a way to improve abstract thinking level as well as academic achievement level. 본 연구는 청소년의 추상적 사고 수준과 시간관, 마인드세트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생 3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추상적 사고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행동정체성척도를 이용하였다. 시간관에서 미래지향적 시간관은 끈기, 계획성, 약속이행의 하위요인으로 나누고, 현재쾌락적 시간관은 충동성, 위험추구, 자극추구, 쾌락추구의 하위요인으로 나누어 추상적 사고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추상적 사고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학업성취도와 성장 마인드세트, 미래지향적 시간관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추상적 사고가 높을수록 미래지향적 시간관의 하위요인들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현재쾌락적 시간관에서는 위험추구 요인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추상적 사고와 학업 성취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