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초적 사고 기능의 개발을 위한 수업 조건

        양용칠 대한사고개발학회 2013 사고개발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structional conditions to effectively teach basic thinking skills to learners. The basic thinking skills to be reviewed in the study were observation, inference, analysis, comparison, and evaluation. The instructional conditions were explor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what is to be learned, the learner,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instructional development constraints by each thinking skill. This study has constraints which have not covered overall condi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most of basic thinking skills. However, it seems that the study can suggest ideas and directions for investigations of instructional conditions and strategies for further studies on developing learners' basic thinking skills. Based upon the study, instructional conditions for developmental thinking skills(concept formation, explanation, prediction, and hypothesis formation), and complex thinking strategies(problem solving, decision making,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can be further explored.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on instructional conditions explored in this study and on effects of their applications in the classroom can be conducted. 이 연구는 기초적 사고 기능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조건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기초적 사고 기능은 김영채(2013)가 분류한 관찰, 추론, 분석, 비교와 평가로 선정되었다. 이들을 개발하기 위한 수업 조건은 사고의 내용, 학습자, 학습환경, 그리고 수업활동 제한점의 특성을 중심으로 정리되었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개발된 모든 사고 기능의 개발을 위한 수업 조건을 포괄하지 못하고, 더 많은 기초적 사고 기능을 다루지 못한 한계점을 갖고 있다. 그렇지만 이 논문은 사고력의 개발을 위해서 기초적 기능부터 바르게 사고하도록 가르칠 전략과 각 사고 기능의 습득에 필요한 수업 조건의 연구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발달적 사고 기능(개념, 설명, 예측과 가설), 그리고 복합적 사고 전략(문제해결, 의사결정, 비판적 및 창의적 사고)의 개발을 위한 수업 조건에 관한 연구가 계속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제시한 기초적 사고 기능을 가르치기 위한 조건을 실제 수업에 적용해서 그것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도 이뤄질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연령에 따른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의 발달경향

        정미선,정세영 대한사고개발학회 2010 사고개발 Vol.6 No.1

        This study has been established with two fold purpose: The first one investigate developmental trends in the creative thinking and personality of age, and the second one aimed at explore how they were related to each other. Participants included 194 from 2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university students.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TCT(Torrance Tests of Creativity Thinking)and WKOPAY(What Kind of Person Are You?).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velopmental trends of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were revealed curve-linear shape. First, creative thinking showed age-related changes. The curve of creative thinking is appeared one peak and two troughs. Second, creative personality was showed age-related changes, but they didn't show significance difference of age. There are acceptance of authority which was marked striking results. Third,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were positive related. Expecially, acceptance of authority and awareness of others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Creative thinking and 3 factor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quisitiveness. But they had little correlations with self-confidence, disciplined imagina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discussed in reference to level of cognition development, affective process and culture. This study is describe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otential and performance and cut down their losses. 본 연구에서는 연령에 따라서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이 어떻게 발달하는지를 알아보고, 두 변인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초등학교 2학년부터 대학생까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창의적 사고력은 TTCT, 창의적 성격은 WKOPAY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 모두 학년에 따라 비연속적인 발달형태를 나타났다. 첫째, 창의적 사고력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정점과 최하점이 되는 시점이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성격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권위의 수용에서 더욱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성격은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특히 권위의 수용과 타인에 대한 의식은 아이디어의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과는 부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창의적 사고력 지수와 3가지 요인은 탐구심과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으나 자신감, 적극적 상상과는 거의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가지고 인지발달수준과 문화, 사고의 태도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성장에 따른 창의력의 잠재력과 수행을 예언하고 학습장면에서 창의적 수행의 손실을 줄이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두뇌우성사고유형 및 다중지능유형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김경미,윤수근,정해주,이경훈 대한사고개발학회 2011 사고개발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t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A, B, C, D quadrant thinking type), multiple intelligences and academic achievement by the major of univer- sity students. The subjects were 383 undergraduate students from the Collage University in Busa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tests were conducted by using the Herrmann Brain Dominance Instrument and MIDAS for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 first,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multiple intelligences. Therefore, the result of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as well as the multiple intelligences are possible to be used as psy- chological dynamic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weren't correlated to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objects of current study were only D Univer- sity freshmen, so this caused problem to represent whole University Students. Also, we set the level of school achievement as average grade of first semester in their first year without concerning the major nor department, so there was a limitation of disclosing the level of school achievement among the D University Students. Third, the multiple intelligences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specialized group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unspecialized group but the each specialized group wasn't correlated to it. Therefore, the close correlations between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and the multiple intelligences have revealed and they imply they can predict the level of school achie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depends on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of the multiple intelli- gences. Also, a study, concerning the limitation of the current study through the post study is required for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improvement strategy of University Students' school achievement depend on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and the multiple intelligences. 본 연구는 대학생 개인의 심리적 역동적 변인 중 두뇌우성 사고유형 및 다중지능유형과 학업성취도가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 3년제 D대학교 1학년 대학생 383명으로 이들의 두뇌우성 사고유형 및 다중지능유형과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검사도구는 Herrmann의 두뇌우성 사고유형 검사(BDI)와 대학생 및 성인용 MI발달평가척도(MIDAS)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두뇌우성 사고유형과 다중지능유형 간의 관계는 상관성이 있으므로, 두뇌우성 사고유형 및 다중지능유형의 측정결과는 대학생의 심리적 역동적 요인으로 활용 가능하다. 둘째, 대학생의 두뇌우성 사고유형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의 연구대상을 2․3년제 D대학교 1학년 학생만으로 연구가 수행되어 전체 대학생으로 일반화하는데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전공 및 학과 구분 없이 1학년 1학기 평균평점을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학업성취 수준을 완전히 밝히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셋째, 대학생의 다중지능유형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다중지능유형 집단 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미분화 집단과 각 다중지능유형으로 분화된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두뇌우성 사고유형과 다중지능유형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두뇌우성 사고유형 및 다중지능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예측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연구의 한계점을 고려한 후속연구를 통해 두뇌우성 사고유형 및 다중지능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 전략에 대한 효과검증이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한 고등사고력 교육의 원칙 및 제한점

        신종호,민지연,김수향,권수진 대한사고개발학회 2013 사고개발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oretical principles regarding higher thinking development and ways to narrow gap between theoretical principles and a real school field. In this study, a definition of higher thinking was reestablished and theoretical principles were drawn from literature review. And whether theoretical principles were applied well to real school settings and whether there were any difficulties with application were surveyed. As a result, five key principles for higher thinking development were presen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First, curriculum based on activities and inquirie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Second, teachers should provide an open, encouraging environment for active students participation in higher-thinking programs. Third, thinking disposition as well as thinking ability needs to be improved. Fourth, high importance should be placed on creation-centered educational outcomes as well as on educational simple application. Fifth, integrated education should be realized. The results of survey also showed that teachers recognized highly importance and necessity of higher-thinking education but curriculum were not conducted well because of the lack of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inflexible school climate. In addition, evaluative awareness was quite low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inking education and methodological knowledge. Finally, we proposed specific suggestions for applying higher-thinking programs to real school settings in terms of contents, management, curriculum and evaluation. 본 연구는 고등사고력 계발과 관련된 이론적 원칙과 학교 현장 사이의 괴리를 해결하기 위한 제언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 분석을 통해 고등사고력의 개념 및 요소를 재정립하고, 이론적 원칙들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러한 원칙들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으며, 어떠한 어려움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고등사고력 향상을 위한 다섯 가지의 중요한 원칙이 도출되었다. 첫째, 활동·탐구 중심의 수업을 실시해야 한다. 둘째, 허용적인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사고능력과 함께 사고성향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응용/적용을 넘어서 창출을 중심으로 한 교육 결과를 지향해야 한다. 다섯째, 통합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설문조사결과, 현직 교사들은 사고력 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지만, 교수-학습 자료의 부족과 경직된 학교풍토로 인해 사고력 교육은 기대만큼 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사고력 평가에 대한 이해 부족과 방법적 지식 부족으로 인해 사고력에 대한 교사들의 평가적 인식수준은 상당히 낮았다. 마지막으로 학교 현장 교육의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제안점들을 내용·운영·교육과정·평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예비교사들의 수행평가 경험에 대한 반성적 사고 분석

        하은옥,강문숙,이경철,김석우 대한사고개발학회 2013 사고개발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level of reflective thought was changing through the process of the experience reflection, experience sharing, and discussion, and theoretical learning on the per- formance assessment, reconstruction of the experience of performance assessment for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the course of ‘educational assessment’.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are twenty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ho took the course of ‘educational assessment’ both in the face to face and cyber classroom from March 7th to June 20th, 2012. The tools of research were the Step 6 of ‘frame of reflective thinking level’ that was used in the researches of Kwakdeokju(2007) and Joe Dezhou et al(2008) based on the frame of ‘4 step analysis’ of Hatton and Smith(1995).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most research participants have the higher level of the reflective thinking at the reconstruction level of per- formance evaluation experience than the reflection level of performance evaluation. This result reveals that the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of pre-service teachers can be increased by the process of direct reflection of experience, experience sharing and discussion, theoretical knowledge acquisition, and the reconstruction of experience, etc.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평가를 수강했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자신들이 경험했던 수행평가에 대한 경험회상, 경험공유와 토론, 수행평가에 대한 관련자료 학습, 수행평가 경험 재구성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반성적 사고수준은 어떻게 변화 해 가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교육평가 과목을 수강한 학부생과 대학원생 총 19명이며, 3월부터 6월까지 수업시간과 사이버 강의실의 토론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Hatton & Smith(1995)의 4단계 분석 틀에 기초하고 곽덕주 외(2007)와 조덕주 외(2008) 등의 연구에서 사용한 반성적 사고수준 6단계 분석 틀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반성적 사고수준은 수행평가 경험회상 단계에서 보다 수행평가 경험 재구성단계에서 높은 수준의 반성적 사고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교사들의 경험공유, 토론, 학습, 경험의 재구성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반성적 사고 수준이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 받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동화를 활용한 교육연극이 초등학생의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현귀선,윤경미,김정섭 대한사고개발학회 2009 사고개발 Vol.5 No.1

        The objection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improvement of critical thinking reaching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construct and apply the education play program to verify fairy tales. An issue of this study to set up on this study is following as: First, which effect does the education play using fairy tales have about critical thought function improvement? Second, which effect does the education play using fairy tales have on critical thought style improvement? This study had an objection as two classes of children 53 (boys 26, girls 27) in the 6th grade going to K elementary school. The conclusion to get in this study being based on the result above is following as. First, education play using fairy tales is effective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itical thought function. Second, education play using fairy tales is effective on impro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itical thinking style. 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한 교육연극이 초등학생의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생 6학년 총53명으로 비판적 사고 기능 검사, 비판적 사고 성향검사를 사전, 사후 검사로 실시하였다. 공변량 분석 결과에 나타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를 활용한 교육연극은 초등학생의 비판적 사고기능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동화속의 인물을 자신의 삶에 반영해 보고, 이해해 보는 과정에서 실시한 다양한 활동들은 추론적이고 분석적이며, 논리적인 비판적 사고 기능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본 프로그램은 비판적 사고 성향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편견 없음과 호기심, 비판적 사고 자신감, 성숙 등을 증진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 KCI등재후보

        기독교 유아교사의 신앙성숙도와 빈곤에 대한 사고와의 관계

        김유경,김미경 대한사고개발학회 2013 사고개발 Vol.9 No.3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the degree of faith maturity and thinking toward poverty among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More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teachers with Christian faith, thus providing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basic data for checking their faith and thinking and enhancing their attitudes for their roles as social supporters to young children under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f povert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39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for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ttached to churches and missionary nurse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rded the highest degree of faith maturity in the doctrine, faith, and personality aspect in the descending order. Second, they showed a favorable and positive thinking toward poverty when their faith maturity was high. Third, their faith maturity had explanatory power to predict their thinking toward poverty. Their faith maturity in the personality aspect, in particular, exhibited very high explanatory power to predict their attitudes toward poverty. In conclusion,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faith maturity had relations with their thinking toward poverty. 본 연구는 기독교 신앙을 가지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신앙성숙 정도가 빈곤에 대한 사고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위치한 교회 부설 어린이집과 유치원, 선교원 등의 기독교 유아교사 239명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교사의 신앙성숙도가 높을수록 빈곤에 대해 우호적이며 긍정적인 사고를 나타냈다. 둘째, 기독교 유아교사의 신앙성숙도(교리적, 신앙적, 인격적)가 빈곤에 대한 사고를 예측하는데 설명력이 있으며, 특히 인격적 측면의 신앙성숙은 빈곤에 대한 사고를 예측함에 있어 매우 높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기독교 유아교사의 신앙성숙도가 빈곤에 대한 사고와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신앙성숙도가 높은 교사는 빈곤에 대해 우호적이며 빈곤의 원인을 사회구조적 문제로 인식하는 경향으로 긍정적 사고를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신앙성숙도가 빈곤에 대한 사고를 예측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독교 유아교사로서의 신앙과 사고를 점검하는 기회를 삼고 빈곤에 기인한 직·간접의 영향 속에 있는 유아에게 사회적 지지자로서의 교사 역할을 위한 태도함양 모색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창의력 개발을 위한 수업의 조건

        양용칠,허소현 대한사고개발학회 2017 사고개발 Vol.13 No.4

        학습자의 창의력은 구호나 논쟁만으로 결코 개발되지 않는다. 이제는 교육현장의 교수자가 창의력 개발을 위한 수업을 제대로 실천하도록 구체적으로 도와주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창의력 개발을 위해서 교수자가 실천하는 데요구되는 수업의 조건을 탐구하는 데 있다. 구체적 연구내용은 김영채(2007a)가 제시한 창의력 개발을 위한 수업의 세 가지 방안을 교실수업에서 실제로 이룰 수있는 조건의 규명이다. 첫째는 학습자의 창의적 태도 형성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 교수자가 수업을 창의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할 조건을 제시하였다. 둘째는 학습자의 창의적 사고와 행위의 유발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교수자가 수업에서 사고 도구를 활용할 조건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셋째는 학습자의 창의적 아이디어와 행위를 수용하고 인정하는 분위기 형성을 위한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조건들을 충족하면서 교수자가 학습자의 창의력 개발을 돕는 수업기술을 연마할 수 있는 연수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과, 학습자의 창의력 개발을 위한 교수자의 수업 창의 력을 높일 수 있는 창의수업경진대회가 다양한 차원에서 수시로 개최되기를 제안 하였다. The development of learners' creativity is no more than any issues or slogans for an educational policy. It is an emerging task to be actually implemented in the classroom setting. It is also the right time for a creative idea of how to be implemented in instruction to b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present instructional conditions to be implemented for developing learners' creativity. The specific research contents were the exploration of instructional conditions in the classroom setting to come true Kim Yung Che's three instructional strategies(2007a) for developing creativity. Instructional conditions for his first instructional strategy for developing creativity were for classroom teachers to design and implement creatively the instructional plan-itself in order to have an effect on learners' creative attitude formation. Instructional conditions for his second instructional strategy for developing creativity were to let classroom teachers use thinking instruments to help learners with improving their creative thinking and action. And instructional conditions for his third instructional strategy for developing creativity were to make classroom atmosphere for learners' creative thinking and action to be accepted and encouraged in the classroom every time. In-service programs for improving instructional techniques to easily employ those instructional conditions every period in the classroom should be developed, and then creative instruction-competitive exhibitions might be held for improving teachers' competency in a variety of level in the nation wide.

      • KCI등재후보

        비판적 사고력 교육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대입논술작성에 미치는 효과

        유주미,임정준 대한사고개발학회 2014 사고개발 Vol.10 No.3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prove how effectively critical thinking programs may have an impact on essay-writing skills for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the study attempted to pay more attention on the link between the role of critical thinking and the principle of essay evaluation. In particular, the eight-week education programs were designed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skills on the basis of in-depth, diversity, and transference to other areas. It was found that 14% of all the participants passed the pre essay test while the rate of success increased to 92% in the post essay test. In other words, the introduction of the critical thinking program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improving students’ essay-writing skills. The bottom line is that critical thinking skills can be effectively learned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which would be applied to the curriculum development in terms of critical thinking and essay writing skills. 최근 대학 입시과정에서 논술시험을 통해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논술수준 향상을 위해 비판적 사고력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사고력과 논술 평가 원리 간 유사점에 주목하였고 비판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교육을 논술교육에 접목하는 방식으로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비판적 사고력의 주요 구성 요소인 심층성과 다각성 그리고 영역 전이성을 근간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실험 연구는 비판적 사고력 교육 전후 비교를 위해 동일 대상에 대한 사전 및 사후 검사로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14%에 불과했던 1차 통과자 비율이 비판적 사고력 학습이 진행된 이후에 92%로 증가하였다. 뿐만 아니라 개별논술 답안의 점수 역시 유의하게 상승하는 결과를 통해 비판적 사고력 교육의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비판적 사고력이 체계적인 교육훈련을 통해 습득되고 개발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으며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에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학생의 학업정서조절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허소현,양용칠 대한사고개발학회 2017 사고개발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to teach techniques and strategies to self-regulate emotions when students experience negative emotion in learning situation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researchers first derived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academic emotion through the related literature review. Five components of academic emotion were derived: Next, we used ADDIE model to develop a program to teach learners' techniques and strategies to control their emotions in learning situations by utilizing these components. It was developed with the techniques and strategies for developing the ability to control academic emotions for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the five components of academic emotion regulation. This program consisted of 3 units and 8 chapters. The 8 chapters are 2 concepts of academic emotion and emotion regulation, five techniques and strategies for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nd one application and practice. Each chapter consisted of attention, learning objectives, data presentation, practice and organization. The academic emotion regul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self-learning situation of learners. And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on integration the techniques and strategies of academic emotion with students' learning skills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학습 시에 경험하는 부정 정서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학업정서의 조절에 필요한 구성요소가 문헌분석을 통해서 도출되었다. 도출된 구성요소는 인지전략과 행동전략으로 구분되는데, 전자에는 정서 인식과 수용, 능동적 사고와 긍정적 재평가, 후자에는 목표지향행동과 도움구하기로 모두 5개이다. 이들 구성요소를 활용해서 학습 시에 자신의 정서를 조절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ADDIE 수업설계모형에 따라 개발되었다. 분석단계에서는 중학생들의 학업정서실태를 조사하고, 지금까지 개발된 정서조절 및 학업기술 프로그램이 검토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의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내용분석이 이루어졌다. 다음 설계단계에서는 평가도구와 교수전략이 개발되었고, 개발단계에서는 학업정서조절 체크리스트와 교재가 개발되었다. 이 프로그램의 내용은 학업정서와 학업정서조절의 이해, 학업정서조절을 위한 기법과 전략의 이해, 이들 기법과 조절의 적용 및 연습이다. 이들 내용은 주의집중, 학습목표, 자료제시, 연습과 정리의 단계에 따라 학습이 수행되도록 개발되었다. 마지막 실행 및 평가단계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형성평가와 수정이 이뤄졌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자율적 학습 프로그램이며, 정서조절기법과 학습기술을 통합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제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