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량 중심의 공직윤리 모델

        김형렬,박균열 한국민족사상학회 2022 민족사상 Vol.16 No.1

        Drawing upon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f normative and moral psychological approaches to public service ethics, this study aimed to offer a model of public service ethic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utilitarianism, deontology, virtue ethics, responsibility ethics, four components model and integrated ethical education model. A unified framework of a competence-based ethics model emerged from our literature review and included five competences i.e., ethical sensitivity competence, ethical judgment competence, ethical identity competence, ethical implementation competence, and ethical responsibility competence. This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본 연구는 역량을 중심으로 공직윤리 모델을 정립하기 위한 기초적인 개념을 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윤리학의 선행연구들 중에서, 공리주의, 의무론, 덕 윤리, 책임윤리 등의 윤리학 이론과 레스트(J. R. Rest)의 4구성 요소 모델, 나바예츠와(D. Narvaez)와 랩슬리(D. Lapsley)의 통합적 윤리교육 모델을 검토하였다. 상기의 이론적 검토를 토대로 본 연구는 윤리적 역량을 직무수행 과정에서의 윤리적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공직자의 인지적이고 정의적인 종합 능력이라고 정의한 후, 이를 그 발현 특성에 따라 다섯 가지 윤리적 역량, 즉 윤리적 감수성 역량, 윤리적 판단 역량, 윤리적 정체성 역량, 윤리적 실천 역량, 윤리적 책임 역량으로 구분한다. 본 연구는 모델 정립을 위한 기초적인 개념을 정립하는 데 주안을 두기 때문에, 향후 이러한 윤리적 역량이 내적·외적 타당도를 가진 요인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경험 연구 필요성을 과제로 남긴다.

      • KCI등재

        학생간호사의 윤리역량에 대한 개념분석

        서형은(Hyung-eun Se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

        본 연구는 Walker와 Avant의 방법을 이용한 학생간호사의 윤리역량에 대한 개념분석 연구이다. 최근 10년 간 윤리역량에 대한 국내 및 국외 선행연구 최종 11편을 선정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생간호사의 윤리역량의 개념은 윤리적 민감성, 윤리적 판단력, 윤리적 행위에 대한 실천의지, 윤리적 행위의 실행력이 속성으로 도출되었다. 선행요인은 자기이해, 지지적 환경, 윤리적 갈등 경험, 윤리교육 경험이었으며, 결과는 간호전문직관,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 환자안전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간호사의 윤리역량 향상을 위해서는 다차원 간 균형적인 성장과 발달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학생간호사의 윤리적 민감성, 윤리적 판단력, 윤리적 행위에 대한 실천의지, 윤리적 행위의 실행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간호사 스스로 충분한 자기이해와 학생간호사를 지원해줄 수 있는 지지적 환경, 과거에 윤리적 갈등상황에 직면했던 경험 및 윤리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의 경험이 선행되어야 하며, 학생간호사의 윤리역량 향상은 결과적으로 간호전문직관을 확립하고,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며, 환자안전에 기여할 수 있다. 이를 기초로 학생간호사의 특성을 반영한 윤리역량의 속성이 잘 반영된 도구 개발 연구를 제언하며, 학생간호사의 윤리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 및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nursing student"s ethical competence. The concept analysis process by Walker and Avant was used to clarify the meaning of nursing student"s ethical competence. As a result, the concept of nursing student"s ethical competence was defined in terms of ethical sensitivity, ethical judgement, willingness to implement ethical behavior, and execution power of ethical behavior. Self-understanding, supportive environment, experience of ethical conflict and experience of ethical education can be seen as antecedents for nursing student"s ethical competence. The nursing student"s ethical competence results in nursing professionalism, satisfaction with nursing, and patient safe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establish a basis for an instrument to evaluate nursing student"s ethical competence. This will guide educators, as well as managers in healthcare,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for improvement nursing student"s ethical competence.

      • KCI등재

        도덕과 교육과정상의 윤리적 역량 재구조화

        김국현 ( Kim Kuk-hyeon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7 倫理硏究 Vol.114 No.1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윤리적 역량은 자기 존중 및 관리 능력, 도덕적 사고 능력, 도덕적 대인 관계 능력, 도덕적 정서 능력, 도덕적 공동체 의식, 윤리적 성찰및 실천 성향 6가지로 제시되어 있다. 윤리적 역량은 교육과정 총론에서 교육 전반에서 촉진되어야 하는 목표로 추구되는 핵심역량을 도덕과 교육의 본질에 따라 변환한 것이다. 교육과정 총론이 제시한 핵심역량을 교과별 핵심역량으로 형식적으로 변환한 결과 윤리적 역량 개념은 의미의 불명료성, 도덕성의 복합적 구성 관 점을 기초로 도덕적 행동의 실천을 강조하는 최근의 도덕심리학에서 강조되는 윤리적 역량으로서의 도덕성 요소와의 부조화, 이 두 가지 문제의 결과로서 윤리적역량 구성요소들의 위계 설정의 불균형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윤리적 역량개념의 불명료성과 오개념은 도덕과 교육의 본질적 목표에 타당한 실행, 그리고 윤리적 역량, 교육내용, 교수·학습의 일관성을 가로막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윤리적 역량의 재범주할 필요가 있다. 도덕성 4요소 이론을 기초로 능력, 의식,성향 3영역으로 구성된 현행 교육과정상의 역량구조를 4요소 및 기능을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범주와 위계를 다시 설정함으로써 교육목표, 내용, 교수학습, 평가의 일관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In 2015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six ethical competencies were suggested. These ethical competencies include self-respect and self-management, moral thinking, moral relationship, moral emotion, moral community sprit, ethical reflection and disposition to do moral action. Ethical competencies in Moral Education curriculum are derived from six key competencies in General Curriculum Guideline which were targeted to be promoted through the entire process of education. Six key competencies in General Curriculum Guideline include self-management competency, knowledge-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creative thinking skills, aesthetic-emotional competency, communication skills, civic competency. These are common to all subjects and are formally changed into each subject`s competencies in respect of characteristics of subject. As a natural result, problems such as a confusion about what constitute ethical competency and ambiguities of meaning, incongruity with ethical competencies, in others words, ethical skills, capacities and dispositions of moral actor which are emphasized in recent moral psychology, and hierarchy imbalance of constructs are appeared.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ate a framework of ethical competency through critical analysis of examples of the expression, and recategorization of constructs of ethical competency.

      • KCI등재

        성인소비자의 자기결정성요인이 윤리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요인에 따른 유형분류 및 윤리적 소비행동분석

        홍은실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9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factors 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and categorize of adult consumers based on self- determination factors and analyze their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Statistical analysis was achieved by using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regression analysis, and War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ith a total of 500 questionnaire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self-determination factors, ‘competence’ was the highest and ‘autonomy’ was the lowest. Among ethical consumption behaviors, ‘moderation and simplicity’ was the highest, while ‘community movement’ was relatively the lowest.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compet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all ethical consumption except ‘commercial ethics’. The ‘relatednes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five ethical consumption behaviors, except for ‘commercial ethics’ and ‘moderation and simplicity’. Meanwhile, “autonomy” had a positive impact on ‘commercial ethics’ and ‘moderation and simplicity’, but it turned out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community movements’. Third, The ‘self-determination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except for the ‘community movement.’ The ‘group with low autonomy’ showed a higher level of ethical consumption across the board, although it had slightly lower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than the ‘self-determination group’. This group has the highest level of ‘community movement’ but the lowest level of ‘commercial ethics’. Fourth, ‘Self-determination ordinary group’ was relatively low in terms of ‘commercial ethics’, ‘local consumption’, ‘fair trade’ and ‘community movement’, while ‘aggressive purchase’ and ‘disappearance movement’ and ‘moderation and simplicity’ were among the lowest with ‘competence/relatedness lack group’. The ‘competence/relatedness lack group’ was only high in ‘commercial ethics’ and other levels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were the lowest. 본 연구는 성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여 자기결정성요인이 윤리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기결정성요인으로 소비자유형을 분류한 후 유형별 윤리적 소비행동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적인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500부의 설문지를 자료로 하여 t-test,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군집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성요인은 유능성이 가장 높고 자율성이 가장 낮았다. 학력이 높고 가계소득이 높으며 직업이 있는 경우 유능성과 관계성이 높았고, 자율성은 직업이 있는 경우 높았다. 둘째, 윤리적 소비행동에서 절제와 간소가 가장 높았으며 공동체운동은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여자와 무직자의 경우 상거래 윤리수준이 높으며, 기혼과 직업이 있는 사람이 공동체운동을 더 많이 하고, 적극적 구매와 로컬소비는 직업이 있는 사람에게서 더 높았다. 한편 연령이 높을수록 공정무역을 제외한 모든 윤리적 소비를 많이 하고, 학력이 높을수록 적극적 구매와 불매운동, 공정무역소비, 공동체운동을 많이 하였다. 셋째, 상거래 윤리를 제외한 모든 윤리적 소비에 유능성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었다. 관계성은 상거래 윤리, 절제와 간소를 제외한 5가지 윤리적 소비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자율성은 상거래 윤리와 절제와 간소에서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공동체 운동에서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었다. 넷째, 유능성과 자율성, 관계성이 높은 ‘자기결정성우수집단’은 공동체 운동을 제외한 모든 윤리적 소비행동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여, 유능성과 자율성, 관계성의 자기결정성요인은 윤리적 소비행동의 긍정적인 동기를 제공해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유능성과 관계성은 높으나 자율성이 낮은 ‘자율성부족집단’은 공동체 운동의 수준이 가장 높으나 반대로 상거래 윤리 수준은 가장 낮았다. 이는 공동체 운동에 유능성과 관계성은 정적 영향을 주나 자율성은 부적 영향을 주고 있음을, 그리고 상거래 윤리에는 유능성과 관계성이 영향을 미치지 않고 오직 자율성만이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인공지능 윤리 역량 신장을 위한 인공지능 윤리 딜레마 개발

        김은경,이영준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3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6 No.5

        인공지능 기술의 빠른 확산으로 인공지능 윤리 문제는 인공지능 전문가만의 문제가 아닌 사회 문제가 되었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 윤리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 윤리 문제를 파악하고 상황에 맞는 적절한 윤리적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인공지능 윤리 역량이 요구되고 있다. 윤리 딜레마를 활용한 토론 수업은 다수의 연구에서 윤리 역량을 신장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인공지능 윤리 교육에서도 인공지능 윤리 딜레마를 활용한 인공지능 윤리 수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에 활용되는 인공지능 딜레마가 한 사례에 매우 치중되어 있어 다양한 인공지능 윤리 요소를 다루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부의 ‘사람이 중심이 되는 인공지능 윤리 기준’의 3대 원칙과 10대 핵심 요소가 반영된 인공지능 윤리 딜레마 9개를 개발하고 전문가를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본 인공지능 윤리 딜레마가 인공지능 윤리 딜레마 활용 교육에 다양성을 높이고 학습자의 인공지능 윤리 역량 신장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With the rapid spread of AI technology, the AI ethics issue has become a social issue, not just an issue for AI experts.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AI ethical problems, AI ethicsal competence are required to identify AI ethical problems and make appropriate ethical judgments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Discussion classes using ethical dilemmas have been shown to increase ethical competency in a number of studies. Accordingly, in AI ethics education, AI ethics classes using AIethics dilemma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 dilemma used for this is very focused on one case, so that it cannot deal with various AI ethical factors. Accordingly, in this study, nine AI ethical dilemmas that reflect the three principles and ten core element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s “human-centered AI ethical standards” were developed, and validity was secured through experts. It is hoped that this AI ethical dilemma will help increase diversity in AI ethical dilemma utilization education and enhance learners' AI ethical competency.

      • KCI등재

        대학생의 글로컬 시민 역량과 의사소통과 윤리적 행동역량 관계분석 연구

        이하원(Lee, Ha-Won),신원애(Shin, Won-Ae) 한국평생교육학회 2019 평생교육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평생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역량인 글로컬 시민역량과 의사소통, 윤리적 행동 역량들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 역량 간의 관계 및 영향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확인하는 데 그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12월 1일부터 30일까지 서울시 소재의 A 대학교 학생 총 465명에게 대학생 핵심역량 검사도구(K-CCCA, Korea-Collegiate Core Competencies Assessment)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2.0을 활용하여 신뢰도,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 다중회귀분석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글로컬 시민역량이 의사소통과 윤리적 행동역량 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고 둘째, 글로컬 시민역량과 의사소통과 윤리행동역량은 총점 및 하위요인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상관을 보였다(p<.001). 마지막으로, 글로컬 시민역량 총점 및 하위요인은 의사 소통과 윤리적 행동역량 총점과 하위요인 모두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p<.001). 본 연구는 글로벌 거버넌스 시대의 대학생들에게 평생교육 차원에서 실시되는 세계시민교 육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역량들을 검증하고 그 관계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glocal civic competence, communications and ethical behavior competences, which are important skills in lifelong education,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nd impact of these competencies on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465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in glocal civic competence and communications, ethical behavior competence of K-CCCA from December 1 to 30, 2017 were analyz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cronbach alpha,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As a result, first, communications and ethical behavior competence have higher score than glocal citizens competence. Second, glocal citizen competence and communications and ethical behavior competency in total and sub-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rrelated (p<.01). Finally, the total, sub-factors glocal competency were found to affect both communications and ethnical behavior competency total and sub-factors (p<.01, p<.001).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validated the major competences that should be included in global civil education, which is conducted in a lifelong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in the global governance era.

      • KCI등재

        교과교육학 : 도덕 심리학 연구의 최근 동향과 도덕과 핵심 역량 개발

        손경원 ( Kyung Won S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5 윤리교육연구 Vol.0 No.37

        본 연구는 도덕역량과 관련된 도덕 심리학의 연구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고 도덕과 핵심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역량의 복잡한 성격 때문에 상당한 논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역량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다. 역량교육은 지식의 수행성과 총체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교육전반에서 이론적 지식 뿐 아니라 실천적 지식을 상황과 맥락에 맞게 재구조화하여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의 수행능력이 중시된다. 비록 역량이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았지만, 도덕 심리학과 도덕교육은 도덕적 지식의 실천적 성격 때문에 도덕적 수행을 중시해왔다. 도덕 심리학의 연구는 역량일반이라기 보다는 도덕성의 발휘와 관련된 역량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5대 역량 틀(①도덕적 사고와 도덕적 판단 역량 ② 개인 윤리적 역량 ③ 대인관계 윤리적 역량 ④ 시민윤리적 역량 ⑤ 자연 초월적 영역)에 근거하여 도덕과 교육과정은 최근 심리학의 세 조류를(뇌과학과 사회정서학습, 도덕적 정체성과 통합적 윤리교육, 긍정심리학과 인격강점) 분석하여 도덕적 특질과 기술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도덕역량 교육에서 기술의 교육의 중요성을 밝히고 도덕적 전문가 수준으로의 교육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current trends of moral psychology related with moral competences and to develop the contents of moral competences in moral education curriculum. While the complexity of the nature of competence raises a number of issues, Competence-based education is grounded on the performative nature of competences as well as a holistic view of competences. Therefore the student’s practical skills for practice have been much emphasis in education which are applied by using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s properly suited for the context and circumstance. Even though a few of researches titled on competence has been in moral psychology, the topic of moral action considered a kinds of competence has an important placed on those researches because of the practical aspect of moral knowledge. Those are not researches on the competence but on the moral competence. The contents system of moral competence-based curriculum is completed through analysing of three new education program based on current three trends of moral psychology(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Integrative Ethical Education, Positive Psychology and Value in Action) in terms of the frame of 5 competences categories (① moral thinking and moral judgement competence ②personal ethical competence ③inter personal competence ④civic ethical competence ⑤nature and transcendental competence). We suggest the contents of skills should be strengthened and be conducted for our students to be moral expert in moral competence-based curriculum.

      • KCI등재

        모두 다 윤리적이라고 말할 때, 무엇이 중요한가: CSR 캠페인 유형과 브랜드 명성이 친환경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차문경,이청림 한국마케팅학회 2020 마케팅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친환경’ 슬로건을 전면에 내세운 기업들이 많아지면서, 그러한 방식의 윤리성 단일차원 마케팅으로는 소비자의 선택을 받기 어려운 시장상황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이에 따라, 친환경 제품 시장에서 브랜드 명성(high vs. low)과 캠페인의 유형(품질형 vs. 기부형)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고자 하 였으며, 브랜드 지각에 있어서 상보적 신념을 이론적 기반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친환경 세탁세제를 대상으로 두 개의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제품의 ‘브랜드명성-구매의도’의 관계는 지각된 윤리적 유능함과 윤리적 따뜻함을 통해 매개되었다. 즉, 모든 브 랜드가 윤리적임을 표방하는 시장에서는 소비자들이 브랜드 명성에 의해 지각하는 윤리적 유능함과 윤리적 따뜻 함에대한상보적신념을통해각기다른심리적기제로브랜드선택이발생할수있다는해석이가능하다. 둘째, 브랜드명성-구매의도의 관계는 캠페인의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품질형 캠페인 조건에서는 브랜드명성 -구매의도의 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기부형 조건에서는 예상과는 달리 브랜드 명성이 구매의도를 예측하 지 않았다. 셋째, 품질형 캠페인으로 친환경 제품을 접한 소비자들은 제품의 기능적 측면이 환경에 어느 정도 기 여할 것인지를 중심으로 브랜드를 선택하였다. 반면, 기부형 캠페인에서는 윤리적 유능함과 윤리적 따뜻함 모두 구매의도에 대해 기능하지만, 브랜드 명성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소비자들이 브랜드가 지닌 유능성에 관여하지 않음으로써 지각된 윤리적 따뜻함의 영향으로 구매에 영향을 받은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넷 째, 소비자개인의특성이라할수있는친환경소비에대한효과성지각이구매의도에미치는영향은캠페인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품질형 캠페인 조건에서는 명성이 높은 브랜드는 소비자 개인의 효과성 지각 수준 과 무관하게 높은 구매의도가 나타나지만, 브랜드 명성이 낮은 제품의 경우에는 소비자의 효과성 지각이 높을 때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기부형 캠페인 조건에서는 소비자의 효과성 지각이 구매의도를 예측하지 않았다. 다섯째, 본 연구가 변수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들을 살펴보았지만, 모든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결국 지각된 윤리적 유능함이 소비자의 평가를 가르는 주요한 변수임을 추론할 수 있 다. 이는 소비자들은 대체로 제품 및 서비스제공자의 윤리적 유능함을 선택의 최우선 기준으로 삼는다는 최신 연 구의 결과들에 부합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As the number of companies with the “green” slogan on the front increased, it is becoming difficult for firms to receive consumer choices with a single attribute of ethics. Nevertheless, most existing studies on eco-friendly product have focused on consumer reaction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green attributes. In the present research, the authors aim to understand when and how eco-friendly brands effectively gain a competitive edge in the market. Building on conceptual perspectives from stereotype, ethical competence and ethical warmth, this study examines brand reputation(low vs. high) and campaign type(product quality-based vs. donation-based) jointly affect purchase intention. For this purpose,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reputa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products is mediated by ethical competence and warmth. Second, brand reputation-purchase intention relation depends on campaign type. In the product quality-based campaig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reputation and purchase intention was significant, whereas brand reputation did not predict purchase intention in the donation-based campaign. Third, perceived ethical competence mediates the brand reputation-purchase intention in product quality-based campaign. In the donation- based campaign condition, both ethical competence and warmth predict purchase intention, but brand reputation does not affect purchase intention. We can conclude that consumers’ choice is influenced by perceived warmth by less regarding the competence of ethical brands. Fourth, results in study 2 indicate that the effect of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PCE) on eco-consumption varies by campaign type. In the product quality-based campaign, a brand with higher reputation is preferred regardless of consumers’ PCE level, while low reputation brand was chosen by people who have higher PCE. However, in the donation-based condition, consumers’ PCE did not predict purchase intention. Finally, although the current paper examines several influencing factors on purchase intention, an ethical brand with high competence do not lose their edge in all areas when putting all the results together. This also confirms that consumers generally take the competence of products or service providers as the top priority of choice in the ethical product market. Limitations and further research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인성교육을 위한 덕 윤리와 역량의 관계 탐색

        김호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6

        Researchers in character education these days are interested in virtuous actions and competence that help induce the actions. This perspective looks at competence as a supplementary or prerequisite condition for virtue.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that specifically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virtue and compet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 as well as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virtue and competence to reconsider the way they are integrated.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d the structural similarity between Aristotle’s virtue ethics and competence and their strengths and limitations to see if competence concept is necessary to be included as a part of character education. Results show that virtue and competence share a similar course of the actions emerging, which means that each of them has a complete course of action, which, in turn, means they cannot be integrated as now. In addition,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virtue ethics and competence were examined to find a way to complement limitations with strengths. 인성교육진흥법에 명시된 인성교육은 덕스러운 행위와 함께 그것의 발현을 돕는 역량에관심을 두고 있다. 이는 덕과 역량을 보완관계로 보는 관점이다. 그러나 덕과 역량이 그러한관계로 맺어질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탐색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따라 이 연구의 목적은 덕 윤리와 역량 개념을 살펴본 뒤 유사성과 각각의 강점 및 한계를 밝혀 현재의 인성교육에 도입된 역량의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각각의 강점으로 한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인성교육의 내용을 재고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현대 덕목 개념의 모체인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와 역량 개념을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각각의 강점과 한계를살펴보았다. 그 결과, 덕 윤리와 역량의 발현 과정은 구조적으로 유사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덕 윤리 자체에 역량이 내포되어 있으며, 따라서 인성교육에 역량을도입할 필요성이 없을 수도 있음을 밝혔다. 그럼에도 덕 윤리와 역량은 각자 강점과 한계가존재하는바 기존의 보완관계가 아닌 덕 윤리와 역량 각각이 보유하고 있는 강점으로 덕 윤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통합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중등학생 대상 인공지능 윤리역량 평가척도 개발

        배진아,이정훈,홍미선,조정원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2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5 No.6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a representative future industrial technology that has a great impact on society and the economy as a whole. However, as artificial intelligence becomes closer to our lives, unexpected ethical issues are also emerging. Accordingly, maj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making various efforts, such as preparing ethical standards to secure tru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In addition, the nee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education for students who will become users and developers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emerged.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research to establish ethical standard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education and strengthening of executive pow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scale that can measure the ethical compet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a process evaluation tool to foster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and strengthening of executive power of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To this end, the item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scale item analysis and expert advice previously studied, and data were collected by applying them to educational programs. After that, through this surve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al competency scale was developed through stages such as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of variables and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Throug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al competency evaluation scale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al literacy and execution abil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인공지능 기술은 사회, 경제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미래 산업기술이다. 그러나 인공지능이 우리 삶에 밀접해지면서 예상치 못한 윤리적 이슈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 이에 주요 국가들은 신뢰 확보를 위한 인공지능 윤리기준을 마련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의 이용자이면서 개발자가 될 학생들을 위한 인공지능 윤리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하지만, 인공지능 윤리교육을 위한 윤리기준을 마련하고, 윤리에 대한 실천력을 강화를 위한 연구는 충분치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 ·고등 학생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윤리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공지능 윤리소양 함양과 인공지능 윤리 실천력을 강화하기 위한 수행형 기반 측정 도구 개발을 목표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에 연구된 척도 문항 분석과 전문가 자문을 거쳐 문항을 수정 및 보완하고, 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후 본조사를 통해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정, 확인적 요인분석 등의 단계를 거쳐 인공지능 윤리역량 평가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인공지능 윤리역량 평가척도를 통해 중 ·고등학생의 인공지능 윤리 소양과 윤리 실천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