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지혜'의 개념과 과학교사들의 '지혜'에 대한 인식

        임인숙,송진웅,Lim, Insook,Song, Jinwoong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4

        지식 기반사회이자 스마트 시대에 접어든 오늘날, '지혜로서의 과학'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는 과학교육에서 새로운 접근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식교육의 한계를 인식하고 새로운 교육적 대안으로서 '지혜'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먼저 철학, 심리학, 교육학에서의 지혜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지혜개념의 4가지 영역과 20개의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인식조사 설문지를 제작하여 세 집단(예비 과학교사, 과학교사, 타교과 교사)의 지혜 개념 인식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들이 속해 있는 지혜의 4가지 영역별 평균을 낸 결과, 세 집단 모두 공통적으로 실제적, 지능적, 정신적, 대인적 영역의 순서대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둘째, 20개의 문항 각각에 대해 평균을 낸 결과,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문항은 '무엇이 중요한 문제인지 잘 포착한다.(문항5)'였다. 셋째, '주변의 지혜로운 사람'의 특징을 묻는 개방형 질문에 대해서는 실제적 영역 다음으로 대인적 영역에 해당하는 응답이 많이 기술되어 첫 번째 연구결과와 대조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응답자의 80% 정도가 학교교육을 통해 지혜가 길러질 수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방법으로 교과지식 위주의 학습적 측면과 교과지식 외의 활동적 측면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과학 과목에 등장하는 핵심 개념들 중에서 '지혜'라는 말을 듣고 떠오르는 개념과 그 이유를 적게 한 개방형 문항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네 가지 유형-(1) 해당 개념을 이해하거나 적용하는 데 지혜가 요구됨 (2) 해당개념의 의미에 지혜의 요소가 포함됨 (3) 해당 개념을 만든 사람 또는 만든 과정이 지혜로움 (4) 지혜 계발에 도움이 되는 과학관련 활동 또는 역량-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part of our research project that considers 'Science as Wisdom (SaW)' as a new approach to science education. We presented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wisdom from relevant areas as philosophy, psychology and education, and drew a few educational meanings. We also conducted a survey of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wisdom to obtain implications for a follow-up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service science teachers, and teachers of other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hree groups of participants perceive 'practical' domain of wisdom as most important while 'interpersonal' domain was perceived as least important. Second, all three groups of participants perceive that 'to catch what the most important problem is,' is the most important among 20 elements of wisdom. Third, when participants were asked about the 'wise people around them', the interpersonal domain followed as the second most frequent response after the 'practical' domain, which was in contrast to our first finding above. Fourth, about 80% of all participants answered that wisdom can be cultivated through school education. Finally, answers to the question asking the scientific concepts related to wisdom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s follows: (1) the wisdom required to understand and apply scientific knowledge, (2) the wisdom included in the meaning of scientific knowledge, (3) the wisdom needed to discover scientific knowledge, (4) the wisdom that can be developed through scientific activities.

      • KCI등재

        한 초등 경력교사의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 교수지향과 PCK 요소들 사이의 관련성 탐색 -물체의 운동과 빛과 렌즈 단원을 중심으로-

        신채연,송진웅,Shin, Chaeyeon,Song, Jinwoong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2

        이 연구는 초등 과학교과 전담을 맡고 있는 한 경력 교사의 과학교수지향(sceience teaching orientation)의 특징과 과학 교수지향이 다른 PCK 요소들과 어떤 관련이 맺고 있는지를 탐색한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해 Magnusson, Krajcik, & Borko(1999)의 PCK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특히 과학 교수지향과 관련하여 Friedrichsen, Driel, & Abell(2011)의 정의를 이용하였다. 과학수업에 전문성이 있다고 인정받는 한 명의 초등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그의 과학수업 21차시를 관찰하였다(물체의 운동 단원 10차시, 빛과 렌즈 단원 11차시). 교사 면담과 참여 교사의 PCK를 명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CoRe(content representation) 응답지를 수집하여 함께 분석하였다. 먼저 사전 면담 자료를 통해 참여 교사의 과학 교수지향을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Friedrichsen, Driel, & Abell(2011)이 제안한 과학 교수지향의 세 측면(과학 교수의 목적과 목표에 관한 신념, 과학의 본성에 관한 신념, 과학 교수학습에 관한 신념)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어구를 찾고, 이를 상위 범주로 분류하여 이에 이름을 붙이는 범주화 작업을 하였다. 과학 교수지향을 제외한 다른 PCK 요소들의 특징은 CoRe 응답지와 수업 관찰 자료를 Magnusson, Krajcik, & Borko 1999)의 PCK 모델에 따라 연역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교수지향의 세 측면과 관련하여 그는 각각 '과학과 일상생활과의 관계와 과학 개념의 습득', '앎에 이르는 방법으로서의 과학', '학생 중심수업'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세 측면은 다중적이고 복합적으로 얽혀 있었으나 '과학 탐구'라는 하나의 과학 교수지향으로 수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교사가 다른 PCK 요소의 선정과 조직에 관련하여 의사결정을 내릴 때 더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신념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과학수업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고 인정받는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지향의 특징, 과학 교수지향과 다른 PCK 요소들과의 관련성을 탐색한 이 연구의 결과는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실천을 이해하는데 있어 과학 교수지향의 역할과 의미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features of science teaching orientation (STO) and its relationships with other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mponents. To do this, based on the definition of STO by Friedrichsen, Driel, & Abell(2011) and PCK model by Magnusson, Krajcik, & Borko(1999), we observed one experienced elementary teacher's science lessons for 21 lesson hours (10 hours of 'Motion of Objects' and 11 hours of 'Light and Lens') and carried out qualitative analyses of the data obtained from lessons observation, teacher interviews, and CoRe (content representation) responses. We analyzed the teacher's three aspects of STO (i.e. beliefs about the goals and purpose of science teaching, belief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and beliefs about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which can converge into an overall STO of 'inquiry'. And these aspects of STO appear to interact differently with four PCK components (i.e. curriculum knowledge, learner knowledge, instructional knowledge, and assessment knowledge) depending on the topic of the lesson. It is hoped that this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STO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PCK components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how to monitor and improve STO and PCK of elementary teachers.

      • KCI등재

        초등 교사의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에 대한 윤리적 민감성

        박지선 ( Park Jisun ),송진웅 ( Song Jinwoong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6 초등과학교육 Vol.35 No.4

        As curriculum statements require addressing ethical and social issues which are raised by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the ability to perceive ethical and social issues regarding science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introduce socio-scientific issues (SSI) in their science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thical sensitivity on SSI and attempts to giv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To explore the ethical sensitivity in the context of SSI, the revised version of the Test for Ethical Sensitivity on Science (TESS) was used. Two socio-scientific issues (genetic engineering and radioactive waste) were provided to read and write down five possible questions they believed should be considered before reaching a decision. Data was collected from eighty-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orea. To analyze the ethical sensitivity, the responses including ethical considerations were analyzed by situation and ethical issues. The result showed that 81 out of 82 teacher participants provided at least more than one ethical consideration on each scenario of this study. However, not many teacher could raise various ethical issues and situation that ethical issue might occur. There were only a few teaches who could consider all the situations, `process of scientific research`, `appli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science influenced by society`, that ethical issues might occur. Especially, teachers failed to consider that the ethical issue can occur in the situation when science is influenced by society.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that during teacher education teachers need to experience finding various ethical issues that can occur in the context of SSI and especially considering the ethical issues when science is influenced by society.

      • KCI등재

        “온라인 학습 공동체”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장진아(Chang, Jina),송진웅(Song, Jinwoong),정용재(Joung, Yong Jae)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8 교과교육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이루어진 온라인 학습 공동체에 대한 70편의 국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초·중등 온라인 과학 학습 공동체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 주제, 방법, 대상별로 기존 연구들의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된 온라인 학습 공동체의 유형과 특징, 학습과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금까지 온라인 학습 공동체의 참여 모습을 분석하거나, 프로그램을 설계·적용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으며, 대학생, 교사 또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많았다. 특히 참여 대상의 특징은 공동체 유형과 연결되었는데, 교사나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은 주로 ‘자발적’ 학습 공동체를,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은 주로 ‘전략적’ 학습 공동체를 많이 분석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비해 초·중등 교육이나 교과 교육 분야에 대한 연구는 적었다. 또한 온라인 학습 공동체와 관련된 여러 요인들이 공동체의 학습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는 과정에서, ‘공동체의 개방성·폐쇄성’, ‘구성원들 간의 수평적·위계적관계’, ‘정서적 친밀감의 효과’ 문제에 대해 기존 연구들의 상충된 관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헌 분석 결과와 이론적 논의들을 토대로 초·중등 온라인 과학 학습 공동체를 구성하는 데에 있어 ‘온라인-오프라인 의존성’, ‘공동체 참여의 개방성’, ‘학습 구성의 자율성’, ‘시스템 운영의 자율성’, ‘학교 과학 교육에 대한 독립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70 studies related to ‘online learning communities (OLCs)’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17 as a basis for implementing meaningful online learn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aim, we investigated research themes, methods, participants, the features of OLCs and the factors related to online learning. As a result, a great deal of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for analyzing the participation and developing the programs for OLCs. The main targets of OLCs’ research were closely related to the different types of OLCs. In details, the ‘voluntary’ learning communities usually consisted of teachers and adults, and the ‘strategic’ learning communities usually consisted of college students. In contras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field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s for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learning of OLCs, some conflicting views were found in terms of ‘openness or closeness of the community’, ‘horizontal or hierarchical relationships among the members’, and ‘the effects of emotional intimacy.’ Based on the literature analysis, we suggested the five areas that need to be considered when organizing OLC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education: the extent of dependence between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the extent of openness in participating in OLCs; the extent of autonomy in learning organizations; the extent of autonomy in system organization; the extent of independence from school science education.

      • KCI등재

        열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직관적 사고의 특징 - 발현의 맥락 및 논리적 사고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박준형 ( Joonhyeong Park ),송진웅 ( Jinwoong S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이 열 현상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직관적 사고의 특징을 `발현의 맥락`과 `직관적사고와 논리적 사고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학생 9명에게 열 현상과 관련된 문제를 제시하고,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고를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설명 기저에 있는 사고의 맥락을 총체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임상면담 기법을 활용하여 학생의 사고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직관적 사고의 특징을 `발현 과정의 특징`과 `발현의 촉진` 측면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직관적 사고의 발현 과정에서 학생들은 직관적 사고를 통해 해결방법을 먼저 떠올리고 논리적으로 해결방법을 정당화하였으며, 문제 상황과 관련된 구체물과 추상적개념을 직관적으로 연결 짓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초등학생들은 충분하지 않은 정보 속에서 직관적인 예감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갔다. 둘째, 직관적 사고는 의도적인 사고 전략을 통해 발현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전략으로 그림으로 그려보기, 다른 관점이나 반대로 생각해 보기, 방법을 통합하기가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직관적 사고에 대한 본 연구결과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하였던 학생들의 직관적 사고를 드러내어 탐색하고, 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을 새로운 관점에서 조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겠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문제해결 상황에서의 과학학습에서 나타난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eatures of elementary students` intuitive thinking emerged during problem solving activities as it related to thermal phenomena, focusing on when intuitive thinking appears and how it is related to logical thinking. For this, we presented a problem related to thermal phenomena to nine 5th-grade students, and examined how students` thinking emerged in the activities. We conducted clinical interviews to investigate the thinking process of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made their own solutions and justified it later during the emergence process of intuitive thinking. It was also found that students connected concrete materials and abstract concepts intuitively. They solved the problem by making predictions even when information is insufficient. Second, it was shown that intuitive thinking can emerge through the intended strategies such as drawing a mental image, thinking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and integrating methods. These results, which are related to the students` intuitive thinking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and will be the basis for helping students in the context of discovery of their problem solving activities.

      • KCI등재

        통합 주제로서의 시스템 개념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분석

        지영래 ( Youngrae Ji ),송진웅 ( Jinwoong S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시스템 개념에 대한 인식과 중요성을 탐색하여 과학 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6명의 사범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에서 사용된 질문은 시스템에 대한 인식, 과학에서의 시스템 적용, 과학 학습에서의 시스템의 중요성으로 구성하였다. 분석은 면담 과정에서 사용한 주요 메모를 정리한 노트와 면담 과정을 녹음 후 전사한 자료를 토대로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학생들은 시스템을 객체들의 집합, 공간, 경계 등으로 인식했으며, 선행연구와 다르게 면담 과정에서 구체적이며 다양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문제인식과 계획 단계 등의 문제 해결 단계에서 시스템 개념이 관련된다고 설명했다. 이는 시스템을 선택할 때 요인을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과정이 문제 해결 단계와 동일하다고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셋째, 학생들은 자연 현상의 해석과 관련하여 시스템의 선택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시스템은 관찰자의 목적에 따라 선택되고 주위와 구분된다. 넷째, 학생들은 다른 과학 개념 및 상호작용의 이해, 학생의 인지발달 등과 같이 학습과 관련되어 시스템 개념이 유용하다고 설명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과학 교수-학습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goal of the study was to examine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concept of system in science. The participants are six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Data sources included interviews and interview notes.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understood the concept of system as a group of objects, space, and boundaries, which differed from a previous research study about its details. The students also were able to explain the concept of system related with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The students recognized as well the selection of system for analysis of natural phenomenon, explaining that the selection of system was determined by purpose of the observer. Lastly, the students explained that the concept of system was useful for science learning because it was strongly related with other science concepts, understanding of interactions, and learner`s cognitive development.

      •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창의성’의 의미 분석 연구: 5 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홍옥수(HONG, Oksu),송진웅(SONG, Jinwoong)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5 교육연구와 실천 Vol.81 No.-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개념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해왔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 수준의 과학 교육과정에서 창의성이 어떻게 제시되어 왔는지 분석하였다. 먼저 창의성 개념의 역사적 변화를 ‘주어지는 것에서 길러지는 것으로’, ‘개인적인 것에서 맥락적인 것으로’, ‘영역 일반적인 것에서 영역 특수적인 것으로’로 정리하고, 이러한 변화가 창의성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창의성의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5차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까지 ‘창의’를 포함한 문장 전체를 대상으로 창의성의 개념화 범주, 창의성의 학습상황, 과학 창의성 교육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과학 교육과정은 개인의 인지적 속성으로 창의성을 개념화하는 경향이 짙었으며, 2007개정 교육과정부터는 사고과정을 강조하여 창의성을 제시하는 문장이 증가하였다. 2009개정 교육과정부터는 창의성을 개인의 정의적 속성이나 산출물을 중심으로 제시하는 문장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나, 창의성을 환경적 측면을 중심으로 기술한 문장은 발견되지 않았다. 창의성의 학습상황을 분석한 결과, ‘개인적 상황’을 강조하는 경향이 짙었으며, 2007개정 교육과정부터는 ‘개인적 상황’과 ‘물리적 상황’을 연결하여 제시하는 문장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교사 또는 친구와의 상호작용과 같은 교실 내 ‘사회문화적 상황’에 대한 진술은 발견되지 않았다. 창의성의 영역 특수적 관점에서 과학 창의성 교육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탐구’와 ‘문제해결’이 강조되고 있었으며, ‘교사’의 역할에 대한 고려가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창의성은 개인(집단)이 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발현되는 것이므로 과학 교육과정이 창의․융합형 인재를 길러내기 위한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제까지 중요하게 다루지 못했던 교실의 환경, 학급 구성원들의 상호작용, 교사의 리더십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여 제시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Korean National Science Curriculums in terms of the meaning of creativity. To set the standard for analysis, three features of the historical change in the concept of creativity were discussed: (a) from something to be given to something to be learnt, (b) from a distinct personal trait to a complex trait affected by contexts, (c) from domain-general to domain-specific. Based on these features, the Korean National Science Curriculums was analyzed in terms of ‘categories for conceptualizations of creativity’, ‘learning contexts for creativity’, and ‘features of education for scientific creativity’.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1) Creativity was mostly conceptualized as a personal cognitive trait. Since the ‘2007 Curriculum’, sentences focusing on a ‘process’ began to appear. Since the ‘2009 Curriculum’, sentences focusing on a ‘personal affective aspect’ or a ‘product’ were included. However, statements that conceptualized creativity focusing on ‘environments’ did not appear. (2) Concerning the ‘learning contexts for creativity’, the ‘personal context’ was mainly emphasized. Since the ‘2007 Curriculum’, links between the ‘personal context’ and the ‘physical context’ appeared in relation to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creativity. However, explanations presenting the ‘sociocultural context’ in the classroom did not appear. (3) From the perspectives of domain-specific creativity, the Science Curriculums appeared to emphasize ‘scientific inquiry’ as ‘process’ and ‘problem-solving’ as ‘result’. However, it showed the lack of consideration of teachers’ leadership as a core element of education for creativity. Taken together, this research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s aiming for cultivating the creative talents.

      • KCI등재

        유튜브 과학 채널에 대한 이용실태 분석 및 채널 판별 예측 모형 평가 - 소셜 빅데이터 분석 및 머신 러닝 활용을 중심으로 -

        김형욱 ( Hyunguk Kim ),송진웅 ( Jinwoong Song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2

        본 연구에서는 유튜브 과학 채널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과 이용실태 및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구독자 수와 동영상 수가 많은 두 개의 채널을 선정하고, 소셜 빅데이터 분석의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머신 러닝을 이용하여 유튜브 채널 판별에 대한 예측모형의 평가로 대중들의 반응에 대한 체계적인 탐색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1분과학’이 ‘과학쿠키’보다 조회수, 좋아요수, 싫어요수, 댓글수의 유튜브 지표에서 모두 평균이 높았다. 하지만, 조회수가 좋아요수로 귀결되는 추세선 분석 결과는 ‘과학쿠키’가 ‘1분과학’보다 높은 수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중들이 많은 좋아요수를 통해 관심을 보인 동영상의 주제는 우주와 양자역학에 관련된 주제였다. 채널을 개설한 이후부터 분석한 댓글 추이도 위의 2가지 주제의 동영상이 주목을 받거나 업로드가 되었던 시기에 눈에 띄는 변화를 보였다. 머신 러닝을 이용한 유튜브 채널 판별의 예측 모형 분석결과는 SVM의 시그모이드형 커널 함수가 90.06%의 정확도를 보여 가장 성능이 우수한 모형이었다. 그리고 랜덤 포레스트 모형, 로지스틱 회귀분석도 각각 89.96%, 88.20%의 높은 정확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결정 나무 모형과 knn 분석의 정확도는 앞선 모형들과 비교하였을 때 다소 낮은 편이었으나, 인공 신경망 모형은 다양한 조합의 활성 함수와 은닉 노드의 개수 변화에도 불구하고 모형의 성능이 개선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빅데이터 분석과 머신 러닝을 활용하여 대중들의 관심사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그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분야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ublic interest in YouTube science channels, the condition of use and characteristics, and selected two channels with many subscribers and videos and conducted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big data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systematic exploration of the reaction of the public with the assessment of a model for predicting the classification of YouTube channels, using machine learning. As a result of the study, “One-Minute Science” had a higher average in YouTube Indices, such as the number of views, the number of likes, the number of dislikes, and the number of comments than “Science Cookie.” However, as a result of trend line analysis in which the number of views led to the number of likes, “Science Cookie” had higher levels than “One-Minute Science.” In addition, the topics of videos in which the public showed interests through the number of likes were topics related to space and quantum mechanics. As for the change of comments analyzed since the opening of the channels, when the videos with the above two topics drew attention or were uploaded, there was a noticeable change.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model for predicting the classification of YouTube channels, using machine learning, the sigmoid kernel function of SVM was the model with the best performance, showing the accuracy of 90.06%.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the random forest model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had a high accuracy of 89.96% and 88.20%, respectively. The accuracy of the decision tree model and KNN analysis was somewhat lower than the previous models; however, the performance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did not improve, in spite of active functions in various combinations and the change of the number of hidden nod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big data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should be used to quickly understand the public's interests and provide education on areas where interest is increasing.

      • KCI등재

        초등학교 과학 수업의 탐구활동에서 형성되는 교실 규범의 특징에 대한 사례 연구

        장진아 ( Jina Chang ),송진웅 ( Jinwoong S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과학 수업의 탐구활동 과정에서 어떤 규범이 형성되며 그러한 규범이 탐구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 과학 탐구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여러 문제들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고학년 두 학급의 탐구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수업 관찰, 학생과 교사 면담, 설문지 등의 다양한 출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교실 규범에 대한 이론적 범주로서 생활규범, 범교과 학습규범, 과학탐구 학습규범의 세 가지 범주를 구축하고, 각 범주의 하위 규범들을 귀납적으로 추출하였다. 더불어 각 규범들의 유형과 특징, 그리고 수업 및 탐구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분석하였다. 교실 규범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학교 과학탐구의 실행 과정에서 직면하는 실질적인 문제로서 첫째, 집단적인 탐구 수행이 갖는 구조적인 어려움, 둘째, 탐구수업의 여러 국면에서 다르게 구현되는 교사의 권위, 셋째, 범교과적인 교육적 가치와 과학 탐구에서의 가치와의 갈등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특징들이 학교 과학탐구의 실질적 실행과 교실 현상을 문화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갖는 의미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lassroom norms formed in inquiry activities of elementary science classes and to consider about the actual problems in enacting school science inquiry. Focusing on the inquiry activity cases of two classe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 student interview, teacher interview and questionnaires. Firstly, classroom norm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categories theoretically: norms for behavior guidance; general academic norms; and scientific inquiry academic norms. The subcategory norms of each category were extracted inductively and the features, the causes of formation, and the influences on inquiry of each norm were also analyzed. Based on the analyses on classroom norms, the researchers identified three actual problems in enacting school science inquiry. First, the collective traits of school science inquiry caused structural problems in science classrooms. Second, teachers used their authorities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phases of instructions. Third, the conflict cases were reported between general values for education and specific values for science inquiry.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practices of school science inquiry and of the understanding classroom phenome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